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163A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163A
KR20000034163A KR1019980051398A KR19980051398A KR20000034163A KR 20000034163 A KR20000034163 A KR 20000034163A KR 1019980051398 A KR1019980051398 A KR 1019980051398A KR 19980051398 A KR19980051398 A KR 19980051398A KR 20000034163 A KR20000034163 A KR 2000003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air
base plate
exhaus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4163A/ko
Publication of KR2000003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1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방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 독립된 두 개의 경로를 통하여 전자레인지 외부로 배기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는, 하부와 연통하는 유입공(52)을 구비하고, 캐비티 하부의 전자레인지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와 연결되어, 전장실 하측에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고, 하부에서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62)를 구비하는 바텀플레이트(60); 그리고 상기 유입공(52) 및 바텀플레이트(60)으로 유입된 공기가 각각 독립된 경로를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6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장실의 상하를 가로막는 칸막이(66)에 의하여 그 후측으로 안내되어, 전장실 내부와 독립된 상태로 안내된다. 유입부(62)은,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61a)을 구비하는 유입덕트에 의하여 형성되고, 경사면에는 고압트랜스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의 전자레인지를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OTR)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자레인지 자체로서의 기능과,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연기 등을 배기하는 배기기능(후드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배기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방의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배기시키기 위하여 캐비티상면(11)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기모터(2)가 동작하게 되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통하여 배기공기가 유입된다. 배기공기의 유입은, 전자레인지의 저면인 베이스플레이트(13)의 좌우측에 각각 성형된 한쌍의 유입공(14a,14b)을 통하여 먼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마그네트론 등이 설치되는 전장실(20)의 저면인 바텀플레이트(15)의 후면에 성형된 통과공(16)을 거쳐 상부로 이동한다. 여기서 전장실(20)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과 상기 바텀플레이트(15)의 사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공(16)을 통한 공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하여 배기모터(2)를 경유하여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형성된 배기부(17)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전면으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기모터(2)의 설치방향에 따라, 배기되는 공기는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전면의 배기부(17)를 통하여 배기되거나, 또는 전자레인지의 상면 또는 전자레인지의 후면으로 배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의 좌측에 성형되어 있는 유입공(14b)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자레인지의 좌측의 경로, 즉 캐비티의 측면(1a)과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싱(도시 생략)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한 공기는 상기 배기모터(2)에 의하여 동일하게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설치된 배기부(17)를 통하여 배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장실(2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22)와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가 동작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동안에, 상기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는 고열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하여, 전장실(20)의 상부에는 방열팬(26)이 설치된다(도 2 참조).
상기 방열팬(26)은,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통하여 방열용 에어플로를 유입시켜서, 하방을 향하여 공급하게 되고, 도 2에서 상기 방열팬(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열용 에어플로가 점선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열팬(26)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하방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를 방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에어플로의 배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일부의 공기는 캐비티(1)의 측벽에 형성된 유입공(1b)를 통하여 캐비티(1) 내부로 유입된다. 캐비티(1)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캐비티의 다른 측벽(1a)에 형성된 배기공을 통하여 캐비티(1)를 빠져 나가게 되고, 이렇게 배기되는 공기는 후드기능시의 좌측 배기경로를 따라 배기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26)에서 발생한 다른 일부의 공기는 캐비티저면(1c)와 베이스플레이트(13) 사이를 통하는 배기경로와 같이 배기된다. 물론 이러한 배기경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그네트론이 동작하는 동안에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장실(20)의 내부에는, 상기 방열팬(26)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향 에어플로와, 배기모터(2)에 의하여 통과공(16)을 거치는 에어플로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28)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분리판(28)은, 전장실(20)의 전후면을 가로막는 것으로, 상기 통과공(16)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배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장실(20)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베이스플레이트(13)와 바텀플레이트(1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3)의 일부분을 바텀플레이트(15)의 부분까지 필요 이상으로 연장하여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3)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3)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의 낭비를 의미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에 성형된 한쌍의 좌우측 유입공(14a,14b)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13)와, 바텀플레이트(15) 및 캐비티저면(1c) 사이에서 서로 혼합된다. 이렇게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공기는 유로저항이 작은 쪽으로 흐르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좌측의 배기유로가 유로저항이 작기 때문에 좌측으로 많이 흐르게 되고, 전장실(20) 하부를 향하는 우측으로는 상대적으로 공기의 흐름이 작게 된다. 이는 양측으로 분할하는 공기의 흐름량이 균등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불균형으로 인하여 흡입력이 저하됨은 물론 공기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트랜스(24)는 방열팬(26)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트랜스(24) 자체의 방열효율이 마그네트론에 비하여 낮게 되어, 고압트랜스에 대한 냉각이 충분하지 않은 단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 기능시 하방의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부품(베이스플레이트)의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배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장실 내부에서 저면에 설치되는 고압트랜스의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내부의 수리 및 관리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배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드기능시 공기 유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경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기경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배기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경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기경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캐비티 40 ..... 전장실
42 ..... 마그네트론 44 ..... 고압트랜스
48 ..... 방열팬 50 ..... 베이스플레이트
52 ..... 유입공 60 ..... 바텀플레이트
61 ..... 유입덕트 61a ..... 경사면
62 ..... 유입부 66 ..... 칸막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는, 하부와 연통하는 유입공을 구비하고, 캐비티 하부의 전자레인지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전장실 하측에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고, 하부에서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구비하는 바텀플레이트, 상기 유입공 및 바텀플레이트으로 유입된 공기가 각각 독립된 경로를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유입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장실의 상하를 가로막는 칸막이에 의하여 그 후측으로 안내되어, 전장실 내부와 독립된 상태로 안내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유입덕트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고압트랜스가 설치되어, 고압트랜스의 방열효과를 높인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저면은, 베이스플레이트(52)와 바텀플레이트(60)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전자레인지의 캐비티(30)의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베이스플레이트(50)를 설치하고, 전장실(40)의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바텀플레이트(6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와 바텀플레이트(60)는, 각각 인접하는 부분에 성형된 플랜지부(54,6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와 바텀플레이트(60)는 서로 연결된 상태로 동일평면상에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와 캐비티저면(32) 사이에는 하나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실질적으로 전장실(40)과 완전히 구분되는 격실된 공간이다. 단,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플랜지부(54)에는 다수개의 통기공(35b)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텀플레이트(60)는 전장실(40)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따라서 전장실(4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42)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 공급되는 전류를 고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고압트랜스(44)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일측에는 하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52)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도 4에서 좌측부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티(30)의 좌측면(34)의 외측을 거쳐서 캐비티상면(36)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바텀플레이트(60)에도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62)가 설치된다.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는, 바텀플레이트(60)의 일측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61a)을 가지는 유입덕트(61)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덕트(61)의 경사면(61a) 상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트랜스(44)가 설치되어, 유입덕트(61)를 따라 유입부(62)로 들어오는 공기는, 상기 고압트랜스(4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40)의 내부에는 상하부분을 가로막는 칸막이(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66)는 상기 유입부(62)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부(62)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전장실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2)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66)의 이면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실(40)의 상부에는 방열팬(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팬(48)은,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49)를 통하여 공기를 유입시켜서, 하방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팬(48)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론(42)과 고압트랜스(44)는, 방열팬(48)에 의한 에어플로에 노출되어 방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팬(48)에 의하여 전장실(40) 내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칸막이(66)에 의하여 막혀있기 때문에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를 통하여 상부로 들어오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는다.
상기 방열팬(48)에 의한 에어플로의 경로는 실질적으로 종래와 같은 것으로, 일부의 공기는 전장실(40) 측의 캐비티 측벽에 성형되는 통기공(35a)를 통하여 캐비티(30) 내부로 유입되고, 다른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50)의 플랜지부(54)에 성형된 통기공(35b)을 통하여, 좌측으로 유입된다.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에 같이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의 에어플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후드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자레인지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모터(M)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배기모터(M)의 동작으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통하여 배기시키고자 하는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유입된다.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과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를 통하여 동시에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캐비티하면(32)과 베이스플레이트(5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캐비티측면(34)의 외측과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싱(도시 생략) 사이를 통하여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캐비티상면(36) 측으로 들어온 공기는 배기모터(M)에 의하여 안내되는 방면,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통하여 배기된다.
다음에 유입부(6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유입부(62)을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을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캐비티저면(32) 사이를 통하여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배기되며, 유입부(6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칸막이(66)에 의하여 전장실(40)의 후방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는 각각 독립된 경로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상부에서 배기모터(M)을 통하여, 동시에 배기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62)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는 칸막이(66)에 의하여 전장실(40)의 후방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66)의 후면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상부로 이동한 공기는 배기모터(M)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통하여 배기된다. 물론 상기 배기모터(M)의 설치위치 및 설치방향에 따라, 전자레인지의 후면 또는 상면을 통하여 배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62)를 형성하는 유입덕트(61)의 경사면(61a)에는 고압트랜스(6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61a)의 하면을 흐르는 공기는, 고압트랜스(61)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받는 고온상태의 경사면(61a)을 방열시키는 작용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배기기능에 의한 에어플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하부에 설치되는 가스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의 배기동작을 위하여 배기모터(M)가 동작하는 경우의 에어플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에서, 마그네트론(42)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방열팬(48)에 의한 에어플로가 추가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방열팬(48)에 의한 에어플로는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상기 방열팬(48)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하방으로 공급되면서, 마그네트론(42) 및 고압트랜스(44)를 방열시킨다. 여기서 방열팬(48)에서 발생한 에어플로의 일부는 도 4에 도시한 통기공(35a)를 통하여 캐비티(30)의 내부로 공급된 후 배기되고, 다른 일부는 베이스플레이트(50)의 플랜지부(54)에 성형된 통기공(35b)을 통하여 배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요지를 가지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배기모터(M)가 동작하면서 전자레인지의 하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경우, 전자레인지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별개의 에어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고, 각각 독자적인 경로를 통하여 배기모터(M)의 좌측 및 우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바텀플레이트(60)가 실질적으로 전장실(40)의 저면임과 동시에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 때 상기 바텀플레이트(60)에 형성된 유입부(62)의 유입덕트(61)의 상면의 경사면(61a)에 고압트랜스(4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고압트랜스(44)의 방열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60)가 전장실(40)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바텀플레이트(60)만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전장실(40)의 내부가 완전히 노출되어, 유지관리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내에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방의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공기의 순환을 각각 간섭되지 않는 두 개의 경로로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50)의 유입공(52)을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와, 바텀플레이트(60)의 유입부(62)를 통하는 두 개의 경로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 두 개의 경로는 서로 섞이지 않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좌우로 완전하게 분리되는 두 개의 에어플로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배기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됨은 물론, 두 개의 에어플로가 섞이는 것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바텀플레이트(60)가 실질적으로 전장실(40)의 바닥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 바텀플레이트(60) 만을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전장실(40) 내부의 구성부품의 보수 등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내부의 전기부품의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의 크기를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베이스플레이트는 전장실(40)의 하부까지 연장된 상태로 성형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플레이트는, 캐비티의 하부만을 커버하는 것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텀플레이트의 유입부(62)의 경사면(61a)에 고압트랜스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고압트랜스의 방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트랜스(44)는 방열팬(48)에 의한 방열뿐만 아니라, 배기를 위하여 유입부(6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도 효과적으로 방열되기 때문에, 방열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공(52)이 성형되고, 캐비티 하부의 전자레인지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5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와 동일 평면상에서 연설되어, 전장실 하측에서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고, 하부에서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62)를 구비하는 바텀플레이트(60);
    상기 유입공(52) 및 바텀플레이트(60)로 유입된 공기가 각각 독립된 경로를 따라 전자레인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는 전장실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6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전장실의 상하를 가로막는 칸막이(66)에 의하여 그 후측으로 안내되어, 전장실 내부와 독립된 상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62)은,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61a)을 구비하는 유입덕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1a)에는 고압트랜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1019980051398A 1998-11-27 1998-11-27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00034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98A KR20000034163A (ko) 1998-11-27 1998-11-27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398A KR20000034163A (ko) 1998-11-27 1998-11-27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163A true KR20000034163A (ko) 2000-06-15

Family

ID=1956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398A KR20000034163A (ko) 1998-11-27 1998-11-27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41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08B1 (ko) * 2000-01-3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팬
KR100914543B1 (ko) * 2002-12-31 200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08B1 (ko) * 2000-01-31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팬
KR100914543B1 (ko) * 2002-12-31 200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2444B2 (en) Device for coo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 microwave oven
EP1221827B1 (en) Hood apparatus of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00034163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10076602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KR19990009603A (ko) 전자렌지의 전장물 냉각장치
KR10065056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200147433Y1 (ko) 전자렌지의후판구조
KR20040059039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100377740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587302B1 (ko) 전자 레인지의 방열 구조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200173686Y1 (ko) 냉각용 에어플로의 고내유입구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100796366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KR200189007Y1 (ko)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JPH0831562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595231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163480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2004445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621

Effective date: 2002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