KR200232526Y1 -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526Y1
KR200232526Y1 KR2020000037324U KR20000037324U KR200232526Y1 KR 200232526 Y1 KR200232526 Y1 KR 200232526Y1 KR 2020000037324 U KR2020000037324 U KR 2020000037324U KR 20000037324 U KR20000037324 U KR 20000037324U KR 200232526 Y1 KR200232526 Y1 KR 200232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lamp
air
porous portion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7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526Y1/ko
Priority to US10/006,138 priority patent/US6707019B2/en
Priority to DE60121127T priority patent/DE60121127T2/de
Priority to EP01130307A priority patent/EP1220575B1/en
Priority to CNB011386924A priority patent/CN1166894C/zh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캐비티내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에 램프를 설치함으로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캐비티(112)와, 상기 캐비티(112)의 상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공부(112c)와, 상기 다공부(112c)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공부를 통해 상기 캐비티(112)내를 조명하는 램프(10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공기가 캐비티(112)내로 유입됨으로서 상기 다공부(112c)의 상부에 설치된 램프(106)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캐비티(112)내에서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외부로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서 별도의 내열테이프가 필요없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The mounting structure of oven lamp for microwave oven }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캐비티내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에 램프를 설치함으로서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흡입구와 램프 설치구조의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캐비티와 에어덕트를 분리 시켜놓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에어덕트(2)의 상면부 일측에는 램프덮개(2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덮개(2a)의 하부에는 램프브라켓(4)이 설치된다. 상기 램프브라켓(4)의 일측에는 통공(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4a)에 램프(6)가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2)의 하부에 도시된 캐비티(12)의 상면부에는 상기 램프(6)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부(12c)는 상기 캐비티(12)의 상부면 일측에 다수의 통공을 직접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램프(6)의 불빛이 상기 통공을 통해 캐비티(12)내를 비추게 된다.
또한, 상기 다공부(12c)의 상부에는 내열테이프(12c')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내열테이프(12c')는 상기 캐비티(12)내로부터 상기 다공부(12c)를 통해 상승되는 열기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캐비티(12)내로부터 튀겨져 나오는 음식 찌꺼기등으로부터 상기 램프(6)를 보호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12)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2a)는 상기 캐비티(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전장실(13)의 측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전장실(13)의 공기를 상기 캐비티(12)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티(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12)의 좌측 상면부에 형성시킨 배기구(12b)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배기구(12b) 역시 상기 캐비티(12)의 상면부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시킨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캐비티(12)내 공기의 유로를 나타내는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면상 (f)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하, 종래 전자레인지 캐비티내의 흡배기 구조와 램프 설치구조의 작용에 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캐비티(12)내 흡배기 흐름에 대해 살펴보면,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통해 전자레인지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전장실(13)의 상부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전장실(13)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3)의 공기는 상기 전장실(13)의 좌측면 즉,캐비티(12)의 우측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2a)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2)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12)내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통해 배기로 변하게 되고, 상기 배기는 상기 캐비티(12)의 상면부에 형성된 배기구(12b)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캐비티(12)내 공기의 흡배기 흐름에 대해서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의하면, 공기는 전장실(13)을 통해 상기 캐비티(12)내로 유입되고 다시 상기 캐비티(12)의 상면부를 통해 배출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전자레인지의 조리 시 상기 캐비티(12) 상면부 일측에 형성된 다공부(12c)를 통해서는 램프(6) 불빛이 상기 캐비티(12)내를 비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2)내의 열기는 상기 다공부(12c)의 상부면에 부착된 내열 비닐을 통해 차단됨으로서 상기 램프(6)가 상기 고온의 열과 직접 접촉하지는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구조와 램프 설치구조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종래 램프(6) 설치공간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다공부(12c)의 상부면이 내열테이프(12c')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램프(6)는 에어덕트(2)의 하부면에 체결된 브라켓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램프(6) 설치공간은 상하가 밀폐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6)로부터 배출되는 열이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으로서 상기 램프(6)의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와 램프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와 램프설치구조를 보인 전자레인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보인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와 램프설치구조를 보인 전자레인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와 램프설치구조를 보인 전자레인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보인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에어덕트 103.....벤트모터
104..........램프브라켓 106...........램프
112..........캐비티 112b,112c.....배기구, 다공부
113..........전장실 114...........에어가이드
f............에어플로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상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공부와, 상기 다공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공부를 통해 상기 캐비티내를 조명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다공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시킴으로서 상기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공부를 통해 캐비티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캐비티내로부터 음식 찌꺼기가 상기 다공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상기 다공부에 내열테이프를 부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상부에 전장실을 형성시키고 벤트모터에 의해 상기 전자레인지의 우측 상부 전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전장실을 냉각시키는 전자레인지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흡기구 겸용 램프설치구조에 관해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에어덕트가 분리된 캐비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에어덕트를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좌우측 팬(103a,103b)이 구비된 벤트모터(103)가 에어덕트(10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덕트(102)의 하부에는 일측에 통공(104a)이 구비된 램프브라켓(104)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램프브라켓(104)은 상기 에어덕트(102)의 하부면에 나사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브라켓(104)의 통공(104a)에는 램프(106)가 부착되게 된다.
한편, 도면상 하부에는 조리물의 조리공간을 형성시키는 캐비티(112)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12)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램프(106)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다공부(1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상기 램프(106)의 불빛이 상기 캐비티(112)내 조리공간으로 비춰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공부(112c)의 우측면에는 가이드벽(1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벽(114)은 벤트모터(103)의 우측 팬(103a)에 의해 전자레인지의 전면부로 유입되는 에어플로의 일부를 상기 다공부(112c)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12)의 우측 상면부 일측에는 상기 상면부에 직접 성형된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배기구(1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구(112b)를 통해 상기 캐비티(112)내의 에어플로(f)가 상기 캐비티(112)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에어덕트(102)에 설치된 상기 벤트모터(103)의 좌측 팬(103b) 의해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캐비티(112)의 흡배기 흐름(f)을 보여주는 캐비티(112)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112)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공부(112c)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112)내 조리공간을 지나 상기 배기구(112b)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와 램프설치구조에 관한 작용에 대해 도면에 도시된 적절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전자레인지의 작동 시 캐비티(112)내의 흡배기 흐름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에어덕트(102)의 후방에 설치된 벤트모터(103)의 우측 팬(103a)에 의해 전자레인지의 우측 상부 전면으로부터 상기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자레인지의 상측에 형성된 전장실(113)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그 일부는 상기 가이드벽(114)을 통해 상기 에어덕트(102)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다공부(112c)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상기 캐비티(112)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내 흡배기 구조에 따르면 공기의 흐름은 도면상 (f1)에서 (f2)를 거쳐 (f3)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부(112c)의 상부 즉, 상기 에어덕트(102)의 하부면에 장착된 램프브라켓(104)의 램프(106)는 상기 공기흐름에 의해 충분히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다공부(112c)에 하방으로 형성되는 공기흐름으로 인해 상기 캐비티(112)내 음식물 등이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다공부(112c)를 통해 캐비티(112)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112)내의 수증기를 증발시키는 역활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배기구(112b)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12)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본 고안에 의한 흡기구 겸용 램프설치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상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전자레인지 작동 시 상기 다공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다공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부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상기 캐비티내 음식물의 찌꺼기 등이 상기 다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서 별도의 내열테이프를 상기 다공부의 상부에 부착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상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공부와;
    상기 다공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공부를 통해 상기 캐비티내를 조명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KR2020000037324U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KR200232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24U KR200232526Y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US10/006,138 US6707019B2 (en) 2000-12-30 2001-12-10 Ventilation structure of microwave oven and lamp fitting structure therefor
DE60121127T DE60121127T2 (de) 2000-12-30 2001-12-19 Belüftungsstruktur bei einem Mikrowellenofen und die Lampenausrüstungstruktur dergleichen
EP01130307A EP1220575B1 (en) 2000-12-30 2001-12-19 Ventilation structure of microwave oven and lamp fitting structure therefor
CNB011386924A CN1166894C (zh) 2000-12-30 2001-12-28 微波炉及其通风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24U KR200232526Y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526Y1 true KR200232526Y1 (ko) 2001-09-29

Family

ID=7306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24U KR200232526Y1 (ko) 2000-12-30 2000-12-30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5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25A (ko) * 2009-12-18 201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US10904960B2 (en) 2017-01-03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525A (ko) * 2009-12-18 201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7379B1 (ko) * 2009-12-18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US10904960B2 (en) 2017-01-03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6292A1 (en) Heater Assembly for Microwave Oven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Same
EP1220575B1 (en) Ventilation structure of microwave oven and lamp fitting structure therefor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236440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200232526Y1 (ko)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JP3735810B2 (ja) 加熱調理器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23252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100420322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151373Y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순환장치
JP2007155224A (ja) レンジフード付き高周波加熱装置
KR9600019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흡기덕트구조
KR100301907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배기구조
KR20020041252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복사히터 냉각구조
KR10040245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히터 냉각장치
FI63287C (fi) Dubbelbakugn saerskilt inbyggd bakugn
KR200426379Y1 (ko) 컴퓨터 전원장치의 송풍구조
KR100287833B1 (ko) 환기모터를 이용한 후드겸용 전자렌지의 조리실램프와 스터러모터 냉각구조
KR100424578B1 (ko) 전자레인지의 스터러팬 구동장치
KR20022936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KR100285842B1 (ko) 벽걸이형전자레인지
JP5611713B2 (ja) 加熱調理器
KR100402608B1 (ko) 토스터부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방열장치
KR980008922U (ko) 전자레인지
KR10056021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퓨즈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