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579B1 -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579B1
KR100275579B1 KR1019980041124A KR19980041124A KR100275579B1 KR 100275579 B1 KR100275579 B1 KR 100275579B1 KR 1019980041124 A KR1019980041124 A KR 1019980041124A KR 19980041124 A KR19980041124 A KR 19980041124A KR 100275579 B1 KR100275579 B1 KR 10027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oor
failure
determining
d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851A (ko
Inventor
김두언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4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5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고장 발생시 미리 설정한 천이 이외의 천이가 발생하면 그에대한 고장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고장 검출 시간이 승객닫힘은 3분, 일반고장은 20분인데 시간이 변경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상운행시 정지상태(STS)에서 서비스 부름이 있으면 도어개폐(DOS, DCS)후 주행(ATS)을 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지상태(ST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도어가 열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열림 불능상태(DOF)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오픈상태(DOS)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닫힘 불능상태(DCF)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브레이크가 개방되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브레이크 개방불능 상태(BRF)로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안전장치가 떨어지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안전장치 동작상태(SSF)로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주행상태(ATS)에서 층 변화가 이루어 지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층 변화없는 상태(FCF)로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정지상태에서 주차 및 보수운전이 수행하도록 하는 제7단계로 동작하여, 어떠한 고장이라도 검출할 수 있도록하여 고장 대응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하는 감시센터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검출하여 원격감시 센터에 고장을 알리기 위한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든 고장에 대해 고장을 검출할 수 있어서 고장 대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고장 검출 방법은, 정상운행시 휴지상태(CIS)에서 서비스 부름(CCS)이 있으면 CRS(브레이크 개방)→CAS(카 운행)→CSS(카 정지)→CDOS(도어 오픈)→CPS(카 주차) 상태로 운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CIS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중단되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제1기동불능(INOP1)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CCS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제2기동불능(INOP2)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상기 제1단계의 CRS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잡히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제3기동불능(INOP3)으로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CAS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잡히고 안전장치가 떨어지면 제6기동불능(INOP6)으로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CSS 상태에서 도어가 닫혀있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제4기동불능(INOP4)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CDOS 상태에서 승강로 도어가 열려있고 소정시간 경과하면 제5기동불능(INOP5)으로 판단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제1기동불능(INOP1)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1 (UNNOC1)로 판단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2,3,4,5,6기동불능(INOP2∼INOP6) 상태에서 수동운전모드가 아니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2,3,4,5,6(UNNOC2∼UNNOC6)로 판단하는 제8단계와, 상기 제1∼제4, 제6기동불능(INOP1∼INOP4, INOP6)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1(OCCW1)로 판단하는 제9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2(OCCW2)로 판단하는 제10단계와, 제7단계의 제5기동불능(INOP5)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3(OCCW3)로 판단하는 제11단계와, 상기 OCCW1, OCCW2, OCCW3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각각 경과하면 승객갇힘 상태1,2,3(OCC1∼OCC2)로 판단하는 제12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각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사람의 신체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는 이동 수단이다.
따라서, 안전이 중요시 되는 엘리베이터를 24시간 감시하는 감시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의 고장 및 이상 현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고장을 검출하여 감시센터에 고장 정보를 송신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시 상태 천이 모델로서, 원 안에 있는 것은 현재의 상태를 나타낸다.
화살표 위에 있는 이름은 입력값이다.
PON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고, CIS는 카의 휴지 상태이고, CCS는 서비스 부름이 있는 상태이다.
CRS는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카가 출발하려는 상태이고, CAS는 카가 운행하는 상태이고, CSS는 카의 정지 상태이고, CDOS는 도어 열린 상태이고, ESS는 비상 정지 상태이다.
CPS는 카 주차 상태이다.
INOPI는 기동 불능 1 상태이고, INOP2는 기동 불능 2 상태, INOP3은 기동 불능 3 상태, INOP4는 기동 불능 4 상태, INOP5는 기동 불능 5 상태, INOP6는 기동 불능 6 상태이다.
UNNOC1은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1이고, UNNOC2는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2, UNNOC3은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3, UNNOC4는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4, UNNOC5는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5, UNNOC6은 승객이 카에 없는 상태6이다.
OCCW1은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1이고, OCCW2는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2, OCCW3은 승객이 카에 있는 상태3이다.
OCC1은 승객갇힘 상태1이고, OCC2는 승객갇힘 상태2이고, OCC3는 승객갇힘 상태3이다.
다음은 입력 변수의 설명이다. EMSTP는 비상 정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BUT는 카 혹은 홀 부름, DS는 승강로 도어닫힘, BRKLIFT는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떨어짐, DO는 도어 개방을 나타낸다.
ALB는 승객닫힘 비상벨을 나타내고, SERV는 보수 서비스, POW는 엘리베이터 전원, CPR은 카 주차 허락, NORM은 수동운전 조작, MF는 VIP층, LEV는 층 레벨 맞춤을 나타낸다.
그러면 도 1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정상적인 엘리베이터의 상태 흐름은 다음과 같다.
초기상태는 전원이 공급되는 PON상태이다.
이와같이 PON상태에서 부름 서비스를 마치고 문이 닫히면 CIS상태가 된다.
상기 CIS 상태에서 부름(BUT)이 발생하고, 시간(T)이 3초가 경과하면 CCS 상태가 된다.
상기 CCS 상태에서 승강로 도어닫힘 상태이고, 시간(T)이 20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CRS 상태가 된다.
상기 CRS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개방되고, 15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CAS 상태가 된다.
CAS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잡고 안전장치(SAF)가 정상이면 CSS 상태가 된다.
CSS 상태에서 카 도어가 개방되고, 1초가 경과하면 CDOS 상태가 된다.
CDOS 상태에서 승강로 도어닫힘이 되면 CIS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천이로 정상 운행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정상 운행을 하다가, 이상이 발생하면 기동불능 상태인 INOP1에서 INOP6가 되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의 정지상태인 CIS에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1초가 경과하면 INOP1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CCS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20초가 경과하면 INOP2 상태가 된다.
상기 CRS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잡히지 않고, 15초가 경과하면 INOP3 상태가 된다.
상기 CAS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잡히고 안전장치가 떨어지면 INOP6 상태가 된다.
상기 CSS 상태에서 도어가 닫혀있고, 5초가 경과하면 INOP4 상태가 된다.
상기 CDOS 상태에서 승강로 도어가 열려있고, 20초가 경과하면 INOP5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고장을 나타내는 불능 상태에서, 카에 승객이 없는 상태인 UNNOC1에서 UNNOC6 까지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INOP1 상태에서 20분이 경과하면 UNNOC1 상태가 된다.
상기 INOP2 상태에서 수동운전 모드가 아니고, 20분이 경과하면, UNNOC2 상태가 된다.
상기 INOP3 상태에서 수동 운전모드가 아니고, 20분이 경과하면, UNNOC3 상태가 된다.
상기 INOP4 상태에서 수동 운전모드가 아니고, 20분이 경과하면, UNNOC4 상태가 된다.
상기 INOP5 상태에서 수동 운전모드가 아니고, 20분이 경과하면, UNNOC5 상태가 되고, 상기 INOP6 상태에서 수동 운전모드가 아니고, 20분이 경과하면, UNNOC6 상태가 된다.
다음은 나머지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OP1, INOP2, INOP3, INOP4, INOP5, INOP6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1초가 경과하면 OCCW1 상태가 된다.
CPS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1초가 경과하면, OCCW2 상태가 된다.
INOP5 상태에서 경보신호가 발생하고, 1초가 경과하면 OCCW3 상태가 된다.
OCCW1 상태에서 3분이 경과하면, OCC1 상태가 되고, OCCW2 상태에서 3분이 경과하면, OCC2 상태가 되며, OCCW3 상태에서 3분이 경과하면, OCC3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엘리베이터의 기동여부, 승객의 갇힘 여부, 승객의 승차 여부 등을 검출하여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도 1에서와 같은 상태 천이가 일어나지만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꼭 도 1에서와 같은 상태 천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장도 검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정상적인 상태에서 고장상태로 넘어가는 조건이 정의한 것과 다를 경우 발생하는 고장에 대해서는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고장 검출 시간이 승객닫힘은 3분, 일반고장은 20분인데 시간이 변경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승객갇힘이 3분 후에 검출하여 센터에 보고된다면 고객에게 3분 동안 갇혀 있는 시간이 길며 이 시간은 최대한 짧을수록 좋은 제품이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고장이라도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개의 엘리베이터 상태와, 5개의 고장상태, 그리고 화살표의 입력변수로 구성하여 모든 고장에 대하여 고장 검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 대응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속한 고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 검출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한 상태 천이 모델.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한 상태 천이 모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TS : 주행상태 BRF : 브레이크 개방 불능상태
CPS : 주차상태 DCF : 도어닫힘 불능상태
DCS : 도어 닫힌상태 DOF : 도어열림 불능상태
DOS : 도어 열린상태 FCF : 층 변화없는 상태
PON : 전원공급 상태 SRV : 도어 열린상태
SSF : 안전장치 동작상태 STS : 정지 상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상운행시 정지상태(STS)에서 서비스 부름이 있으면 도어 열림(DOS), 도어닫힘(DCS)후 주행(ATS)을 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지상태(ST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도어가 열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열림 불능상태(DO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오픈상태(DOS)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닫힘 불능상태(D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브레이크가 개방되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브레이크 개방불능 상태(BR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안전장치가 떨어지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안전장치 이상상태(SS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주행상태(ATS)에서 층 변화가 이루어 지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층 변화없는 상태(F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한 상태 천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운행시 정지상태(STS)에서 서비스 부름이 있으면 도어개폐(DOS, DCS)후 주행(ATS)을 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지상태(ST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도어가 열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열림 불능상태(DO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오픈상태(DOS)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닫힘 불능상태(D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브레이크가 개방되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브레이크 개방불능 상태(BR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안전장치가 떨어지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안전장치 이상상태(SS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주행상태(ATS)에서 층 변화가 이루어 지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층 변화없는 상태(F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각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점선 화살표는 고장상태를 해제한다는 의미이고, 실선에 입력변수가 없는 것은 상태를 서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먼저, 엘리베이터 상태는 다음과 같다.
PON은 전원 공급상태이고, SRV는 보수 운전 상태이고, STS는 정지상태이고, DOS는 도어열린 상태이고, DCS는 도어 닫힘상태이고, ATS는 주행상태이며, CPS는 주차 상태이다.
그리고, 다음은 고장상태로, DOF는 도어열림 불능 상태이고, DCF는 도어닫힘 불능상태이고, BRF는 브레이크 개방 불능 상태이고, SSF는 안전장치 이상상태이고, FCF는 층 변화 없는 상태이다.
다음은 입력변수로, BUT는 카 또는 홀의 부름이고, DO는 카 도어이고, BRKLIFT는 브레이크이고, CPR은 카 주차 허락이고, MT는 보수운전 허락이고, VAR은 시간값이 변경 가능하다는 의미의 변수이다.
그리고 FLC는 층 변화이고, SAF는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정상상태, 고장상태 및 입력변수와 도 2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방법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적인 엘리베이터의 상태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면, 초기상태는 PON이다.
부름 서비스를 하기 위해 출발하여 정지하면 STS 상태가 된다.
상기 STS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면 DOS 상태가 된다.
상기 DOS 상태에서 도어 닫히면 DCS 상태가 된다.
상기 DCS 상태에서 STS상태는 자유로이 변이가 이루어진다.
상기 STS 상태에서 주행하면 ATS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STS 상태에서 보수운전을 하면 SRV 상태 된다.
상기 STS 상태에서 주차를 하면 CPS상태가 된다.
다음은 고장 상태로 변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STS 상태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도어가 열리지 않고 일정시간(T)이 경과하면 DOF 상태가 된다.
여기서, 일정시간(T)은 변경(VAR)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OS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DCF 상태가 된다. 여기서도 시간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DCS 상태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브레이크가 개방되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BRF 상태가 된다.
DCS 상태에서 안전장치가 떨어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SSF 상태가 된다.
ATS 상태에서 층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FCF 상태가 된다.
여기서 고장상태를 검출할 때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은 기타 상태를 살펴보면, 어떤 고장상태에서도 주행하면 모든 고장은 해제된다.
즉, 상기 고장상태(DOF, DCF, BRF, SSF, FCF)에서 주행하면 고장상태는 해제된다.
엘리베이터의 정상적인 상태(PON, CPS, SRV, STS, DOS, DCS, ATS)와 고장상태(DOF, DCF, BRF, SSF, FCF)는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의 동작을, 부름이 없고 정지상태에서 안전계통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부름이 없고 정지상태는 CIS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장상태로 변환하는 경우는 정전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제시한 예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부름이 없고 정지상태는 DCS 상태이고 안전계통 이상이 발생하면, SSF 고장상태로 변환이 이루어져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가 운행중 정지하여 문을 열지 못하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다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카가 정지하면 CSS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문을 열지 못하면 INOP4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카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INOP4 상태에서 다른 상태변환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INOP4상태에서 문을 열어야만 CDOS 상태로 갈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정지하여 문을 열지 못하면 DOF 고장상태이다가 다시 출발하면 ATS 상태가 된다.
그러다 정지 고장이 발생하면 STS상태가 되었다가 고장상태로 변환함으로써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어떤 고장상태도 검출할 수 있다.
고장을 검출하여 원격감시 센터로 알리면, 상기 원격감시 센터에서는 고장에 대응하는 빠른 조치를 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고장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고장에 대해 고장을 검출하여 원격감시 센터로 제공함으로써, 고장 대응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속한 고장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정상운행시 정지상태(STS)에서 서비스 부름이 있으면 도어개폐(DOS, DCS)후 주행(ATS)을 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정지상태(ST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도어가 열리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열림 불능상태(DO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오픈상태(DOS)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어닫힘 불능상태(D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부름이 존재하고 브레이크가 개방되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브레이크 개방불능 상태(BR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도어 닫힘상태(DCS)에서 안전장치가 떨어지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안전장치 이상상태(SS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주행상태(ATS)에서 층 변화가 이루어 지지 않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층 변화없는 상태(FCF)의 고장으로 판단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정지상태(STS)에서 주차(CPS) 뿐만아니라 보수운전(SRV)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어떤 고장상태에서도 주행하면 모든 고장은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고장검출 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KR1019980041124A 1998-09-30 1998-09-30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KR10027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124A KR100275579B1 (ko) 1998-09-30 1998-09-30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124A KR100275579B1 (ko) 1998-09-30 1998-09-30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851A KR20000021851A (ko) 2000-04-25
KR100275579B1 true KR100275579B1 (ko) 2001-01-15

Family

ID=1955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124A KR100275579B1 (ko) 1998-09-30 1998-09-30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34A (ko) 2016-07-22 2018-01-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고장 예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34A (ko) 2016-07-22 2018-01-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고장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851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8479B2 (ja) 自動制動過程を実施する装置の機能を監視する方法
JP5031138B2 (ja) 昇降路の出入りにおける安全性確保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5502566A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6946131A (zh) 电梯到达平层区判断方法、电梯控制方法及系统
CN112135787A (zh) 安全切换系统以及用于在正常运行模式与检查运行模式之间切换电梯设备的方法
MXPA97007604A (en) Supervision of elevadorman door systems
KR100275579B1 (ko)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JPS6327268B2 (ko)
JP200723068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異常監視装置
CN110234590B (zh) 电梯控制系统和方法
KR92001041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JPH092764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CN216403478U (zh) 一种同步别墅电梯故障时的乘客自救装置
JP2003341955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WO2015151256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9990020585A (ko) 모터 구동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구출 운전방법
JP3732701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KR20000026489A (ko) 엘리베이터 고장 검출 방법
JP2000169057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2061913A (zh) 防止轿厢意外移动的保护装置
JP3475430B2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113524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2591577B (zh) 一种无机房电梯的救援方法及相关设备、系统
JPH06100264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537371Y2 (ja) エレベータの異常復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