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440B1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440B1
KR100236440B1 KR1019970007839A KR19970007839A KR100236440B1 KR 100236440 B1 KR100236440 B1 KR 100236440B1 KR 1019970007839 A KR1019970007839 A KR 1019970007839A KR 19970007839 A KR19970007839 A KR 19970007839A KR 100236440 B1 KR100236440 B1 KR 10023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cooling
air
fan assembly
magne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864A (ko
Inventor
강명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440B1/ko
Priority to JP32815997A priority patent/JP3771363B2/ja
Priority to US08/996,233 priority patent/US6218653B1/en
Publication of KR1998007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440B1/ko
Priority to US09/633,787 priority patent/US6278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내부의 전기부품(마그네트론과 고압 트랜스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각구조는,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기계실의 하면에 장착되는 고압트랜스를 포함하는 다른 전기부품과, 기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부품들을 냉각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발생기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일부를 마그네트론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수단은, 팬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공의 원주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제1전기부품을 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면에 부딪힌 냉각공기가 수직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마그네트론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부품들은 기계실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후방에는 일자형의 에어가이드판에 의하여 격실되어, 에어가이드판과 기계실 후면은 별도의 배기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상부에어덕트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공기의 흐름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티어셈블리 102 : 캐비티
104 : 기계실 106 : 캐비티상면
110 : 상부에어덕트 114 : 팬어셈블리
115 : 에어플로가이드 120 : 저면
124 : 마그네트론 125 : 고압트랜스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OTR)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전기부품을 전자레인지 상부에 장착되는 냉각팬을 이용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캐비티 내부의 에어플로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통상 오븐레인지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체의 전자레인지의 기능이외에, 하방의 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전자 레인지라고도 칭함)는, 조리공간인 캐비티(12) 및 상기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14)이 성형된 캐비티어셈블리(10)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기계실에 내장되는 전기부품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에서 캐비티(12)의 측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마그네트론체결판(13)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4)에는 상기 캐비티(12)의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부품이 설치됨과 동시에 일측에는 후드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배기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을 위한 마그네트론(16)이 상기 마그네트론체결판(13)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11)는 기계실의 후벽(10b)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의 하부에는, 저면(18)이 복수개의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저면(18) 상에는, 전기 부품의 방열 및 캐비티의 배기를 위한 팬모터어셈블리(15)가 마그네트론의 우측 위치에서 체결 고정되고, 상기 마르네트론(14)에서 필요로 하는 고압을 위한 콘덴서(19)도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18)의 우측에는, 별도의 배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공(18a)이 전후방에 걸쳐 성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부품이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가이드판(17)이, 상기 배기공(18a)과 상부의 에어덕트(20)를 연결하는 배기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실(14)의 일측에서 전기부품을 막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즉, ㄱ자형의 에어가이드판(17)이 상기 기계실(14)의 우측일부[저면(10)의 배기공(18a)에 해당하는 부분]를 막음으로써, 상기 배기공(18a)에 해당하는 기계실 우측의 일부를 배기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전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에어덕트(20)의 후방에는 배기모터(22)가 장착된다. 상기 배기모터(22)는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판(30)과, 기계실(14)의 일부, 그리고 상부의 에어덕트(20)의 후방측을 통하는 배기통로에 에어플로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20)의 우측 전방에는 후술하는 팬어셈블리(15)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기계실 내부로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의 흡입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전지부품의 장착구조는, 제2도 및 제3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만들기 위한 팬어셈블리(15)는 종단면도인 제2도에서와 같이, 기계실(14)의 중간의 높이에서 마그네트론(16)과 고압트랜스(11)의 사이에 장착되고 있고, 횡단면도인 제3도에서와 같이 마그네트론(16)의 우측부분에 장착되어 전기부품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팬어셈블리(15)에 의한 냉각 공기의 흐름은, 전자레인지 상면의 공기흡입구(24)를 통하여 들어와서, 팬어셈블리(15)에 의하여 캐비티(12) 측으로 진행된다. 팬어셈블리(15)를 지난 공기는 이분되어, 그 일부는 저면(18)에 장착된 마그네트론(16)을 향하여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기계실의 후벽(10b)에 장착된 고안트랜스(11)을 향하여 공급되고 있다.
이렇게 공급되어 상기 전기부품을 냉각시킨 다음, 캐비티(12)의 측벽(12a)에 성형된 통기공(12b)을 통하여 캐비티(12)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캐비티(12)내부로 공급된 에어플로는, 캐비티의 다른 측벽 또는 상면에 성형된 통기공을 통하여 캐비티(12)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전기부품의 장차 구조 및 에어플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마그네트론(16)은 저면(18)에 장착되고, 고압트랜스(11)은 기계실(14)의 후벽(10b)에 장착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어셈블리(15)를 기준으로 보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팬어셈블리(15)를 기준으로 각각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팬어셈블리(15)에서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흐름은, 상기 마그네트론(16)과 고압트랜스(11)의 두 방향으로 분리 송풍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에 따른 공기의 공급양이 충분하지 못하고, 분리된 공기의 그 양측의 전기부품으로 공급시 공기 흐름의 방향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팬어셈블리에 의한냉각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부의 에어덕트(20)에 성형된 공깁흡입구(24)와 팬어셈블리(15)는 실질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특히 상기 공기흡입구(24)와 팬어셈블리(15)를 연결하는 냉각 공기의 경로가 직선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변경되는 것이어서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팬어셈블리(15)와 공기흡입구(24)의 이격된 거리에 의하여 팬어셈블리(15)의 송풍력이 충분하게 작용하지 않게 됨과 동사에, 흡입공기의 경로의 복잡성에 기인하여 공기의 흐름에서 에너지의 손실이 크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공기의 흡입을 위해서는 상기 팬어셈블리의 송풍력을 더욱 높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제한된 기계실의 공간 내부에서는 어려움이 뒤따른다.
그리고 팬어셈블리에 있어서도, 마그네트론(16)과 고압트랜스(11)의 각각 다른 방향으로의 송풍을 위하여 팬어셈블리(15)의 팬커버(15a)도 원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해야 하는 등 구조상으로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부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 구조는,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기계실의 하면에 장착되는 나머지 전기부품, 그리고 기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부품들을 냉각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팬어셈블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일부를 제1전기부품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냉각공기의 일부가 부딪혀서, 그것을 제1전기부품 축으로 안내하는 에어플로가이드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플로가이드는, 팬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공의 원주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마그네트론을 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부품들은 기계실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후방에는 일자형의 에어가이드판에 의하여 격실되어, 에어가이드판과 기계실 후면은 별도의 배기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하측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팬어셈블리를 기계실의 상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우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이 장착되는 기계실(104)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04)는 캐비티(102)와 캐비티측벽(105)에는 기계실(104)과 캐비티(102)를 연결하는 통기공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04)이 하부면을 구성하는 저면(102)은 상기 기계실(104)의 전면(107) 및 후면(108) 사이에서 하단부에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저면(120)의 상부 공간인 기계실(104)에 장착되는 전기부품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을 위한 마그네트론(124)는, 캐비티상면(106)의 우측단부에 지지되어 기계실(104)의 상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트론(124)의 장착은, 기계실의 공간활용을 위하여 캐비티상면(106)에, 즉 기계실(104)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종래에 마그네트론체결판에 구조에 비하여 기계실의 공간 사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24)에서 필요로 하는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125)와 고압콘덴서(123) 등의 전기부품은 저면(120)에 성형된 복수개의 체결공(122)을 통하여 저면에 체결, 고정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부품은 상기 기계실(104)의 내부에서 캐비티상면(106) 및 저면(120)에 장착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어덕트(110)에 장착되는 팬어셈블리(114)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계실(104)에 장착되는 전기부품은, 기계실(104)의 전방측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기부품이 장착된 기계실(104)는, 에어가이드판(126)에 의하여 후방에는 다른 배기통로(A)가 성형된다(제6도 참조). 상기 배기통로(A)는, 상부에어덕트(120)에 장착되는 별도의 배기모터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하방에 설치된 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의 배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기계실(104)에서 마그네트론 등을 포함하는 전기부품을 기계실(104)의 전방에 배치하고, 후방에는 상기 에어가이드판(126)과 기계실 후벽(103) 사이에는 별도의 배기통로(A)가 성형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캐비티상면(106)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1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110)의 기계실에 해당하는 우측부분, 즉 전기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기부품의 냉각과 캐비티(102)의 배기를 위한 팬어셈블리(11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팬어셈블리(114)를 기계실의 상부가 되는 상부에어덕트(110)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그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부품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것이다.
다음에는 제7도를 본 발명에 의한 상에어덕트(110) 및 팬어셈블리(114)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부에어덕트(110)의 기계실(104)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팬어셈블리(114)가 설치되어, 하방으로 냉각 공기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124)은 캐비티 상면(106)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124)에 상기 팬어셈블리(114)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에어덕트(110)의 일측에 성형된 장착공(113)에는 팬어셈블리(11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3a)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13a)에는 하방에 팬(114b)이 장착된 팬모터(11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113)의 일부면을 하방으로 연장한 에어플로가이드(116)가 일체로 성형하여, 패(114b)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인접한 마그네트론(124)으로 공급하고, 다른 일부의 공기는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은, 상기 장착공(113)의 일부 원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소정 길이(예를 들면 40 내지 50nm)로 연장되는 수직면(116a)와 상기 수직면(116a)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면(116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면(116b)는, 실질적으로 그 대향측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론(124)으로 냉각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면(116b)과 마그네트론(124)으로 냉각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면(116b)과 수직면(116a)은, 장착공(113)의 원주면의 하단부에서 일정 구간만 성형되는 것으로, 이것은 마그네트론(124)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적절하게 안내할 수있는 범위 내에서 길이의 변경은 가능하며, 팬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적정량의 공기가 마그네트론 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면 충분할 것이다.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은 장착공의 원주면의 일부에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의 수평면(116b)에 부딪힌 일부의 공기는 수직면(116a)를 따라 돌아서 인접한 마그네트론(124)으로 공급되고,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에 부딪히지 않은 공기는 직하방으로 공급될 것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따른 냉각공기의 흐름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가 동작함에 따라, 상부에어덕트(110)에 장착되어 있는 팬어셈브리(114)에 전원이 인가되어 팬(114b)이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팬(114b)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팬(114b)의 하부에는 기계실 내부의 전기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가 형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에어플로는, 처음에는 상기 팬어셈블리(114)가 장착된 상부에어덕트(110)의 장착공(113)에서 하방을 향하는 것이다. 이 때 장착공(113)의 원주부분에 인접한 에어플로는 에어플로가이드(116)의 수평면(116b)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수평면(116b)에 부딪힌 에어플로는 팬(114b)의 회전방향에 따른 관성에 의하여 에어플로가이드의 수평면(116b)상에서 수직면(116a)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 구간 돌다가,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이 없어지는 장착공(113)의 부분에서는 외부(원주방향)으로 빠져 나가게 되는데, 이 때 마그네트론(124)이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이 끝나는 부분의 캐비티상면(10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플로는 마그네트론(124)을 향하여 공급된다. 이러한 에어플로의 동작은 제5도 및 제8도를 통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114b)에서 의하여 형성된 냉각공기의 흐름 중에서 장착공(113)의 중심부분, 즉 팬(114)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흐름은 그대로 직하방으로 공급되어 저면(122)에 장착된 고압트랜스(125) 및 고압콘덴서(123)를 포함하는 전기부품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24) 및 고압트랜스(125) 등을 냉각시키면서 통과한 공기는, 캐비티측벽(105)에 성형된 통기공(도시없음)을 통하여 캐비티(102)의 내부로 공급되고, 캐비티(102)의 내부에서 조리중에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캐비티(102)의 타측면에 성형된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실의 최상단부를 형성하는 상부에어덕트(110)에 팬어셈블리(114)를 장착하여, 하방으로 냉각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각공기의 흐름의 일부는 에어플로가이드(116)의 수평면(116a) 및 수직면(116b)에 의하여 안내되어 마그네트론(124) 측으로 안내되고, 다른 일부는 저면(120)에 장착된 다른 전기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플로가이드(116)은 실질적으로 팬어셈블리(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의 일부를 마그네트론(124)를 향하여 안내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알 수 있다. 이렇게 팬어셈블리(114)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캐비티상면(106)에 부착된 마그네트론(124)으로 안내하는 에어플로가이드에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공(113)의 외주연에서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계실(104) 내부의 일측에 상기 팬어셈블리(114)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일부를 마그네트론(124)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상부에어가이드(110)의 저면의 일측에 상기 팬어셈블리(114)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일부가 부딪히는 안내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마그네트론(124) 측으로 경사지게 안내함으로써 마그네트론을 향한 냉각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등을 포함하는 전기부품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의 장착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전기부품(마그네트론 또는 고압트랜스등)을 기계실의 상부측에 구성하고, 다른 전기부품을 저면에 장착하며, 상부의 팬에 의한 냉각공기를 상부의 전기부품 및 하부의 전기부품으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각팬은, 기계실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방의 전기부품으로 냉각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냉각공기의 일부를 기계실의 상부측에 장착된 제1전기부품(마그네트론)으로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이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장 용이한 곳에 장착되어, 기계실 내부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팬어셈블리에 의한 냉각공기 형성의 효율이 높아진다. 즉 팬어셈블리의 사용효율을 높일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팬어셈블리에 의한 냉각공기의 흡입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팬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더라도 충분한 냉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팬의 회전과 냉각공기의 흐름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전방측에 집중적으로 장착하고, 평면상태의 에어가이드판(126)을 사용하여 기계실의 후방의 일부를 별도의 배기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후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의 배기경로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도 있다.

Claims (4)

  1.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제1전기부품과, 상기 기계실의 하면에 장착되는 나머지 전기부품과, 기계실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부품들을 냉각하는 냉각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의 외주를 일부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각공기의 일부를 상기 제1전기부품측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에어플로가이드로서, 팬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공의 원주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제1전기부품을 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으로 구성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부품은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품들은 기계실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후방에는 일자형의 에어가이드판에 의하여 격실되어, 에어가이드판과 기계실 후면은 별도의 배기경로를 구성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1019970007839A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10023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39A KR100236440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JP32815997A JP3771363B2 (ja) 1997-03-08 1997-11-28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の冷却構造
US08/996,233 US6218653B1 (en) 1997-03-08 1997-12-22 Cooling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US09/633,787 US6278099B1 (en) 1997-03-08 2000-08-07 Cooling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39A KR100236440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64A KR19980072864A (ko) 1998-11-05
KR100236440B1 true KR100236440B1 (ko) 1999-12-15

Family

ID=1949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839A KR100236440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18653B1 (ko)
JP (1) JP3771363B2 (ko)
KR (1) KR100236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65B1 (ko) 2005-11-21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09B1 (ko) * 2000-01-3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렌지의 배기팬 장착구조
KR20020055260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 제어방법
US20050229878A1 (en) * 2004-03-08 2005-10-20 Taylor G B Electronic valve actuator
KR101119094B1 (ko) * 2004-10-14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999748B1 (ko) 2008-05-23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호브
US9191999B2 (en) * 2009-09-01 2015-11-17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cooking device
KR101627376B1 (ko) * 2009-12-04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52999B1 (ko) * 2009-12-18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2013032872A (ja) * 2011-08-01 2013-02-14 Sharp Corp 加熱調理器
CN111031618B (zh) * 2019-12-16 2022-04-2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炉磁控管风冷结构及加热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4163C3 (de) * 1978-09-02 1982-01-21 Tokyo Shibaura Denki K.K., Kawasaki, Kanagawa Einbau-Mikrowellenherd
JPS55128393U (ko) * 1979-03-06 1980-09-10
US4369347A (en) * 1980-04-09 1983-01-18 Sharp Kabushiki Kaisha Damper activation in a combined microwave and electric heating oven
AU545200B2 (en) * 1982-10-18 1985-07-0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US4549055A (en) * 1983-12-12 1985-10-22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ng means for cooking apparatus
US4786774A (en) * 1984-04-27 1988-11-22 Sharp Kabushiki Kaisha Combination compact microwave oven and ventilator system
JPS617892U (ja) * 1984-06-19 1986-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US4635610A (en) * 1985-04-17 1987-01-13 Sharp Kabushiki Kaisha Hot air circulating oven range using shape memory alloy
KR960041905A (ko) * 1995-05-16 1996-12-19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65B1 (ko) 2005-11-21 2006-11-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71363B2 (ja) 2006-04-26
KR19980072864A (ko) 1998-11-05
US6218653B1 (en) 2001-04-17
JPH10253069A (ja)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440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US5951907A (en)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US6812444B2 (en) Device for coo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 microwave oven
JP4028561B2 (ja) 電子レンジ
KR20020050027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20050025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21462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흐름장치
US6278099B1 (en) Cooling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KR10076602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KR200232526Y1 (ko)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KR100347100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KR100796366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KR20020044441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301905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 유동장치
KR100437382B1 (ko) 전자레인지의 구조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KR100350418B1 (ko) 전자렌지
KR100289124B1 (ko) 전자렌지
KR20010018760A (ko) 전자레인지의 스터러팬 구동장치
KR100200788B1 (ko) 전자렌지
KR100292481B1 (ko) 전자렌지의냉각구조
KR100595231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200426379Y1 (ko) 컴퓨터 전원장치의 송풍구조
CN115736660A (zh) 一种烤箱散热装置及烤箱
KR20040061366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통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