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383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83B1
KR100938383B1 KR1020070117560A KR20070117560A KR100938383B1 KR 100938383 B1 KR100938383 B1 KR 100938383B1 KR 1020070117560 A KR1020070117560 A KR 1020070117560A KR 20070117560 A KR20070117560 A KR 20070117560A KR 100938383 B1 KR100938383 B1 KR 10093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avity
air
heater
fa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92A (ko
Inventor
최성호
김규영
진재명
이상률
김동한
최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83B1/ko
Priority to PCT/KR2008/006768 priority patent/WO2009064148A2/en
Priority to EP08848949.7A priority patent/EP2220376B1/en
Priority to US12/743,189 priority patent/US20110008161A1/en
Publication of KR2009005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에서는 2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팬에 의하여 다수개의 부품이 냉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제품을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냉각, 팬, 2방향

Description

전자레인지{A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보다 원활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장부품 및/또는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에는 상기 전장부품 또는/및 히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냉각시스템은 상기 전장부품 또는/및 히터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동작신뢰성이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 및 상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팬 및 상기 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팬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팬 중 적어도 1개에는, 서로 상이한 2방향으로 상기 부품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2개의 배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중 일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제1팬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중 나머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방향으로 배출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제2팬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는, 각각의 에어플로가 서로 구획되도록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부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공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면을 보인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챔버의 내부를 보인 전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측면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보드를 포함하는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100)의 상하면과 바닥면 및 양측면을 각각 어퍼플레이트(110), 바텀플레이트(120), 이너플레이트(130)가 각각 형성한다. 상기 이너플레이트(130)는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부와 한쌍의 측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의 전후단에는 각각 프론트플레이트(140)와 백플레이트(15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와 백플레이트(150)는 실질적으로 전자레인지의 전면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와 백플레이트(150)는 각각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의 저면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측면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6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전후단부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하단 및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하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0)는,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텀플레이트(12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 및 양측에는 아웃케이스(170)가 결합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70)는 상면부와 한쌍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70)가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 및 양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상면부와 측면부는 각각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이너플레이트(130)의 측면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이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01)의 천장면과 바닥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각각 어퍼플레이트(110)와 바텀플레이트(120) 및 이너플레이트(130)의 후면부 및 측면부가 형성한다. 상기 조리실(101)은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상면부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실(103)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03)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장부품과 히터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부히터어셈블리(200) 및 상기 전장부품 및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장부품은 마그네트론(104)과 고압트랜스(105)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압트랜스(105)에 인접하는 상기 전장실(103), 실질적으로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도면상 좌측부분에는 다공부(111)가 구비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다공부(111)는 전체적으로 전후방의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다공부(111)는 히터글래스(미도시)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기 다공부(111)에는 보강비드(113)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비드(113)는 상기 다공부(111)의 일부가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닫힌 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보강비드(113)에 형성되는 모서리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강비드(113)가 열린 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비드(113)의 양단부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비드(113)가 전체적으로 ㅁ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보강비드(113)가 타원형상이나 트랙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는 상기 다공부(111) 상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103)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조리실(101)에서 음식물을 복사가열하기 위한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는 전장부품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103)의 도면상 우측 전단부분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는 하나의 팬모터(310)와 한쌍의 팬(320)(3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팬(320)(330) 중 도면상 우측의 것을 제1팬(320),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2팬(330)이라 칭한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04)과 고압트랜스(105)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을 냉각시키 고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의 기름기나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고압트랜스(105)와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모터(760)를 차폐로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은 상기 전장실(103)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04)을 향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은 상기 전장실(10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향하여 도면상 후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도면상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103)의 도면상 좌측단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는 하나의 팬모터(410)와 상기 팬모터(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팬(420)(4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팬(420)(430) 중 도면상 상대적으로 후방의 것을 제1팬(420), 상대적으로 전방의 것을 제2팬(430)이라 칭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은 실내공기 및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전장실(103)의 후방으로 흡입하여 도면상 하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은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와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은 상기 전장실(103)의 전방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 및 도면상 하방으로 배출한다. 즉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에는 제1및 제2배출부(433)(434)(도 12 및 13 참조)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2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와 같은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동작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즉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온동작하면 구동하고,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오프동작하면 구동하지 아니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03)에는 제1에어베리어(5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에어베리어(510)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베리어(5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상기 전장실(103)의 도면상 우측 전단부분과 상기 전장부품 및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설치되는 상기 전장실(103)의 나머지 부분을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1에어베리어(510)에는 한쌍의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에어베리어(510)의 배출구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 및 제2팬(320)(3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장실(103)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장실(103)에는 제2에어베리어(5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2팬어셈블 리(400)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가 상기 캐비티(100)의 도면상 상단 좌측 모서리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상면부와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는 한쌍의 배출구(521)(523)(도 6참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배출구(521)(523)를 통하여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 및 제2팬(420)(4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와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는 연통개구(525)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개구(525)는 도면상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통개구(525)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이 정지(물론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 및 제2팬(420)(430)은 하나의 모터(410)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 및 제2팬(420)(430)은 동시에 정지될 것이다)하더라도,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이너플레이트(130)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 및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계속하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다수개의 흡입구(141)와 배출구(143)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와 배출구(143)는 각각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와 배출구(143)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에 의하여 공기가 흡배기되는 입구 또는 출구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전단부에는 흡입그릴(60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그릴(600)은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60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600)은 외부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히터열이 실내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장부품 및 제1팬어셈블리(3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흡입그릴(600)의 도면상 우측부분에는 상기 흡입그릴(600)의 전면 및 상면에 다수개의 흡입공(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 및 제2팬어셈블리(4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흡입그릴(600)의 도면상 좌측부분에는 상기 흡입그릴(600)의 상면에 다수개의 흡입개구(6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600)에 공기의 흡입을 위한 구성이 상이한 것은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위치 및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 및 제2팬어셈블리(400)가 설치되는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에 인접하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에 인접하는 상기 흡입그릴(600)의 도면상 좌측부분에는 상면에 만 상기 흡입개구(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가 양측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그릴(600)의 전면에 상기 흡입공(610)이 형성되더라도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흡입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흡입부가 전후방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그릴(600)의 도면상 좌측부분에서는 상면에만 상기 흡입개구(620)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상단에는 컨트롤브라켓(18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브라켓(18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좌우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브라켓(180)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브라켓(180)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19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90)은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전자레인지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패널(190)은 상기 컨트롤브라켓(18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공(610)의 상부 일부를 차폐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9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흡입그릴(600)의 흡입공(610) 및 흡입개구(620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90)의 냉각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공(610) 및 흡입개구(620)에 인접하는 상기 컨트롤패널(190)의 이면에는 히트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상하단부에는 흡입개구(151)와 배출개구(157)가 구비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와 배출개구(157)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방 또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을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압트랜스(105)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103)과 연통되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의 일부를 전장실흡입개구(153)라 칭하고,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와 연통되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의 일부를 히터흡입개구(155)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배출개구(157)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실(101)의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후방에는 컨벡션챔버(710)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챔버(710)는 상기 조리실(10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챔버(71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이면에 구비되는 컨벡션커버(72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커버(720)는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챔버(710)의 내부에는 컨벡션히터(730) 및 컨벡션팬(740)이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히터(730)로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밴딩되는 시즈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팬(740)은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전후방으로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740)은 그 중심부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직경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컨벡션히터(730)와 컨벡션팬(740)은 상기 조리실(101)의 음식물을 대류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컨벡션팬(740)이 구동하면,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히터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101)과 컨벡션챔버(710)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음식물이 대류가열된다.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히터열이 상기 컨벡션팬(7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에 보다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컨벡션챔버(710)의 내부에는 제1에어가이드(7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에어가이드(750)는 상기 컨벡션팬(740)의 구동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101)의 모서리부분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도 6를 참조하면,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에어가이드(750)는, 상기 컨벡션팬(740)의 직경방향을 향할수록 전방, 즉 상기 조리실(101)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에어가이드(750)은 상기 컨벡션팬(74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히터열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101)의 특정한 부분으로만 전달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대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벡션챔버(710)의 외부에 해당하는 상기 컨벡션커버(720)의 이면에는 컨벡션모터(76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모터(760)는 상기 컨벡션팬(740)을 구동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벡션모터(760)는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백플레이트(150)에는 백커버(770)가 구비된다. 상기 백커버(770)는 상기 컨벡션커버(720)와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 및 배출개구(157)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백커버(770) 사이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배출개구(157)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백커버(770) 사이에는 제3에어베리어(530)가 구비된다. 상기 제3에어베리어(530)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백커버(770) 사이의 공간을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컨벡션모터(760)는,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상에 위치된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에는 웨이브가이드(540)가 구비된다. 상기 웨이브가이드(540)는 상기 마그네트론(104)을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마그네트론(104)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웨이브가이드(54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조리실(101) 및 마그네트론(104)과 연통된다.
또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웨이브가이드(54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에는 배출덕트(55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덕트(550)는 상기 웨이브가이드(540)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안내되어 조리실(101)을 통과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덕트(550)는 그 저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덕트(550)에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는 상기 조리실(101)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덕트(550)에 의하여 안내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에는 하부히터(78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히터(780)는 상기 조리실(101)의 음식물을 복사가열하기 위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하부히터(780)로는 세라믹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히터(780)는 상기 제 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히터(78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에는 턴테이블모터(790)가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모터(790)는 상기 조리실(101)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미도시)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턴테이블모터(790)도, 상기 하부히터(780)와 동일하게,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상기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의 도면상 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에는 제4에어베리어(560)가 구비된다. 상기 제4에어베리어(560)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어 상기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와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100)에는 한쌍의 래치보드(81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보드(810)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820)가 상기 조리실(101)을 차폐한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래치보드(81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이면 양측단부 상단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측면부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보드(810)는 상기 캐비티(100)에 서로 직교되는 2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도어(820)의 여닫힘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도어(8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820)는 그 이면 하단에 구비되는 힌지(821)를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방식으로 상기 조리실(10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820)의 상단은 상기 컨트롤패널(19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820)의 전면은 상기 컨트롤패널(19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도어(820)에는 한쌍의 래치후크(823)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823) 는 상기 도어(820)가 상기 조리실(10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보드(810)에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래치후크(823)는, 상기 래치보드(8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820)의 이면 양측단부 상단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로를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에는 제1유로(P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P1)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와 백플레이트(150),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상면부 및 측면부 중 어느 하나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P1)는 상기 마그네트론(104)과 고압트랜스(105)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이 위치되는 상기 전장실(103)의 일부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P1)는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300)(40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공(610)을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전장실흡입개구(143)을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제6유로(P6)로 전달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곳이다.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에는 제2유로(P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로(P2)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설치되는 상기 전장실(103)의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유로(P2)에는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면서 상기 고압트렌스(105)를 냉각시킨 공기의 일부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내부에는 제3유로(P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유로(P3)는 상기 제1유로(P1)와 구획되고, 상기 제3유로(P3)를 유동 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냉각된다. 상기 제3유로(P3)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히터흡입개구(145)를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제7유로(P7)로 전달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도면상 우측에는 제4유로(P4)가 구비된다. 상기 제4유로(P4)는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와 상기 웨이브가이드(54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4유로(P4)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 즉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곳이다. 즉 상기 제4유로(P4)에는 상기 마그네트론(104)을 냉각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101)에 전달되는 공기가 유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4유로(P4)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유로(P1)와 조리실(101)과 연통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도면상 좌측에는,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와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도면상 좌측의 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5유로(P5)(도 6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제5유로(P5)에는 상기 제2유로(P2)를 유동하여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간접냉각시킨 공기 및 제4유로(P4)를 유동하여 상기 조리실(101)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제5유로(P5)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유로(P1)(P2)와 전체적으로 구획되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연통개구(525)에 의하여 그 일부가 상기 제2유로(P2)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후부(後部)에 해당하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컨벡션커버(720) 및 백커버(770) 사이에는 제6유로(P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6유로(P6)는 상기 제1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 상세하게는,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6유로(P6)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전장실흡입개구(153)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103), 즉 상기 제1유로(P1)와 연통된다. 상기 제6유로(P6) 상에는 상기 컨벡션모터(760)가 위치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후부에는 제7유로(P7)도 구비된다. 상기 제7유로(P7)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6유로(P6)와 동일하게 상기 백플레이트(150)와 컨벡션커버(720) 및 백커버(77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3에어베리어(530)에 의하여 상기 제6유로(P6)와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7유로(P7)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히터흡입개구(155)를 통하여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내부, 즉 상기 제3유로(P3)와 연통된다.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는 제8유로(P8)(도 6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제8유로(P8)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8유로(P8)는 그 도면상 좌측단부가 상기 제5유로(P5)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8유로(P8)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배출개구(157)에 의하여 상기 제6유로(P6) 및 제7유로(P7)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8유로(P8)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배출구(143)에 의하여 실내와도 연통된다. 그러나 상기 제8유로(P8)는 상기 제4에어베리어(560)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P1)와는 실질적으로 구획된다. 상기 제8유로(P8) 상에는 상기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히터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히터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플렉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히터커버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히터어셈블리(200)는 히터서포터(210), 한쌍의 히터(220A)(220B), 리플렉터(230), 제1히터커버(240), 제2히터커버(250250), 및 연결덕트(26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서포터(210)는 상기 히터(220A)(220B)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터서포터(210)는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서포터(210)는 상기 히터(220A)(220B)가 지지된 상태에서 어퍼플레이트(110)의 다공부(111)에 인접하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히터(220A)(220B)는 실질적으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터(220A)(220B)에서 발생되는 히터열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의 음식물이 복사가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220A)(220B)로 할로겐히터가 사용된다. 상기 할로겐히터는 시즈히터나 세라믹히터와 같은 다른 종류의 히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크므로,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220A)(220B) 중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과 상대적으로 인접되는 도면상 좌측의 것을 제1히터(220A),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도면상 우측의 것을 제2히터(220B)라 칭한다.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 설치된 상태, 즉 상기 히터서포터(210)가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220A)(220B)는 전후방으로 길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히터(220A)(220B)는, 상기 다공부(111)와 동일하게, 전후방향의 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230)는 상기 히터(220A)(220B)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101)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플렉터(230)는 상기 히터(220A)(220B)의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한쌍의 요입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31)는 상기 리플렉터(230)의 일부가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횡단면으로 도면상 좌우로 이격되게 상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231)에는 다수개의 냉각공(233)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공(233)은 상기 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공(233)은 상기 요입부(231)의 서로 이격되는 면 및 상면에만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각공(233)은 상기 요입부(23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상기 히터(220A)(220B) 중 어느 하나, 즉 상기 제1히터(220A)를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히터(220A)(220B) 중 다른 하나, 즉 상기 제2히터(220B)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공(233)은 상기 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유로를 따라서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각공(233)은 하류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각공(23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히터(220A)(220B)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그 유로를 따라서 유동하면서 상기 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는, 상기 히터서포터(210)에 지지된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 및 상기 리플렉터(230)를 차폐한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내면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로인 제3유로(P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가 장방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도면상 길이방향 좌측면 전단부와 후면에는 각각 입구부(241)와 출구부(243)가 구비된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는 상기 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2배기구(43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출구부(243)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는 상기 연결덕트(260)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출구부(245)는 백플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와 연통된다.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 및 출구부(243)의 위치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2배기구(434) 및 상기 백플 레이트(150)의 흡입개구(151)에 대한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의 상대위치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다.
또한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제1히터커버(240)에는 제2에어가이드(24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에어가이드(245)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히터(220A)와 제2히터(220B)를 각각 향하도록 구획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에어가이드(245)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에서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내부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246) 및 상기 제1가이드부(246)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24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246)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가 동일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이등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부(247)는 상기 제2히터(220B)를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단면적이 상기 제1히터(220A)을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단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로부터의 거리와 무관하게 상기 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를 향하여 균등한 양이 유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히터커버(250)는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의 히터열이 전장부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히터커버(250)는 상기 고압트랜스(105)에 인접하는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일부를 차폐 한다.
한편 상기 연결덕트(260)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과 상기 제1히터커버(24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덕트(26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출부(433)(434)와 상기 제1히터커버(240)의 입구부(241)와 연통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히터커버(240)에는 한쌍의 써모스텟(270)이 구비된다. 상기 써모스텟(270)은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 즉 실질적으로 상기 히터(220A)(220B)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가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써모스텟(270)에 의한 상기 히터(220A)(220B)의 온도측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 및 제2에어베리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 및 제2에어베리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의 제2팬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의 제2팬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2팬어셈블리(400)는 실질적으로 제2에어베리어(520)에 장착된 상태로 캐비티(10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P1)와 제5유로(P5)를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팬어셈블리(400)의 장착을 위한 팬장착브라켓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 한쌍의 배출구(521)(523)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배출구(521)(523) 중 도면상 후단부의 것을 제1배출구(521)라 칭하고, 도면상 전단부의 것을 제2배출구(523)라 칭한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1 및 제2배출구(521)(523)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1 및 제2배출구(521)(523)는 서로 상이한 면적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2배출구(523)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1배출구(5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이하에서는 '제1팬'이라 칭함)은 제2팬어셈블리(400)의 팬모터(410)의 도면상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팬(420)은 팬하우징(421)과 블로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팬(420)의 팬하우징(421)의 도면상 후면에는 흡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팬(420)의 흡기부는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제1팬(420)의 팬하우징(421)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기부(4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팬(420)의 배기부(423)는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1배출구(52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이하에서는 '제2팬'이라 칭함)은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팬모터(410)의 도면상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팬(430)도, 상기 제1팬(420)과 동일하게, 팬하우징(431)과 블로워(437)를 포함 한다. 상기 제2팬(430)의 팬하우징(431)은, 상기 제1팬(420)의 팬하우징(421)과 동일한 대략 수평방향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팬(430)의 블로워(427)는 상기 제2팬(430)의 팬하우징(431)의 내부에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제2팬(430)의 팬하우징(431)에는 흡기부(432)와 제1 및 제2배기부(433)(4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팬(430)의 흡기부(432)는 상기 제2팬(430)의 팬하우징(431)의 도면상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팬(430)의 흡기부(432)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2배출구(434)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팬(430)의 제2배기부(434)는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2팬(430)의 팬하우징(43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팬(430)은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2배기부(433)(434)를 통하여 각각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2방향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팬(430)이 2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가 아래의 3가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1) 상기 블로워의 회전방향, 즉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배기부의 입구측 단부에서 상기 팬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블로워의 외주면 사이의 최 단거리(D1)(D3)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배기부의 출구측 단부에서 상기 팬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블로워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D2)(D4)에 비하여 큰 값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2) 상기 블로워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배기부의 출구측 단부에서 상기 팬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블로워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D2)(D4)는, 각각 상기 제2 또는 제1배기부의 입구측 단부에서 상기 팬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블로워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D3)(D1)에 비하여 큰 값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3) 상기 블로워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배기부의 상기 블로워의 회전중심에 대한 중심각(A1)(A2)은, 각각 상기 제1배기부의 입구측 단부와 상기 제2배기부의 출구측 단부 사이의 중심각(A3) 또는 상기 제1배기부의 출구측 단부와 상기 제2배기부의 입구측 단부 사이의 중심각(A4) 이상의 값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이를 정리하여 부등식으로 정리하면,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와 제2배기부(434)는 각각 아래의 부등식을 만족해야된다.
(1) D1 > D2 and D3 > D4
(2) D2 > D3 and D4 > D1
(3) A1 >= A3 and A2 >= A4
상술한 조건 (1) 및 (2)는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고, 조건 (3)은 이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만족하여야 되는 조건이다.
상기 제2팬(430)은,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 또는 제2배기부(434)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 또는 제2배기부(434)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2팬(430)의 제2배기부(434)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의 면적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2배출구(434)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팬(430)의 제1 및 제2배기부(433)(434)의 면적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2배출구(434)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상대적으로 상기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제2배출구(434)의 면적을 감소시키면, 상대적으로 상기 제2팬(430)의 제2배기부(43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 기의 양이 증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에서 공기의 유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이 구동하면,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흡입그릴(600)의 흡기공(610)을 통하여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흡기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배기부를 통하여 제1유로(P1)로 배출되어 마그네트론(104)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배기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에어베리어(510)에 의하여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흡기부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04)을 냉각시킨 공기는 마그네트론(104)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포함한 상태로 제4유로(P4), 즉 웨이브가이드(540)를 유동하여 조리실(101)의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기 및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로 제5유로(P5)를 유동하여 제8유로(P8)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과 동시에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이 구동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공(610)을 통하여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의 흡기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의 흡기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의 배기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유로(P1)로 배출되어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다.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의 대부분은 백플레이트(150)의 전장실흡입개구(153)를 통하여 제6유로(P6)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6유로(P6)로 전달된 공기는 컨벡션모터(760)를 냉각시키고,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배출개구(157)를 통하여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온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팬어셈블리(400)도 구동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이 구동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개구(620)를 통하여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흡기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이 배기부를 통하여 상기 제1유로(P1)로 배출되어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의 일부도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흡기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흡기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간접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흡기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배기부(423)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제5유로(P5)를 유동하여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배기부(423)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제2에어베리어(520)에 의하여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 또는 제2팬(420)(430)의 흡기부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구동과 동시에 제2팬어셈블 리(400)의 제2팬(430)이 구동하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흡입구(141) 및 상기 흡입그릴(600)의 흡입개구(620)을 통하여 공기가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흡기부(432)로 흡입된다.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흡기부(432)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를 통하여 상기 제5유로(P5)로 배출되어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1배기부(433)를 통하여 상기 제5유로(P5)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1팬(420)의 배기부를 통하여 상기 제5유로(P5)로 배출되는 공기와 동일하게,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 의하여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흡기부(432)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흡기부(432)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의 제2팬(430)의 제2배기부(434)를 통하여 제3유로(P3), 즉 연결덕트(260) 및 제1히터커버(240)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3유로(P3)로 전달된 공기는 상부히터어셈블리(200),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히터(220B)를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키는 공기는 제2에어가이드(245)에 의하여 상기 제1히터(220A)와 제2히터(220B)로 각각 구획되어 안내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히터(220A)(220B)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백플레이트(150)의 히터흡입개구(155)를 통하여 제7유로(P7)로 전달되어 이를 유동하여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된다. 상 기 제7유로(P7)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3에어베리어(530)에 의하여 상기 제6유로(P6)를 유동하는 공기와 서로 구획되어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온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7유로(P7)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모터(760)가 가열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제4 내지 제7유로(P7)를 통하여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40)의 배출구(143)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8유로(P8) 상에 위치되는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가 상기 제8유로(P8)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물론 상기 제8유로(P8)로 전달되는 공기 중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를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7유로(P7)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는 고온의 공기이지만, 이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온인 상기 제4 및 제6유로(P6)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제8유로(P8)를 유동하는 공기의 전체적인 온도는 상기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의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8유로(P8)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하부히터(780) 및 턴테이블모터(790)가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8유로(P8)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4에어베리어(560)에 의하여 상기 제3유로(P3)가 구비되는 상기 이너플레이트(13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와 상기 아웃케이스(170)의 도면상 우측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 또는 제2팬(430)의 흡기부로 재흡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오프동작하는 경우,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조리 또는/및 컨벡션히터에 의한 조리의 경우에는, 상기 제1팬어 셈블리(300)가 구동되고,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는 구동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히터어셈블리(200)가 오프동작되더라도,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동한다. 그러나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가 구동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2팬(330)에 의하여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5유로(P5)로 유동되지 못한다. 그런데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에는 연통개구(525)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2팬어셈블리(400)가 구동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제1팬어셈블리(300)의 제1팬(320)에 의하여 상기 고압트랜스(105)를 냉각시킨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에어베리어(520)의 연통개구(525)를 통하여 상기 제5유로(P5)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벡션히터를 이용한 요리의 경우에는, 컨벡션히터(730)가 온동작된 상태에서 컨벡션모터(760)가 구동된다. 따라서 컨벡션팬(740)이 구동됨으로써,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열에 의하여 조리실(101)의 음식물이 대류가열된다. 이때 상기 컨벡션팬(74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히터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전달되는 공기는 제1에어가이드(750)에 의하여 고르게 안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에어가이드(750)가 상기 컨벡션팬(740)의 원주방향으로 배출되는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열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조리실(101)의 모서리를 향하여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의 음식물이 상기 컨벡션히터(730)의 히터열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류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팬어셈블리에 의하여 전자레인지를 구성하는 부품,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전장부품 및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부품의 과열이 방지됨으로써, 전자레인지의 동작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팬을 사용하여 2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품의 냉각을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한정된 개수의 팬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품의 위치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래치보드가 프론트플레이트 및 이너플레이트의 측면부에 각각의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보드가 정위치에서 이동되어 래치후크와의 체결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팬어셈블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가 유동하는 유로에 따라서 히터에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의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온의 부품을 냉각시킨 공기와 고온의 부품의 냉각시킨 공기가 제3에어베리어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어 저온의 부품을 냉각시킨 공기, 즉 저온의 공기에 의하여 컨벡션모터가 냉각된다. 따라서 컨벡션모터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흡입그릴을 통하여 팬어셈블리의 흡기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에어가이드에 의하여, 컨벡션히터의 히터열을 포함하는 공기가 조리실의 내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컨벡션장치를 이용한 요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에어가이드에 의하여 2개의 히터에 고르게 에어플로가 전달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히터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히터열을 조리실에 전달하는 다공부에 단부의 형성이 방지되는 닫힌 선형으로 형성되는 보강비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공부에 마이크로웨이브의 집중이 방지되어 할로겐램프와 같은 고출력의 히터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다공부가 열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공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면을 보인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벡션챔버의 내부를 보인 전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보드를 포함하는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히터어셈블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플렉터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히터커버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 및 제2에어베리어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의 제2팬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팬어셈블리의 제2팬을 보인 횡단면도.

Claims (17)

  1.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 및
    상기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팬 및 상기 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팬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팬 중 적어도 1개에는, 서로 상이한 2방향으로 상기 부품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2개의 배출부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 및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히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의 상면, 후면 및 저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에어플로;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와 턴테이블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의 측면 및 저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전후방으 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캐비티의 양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전자레인지.
  5.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품;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중 일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제1팬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부품 중 나머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방향으로 배출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제2팬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팬어셈블리는, 각각의 에어플로가 서로 구획되도록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전자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는 전자레인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의 좌우로 흡입하여 상기 캐비티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설치되는 부품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은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전장부품이고,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설치되는 부품은 컨벡션히터이며,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은 히터와 턴테이블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전자레인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전자레인지.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의 팬은, 상기 캐비티의 전후방으로 흡입하여 상기 캐비티의 좌우로 배출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의 팬은,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을 냉각시 키는 에어플로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전자레인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품은 히터이고,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품은 히터와 턴테이블모터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레인지.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어셈블리의 팬은,
    적어도 하나의 흡기부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배기부가 구비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기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기부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블로워; 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117560A 2007-11-16 2007-11-16 전자레인지 KR10093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560A KR100938383B1 (ko) 2007-11-16 2007-11-16 전자레인지
PCT/KR2008/006768 WO2009064148A2 (en) 2007-11-16 2008-11-17 Fan
EP08848949.7A EP2220376B1 (en) 2007-11-16 2008-11-17 Fan
US12/743,189 US20110008161A1 (en) 2007-11-16 2008-11-17 F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560A KR100938383B1 (ko) 2007-11-16 2007-11-16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92A KR20090050892A (ko) 2009-05-20
KR100938383B1 true KR100938383B1 (ko) 2010-01-22

Family

ID=4085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560A KR100938383B1 (ko) 2007-11-16 2007-11-16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03A (ko) * 1997-07-10 1999-02-05 윤종용 전자렌지의 전장물 냉각장치
KR20050100245A (ko) * 2004-04-13 2005-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60062198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냉각팬
KR100674183B1 (ko) 2004-12-03 2007-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냉각팬 및 그에 따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03A (ko) * 1997-07-10 1999-02-05 윤종용 전자렌지의 전장물 냉각장치
KR20050100245A (ko) * 2004-04-13 2005-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KR20060062198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냉각팬
KR100674183B1 (ko) 2004-12-03 2007-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냉각팬 및 그에 따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92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1500B2 (en) Microwave oven
KR100935545B1 (ko) 전자레인지
KR100918852B1 (ko) 전자레인지
KR100930230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3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2B1 (ko) 전자레인지
KR100930232B1 (ko) 전자레인지
KR20050100245A (ko) 전자레인지
KR100930231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584B1 (ko) 전자레인지
KR100935546B1 (ko) 전자레인지
KR100924072B1 (ko) 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KR100938583B1 (ko) 전자레인지
KR20020057155A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90050886A (ko) 전자레인지
KR20110070470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100243A (ko) 전자레인지용 히터커버
KR100936153B1 (ko) 전자레인지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KR100936154B1 (ko) 전자레인지
KR100938381B1 (ko) 전자레인지
KR100914543B1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베리어 구조
KR100377740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809779B1 (ko) 오븐
KR20010057193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