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543B1 -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543B1
KR100914543B1 KR1020020087972A KR20020087972A KR100914543B1 KR 100914543 B1 KR100914543 B1 KR 100914543B1 KR 1020020087972 A KR1020020087972 A KR 1020020087972A KR 20020087972 A KR20020087972 A KR 20020087972A KR 100914543 B1 KR100914543 B1 KR 10091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rrier
microwave oven
cavity assembly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685A (ko
Inventor
황근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5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베리어(90)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60)의 일측면과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사이에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베리어본체(91)와,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는, 상기 베리어본체(91)에 대히여 소정각도로 꺽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또는 백플레이트(7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제원을 가지는 전자레인지에 상기 에어베리어(90)가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A structure of air-barrier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단부 및 후단부에 플렌지가 연장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나 히터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기로써, 여러가지 형태와 종류가 시판 중에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테이블 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주방용 가구의 내부에 빌트인(built-in)되어 가구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빌트인 타입의 전자레인지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에서는 보조 열원으로 히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중에서 일부가 조리실 외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자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장부품에서도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들을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로 기류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캐비티어셈블리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기류가 유동되는데, 전자레인지의 외부에서 들어오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와 열을 함유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자레인지 내부의 일측에는 에어베리어가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베리어 설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는, 그 전면을 전면플레이트(27)가 형성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27)의 하단에는 배기구(2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와 양측은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9)에 의하여 차폐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21)에는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19)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측면유로(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저면과 전자레인지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 사이에는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하부유로(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19)의 내측면 사이에는 상기 측면유로(31)와 하부유로(33)를 차폐하기 위한 에어베리어(4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베리어(40)는, 그 전단부가 상기 전면플레이트(27)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그 내측단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대략 수평이 되도록 전후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베리어(40)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완충부재(41,43)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41,43)는, 상기 에어베리어(40)의 외측단부와 상기 아웃케이스 (19)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과, 상기 에어베리어(40)의 후단부와 상기 백플레이트(21)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41,43)는 상기 에어베리어(40)와 상기 아웃케이스(19) 및 백플레이트(21) 사이의 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베리어(40)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외측과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41,43)는, 상기 아웃케이스(19)의 내측면 또는 상기 백플레이트(21)의 전면과 그 일부가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베리어(4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면에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어베리어(40)가 고정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와 양측에 상기 아웃케이스(19)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완충부재(61,53)가 상기 아웃케이스(19)의 내측면 또는 상기 백플레이트(21)의 전면에 의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에어베리어(50)의 외측단부와 상기 아웃케이스(19)의 내측면 사이의 갭과, 상기 에어베리어(50)의 후단부와 상기 백플레이트(21)의 내측면 사이에 갭을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베리어(40)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하고 상기 하부유로(33)로 이동한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측면유로(31)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베리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특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에어베리어(40)는,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 사용될 수 없으므로, 상기 완충부재(41,43)를 사용하여야만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와 상기 아웃케이스(19) 사이의 갭을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완충부재(41,43)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에어베리어(40)의 외측단부 및 후단부에 고정되므로, 전자레인지의 조립공수가 많아지고, 이로 인한 제작비의 증가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제작되어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를 구획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일측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베리어본체와; 상기 베리어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베리어본체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측단플렌지; 그리고 상기 베리어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베리어본체와 캐비티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단부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본체와 측단플렌지, 그리고 단부플렌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는, 상기 베리어본체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측단플렌지와 단부플렌지가, 상기 베리어본체와 상기 아웃케이스 및 백플레이트 사이의 갭에 의해 상기 베리어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꺽임으로써, 상기 베리어본체와 상기 아웃케이스 및 백플레이트 사이의 갭이 차폐되므로,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어베리어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베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캐비티어셈블리(60)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가열하는 공간인 조리실(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77)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실(61)을 개폐시키는 도어(6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61)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77)의 상단에는 전자레인지의 구동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컨트롤패널부(6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77)의 하단에는 전자레인지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77a)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기구(77a)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유로(73)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6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63)을 포함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부와 양측은 아웃케이스(59)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좌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59)의 내측면 사이에는 흡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제1유로(81a)와 제2유로(81b)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조리실(61)에 안착되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히터와, 하면에 설치되는 하부히터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는 각각 히터커버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와 차폐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73)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3)의 상면 사이에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하부유로(8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로(83)의 양측은 상기 제1,2유로(81a,81b)의 하부와 각각 연통되고, 그 전방은 상기 배기구(77a)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후면을 차폐하는 백플레이트(7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흡기구(75)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75)는, 팬어셈블리(79)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되는 곳으로, 상기 흡기구(7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하고 상기 배기구(77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기구(75)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우측면 상단에는, 외부의 공기를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팬어셈블리(79)가 전후방으로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어셈블리(79)가, 하나의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시로코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백플레이트(71)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7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시로코팬의 회전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시로코팬을 통과하면서 그 원심방향, 즉 상기 전장실(63)이 구비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어셈블리(79)의 좌측에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상면을 좌우로 구획하는 구획벽(80)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80)의 일측에는 상기 팬어셈블리(79)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상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배기공(80a)과 제2배기공(80b)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팬어셈블리(79)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 및 히터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과 히터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2유로(81b)에 유입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유로(81a,81b)의 내측에는,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상기 조리실(61) 내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제1에어챔버(85a)와 제2에어챔버(85b)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 양측의 상기 제1,2유로(81a,81b)를 통과하면서, 상기 조리실(6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 상기 에어챔버(85a,85b)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상기 조리실(61) 내부온도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77a)가 형성되는 상기 하부유로(83)의 일측은 상기 제2유로(81b)와 연통되지만, 타측은 상기 제1유로(81a)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품 등을 냉각시킨 뒤 상기 제2유로(81b)를 통하여 상기 하부유로(83)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배기구(77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1유로(81a)로 다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하부유로(83)로 유입되는 공기는,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이미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상태이므로, 상기 흡기구(75)를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1유로(81a)로 유동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유로(83)의 공기가 다시 상기 제1유로(81a)로 유입되어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냉각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59)의 내측면 사이에 에어베리어(90)를 전후방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부유로(83)의 공기가 상기 제1유로(81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베리어(90)의 구성은 도 4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베리어(90)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리어본체(91)와,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리어본체(91)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전단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그 내측단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우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는,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3)가 각각 외측과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데,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는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상기 베리어본체(91) 및 플렌지(93,95)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가 상기 베리어본체(9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꺽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단플렌지(93)는,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웃케이스(69) 내측면과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하고, 상기 단부플렌지(93)는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플레이트(71)의 전면과 상기 베리어본체(91)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는,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상기 아웃케이스(69) 및 백플레이트(71)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는,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상기 아웃케이스(69) 및 백플레이트(71) 사이에 형성되는 갭에 따라서 그 꺽이는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각도로 꺾이는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에 의하여,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상기 아웃케이스(69) 및 백플레이트(71)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단플렌지(93) 및 단부플렌지(95)는,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일측과 상기 백플레이트(71)의 전면 일측에 각각 밀착될 때까지 꺽이게 될 것이고, 상기 측단플렌지(93) 및 단부플렌지(95)가 꺾이는 각도는 상기 베리어본체(91)를 중심으로 대략 90°이내가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부플렌지(93)의 일측에는, 단부플렌지(93)의 일측과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하기 위한 절곡부(9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97)도, 상기 단부플렌지(95)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에 의하여 상기 단부플렌지(95)에 대히여 소정각도로 꺽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조립과정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캐비티어셈블리(60)의 일측면에 에어베리어(9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에어베리어(90)의 베리어본체(91)는, 그 전단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전면플레이트(77)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그 외측단부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리어본체(91)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리어본체(91)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단부플렌지(93)는, 상기 베리어본체(91)의 후단부와 상기 백플레이트(71)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베리어본체(9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꺽여서 상기 백플레이트(71)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부와 양측에 상기 아웃케이스(69)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리어본체(91)의 외측단부에 구비되는 측단플렌지(93)는,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에 의하여 상기 베리어본체(91)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꺽여서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에어베리어(90)의 외측단부와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단플렌지(93)와 단부플렌지(95)가, 상기 베리어본체(91)에 대해 꺽이는 각도는, 상기 베리어본체(91)와 상기 아웃케이스(69) 및 백플레이트(71)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 상기 에어베리어(9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 내부의 공기유동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함께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우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65)를 통하여 외부에서 공기가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유로(81a)를 따라서 상기 팬어셈블리(79)의 전방 또는 후방에 축방향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유로(81a)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제1에어챔버(85a)에 의하여, 제1유로(81a)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조리실(51) 내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팬어셈블리(79)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배기공(80a,80b)을 통해 그 원심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장실(63)로 이동하여, 상기 전장실(63)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을 방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들을 방열시킨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어셈블리(60)의 좌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유로(81b)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유로(81b)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팬어셈블리(79)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2유로(81b)를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연통되는 상기 하부유로(83)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유로(81b)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유로(81b)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에어챔버(85b)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61)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로(83)로 이동한 공기는, 그 전면에 구비되는 배기구(77a)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유로(83)의 우측면 상단에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에어베리어(90)에 의하여, 상기 하부유로(83)의 공기가 상기 제1유로(81a)로 이동하여, 상기 팬어셈블리(79)에 의하여 다시 전자레인지 내부를 순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에어베리어(90)의 측단플렌지(93) 및 단부플렌지(93)에 의하여 상기 에어베리어(90)와 상기 아웃케이스(69)의 내측면 및 상기 백플레이트(71)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차폐됨으로써, 상기 하부유로(83)의 공기가 상기 제1유로(81a)로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의 일측면과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베리어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측단플렌지와 단부플렌지에 의하여, 상기 에어베리어와 아웃케이스 및 백플레이트 사이의 갭을 차폐함으로써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 상기 에어베리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베리어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우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흡기구 및 흡기팬어셈블리가, 상기 백플레이트의 좌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베리어도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좌측면과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단부플렌지가 연장되는 위치도 반드시 상기 베리어본체의 후단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베리어본체의 전단부에서 상기 단부플렌지가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는, 에어베리어와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및 백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갭을 차폐하기 위하여 베리어본체의 외측단부와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측단플렌지와 단부플렌지가, 상기 베리어본체와 일체로 성형되므로 다양한 제원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어베리어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베리어가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부분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베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베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베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캐비티어셈블리 61: 조리실
63: 전장실 65: 도어
67: 컨트롤패널부 69: 아웃케이스
71: 백플레이트 73: 베이스플레이트
75: 흡기구 77a: 배기구
79: 흡기팬어셈블리 80: 구획벽
80a,80b: 배기공 81a,81b,83: 유로
85a,85b: 에어챔버 90: 에어베리어
91: 베리어본체 93,95: 플렌지
97: 절곡부

Claims (2)

  1.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를 구획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일측면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베리어본체와;
    상기 베리어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베리어본체와 아웃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측단플렌지; 그리고
    상기 베리어본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베리어본체와 캐비티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는 갭의 크기에 따라서 그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단부플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본체와 측단플렌지, 그리고 단부플렌지는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KR1020020087972A 2002-12-31 2002-12-31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KR10091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972A KR100914543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972A KR100914543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685A KR20040061685A (ko) 2004-07-07
KR100914543B1 true KR100914543B1 (ko) 2009-09-02

Family

ID=3735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972A KR100914543B1 (ko) 2002-12-31 2002-12-31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188A (ko) * 1995-12-29 1997-07-26 배순훈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흡.배기로 이격장치
KR20000034163A (ko) * 1998-11-27 2000-06-15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10057091A (ko) * 1999-12-18 2001-07-04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장부 방열구조
KR20020055270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7188A (ko) * 1995-12-29 1997-07-26 배순훈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흡.배기로 이격장치
KR20000034163A (ko) * 1998-11-27 2000-06-15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10057091A (ko) * 1999-12-18 2001-07-04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전장부 방열구조
KR20020055270A (ko)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685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383B2 (ja) 電子レンジ
JP2002221324A (ja)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の電装部品の冷却装置
US7276679B2 (en) Microwave oven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91454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KR100935545B1 (ko) 전자레인지
KR100918852B1 (ko) 전자레인지
KR100595231B1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KR100936153B1 (ko) 전자레인지
KR20040061390A (ko) 전자레인지
KR100930230B1 (ko) 전자레인지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0587348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930231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584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1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583B1 (ko) 전자레인지
KR100442278B1 (ko) 전자 레인지의 방열 구조
KR100587302B1 (ko) 전자 레인지의 방열 구조
KR100938382B1 (ko) 전자레인지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100935546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3B1 (ko) 전자레인지
KR100924072B1 (ko) 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100930232B1 (ko)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