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669B1 -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669B1
KR100274669B1 KR1019980703053A KR19980703053A KR100274669B1 KR 100274669 B1 KR100274669 B1 KR 100274669B1 KR 1019980703053 A KR1019980703053 A KR 1019980703053A KR 19980703053 A KR19980703053 A KR 19980703053A KR 100274669 B1 KR100274669 B1 KR 10027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ube
guide ring
section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110A (ko
Inventor
올리비에 보가르드
Original Assignee
크리스천 르 레나아드
레그리스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천 르 레나아드, 레그리스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크리스천 르 레나아드
Publication of KR1999006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6Equival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Fertiliz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원통형 단부피스(1) 및 커플링 슬리브(11)를 포함하고 단부면(6)을 한정하는 부픔(2)의 본체에 튜브(3)를 연결하는 접합 장치로서, 상기 커플링 슬리브(11)는 커플링 단부피스(1) 상의 해당하는 수단(5)과 공동 작용하는 풀림가능한 파스너(fastener)수단(13)을 포함하는 제 1 섹션(12) 및 상기 제 1 섹션(12)에 축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섹션(14)을 지니며, 상기 부품은 단부피스(1)의 단부면(6)에 대한 받침대 및 슬리브(11)에 배치된 튜브(3)의 단부의 인출을 방해하는 수단(15)을 포함하는 접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는 튜브(3)의 단부를 안내하는 안내 링(19)과 내부에 고정되고, 이 링의 내부 직경(D)은 튜브(3)의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링은 슬리브(11)의 제 2 섹션(14)내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 제 1 부분(20) 및 슬리브(11)의 제 1 섹션(12)내의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부분(21)을 지니며, 상기 단부피스(1)에는, 파스너 수단(5, 13)이 맞물리는 경우 상기 링(19)의 돌출한 제 2 부분(31)의 자유 단부를 수용 및 집중시키도록 단부면(6)에 형성된 그루브(groove; 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장치.

Description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A TUBE TO A COUPLING}
현재 공장에서, 압축 공기 등의 유체 분배망의 구축은 필수적으로 배관작업(plumbing)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이 분배망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손으로 배치된다(파이프는 일정 길이 부분으로 절단되며, 그 길이는 국소 부분의 형상에 따라 현장에서 정해지고, 커플링 요소 또는 분기 연결 요소들은 배관의 길이부분에 납땜 접합, 용접 또는 접착제로 접합된다). 어떤 경우에는, 영국 특허 GB 2 117 072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집게발(claw)에 의해 튜브들을 서로 연결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배관작업 시간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분기 연결부와 같은 것을 추가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 변경 또는 확장시키는 경우 장치 전체를 개조해야 한다. 분기선에 대한 전력 요구량의 증가로 인한 분기점의 직경 증가 등의 설비의 작은 변경에서도 조차, 이 장치를 오래 동안 사용하지 못하고 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설비 및 이의 배치 기술의 결점들은, 구성 요소들의 위치나 특성 및 구조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새로운 설비들을 극히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연결장치로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자치는 설비 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이 단위 길이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게 하여 필요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위 길이의 파이프들은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제공되고 설비에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단부수단이 없다. 이 연결장치는 단위 길이의 파이프 단부와 기능적 부재 사이에 위치한 특수한 요소에 끼워지고, 상기 기능적 부재는 강체의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유니온(union) 또는 플러그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부요소(endpiece)"는 내부에 유체 순환 통로가 제공되고, 튜브 연결 링에 해당하는 연결수단과 서로 작용하는 (나사, 칼러(collar), 방사상의 스터드(radial stud), 캠작용 요소등의) 연결수단을 외부에 갖는 강체의 원통형 단부를 지칭한다. 이 원통형 단부는 연결될 튜브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표면으로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신속하고 쉽게 변경가능한 연결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축족시키기 위해, 튜브를 단부요소에 연결하는 장치는 축방향 섹션들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 형태로서, 상기 하나의 축방향 섹션은 단부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다른 축방향 섹션은 집게발 연결수단과 같은 유지 수단을 지닌다. 이와같은 장치에서, 튜브는 단부요소 속으로 침투되지 않게 되어,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단부요소로부터 빼낼 필요없이 연결부가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인접한 튜브의 길이부분들 사이에 링크요소가 배치되어 상호 인접한 단위 길이의 튜브로 파이프의 네트워크를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상기 각각의 링크요소는 인접한 각각의 튜브 길이부분용의 단부요소를 갖는다). 링크요소는 단위 길이의 튜브들의 연결 기능에 부가하여, 분기 연결, 차단 기능, 유압 확장 기능, 퍼징(purging)등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 튜브와 링크요소 사이의 축방향 분리 이동이 필요없게 되어 분배망으로부터 측방향으로 튜브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분배망은 이와같은 링크요소들에 의해 액체 수용 구조물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 링크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는 구조물로부터 링크요소를 분해하여 분리하도록 그와 같은 축방향 이동이 필요하다.
서로 연결된 링크요소와 튜브 길이부분 사이의 축방향 결합이 없는 것은, 튜브 길이의 연장으로 인한 좌굴력(buckling force)의 결과 등으로 분배망이 받을 수 있는 굽힘 응력에 취약하게 되는 기계적 약점을 갖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링크요소의 연결 위치에서, 튜브는 만곡되고 중심선들이 불일치하게 되어 연결점에서의 연결 및 실링의 품질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파이프를 기능적 구성요소와 연결시키거나 또는 압력 유체를 수용하는 설비와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 장치는 간단, 신속, 합리적이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 변경들에 따라 연장가능하게 또는 구조변경가능하게 유체 분배망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튜브가 연결되는 원통형 단부요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이드 링의 외부 도면;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슬리브 내에 튜브를 유지시키는 집게발 와셔(claw washer)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연결구조에 대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링크의 측방향 풀림가능한 특성을 방해하지 않고 단부요소와 튜브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강화시키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설비나 배관망의 부품 본체에 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품에 부속된 원통형 단부요소와, 제 1 섹션과 그에 축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섹션으로 구성된 연결용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제 1 섹션은 단부 요소의 대응된 수단과 협동하는 분리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의 제 2 섹션은 단부 요소의 단부면에 대하여 지지되어 슬리브에 배치된 튜브 단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하는 수단을 구비한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리브는 튜브의 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링이 내부에 장착되고, 이 가이드 링의 내경은 튜브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하며, 상기 가이드 링은 슬리브의 제 2 섹션내에서 활주하도록 배치된 제 1 부분과 슬리브의 제 1 섹션속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부분을 지니며, 상기 단부요소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맞물리는 경우 상기 링의 돌출된 제 2 부분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도록 단부면에 요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이 맞물리는 경우, 해당 가이드 링은 튜브 단부가 속으로 인입되어 마치 단부 요소에 형성된 하우징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같이 튜브 단부 주변부분을 유지시키는 일종의 박스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링의 잇점은, 고정 수단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가이드 링이 단부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링크의 측방향으로 풀림가능한 특성을 유지시킨다는 것이다.
튜브에 대한 가이드 링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이를 단부요소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는 수용 하우징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슬리브는 단부요소의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내에 가이드 링의 자유 단부와 맞물리게 하고 이를 유지시키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턱(shoulder)을 지니며, 상기 요홈은 고정 수단이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링의 자유 단부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바닥에 의해 축방향으로 한정된다. 이와같은 조건하에서, 가이드 링과 단부요소 사이에는 자유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이드 링은 튜브의 단부가 그 속에서 결합되는, 단부요소의 일체형 확장부와 같이 작동한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요홈의 측면은 원추형으로 수렴하는 형상인 반면, 가이드 링의 자유 단부의 외측면은 원추형으로 그 정점에서의 각도는, 요홈 외측면의 정점에서의 각도보다 더 작다. 따라서, 가이드 링은 고정 수단이 맞물리는 경우 단부요소에 고정되지만, 고정 수단이 분해될 때 어떠한 맞물림도 없어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요홈으로부터 가이드 링을 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가지 변형 실시예어서, 요홈의 내측 벽에는 적어도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그 홈들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tongue)가 형성된다. 요홈의 내측 벽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요홈의 내측 벽에는 두 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는 가이드 링의 자유 단부를 안내 및 집중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며 가이드 링의 자유 단부는 단부요소의 단부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본 발명의 연결장치 내에서 튜브의 축방향 맞물림에 대한 지지부를 구성한다.
연결장치를 제거할 때, 단부요소에 형성된 요홈으로부터 가이드 링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링과 슬리브는 턱에서 떨어진 지지수단을 가짐으로써 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가이드 링의 상대적 슬라이드운동을 제한하고 슬리브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서 튜브 단부의 축방향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슬리브의 입구측 통로는 튜브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한 내경을 지니며 슬리브의 제 2 섹션의 길이가 슬리브의 외경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튜브를 안내하는 축방향 길이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튜브 유지 수단은 내측으로 향한 방사상의 톱니를 지니는 원추형 와셔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와셔의 외부는 가이드 링과 슬리브의 턱 사이에 고정되고, 와셔는 턱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링의 돌출 단부에서 나사 구멍을 포함함으로써, 고정 수단이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가이드 링과 턱 사이에 상기 원추형 와셔의 외부의 두께 보다 더 큰 틈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도 1은 튜브(3)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부품(2)의 단부피스(1)를 보여준다. 이 단부 요소는 중심에 통로(4)가 형성되고 나사(5)가 외부에 제공된다. 단부요소는 끝부분인 단부면(6)에는 외측면(8), 내측면(9) 및 바닥(10)으로 형성되는 요홈(7)이 형성된다. 외측면(8)은 원추형으로 단부면(6)에서 멀어지면서 수렴하며, 내측면(9) 또한 원추형이지만, 외측면 보다 훨씬 더 작은 경사를 이루며 단부면(6)에서 멀어지면서 벌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연결용 슬리브(11)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단부요소(1)의 외부 나사(5)와 나사결합하기에 적합한 내측의 나사부(tapping; 13)를 지니는 제 1 섹션(12), 및 상기 제 1 섹션(12)에 인접한 제 2 섹션(14)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14)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와셔(15)로 구성된 튜브(3)의 인출 방지수단 뿐만 아니라 개스킷(16)으로 구성된 실링 수단을 수용한다. 스페이서(spacer; 17)는 와셔(15)와 개스킷(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셔에 대한 지지부를 구성하는데, 상기 스페이서는 나사가 형성된 고정 수단(5, 13)이 완전히 맞물리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해 압축된다. 슬리브의 축방향 섹션(14)의 자유 단부에는 도 1에서 L로 표시된 축방향 길이의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는 와셔(15)를 지나서 입구측 통로(18)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튜브(3)용 가이드 링(19)을 포함한다. 가이드 링(19)은 와셔(15) 부근의 제 1 부분(20)을 지니며 슬리브(11)의 제 2 섹션(14)내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링은 슬리브(11)의 제 1 섹션(12)으로 돌출하도록 제 1 부분(20)이 연장된 제 2 부분(21)을 지닌다. 제 2 부분(21)은 도면의 우측으로 수렴하는 원추형 외측 표면(22)에 형성되며 요홈(7)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원추형 표면(8)의 경사 보다 작은 각도의 경사를 이룬다.
돌출부(21)에서 이격된 단부에서, 가이드 링(19)은 일련의 축방향 돌기(23)들을 지니는데, 상기 돌기들은 단부 표면(24)으로부터 스페이서(17)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스페이서(17)에 제공되고 와셔(15)를 맞물리게 하는 상기 스페이서 지지면에서 홈으로 형성된 하우징(25)속에 배치된다.
제 1부분(20)은 슬리브의 제 2 섹션(14)에 형성된 해당 턱(27)과 협동하도록 단부 표면(24)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향한 턱(26)을 포함하며, 턱(27)은 이 경우에 원추형을 취한다. 따라서, 가이드 링(19)은 턱(26, 27)들이 상호 접촉해 있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와 돌기(23)들이 스페이서(17)의 하우징(25)의 바닥에 대하여 인접한 위치 사이에서 슬리브(11)내에서 한정되어 축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17)는 슬리브의 턱(28)에 대하여 압축된다.
최종적으로, O-링 개스킷(29)이 가이드 링(19)의 부분(20, 21)들 사이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며, 그 외측면에는 상기 개스킷이 하우징을 구성하는 원추형 표면(30)에 의해 가이드 링 상에 유지된다.
가이드 링(19)은 튜브(3)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한 내경(D)을 지닌다. 요홈(7)의 내측면(9)의 가장 큰 직경은 가이드 링(19)의 내경(D)보다 더 작다. 또한, 단부면(21a)의 평면에서 측정된 제 2부분(21)의 외경은 바닥(10)의 평면에서 측정된 요홈(7)의 원추형 외측면(8)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튜브(3)를 부품(2)에 연결시킬 경우, 상기 설명된 튜브와 맞물리는 슬리브는 먼저 단부요소(1)에 나사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 링(19)의 부분(21)은 요홈(7)으로 인입되고 요홈의 원추형 벽(8)에 의해 요홈에 대하여 중심이 잡혀진다. 가이드 링(19)의 표면(21a)이 요홈(7)의 바닥(10)과 만날때, 슬리브를 보다 더 조이면 상기 바닥들이 최종적으로 압축될 때까지 돌기(23)의 방향으로 하우징(25)의 바닥들이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가이드 링(19)은, 부분(21)이 요홈(7)에서 안내되어 그 정면(21a)이 요홈의 바닥(10)에 대하여 압축됨으로써 결정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가이드 링(19)과 슬리브(11)사이의 틈새는, 상기 가이드 링(19)이 안내되어 최종 위치에서 현저히 압축되는 정도의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링은 그 위치가 상기 단부요소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단부요소(1)의 일체형 연장부로서 작용한다.
슬리브를 조이는 마지막 단계에서, 요홈(7) 외측의 단부요소의 단부면(6)은 개스킷(29)을 약간 압축시키도록 작용하며 부분적으로 가이드 링(19)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내측 부분은 슬리브가 단부요소에 나사고정된 후 슬리브 내로 삽입되는 튜브(3)용 지지면으로서 작용한다. 가이드 링(19)의 내측 지지면은 돌출된 제 2 부분(21)의 축방향 길이부분과 제 1 부분(20)의 축방향 길이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기 때문에, 제 1부분(20)은 튜브(3)를 중심잡게 하는 지지부을 이룸으로써 튜브의 적절한 배치를 보장하고 단부요소(1)에 대하여 고정된 단부를 지니는 빔과 같이 작용한다.
슬리브가 단부요소에 고정되는 동안, 스페이서(17)와 가이드 링(19)은 압축되어 처음 배치된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펴진 상태로 와셔(15)를 구속한다. 이러한 종래 유형의 변형은 와셔(15)의 내측으로 향한 톱니가 튜브(3)의 외경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도 4는 와셔(15)가 만들어질 수 있는 평면 블랭크(31)를 보여주는데, 상기 블랭크에는 복수의 구멍(3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들의 배치와 직경은 와셔가 도 5의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모양을 이루는 경우, 가이드 링(19)의 돌기(23)가 구멍들을 틈새가 있게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정도이다. 돌기의 단부가 스페이서(17)내의 하우징(25)의 바닥에 대하여 압착되는 경우, 가이드 링(19)의 표면(24)이 와셔(15)에 대하여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와셔로 하여금 스페이서(17)에 대하여 압착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와셔(15)의 두께 보다 더 큰 틈새가 스페이서(17)와 표면(24) 사이에 존재하며 와셔에 대한 그러한 작은 크기의 틈새는 튜브(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F)를 따라 도시한 부품(2)의 측면도로서, 이는 요홈(7)의 내부가 연속적인 벽에 의하지 않고 표면(9)이 형성된 부분들을 지니는 두 개의 돌출부(40, 41)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데, 상기 돌출부 재료가 완전히 제거된 홈(42, 43)에 의해 분리된다. 튜브(3)의 삽입에 대하여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6a, 6b)이며, 이 단부면(6a, 6b)은 단부요소(1)의 단부 평면(6)상에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튜브(3)가 삽입되는 슬리브(11)의 입구측 통로(18)는 축방향 길이(L)를 가지며, 그 길이는 제 2 섹션(14)의 축방향 길이부분, 예컨대 완전히 체결된 후 슬리브(11)에 수용된 단부요소(1)의 단부(6)와 슬리브의 자유 단부 사이의 간격으로서 튜브의 직경(D)보다 더 크다. 이는 연결장치에의 튜브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굽힘 응력으로 인해 튜브가 받을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한다. 슬리브의 입구측 통로 내측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은 축방향 요홈에 의해 분리되는 다수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달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17) 없이 돌기(23)가 턱(28)에 대하여 직접 압착되고 와셔(15)는 이들 사이에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원통형 단부요소(1) 및 연결용 슬리브(11)를 포함하고, 단부면(6)이 형성된 부품(2)의 본체에 튜브(3)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슬리브(11)는 단부요소(1)의 대응된 수단(5)과 협동하는 풀림가능한 고정수단(13)을 포함하는 제 1 섹션(12)과 상기 제 1 섹션(12)에 축방향으로 인접한 제 2 섹션(14)을 지니며, 상기 부품은 단부요소(1)의 단부면(6)에 대하여 지지되고 슬리브(11)에 배치된 튜브(3) 단부의 인출을 방지하는 유지수단(15)을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에는 튜브(3)의 단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링(19)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링의 내경(D)은 튜브(3)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가이드 링은 슬리브(11)의 제 2 섹션(14)내에서 활주하도록 장착된 제 1 부분(20) 및 슬리브(11)의 제 1 섹션(12)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부분(21)을 지니며, 고정수단(5, 13)이 맞물릴 때 상기 가이드 링(19)의 돌출한 제 2 부분(31)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고 중심을 잡게 하도록 상기 단부요소(1)의 단부면(6)에 요홈(groove; 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는 가이드 링(19)이 슬리브의 제 2 섹션을 향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면을 간접적으로 형성하는 턱(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7)은 고정수단(5, 13)이 완전히 맞물릴 때 가이드 링(19)의 자유 단부(21a)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바닥(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7)의 측면(8, 9)은 원추형으로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19)의 제 2 부분(21)은 요홈(7)의 외부 측면(8)의 정점에서의 각도 보다 더 작은 정점에서의 각도를 지니는 원추형의 외부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19) 및 슬리브(11)는 슬리브의 턱(28)에서 이격된 지지수단(26,27)을 포함하여 턱(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대적 슬라이드이동을 상기 지지수단들 사이에서 한정하여 가이드 링(19)이 슬리브에 대하여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는 튜브(3)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D)을 갖는 입구측 통로(18)을 가지며, 상기 입구측 통로는 슬리브(11)의 제 2 섹션(14)의 길이가 튜브의 외경(D)보다 더 짧지 않는 축방향 길이(L)에 걸쳐 튜브(3)에 대한 안내 및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인출을 방지하는 유지수단은 내측에 방사상 톱니를 지니는 원추형 와셔(15)와 그 외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와셔의 외측 부분은 가이드 링(19)의 단부면(24)과 슬리브의 턱(28)사이에 고정되며, 가이드 링(19)의 상기 턱을 향하여 연장된 돌출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와셔(15)는 고정수단(5,13)이 완전히 맞물릴 때 상기 가이드 링과 턱 사이에 원추형 와셔(15)의 두께보다 더 큰 틈새가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23)용 구멍(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측벽(9)은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tongue; 40, 41)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홈(42, 43)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19980703053A 1995-10-27 1996-10-21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KR100274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12702 1995-10-27
FR9512702A FR2740531B1 (fr) 1995-10-27 1995-10-27 Perfectionnement a un dispositif de liaison d'un tube a un embout
PCT/FR1996/001641 WO1997015777A1 (fr) 1995-10-27 1996-10-21 Dispositif de liaison d'un tube a un embo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110A KR19990067110A (ko) 1999-08-16
KR100274669B1 true KR100274669B1 (ko) 2000-12-15

Family

ID=948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053A KR100274669B1 (ko) 1995-10-27 1996-10-21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988690A (ko)
EP (1) EP0857274B1 (ko)
JP (1) JP3350552B2 (ko)
KR (1) KR100274669B1 (ko)
CN (1) CN1078331C (ko)
AT (1) ATE199772T1 (ko)
DE (1) DE69612106T2 (ko)
DK (1) DK0857274T3 (ko)
ES (1) ES2156296T3 (ko)
FR (1) FR2740531B1 (ko)
HK (1) HK1015442A1 (ko)
PT (1) PT857274E (ko)
TW (1) TW364941B (ko)
WO (1) WO1997015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9295B2 (ja) * 1998-09-17 2009-04-02 ソフタード工業株式会社 反応塔内触媒の抜出し装置およびその触媒の抜出し方法
FR2788579B1 (fr) * 1999-01-14 2001-03-23 Jacques Raymond Anessi Dispositifs de raccordement de conduites, en particulier pour installations sanitaires
CN1323257C (zh) * 2001-09-29 2007-06-27 科迈股份有限公司 从联结件和相应的联结装置上拆离管子端部的方法
US8215492B2 (en) 2003-09-18 2012-07-10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Water treatment devices and cartridges therefor
FR2866095B1 (fr) * 2004-02-05 2007-09-28 Legris Sa Rondelle pour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tube, procede de fabrication de rondelle et dispositif de raccordement
US8822727B2 (en) * 2008-03-04 2014-09-02 Arena Pharmaceuticals, Inc.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intermediates related to the 5-HT2C agonist (R)-8-chloro-1-methyl-2,3,4,5-tetrahydro-1H-3-benzazepine
DE202008010080U1 (de) * 2008-07-26 2009-12-10 Rehau Ag + Co Schiebeelement zur Übertragung einer Schiebekraft auf ein Rohranschlusselement und Verbindungswerkzeug
US8303001B2 (en) * 2009-01-13 2012-11-06 Kofulso Co., Ltd. Pipe connector
US8833733B2 (en) * 2010-01-21 2014-09-16 Automatic Switch Company Valve connections
CN105546241B (zh) * 2010-01-21 2019-04-05 世伟洛克公司 一种用于导管配件的配件及预装组件
CN102330723A (zh) * 2010-07-13 2012-01-25 新秩序投资119股份有限公司 管配件
US8857863B1 (en) 2010-08-04 2014-10-14 Supreme Service & Specialty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nduit
US20130147189A1 (en) * 2011-11-02 2013-06-13 Tylok International, Inc. Face seal conduit fitting including subassembly
US20140318064A1 (en) * 2013-04-25 2014-10-30 Russell William Reinhardt Press-on retainer for fire-stopping sleeve
EP3194828B1 (fr) * 2014-09-17 2021-01-20 Parker Hannifin Manufacturing France SAS Dispositif et procédé de raccordement pour tube chanfreiné
FR3016423B1 (fr) * 2015-04-10 2016-12-09 Parker Hannifin Mfg France Sas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joint mobile pour tube chanfreine
CN106287048A (zh) * 2015-06-03 2017-01-04 大连凯斯博格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快速安装的管接头装置
US9822912B2 (en) * 2016-03-17 2017-11-21 Quick Fitting, Inc.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US10400929B2 (en) 2017-09-27 2019-09-03 Quick Fitting, Inc. Fitt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CN108662320A (zh) * 2018-07-26 2018-10-16 江阴天田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管接头组合法兰
US11510713B2 (en) 2019-09-11 2022-11-29 Medline Industries, Lp Compression device, kit, and method
US10969047B1 (en) 2020-01-29 2021-04-06 Quick Fitting Holding Company, Llc Electrical conduit fitting and assembly
US11035510B1 (en) 2020-01-31 2021-06-15 Quick Fitting Holding Company, Llc Electrical conduit fitting and assembly
US11974789B2 (en) 2021-06-21 2024-05-07 Medline Industries, Lp Compression device, bone plate, bone plate assembly, k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5591A (en) * 1946-08-20 1951-06-05 Jr Frank A Kane Pipe coupling
GB828174A (en) * 1957-06-26 1960-02-17 P D M Fittings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dapters for fittings for tubes
FR2452050A1 (fr) * 1979-03-19 1980-10-17 Valvosanitaria Fratelli Bugatt Raccord d'assemblage de tuyaux, notamment de tuyaux en polyethylene et matieres similaires
DE3047457C2 (de) * 1980-12-17 1982-09-09 Karl Dipl.-Ing.(FH) 4040 Neuss Weinhold Rohrverbindung zum Verbinden zweier Rohrenden
US4842548A (en) * 1987-04-13 1989-06-27 Appleton Electric Co. Plastic conduit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US4772558A (en) * 1987-06-01 1988-09-20 Ranier Hammann Blood culture system
NZ226227A (en) * 1987-09-24 1990-06-26 Philmac Pty Ltd Pipe fitting assembly with split collet
DE3866868D1 (de) * 1988-03-25 1992-01-23 Guest John D Rohrkupplung.
US5176415A (en) * 1990-08-16 1993-01-05 Choksi Pradip V Taper fitting with protective skirt
ES2092076T3 (es) * 1991-12-26 1996-11-16 Legris Sa Dispositivo de empalme para componentes de una red de distribucion de fluidos, red y componentes para su puesta en pract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2106D1 (de) 2001-04-19
FR2740531B1 (fr) 1997-11-21
DE69612106T2 (de) 2001-08-23
JPH11500519A (ja) 1999-01-12
WO1997015777A1 (fr) 1997-05-01
EP0857274A1 (fr) 1998-08-12
HK1015442A1 (en) 1999-10-15
EP0857274B1 (fr) 2001-03-14
CN1078331C (zh) 2002-01-23
TW364941B (en) 1999-07-21
CN1200795A (zh) 1998-12-02
PT857274E (pt) 2001-08-30
DK0857274T3 (da) 2001-07-16
FR2740531A1 (fr) 1997-04-30
ES2156296T3 (es) 2001-06-16
KR19990067110A (ko) 1999-08-16
ATE199772T1 (de) 2001-03-15
JP3350552B2 (ja) 2002-11-25
US5988690A (en) 199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669B1 (ko) 튜브를 파이프 단부에 연결하는 연결장치
US5217261A (en) Flareless compression fitting
KR100345914B1 (ko) 관죠인트 및 그 제조장치
RU2194906C2 (ru) Фитинг для гофрированных труб
US7273236B2 (en) Quick coupling
US4252346A (en) Connection for transition from a cutting ring joint or similar to a flange joint
US6626469B2 (en) Reusable coupling adaptable to the ends of a flexible reinforced pipe
KR100441693B1 (ko) 튜브를 견고한 요소에 신속하게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010015048A (ko) 관 조인트
NO852371L (no) Loesbar roerkobling.
MXPA03002378A (es) Accesorio interno forjado en matriz.
KR20010032710A (ko) 고압관을 위한 분리형 플러그인 연결장치
EP0528079A1 (en) Connector for smooth pipe ends and method of connection
US20040239110A1 (en) Support sleeve for use in a tube coupling and a coupling housing for use together with said sleeve
SK14712000A3 (sk) Spoj medzi nátrubkom, rúrkovitým dielom armatúry alebo fitingom a rúrkou
NO20011127L (no) Kobling for tilkobling av et rör eller en slange ved innskyvning
EP0107666A1 (en) CONNECTION FOR ASSEMBLING A TUBE HAVING A FLARED END TO A FIXED CONNECTION PIECE, SUCH AS A PUMP.
EP0957305A2 (en) A pneumatic connector
US4082320A (en) Pipe coupling
US4786089A (en) Automatically locking tubing coupler
JP3086898B2 (ja) 管継手
US5257333A (en) Connecting device for interconnection of optical fibres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SK120896A3 (en) Apparatus for attachment of pipes
KR10200067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