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023B1 -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023B1
KR100766023B1 KR1020050052068A KR20050052068A KR100766023B1 KR 100766023 B1 KR100766023 B1 KR 100766023B1 KR 1020050052068 A KR1020050052068 A KR 1020050052068A KR 20050052068 A KR20050052068 A KR 20050052068A KR 100766023 B1 KR100766023 B1 KR 10076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cavity assembly
barrier
microwave ove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45A (ko
Inventor
주모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02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조리실이 구비된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에 조리실과 연통된 통기공(40d')이 형성되고,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의 상부에 냉각팬어셈블리(56)가 설치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의 에어플로를 형성하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부와 상기 통기공(40d') 사이에 에어덕트(6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덕트(60)의 일측에는 걸림홈(62)이 형성되고, 걸림홈(62)에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의 일측이 삽입되어, 에어덕트(60)가 캐비티어셈블리(40)에 고정된다. 그리고, 아웃케이스와 플랜지부(40d) 사이에 베리어(70)가 설치되며, 베리어(70)와 플랜지부(40d) 사이에 상기 에어덕트(60)가 안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에 의하면, 캐비티어셈블리(40)에 에어덕트(60)가 베리어(70)에 의존하여 서로서로 형합하므로 조립공수가 감소되어 제품생산성이 좋아지고, 제품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캐비티어셈블리, 에어덕트, 베리어, 에어플로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A air duct mounting structure for microwave ov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덕트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리어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캐비티어셈블리 42: 플랜지
46: 상부유로 48: 전장실
50: 구획판 52: 고압트랜스
54: 마그네트론 56: 냉각팬어셈블리
58: 측면유로 60: 에어덕트
62: 걸림홈 64: 체결공
70: 베리어 72: 요입부
74: 베리어플랜지부 76: 리드와이어홀
78: 결합공 80: 연결덕트
82: 베이스플레이트 84: 하부유로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조리실로 안내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내부에서 조리가 진행될 때, 조리물에서는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조리실 내부에 습기가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조리실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공기는 일반적으로 전장실 내부를 통과하면서 방열작용을 한 공기중 일부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장실 내부에서 조리실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별도의 덕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덕트는 상기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어셈블리의 외면중 전장실에 해당되는 부분에 장착된다.
하지만, 상기 덕트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나사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를 장착하는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캐비티어셈블리를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게 되면, 조리실 내부로 나사가 돌출되므로 조리중에 조리실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캐 비티어셈블리를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지 않고 에어덕트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장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부품을 이용하여 전자레인지에 장착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를 결합할 때 체결구를 최소로하여 작업공수가 감소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구비되고 측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에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통기공이 형성된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를 둘러싸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의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부와 상기 통기공이 연결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에어덕트;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가 설치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에어덕트를 감싸싸도록 구비되는 베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덕트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의 일측이 걸림홈에 삽입된다.
상기 베리어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의 이면과 상기 에어덕트가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 및 상기 플랜지와 마주보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에어덕트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베리어부와; 상기 수평베리어부에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에어덕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베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덕트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부 공간에서 냉각팬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덕트로 안내하는 연결덕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에어덕트와 나사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에 의하면,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가 베리어에 의존하여 서로서로 형합하므로 조립공수가 감소되어 제품생산성이 좋아지고, 제품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덕트가 분리된 상태의 전자레인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덕트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리어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티어셈블리(40)가 전자레인지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는 그 전면을 전면플레이트(40a)가 형성하 고, 상면을 상면플레이트(40b)가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40c)의 양측에는 하면플레이트(40c)와 일체이고 절곡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40d)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후면을 백플레이트(40e)가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실(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40a)의 가장자리에는 이면으로 돌출된 플랜지(42)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42)에는 상기 전자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도시되지 않음)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42')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전면플레이트(40a) 상단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어셈블리(4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흡기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와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상부유로(4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유로(46)의 일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48)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유로(46)와 상기 전장실(48)은 동일한 공간이다. 상기 전장실(48)을 포함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과 양측면은 아웃케이스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8)은 구획판(50)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구획판(50)의 일단부 측면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공(51)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48), 즉 상기 구획판(50)의 후방에는 인가되는 전원을 고압으로 증폭하기 위한 고압트랜스(52)가 구비되고, 고압트랜스(52)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54)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50)의 전방, 즉 상기 흡기구와 인접한 곳에는 냉각팬어셈블리(56)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어셈블리(56)는 상기 고압트랜스(52) 등의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고, 캐비티어셈블리(40) 내부의 전체적인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에는 조리실에 안착되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상부히터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좌우에 구비된 플랜지부(40d)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는 흡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측면유로(5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 일측에는 에어덕트(6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덕트(60)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와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에 형성된 통기공(40d')을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덕트(60) 및 통기공(40d')은 상기 상부유로(46)에서 상기 조리실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덕트(60)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커버형상으로 형성된 덕트몸체(60a)와, 개구된 방향의 덕트몸체(60a)의 선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장착부(60b)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60b)는 각각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 및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덕트(80)와 연결된다.
상기 장착부(60b)의 일측에는 걸림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2)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62)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덕트(60)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 (62)에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가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에어덕트(60)의 상하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60b)의 일측에는 체결공(64)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4)은 연결덕트(80)의 결합공(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4) 및 결합공(81)에 스크류 등의 체결구(S)를 관통시켜, 연결덕트(80)와 에어덕트(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60)를 캐비티어셈블리(40)에 지지하는 베리어(7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구획판(50)과 함께 상기 상부유로(46) 및 측면유로(58)를 구획하여 냉각팬어셈블리(56)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에어덕트(6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베리어부(70a)와, 에어덕트(70)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베리어부(70b)로 구성된다.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에어덕트(60)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베리어부(70a)의 선단의 폭(A)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와 상기 플랜지(4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에어덕트(60)의 외측면을 따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베리어(70)가 상기 에어덕트(60)에 밀착되는 부분은 에어덕트(60)의 형상에 맞물리도록 된 요입부(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70)가 상기 에어덕트(60)와 캐비티어셈블리(40) 및 아웃케이스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절곡된 베리어플랜지부(74)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7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리드와이어홀(76)이 형성된다. 상기 리드와이어홀(76)은 상기 베리어(70)의 일측 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 리드와이어홀(76)은 상기 전장실(48)에 위치한 다수개의 리드와이어(L)가 관통한다.
상기 베리어플랜지부(74)의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7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78)은 상기 전장실(48)을 구획하는 구획판(5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1)에 대응된다. 즉, 상기 결합공(78)과 상기 체결공(51)에 스크류 등의 체결구(S)를 관통하여 상기 베리어(70)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60)가 상기 전장실(48)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에는 연결덕트(8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덕트(80)는 상기 냉각팬어셈블리(56)에 의해 발생된 에어플로가 상기 에어덕트(6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80)가 상기 에어덕트(60)와 결합되는 부분, 즉 상기 체결공(64)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결합공(8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덕트(80)는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하면플레이트(40c)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82)의 사이에는 하부유로(8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유로(84)의 전방, 즉 상기 전면플레이트(40a)의 하단에는 배기구(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에어덕트(60)를 캐비티어셈블리(40)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 면,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에 에어덕트(60)의 걸림홈(62)이 삽입되도록 하여 에어덕트(60)를 캐비티어셈블리(40)에 설치한다. 상기 걸림홈(62)과 상기 상면플레이트(40b)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에어덕트(60)의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에어덕트(6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상면플레이트(40b)에 설치하고 나서, 베리어(70)를 캐비티어셈블리(40)의 전면플레이트(40a)와 에어덕트(6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한다. 상기 베리어(70)를 상기 전면플레이트(40a)와 에어덕트(6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와 상기 전면플레이트(40a)의 플랜지(42) 사이에 베리어(70)의 선단이 형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플랜지부(40d)와 상기 아웃케이스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덕트(6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40a), 아웃케이스, 플랜지부(40d) 및 베리어(70)에 의해 형합되어, 에어덕트(60)는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덕트(60)의 일측을 상기 전장실(48)에 구비된 연결덕트(80)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에어덕트(60)의 체결공(64)을 상기 연결덕트(80)의 결합공(81)에 대응시키고, 체결구(S)를 체결공(64) 및 결합공(81)에 관통시킨다. 따라서, 상기 에어덕트(60)는 상기 베리어(70)와 형합하고, 상기 연결덕트(60)에 고정되어, 전후로 이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70)의 수평베리어부(70a)는 상기 에어덕트(60)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고, 수직베리어부(70b)의 베리어플랜지부(74)가 구획판(50)에 대응된다. 상기 수직베리어부(70b)의 베리어플랜지부(74)의 결합공(78)을 상기 구획 판(50)에 형성된 체결공(51)에 대응시키고, 체결구(S)를 결합공(78) 및 체결공(51)에 관통시켜 베리어(7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덕트구조를 따라 에어플로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냉각팬어셈블리(56)가 구동하여 에어플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고압트랜스(52)로 인가된 전원은 고압으로 변환되어 마그네트론(54)으로 전달된다. 상기 고압을 전달받은 상기 마그네트론(54)은 상기 조리실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한다.
상기 냉각팬어셈블리(56)에 의해 발생된 에어플로는 상기 상부유로(46)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고압트랜스(52) 및 마그네트론(54)을 냉각시키고, 여러 방향의 에어플로로 나뉘게 된다. 그 중 일부는 상기 연결덕트(80)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덕트(80)로 유입된 에어플로는 에어덕트(60)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40)의 플랜지부(40d)가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한 에어플로는 통기공(40d')을 통하여 조리실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에어플로는 조리실의 습기를 흡수하고, 냉각시켜, 상기 에어덕트(60)가 설치된 플랜지부(40d)의 반대방향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따라 배기된다.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배기된 에어플로는 측면유로(58)를 따라 하부유로(84)로 유동된다. 상기 하부유로(84)로 유동된 에어플로는 하부유로(84)의 선단, 즉 캐비티어셈블리(40)의 전면플레이트(40a)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를 설치할 때, 주변부품들을 이용하여 형합시켜 고정하는 것으로 장착정확도 및 견고성이 높아져 제품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를 설치할 때, 스크류 등의 체결구를 최소화하여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캐비티어셈블리에 에어덕트를 장착함에 있어,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캐비티어셈블리를 나사가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조리실이 구비되고 측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에 조리실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통기공이 형성된 캐비티어셈블리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를 둘러싸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의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어셈블리;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부와 상기 통기공이 연결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에어덕트;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가 설치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와 마주보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에어덕트를 감싸싸도록 구비되는 베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의 일측이 걸림홈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의 이면과 상기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상기 플랜지의 외측면 및 상기 플랜지와 마주보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에어덕트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베리어부와;
    상기 수평베리어부에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에어덕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직베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의 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부 공간에서 냉각팬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공기를 상기 에어덕트로 안내하는 연결덕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에어덕트와 나사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KR1020050052068A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KR10076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68A KR10076602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68A KR10076602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45A KR20060131545A (ko) 2006-12-20
KR100766023B1 true KR100766023B1 (ko) 2007-10-11

Family

ID=3781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68A KR10076602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6735B2 (en) 2007-12-17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53B1 (ko) * 2007-12-17 2010-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488A (ja) * 1995-08-28 1997-03-07 Toshiba Corp 演算同期回路
JP2024003694A (ja) * 2022-06-27 2024-01-15 京セラ株式会社 材質特定システム、材質特定装置、及び材質特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488A (ja) * 1995-08-28 1997-03-07 Toshiba Corp 演算同期回路
JP2024003694A (ja) * 2022-06-27 2024-01-15 京セラ株式会社 材質特定システム、材質特定装置、及び材質特定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96-248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4369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6735B2 (en) 2007-12-17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icrowave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45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3579B2 (en) Heater assembly for microwave oven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same
JP3977383B2 (ja) 電子レンジ
US6812444B2 (en) Device for coo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 microwave oven
US5951907A (en)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76602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US6737622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JP2002228156A (ja) 電子レンジの電装室構造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JP2966658B2 (ja) 加熱調理器
KR100432230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EP2091300A1 (en) Cooking device
KR100485572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395639B1 (ko) 전자렌지
KR100796366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KR100369819B1 (ko) 전자렌지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100938203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KR20060082721A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싱 및 벤트그릴 장착구조
KR20000034163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20040987A (ko) 전자레인지의 메인기판 장착구조
JPH0810630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02004445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