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744B1 -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744B1
KR100273744B1 KR1019930017395A KR930017395A KR100273744B1 KR 100273744 B1 KR100273744 B1 KR 100273744B1 KR 1019930017395 A KR1019930017395 A KR 1019930017395A KR 930017395 A KR930017395 A KR 930017395A KR 100273744 B1 KR100273744 B1 KR 10027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ethylene
copolymer
molding processability
saturated carbox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100A (ko
Inventor
오오마에다다유끼
하라스미오
후지끼도오루
Original Assignee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551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38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551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0886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94000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전형적인 유동성 및 이형성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매우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개량하기 위한 제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개량 제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그의 탁월한 특성 때문에 매우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복잡하고, 보다 정확하며 고도의 기술로서 성형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보다 훨씬 탁월한 성형 가공성을 갖는 수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유동성, 이형성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성의 개량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존하는 일반적인 수지 뿐만 아니라 공학용 플라스틱 및 초공학용 플라스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특정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의 보강이 필요하다.
더군다나, 열가소성 수지는 그의 고절연 전기성에 의해 통상 충전되기 쉽기 때문에 정전기적 현상에 기인되는 다수의 난점과 직면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통상 성형 가공성을 개선하는 하기 방법들을 이용하고 있다 : (1) 열가소성 수지의 분자량을 변화시키거나 각종 성질을 개질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의 자체의 구조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 (2) 열가소성 수지에 오일류, 왁스류, 파라핀류, 저분자량 화합물 및 유동성 개선제 또는 이형제와 같은 것을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 제43-17812호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를 내충격성 폴리스티렌과 배합하는 것을 개시하고 : 일본국 특공소 제49-5220호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를 가소제로서, 방향족 유기산의 에스테르류, 방향족 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류, 방향족 기를 갖는 방향족 유기산의 에스테르류 및 염소화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와 배합함으로써 성형 가공성을 개량한 것을 개시하며 : 일본국 특공명 제4-33819호는 디아미도-N,N'-디페닐 아디프산을 개질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유동성을 개선한 것을 개시한다.
정전기적 대전(charging)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에 산화 폴리알킬렌과 같은 흡습성 화합물 및 정전기 방지제와 같은 것을 혼련하는 기술 또는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의 표면상에 계면 활성제를 도포하는 기술이 통상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제2-233743호는 산화 폴리에틸렌 및 술포네이트를 스티렌계 중합체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 특개평 제3-26756호는 폴리옥시에틸텐 글리콜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도이미드 엘라스토머 및 유기 전해질 및 무기 전해질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스티렌 기재 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과 배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방법(1)은 수지의 구조 변형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 자체의 독특한 특성이 경감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방법(2)는, 필요한 재료의 첨가가 열가소성 수지의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의 막대한 감소 또는 수지의 표면상에 가한 유동성 개량제의 유출(bleeding)이 일어나는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정전기 방지성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는 선행의 기술은, 수지의 표면에서 정전기 방지제가 유출되어서 점착성 표면을 만들며, 수지의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성질은 거기서 혼련되는 정전기 방지제 때문에 감소되는 현상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표면의 문질러짐 및 세척과 정전기 방지제 자체의 소산에 기인되는 정전기 방지성의 막대한 감소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이하에 기재되는 성분(B)를 배제한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그것을 위한 출발물질과 (B)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 생성물 0.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수지의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의 감소 및 수지 표면상의 유동성 개량제제의 유출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첨가제 및 그 첨가제와 배합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열심히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열가소성 수지에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을 혼련하는 것이 전형적인 유동성 및 이형성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탁월한 정전기 방지성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에 혼련되어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을 개량하는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각종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에틸렌 공중합체를 배제한 전형적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각종 폴리올레핀류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폴리 염화비닐, 폴리 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아세탈(POM), 폴리우레탄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폴리아미드(PA)와 같은 폴리아미드 기재 수지, PA/폴리올레핀, PA/ABS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폴리페닐렌 에테르(PPE)와 같은 폴리페닐렌 에테르 기재 수지, PPE/내충격성 폴리스티렌, PPE/PA 및 PPE/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PPS)와 같은 폴리페닐렌 술피드 기재 수지, PPS/PPE 및 PPS/폴리케톤 술피드,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PC)와 같은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수지, PC/ABS, PC/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PC/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 1,4-시클로 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전형적인 PBT/ABS 수지 및 그것과의 수지 조성물 :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메틸 펜텐(PMP), 액정 중합체(LCP),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 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테르 케톤(PEK),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PEEK),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도이미드(PAI), 폴리티오에테르 술폰(PTES), 폴리술폰(PSF), 폴리아릴 술폰(PASF)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성분(B),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 및 그의 출발물질, 즉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며,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 성형 재료로 사용하는 견지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600kg/㎠ 이상의 굴곡 탄성율을 가져야 한다.
600kg/㎠ 이상의 굴곡 탄성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용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는 공지 방법중 어떤 하나, 예컨대 고압하의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로서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는 중요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비닐 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그의 광범위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은 다성분 중합을 수행하기 위해서,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중요하지 않지만, 통상 1∼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80 중량% 범위의 에틸렌 함량 및 1,000∼20,000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0∼10.000 범위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비누화도는 중요하지 않지만, 통성 30∼100%, 바람직하게는 50∼100%의 범위이다.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이하에서, "첨가생성물"이라 약칭한다)은 산화 알킬렌을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에 가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첨가생성물은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요하지는 않지만, 먼저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2원 불균질 혼합물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비누화하고,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의 지방족 알코올과 함께 포화 카르복실산의 부생산 알킬 에스테르를 반응계에서 제거한 다음, 잔류하는 지방족 알코올을 제거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의 알칼리 촉매의 존재하에서 산화 알킬렌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일본국 특개평 제3-227307호].
산화 알킬렌은 중요하지 않지만 그의 광범위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알킬렌은 산화 에틸렌, 산화 프로필렌, 산화 부틸렌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산화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산화 알킬렌은 단독 또는 그의 둘 이상의 블럭 또는 랜덤 첨가생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에 첨가되는 산화 알킬렌의 양은 중요하지 않지만, 100 중량부의 비누화 생성물을 기준으로 통상 20∼1000 중량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500 중량부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생성물의 양은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수지를 기준으로 0.1∼30 중량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부의 범위이다. 0.1 중량부 미만의 첨가생성물의 첨가량은 성형 가공성의 개량 및 불충분한 정전기 방지성을 개량하는 효과가 불충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30 중량부 이상의 첨가생성물의 양은 수지 조성물이 연화성 생성물을 산출하고, 그 결과의 기계적 강도는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사실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생성물을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성형 가공성 및 우수한 정전기 방지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언급된 바와 같은 적합한 방법중 어느 하나, 예컨대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반버리 혼합기, 개방형 롤러, 혼련기, 또는 단일 또는 투윈 스크류 압출기와 같은 일반적 혼합기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첨가생성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텀블러, 헨쉘(Henschel) 혼합기 등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중의 첨가생성물을 예비분산시킨 다음, 전기의 방법과 동일한 용융-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을 첨가의 수행에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절된 전기적 성질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서, 정전기 방지제, 고분자 전해질, 도전성 중합체, 예컨대 전형적인 무기 알칼리염, 음이온, 양이온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필요하다면, 열가소성 수지에 통상 첨가되는 열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화제, 슬리핑제(slipping agent), 연무방지제(anti-fogging agent), 안료, 발포제, 형광물질, 난연제, 탈형제, 가공 보조제, 보강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형적인 유동성 및 이형성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탁월하도록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상기 개량 제제를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고하여 거기에 한정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첨가생성물은 하기 절차로 제조된다: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중합 개시제로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분자량 조절제로서 프로판의 존재하 190℃의 온도, 1400kg/㎠ 압력하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중합하여, 31 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1800의 수평균 분자량 및 30℃의 연화점을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하에서, EVA라 한다)를 제조한다.
(2) 산화 알킬렌과 비누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첨가 생성물의 제조
교반기, 유출구 및 공급 라인이 장치된 700L 스테인레스 스틸 오토클레이브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160kg의 EVA, 320kg의 메틸 알코올 및 0.96kg의 수산화 나트륨을 충진시키고, 유출 라인을 개방한 상태로 교반하면서 65℃의 온도로 2시간 가열하여 반응시킨다. 그 다음, 계의 내부 온도를 1시간에 걸쳐 142℃로 상승시켜 계중의 모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0.27kg의 수산화 칼륨을 가하고 계의 내부 온도를 180℃로 승온시킨 다음, 산화 에틸렌을 2kg/㎠의 압력에 도입한다. 산화 에틸렌과의 첨가 반응에 따른 압력 감소를 확인한 다음, 추가의 산화 에틸렌을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2kg/㎠의 압력을 유지하고, 1시간에 걸쳐 산화 에틸렌의 총충진량이 272kg이 되도록 한다. 압력을 0.4kg/㎠으로 감소시킨 경우, 온도를 100℃로 감소시키고 그 생성물을 제거하여 산화 알킬렌과 비누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첨가생성물 408kg, 즉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이하에서, 첨가생성물이라 한다)를 수득한다. 이는 51℃의 융점 및 110mg KOH/g의 히드록실 값을 갖는다.
알칼리 금속의 분석은 첨가생성물이 1200ppm의 나트륨 및 300ppm의 칼륨을 함유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스티렌 중합체에 첨가생성물의 첨가]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로 배합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첨가 생성물 및 스티렌 기재 중합체(SUMIBRITE M540, 제조원: SUMITOMO CHEMICAL)을 용융-혼련하여 200℃의 실린더 온도로 벤트(vents)를 갖는 투윈 30mmΦ 스크류 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를 만든다. 다음, 이 입자를 200℃의 실린더 온도 및 60℃의 금속 주형 온도의 조건하에서 사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각종 물리적 성질 및 표면 저항율에 관하여 평가한다. 결과는 표1에 제시된다.
[실시예 4 및 5, 및 비교예 2]
[ABS 수지에 첨가생성물의 첨가]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율로 배합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첨가생성물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하에서, ABS 수지라 한다)(CRALASTIC MH, 제조원: SUMITOMO-DOW)를 용융-혼련하여, 200℃의 실린더 온도로 벤트가 있는 투윈 30mmΦ 스크류 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를 만든다.
다음, 이 입자를 200℃의 실린더 온도 및 60℃의 금속 주형 온도의 조건하에서 사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각종 물리적 성질 및 표면 저항율에 관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는 표2에 제시된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3]
[폴리페닐렌 에테르/스티렌 기재 중합체에 첨가생성물의 첨가]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로 배합된 실시에 1에서 얻어진 첨가생성물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이하에서, PPE이라 한다)(PPE H46, 제조원: NIPPON POLYETHER) 및 스티렌 기재 중합체(500 HRY3, 제조원 : NIPPON POLYSTYRENE)을 용융-혼련하여 260℃의 실린더 온도로, 벤트를 갖는 투윈 30mmΦ 스크류 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를 만든다. 다음, 이 입자를 270℃의 실린더 온도 및 90℃의 금속 주형 온도의 조건하에서 사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각종 물리적 성질 및 표면 저항율에 관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는 표3에 제시된다.
[실시예 9∼11 및 비교예 4]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첨가생성물의 첨가]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로 배합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첨가생성물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에서, PBT이라 한다)(1401X06, 제조원: TOREY)를 용융-혼련하고 250℃의 실린더 온도로, 벤트를 갖는 투윈 30mmΦ 스크류 압출기로 압출하여 입자를 만든다. 다음, 이 입자를 260℃의 실린더 온도 및 70℃의 금속 주형 온도의 조건하에 사출 성형기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각종 물리적 성질 및 표면 저항율에 관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는 표4에 제시된다.
[물리적 성질의 평가]
제조한 다음 23℃의 온도 및 50%의 습도에서 1일간 방치하여 일정한 상태로 조절한 후, 시편의 물리적 성질에 관하여 평가한다.
① MFR
JIS K-7210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실시예 2와 3 및 비교예 1).
ASTM D 1238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실시예 4∼11 및 실시예 2∼4).
② 아이조드 충격 시험
ASTM D 256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
③ 하중 굴곡 온도(Load bending temperature)
JIS K-7207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실시예 2 및 3 및 비교예 1).
ASTM D 648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실시예 4∼11 및 비교예 2∼4).
④ 표면 저항율
3mm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쉬이트를 형성한 다음, 23℃의 온도 및 50%의 습도에서 1일간 방치하여 일정한 상태로 조절한 다음, 초절연 미터(Model SM-10E, 제조원: TOA DENPA KOGYO)로써 표면 저항율에 관해 평가한다(실시예 2∼5 및 비교예 1 및 2).
3mm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쉬이트를 형성한 다음, 23℃의 온도 및 50%의 습도에서 1일간 방치하여 일정한 상태로 조절한 다음, 초절연 미터(Model SM-8210, 제조원: TOA DENPA KOGYO)로써 표면 저항율에 관해 평가한다(실시예 6∼11 및 비교예 3 및 4).
⑤ 이형성
하기 표준을 기준으로 시각적 평가를 수행한다:
◎ 매우 우수
○ 우수
△ 불량
⑥ 와류의 길이
230℃의 다이 온도, 50℃의 금속 주형 온도, 1500kg/㎠의 사출 압력의 조건하에서 사출 성형기(Model IS 100 EN-3A, 제조원 : TOSHIBA KIKAI) 및 2mm 두께의 타원 와류형 슬롯을 갖는 금속 주형으로 측정한다(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2).
3mm 두께의 타원 와류형 슬롯을 갖는 금속 주형을 사용하고, 다이 온도는 270℃이고 금속 주형 온도는 70℃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실시예 6∼8 및 비교예 3).
다이 온도는 240℃이고 금속 주형 온도는 70℃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실시예 9∼11 및 비교예 4)

Claims (8)

  1. 유효 성분으로서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는 1∼90 중량%의 에틸렌 함량 및 1000∼2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은 30∼100%의 비누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산화 알킬렌의 첨가량은 상기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1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산화 알킬렌은 산화 에틸렌, 산화 프로필렌 및 산화 부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7. (A) 하기 성분 (B)가 배제된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그의 출발물질, 및 (B) 산화 알킬렌과 에틸렌 및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 생성물의 첨가생성물 0.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열가소성 수지는 하기 (1)∼(10)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 폴리프로필렌류,
    (2) 폴리 염화비닐,
    (3) 폴리스티렌류,
    (4)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류,
    (5)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6) 폴리페닐렌 술피드류,
    (7) 폴리페닐렌 에테르류,
    (8) 폴리카르보네이트류,
    (9)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10) 폴리아미드류
KR1019930017395A 1992-09-03 1993-09-01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73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35516 1992-09-03
JP92-235517 1992-09-03
JP23551792A JP3243851B2 (ja) 1992-09-03 1992-09-03 熱可塑性樹脂用流動性改良剤
JP23551692A JP3170886B2 (ja) 1992-09-03 1992-09-03 熱可塑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100A KR940007100A (ko) 1994-04-26
KR100273744B1 true KR100273744B1 (ko) 2000-12-15

Family

ID=2653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395A KR100273744B1 (ko) 1992-09-03 1993-09-01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85929B1 (ko)
KR (1) KR100273744B1 (ko)
CA (1) CA2105032A1 (ko)
DE (1) DE6931064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185900A (en) * 1998-11-24 2000-06-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odified ethylene copolymer
ID28481A (id) * 1999-11-30 2001-05-3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Komposisi emulsi berair dan komposisi bahan perekat
WO2002092643A1 (en) 2001-05-14 2002-11-21 Kuraray Co., Ltd. Modifie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03072653A1 (fr) * 2002-02-26 2003-09-04 Kuraray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et structures multicouch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988A (en) * 1956-04-02 1960-06-21 Olin Mathieson Process for the alkoxylation of polyvinyl alcohol
FR1239634A (fr) * 1959-10-31 1960-08-26 Borden Co Procédé d'alkoxylation de l'alcool polyvinylique
US3106543A (en) * 1960-04-12 1963-10-08 Du Pont Reaction product of an alkylene oxidepolyvinyl alcohol mixture with untreated polyvinyl alcohol
US4104453A (en) * 1977-07-05 1978-08-01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Melt dispersion saponification of ethylene-vinyl acetate polymer
JPS55155026A (en) * 1979-05-21 1980-12-03 Takeda Chem Ind Ltd Production of truely spherical powder of saponified product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r carboxylic acid-modified substan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5929A2 (en) 1994-03-09
KR940007100A (ko) 1994-04-26
DE69310641D1 (de) 1997-06-19
DE69310641T2 (de) 1998-01-15
EP0585929B1 (en) 1997-05-14
EP0585929A3 (en) 1994-06-01
CA2105032A1 (en) 199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9324B1 (en) Flowability improver for engineering plastic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s of the compositions
KR100273744B1 (ko)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개량용 제제 및 그 제제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13892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S622091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843171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0034471A (ja) 帯電防止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17088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865450B2 (ja) 熱可塑性樹脂用帯電防止剤
JP3122550B2 (ja) 樹脂組成物
JPH0532048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665438A (ja)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3364236B2 (ja) 二軸延伸耐熱性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JPS6251300B2 (ko)
JPH1132314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7165930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3243851B2 (ja) 熱可塑性樹脂用流動性改良剤
JP4411888B2 (ja) 樹脂組成物
JP426943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H0491150A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511753B1 (ko) 투명성 및 대전방지성능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301180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5117492A (ja) スチレン−ブタジエンブロツク共重合体組成物
JPH08269290A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KR01468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7113031A (ja) 帯電防止用マスターペ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