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894B1 -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894B1
KR100272894B1 KR1019930011804A KR930011804A KR100272894B1 KR 100272894 B1 KR100272894 B1 KR 100272894B1 KR 1019930011804 A KR1019930011804 A KR 1019930011804A KR 930011804 A KR930011804 A KR 930011804A KR 100272894 B1 KR100272894 B1 KR 10027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plate
making
swinging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사까이
마사요 사누끼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시게토시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6519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719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6101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043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6439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217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69818U external-priority patent/JP2586200Y2/ja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시게토시,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모토 시게토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25C1/20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by ag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물접시(24)(116)에 내부 구획형성한 제빙실(32)(129)내의 제빙수에 제빙기판(34)(118)의 하면에 다수돌출 설치한 제빙돌기(36)(117)를 침지시켜 제빙운전의 진행에 따라 상기한 제빙돌기(36)(117)를 침지시켜 제빙운전의 진행에 따라 상기한 제빙돌기(36)(117)의 주위에 역도움 형상의 얼음덩어리(70)(121)을 형성하도록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돌기(36)(117)에서의 제빙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얻어진 얼음덩어리(70)(121)이 백탁하는 일이 없고, 투명하고, 상품가치가 높은 얼음덩어리(70)(121)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기구 및 백탁방지 기구이다.

Description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제1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 검지기구가 채용되는 제빙장치를 분해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2도는 제빙기에 사용되는 캠제어기구의 개략사시도.
제3도는 캠제어기구에 접속하는 제어회로도.
제4도는 캠제어기구에 의해 실시되는 제어 시간도표.
제5도는 제빙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제6도는 물접시 및 그 제빙실 내부에 배치되는 요동판의 조립상태 및 제빙수 배출경로를 일부 절단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빙완료 검지기구가 채용되는 제빙기의 개략세로 단면도.
제8도는 제빙기의 일부절단 사시도.
제9도는 제빙기에 채용되는 냉동계의 개략도.
제10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제빙중에 요동판이 상승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제빙 중에 요동판이 하강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12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제빙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요동용 전동기와 제빙완료 검지스위치와의 관계 및 캠공이와 캠홈과의 위치관계를 병합해서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물접시가 경사이동을 개시하여 제빙에 공급한 잔류수의 일부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
제14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의 물접시가 경사이동이 정지되고, 또 요동판이 물접시 보다도 약간 위쪽에서 경사이동 유지된 상태에서 제빙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단면도.
제15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물접시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해서 정지하고, 잔류해 있는 제빙수에 새로운 제빙수의 보급이 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단면도.
제16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 검지기구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 검지기구가 채용되는 제빙기의 개략 세로단면도.
제18도는 제빙장치를 일부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19도는 제빙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제20도는 물접시의 경사이동기구 및 요동판의 요동기구를 일부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
제21도는 제빙장치를 외부상자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22도는 제빙장치의 일부절단 정면도.
제23도는 제빙기의 외관사시도.
제24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물접시가 경사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측면도.
제25도는 요동판의 개략 사시도.
제26도는 요동부재를 요동돌기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7도는 요동부재를 캠부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8도는 제빙기의 제어회로도.
제29도는 제빙기의 제빙운전중에 있어서 요동판이 요동하고 있는 상태의 제빙장치 및 대응하는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0도는 제빙기에 있어서의 제빙이 완료된 상태의 제빙장치 및 대응하는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1도는 제빙기에 있어서의 제빙이 완료된 상태의 제빙장치 및 요동판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의 경사이동 궤적으로부터 요동부재의 요동돌기가 퇴피한 상태에서의 대응하는 요동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2도는 제빙기에 있어서의 제빙이 완료된 상태의 제빙장치 및 대응하는 요동기구 및 경사이동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3도는 제빙기의 물접시가 경사이동을 정지한 상태의 제빙장치와 대응하는 경사이동기구의 캠판과 제 7 및 제9스위치의 위치관계와를 병합해서 나타내는 설명도.
제34도는 제빙기의 물접시가 복귀를 개시한 상태의 제빙장치와 대응하는 경사이동기구의 캠판과 제7 및 제9스위치의 위치관계와를 병합해서 나타내는 설명도.
제35도는 제빙기의 물접시가 수평자세를 넘어서 경사이동한 상태의 제빙장치와 대응하는 경사이동기구의 캠판과 제 7 및 제9스위치의 위치관계와를 병합해서 나타내는 설명도.
제36도는 제빙기의 요동판의 요동기구를 제빙완료를 검출해서 요동판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의 경사이동 궤적으로부터 요동부재의 요동돌기가 퇴피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제37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요동판의 걸어맞춤편에 요동돌기가 걸어맞추어지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38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요동판의 걸어맞춤편에 요동돌기가 걸어맞추어져서 그 요동판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39도는 제빙장치에 있어서 요동판의 걸어맞춤편으로부터 요동돌기가 이간되어 그 요동판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제40도는 제빙기에 있어서의 제어시간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111 : 응축기 22,131 : 증발관
24,116 : 물접시 32,129 : 제빙실
CM : 압축기 RM : 요동용 전동기
SW4: 제빙완료 검지스위치 SW10: 제빙완료 검지수단
34,118 : 제빙기판 36,117 : 제빙부(제빙돌기)
44,154 : 요동판 46,155 : 관통구멍
52 : 지지축 60,61 : 걸어맞춤수단
62,159 : 요동수단 70,121 : 얼음덩어리
138 : 부착지그 139 : 비틀림용수철(탄성부재)
158 : 걸어맞춤 부재 154a : 저면판
154b,154c,154d : 직립부 158 : 걸어맞춤부재
158a : 수평부 159a : 걸어맞춤부재
159b : 제어부 159c : 절단부
180 : 절단부
본 발명은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얼음이 투명하지 않고 뿌여지는것(이하 백탁; 白濁이라 기술한다)의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며, 다시 더 상세하게는 물접시에 내부 구획형성한 제빙실중의 제빙수에 제빙기판의 하면에 다수 돌출설치한 제빙돌기를 침지시켜, 제빙운전의 진행에 수반하여 상기한 제빙돌기의 주위에 역도움(dome) 형상의 얼음덩어리를 형성시키도록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 돌기에서의 제빙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검출함과 동시에 얻어진 얼음덩어리가 백탁하는 일이 없이 투명하고 상품가치가 높은 얼음덩어리를 제조할 수 있게한 제빙완료 검지기구 및 백탁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 얼음등의 얼음덩어리를 연속적으로 다수 제조하는 자동 제빙기에서는 그 제빙방식으로서 다수의 형식이 제안되고,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예를들면,
① 다수의 간막이판을 가로세로로 배치해서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다수의 제빙용 소실을 구획형성하여 그 아래쪽에 배치한 물접시로부터 각 대등하는 제빙용 소실에 제빙수를 분사공급해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에서 냉각되어 있는 각 제빙용 소실에 각얼음을 형성하는 밀폐형식의 제빙기나,
② 전기한 물접시는 사용하지 않고, 이들 제빙용 소실내에 아래쪽으로부터 제빙수를 살포하므로서, 각 소실내에 각 얼음을 형성하는 개방형식의 제빙기와,
③직립배치한 제빙판의 일측면에 그 위쪽으로부터 제빙수를 흘러내리게 하므로서, 그 제빙판면에 어묵형상의 얼음덩어리를 다수 형성하는 물의 흘러내림식 제빙기등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3개 형식에 관한 제빙기는 어느 것이나 제빙수를 소요량 저장하기 위한 제빙수탱크를 구비하고, 그 탱크중의 제빙수를 펌프로 압축송출해서 제빙장치의 상기한 제빙용 소실 또는 제빙판에 공급하여 결빙하기에 이르지 않은 제빙수는 상기한 탱크내로 회수한 후 재차 제빙장치로 향해 송출하는 강제순환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제빙기에서는 제빙수탱크나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구성이 복잡화함과 동시에 제조비용도 높아지고, 또 대형화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물접시내에 제빙수를 소요수준으로 저장하고, 증발관을 배치한 제빙기판의 하면에 돌출설치해 늘어져 있는 제빙돌기를 제빙수내에 침지시키므로서 그 제빙돌기의 주위에 얼음덩어리를 형성시키도록 한 간이형의 제빙기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제빙기에서 제빙운전중에 제빙수를 물접시와 제빙수 탱크와의 사이에서 펌프순환시키는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략화되어서 제조비용을 억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를 도모한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이와같이 냉각유지한 다수의 제빙돌기를 물접시내의 제빙수에 침지시키는 것만으로 그 돌기주위에 얼음덩어리가 형성되는 제빙기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이 제빙기에서는 상기한 제빙돌기에서의 제빙완료의 검지수단으로서 제빙개시로부터 종료까지에 요하는 시간을 타이머로 계측하는 수단이 채용되어 있다.
그런데 타이머에 의해 제빙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에서는 실제로는 주위온도(외기온도)의 변화에 의해 희망하는 크기의 얼음덩어리의 생성에 요하는 시간이 크게 변화하는 데도 불구하고, 타이머에 미리 설정한 시간에서의 제빙운전이 행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얼음덩어리가 생성되기전에 얼음제거운전으로 이행하거나, 희망하는 크기의 얼음덩어리의 생성후에도 제빙운전이 계속되어 인접하는 얼음덩어리가 결합해서 변형얼음이 생성되는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주위온도의 변화에 대응해서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고,
보수 관리가 번잡하게 되는 결점이 지적된다.
또, 냉각 유지한 다수의 제빙돌기를 물접시내의 제빙수에 침지시키는 것만으로 그 돌기의 주위에 얼음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제빙기에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그 제빙 운전중에 제빙수는 전혀 순환되는 일이 없고, 소위 「정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빙돌기의 주위에 점차로 형성되는 얼음덩어리는 그 제빙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의 영향에 의해 백탁해서 불투명하게 된다.
얻어진 얼음덩어리가 백탁해 있는 자체는 얼음 본래의 냉각등의 용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별문제는 없다.
그러나 백탁한 얼음이 다방이나 음식점등에서의 음식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투명하고, 청정한 얼음에 비해 명백히 볼품이 떨어지고, 전체로서 상품가치가 저하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증발관에 의해 냉각되는 제빙돌기를 물접시내의 제빙실에 저장한 제빙수에 침지시켜서 그 제빙돌기의 주위에 얼음덩어리를 형성하도록 한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에 내재되어 있는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아주 적당하게 해결하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외기온도의 변화에 영향받는 일이 없이 확실히 제빙온료를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얼음덩어리의 백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검지기 및 백탁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청구에 관한 본 발명은 전기한 과제를 극복하고, 소기의 목적을 아주 적당하게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접시에 내부구획 형성한 제빙실중의 제빙수에 제빙기판의 하면에 다수 돌출설치한 제빙돌기를 침지시켜 제빙운전의 진행에 수반하여 상기한 제빙돌기의 주위에 역도움 형상의 얼음덩어리를 형성시키도록 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 돌기에서의 제빙완료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얻어진 얼음덩어리가 백탁하는 일이 없고, 투명하고 상품가치가 높은 얼음덩어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방지기구에 의하면, 제빙돌기에 성장한 얼음덩어리에 직접맞닿는 것이 가능한 요동판을 거쳐서 제빙완료를 검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로 제빙완료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온도등의 제조건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 및 품질의 얼음덩어리를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외기 온도의 변동에 대응해서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없고, 보수관리가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요동판의 요동작용에 의해 제빙수를 적극적으로 운동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얻어지는 얼음덩어리는 백탁하는 일이 없고, 투명하고 청정한 상품가치가 높은 얼음덩어리가 제조되는 이점이 있다.
또 요동판은 제빙운전중에 제빙수를 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이 아니라, 그 얼음 제거운전에 있어서 물접시 경사이동각도 보다도 적은 각도만큼만 경사이동해서 정지시켜지기 때문에 얼음제거운전에 의해 제빙돌기로부터 해제되어서 자중 낙하하는 얼음덩어리를 그 요동판의 경사면에서 받아서 얼음저장실에 원활하게 안내시킬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다시 또 요동판에 있어서의 저면판에 형성한 관통 구멍을 제빙기판에 형성한 각 제빙돌기의 사이로 임하도록 위치결정함과 동시에, 저면판의 요동방향에 따른 양단말 가장자리부에 직립부를 형성한 것 때문에 제빙실내에 있어서의 제빙수의 전체를 활발히 운동시킬 수가 있고, 백탁된 얼음의 생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요동판의 요동단말 가장자리부에 절단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그 요동판에 대해 물접시가 경사 이동하는 때에 물접시내에 잔류하는 제빙수가 요동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제빙돌기에 소요의 얼음덩어리가 형성되어서, 제빙이 완료된 때에는 요동판과 걸어맞추어지는 요동수단의 걸어맞춤 부재를 그 요동판으로부터 이간되는 위치까지 이동해서 정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물접시와 함께 경사 이동하는 요동판의 경사이동이 방해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기구 및 백탁 방지기구에 대해 아주 적당한 실시예를 들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제빙기의 개략 구성에 대해]
제7도 및 제8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방지기구가 채용되는 제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제빙기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상자(10)의 내부에는 압축기(CM)이나, 응축기(18)등의 냉동기계가 수납되는 하부기계실(14)와 그 위쪽에 위치하여 단열재로 둘러싸임과 동시에, 문(26)으로 개폐가 자유롭게 형성된 얼음저장고(12)와, 이 얼음저장고(12)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빙장치(20)으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빙장치(20)은 제1도 및 제5도로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빙수를 소정의 수준으로 저장하는 물접시(24)와 이 제빙수내에 침지되는 제빙돌기(36)을 구비한 제빙기판(34)와를 구비하고, 그 물접시(24)는 얼음제거 운전으로 전환되면, 소정의 각도로 경사이동 해서, 그 물접시(24)내의 제빙수를 배수수용부(28) 및 배수관(30)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얼음덩어리를 상기한 얼음저장고(12)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빙장치에 대해]
제5도는 제빙장치(20)의 상세한 세로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한 물접시(24)는 제1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32)내에 소정의 수준으로 제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빙실(32)는 물접시(24)에 있어서의 구형 형상저면(24a)와 그 4방향에 직립된 벽면(24b)(24c)(24d)(24e)에 의해 구획형성되고, 짧은방향의 대향하는 직립벽(24d)(24e)의 외측에 각각 지지편(50)(50)이 부착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직립벽(24d)에 설치된 지지편(50)은 상기한 물접시(24)로부터 벗어난 부위에서 경사진 아래쪽으로 굴곡 돌출하는 캠편(50a)를 갖고, 이캠편(50a)에 긴구멍으로된 캠홈(54)가 형성되고, 여기에 후술하는 캠원판(58)의 편심된 위치에 돌출설치한 캠공이(cam follower)(56)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임하고 있다.
또 각 지지편(50)의 상기한 물접시(24)를 벗어난 굴곡부에 돌출편(49)가 돌출형성되고, 여기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선회지지축(52)가 각각 삽입관통되어 있다.
이 선회지지축(52)는 제빙기의 본체측에 고정되고, 상기한 캠원판(58)에 접속되는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에 수반하는 캠작용하에 상기 물접시(24)는 선회지지축(52)를 중심으로해서 제13도-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 및 경사지게 위쪽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동계에 대해]
제9도는 제빙기에 사용되는 냉동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낸다.
압축기(CM)에서 압축된 기화냉매는 토출관(33)을 경유해서 상기한 응축기(18)에서 액화되고, 건조기(35)에서 탈습된 후, 모세관(37)에서 감압된다.
그리고 증발관(22)로 유입해서 일거에 팽창하고, 제빙기판(32)와, 열교환을 행하고, 각 제빙돌기(36)을 빙점이하까지 냉각시킨다.
이 증발관(22)에서 증발된 기화냉매와 미증발의 액화냉매와는 기체액체 혼합상태로 축압기(39)로 유입되어서, 기체액체 분리가 행해지고, 기체상 냉매는 흡입관(41)을 경유해서 압축기(CM)으로 귀환하고, 또 액체상 냉매는 그 축압기(39)에 저장된다.
다시 또 압축기(CM)의 토출관(33)으로부터 분기된 열가스관(43)은 열가스밸브(HV)를 경유해서, 상기한 증발관(22)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열가스밸브(HV)는 얼음제거운전시에 개방되어서, 압축기(CM)으로부터 토출되는 고온냉매(이하 「열가스」라 기술한다)를 상기한 열가스관(43)을 경유해서 증발관(22)로 우회시키고, 각 제빙돌기(36)을 가열하므로서, 각 얼음덩어리를 자중으로 낙하시킨다.
또 증발기(22)로부터 유출된 열가스는 상기한 축압기(39)에 체류하고 있는 액체상 냉매를 가열해서 증발시키고, 기체상 냉매로서 흡입관(41)로부터 압축기(CM)에 재차 귀환시킨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FM)은 응축기(18)용의 팬전동기이다.
[물접시의 배수구조에 대해]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물접시(24)에는 경사이동시에 제빙실(32)내의 제빙수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물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물접시(24)의 하면에는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뻗은 배수활강기(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활강기(38)의 아래쪽의 개방단말에 근접해서, 상기한 배출수를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수용부(28)이 얼음저장고(12)의 내부위쪽에 배치되어 있다(제7도 참조).
물접시(24)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수직벽면[선회지지축(52)의 배치측과 반대측]은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저지둑판(42)에 의해 구성되고, 이 저지둑판(42)를 끼워서 이것을 위쪽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해서, 상기한 물접시 내벽(24c)가 그 물접시(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물접시내벽(24c)의 하부개방 단말에는 물접시(24)의 저면보다 위쪽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근접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빙수는 상기한 물접시 내벽(24d)의 하부개방단말을 경유해서 저지둑판(42)에 이르고, 이 저지둑판(42)의 상단면으로부터 넘처 흘러서 상기한 배수활강기(38)로 배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저지둑판(42)에 의해 제빙실(32)에 저장되는 제빙수는 소정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 후술하는 얼음제거운전으로 전환되면,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접시(24)는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해서 제빙수를 배수활강기(38)을 거쳐서 배출시킨다.
그리고 그 물접시(24)가 경사이동을 정지한 위치에서 제빙수의 일부는 저지둑판(42)에 의해 그대로 잔류하고(제14도 참조), 이 잔류수는 다음의 제빙운전을 위해 제빙수 공급관(68)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혼합되어서 전체로서 제빙수의 온도저하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외부상자(10)의 내부위쪽에는 제빙기판(34)가 수평으로 배치고정되고, 이 제빙기판(34)의 상면에 기계실(14)내에 수납된 냉동계로부터 도출한 증발관(22)가 사행배치되어 있다.
또 제빙기판(34)의 하면에 다수의 제빙돌기(36)이 소요간격으로 늘어져 있도록 돌출설치되고, 제빙운전에 있어서 이 제빙돌기(36)은 상기한 물접시(24)에 저장된 제빙수에 침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계의 운전에 의해 증발관(22)에서 냉매와의 열교환이 행해지고, 제빙돌기(36)은 0℃이하로 냉각유지되는 결과로서 이 제빙돌기(36)의 주위에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차로 얼음덩어리(70)이 형성되게 된다.
[캠제어기구에 대해]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축(11)에는 제1캠판(13), 제2캠판(15) 및 제3캠판(17)이 소요의 간격으로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빙기의 고정측에는 상기한 제1캠판(13), 제2캠판(15) 및 제3캠판(17)의 각각과 대응하도록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이 배치되고,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에 수반하여 소요의 타이밍으로 캠동작을 부여해서,
① 전동기(AM)에 의한 물접시(24)의 경사이동정지 및 복귀정지,
② 열가스밸브(HV)의 개방 및 폐색,
③ 제빙수를 보급하는 급수밸브(WV)의 개방 및 폐색을 각각 제어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캠판(13)은 소요직경의 원판으로 구성되고, 그 주위에 2개의 오목한부 (13a)(1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SW1)으로부터 뻗어나온 레버편(19)의 로울러부가 제1캠판(13)의 원주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한 각각의 오목한부(13a)(13b)에 소요의 타이밍으로 떨어져 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오목한부(13a)(13b)는 제1캠판(13)의 중심을 끼우는 180°의 위치에서 대향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요의 중심각을 갖고 형성된다.
이들 오목한부(13a)(13b)를 연결하는 원주면에서 중심각이 큰쪽을 (A1)으로 하고, 중심각이 적은쪽을 (A2)라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주면(A1)은 물접시(24)의 경사이동을 제어하는 측의 캠면이 되고, 또 원주면(A2)는 물접시(24)의 상승복귀를 제어하는 측의 캠면이 된다.
이 제1 스위치(SW1)은 제3도의 제어회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릴레이(X1)에 접속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기용전동기(AM)에 의한 물접시(24)의 경사이동정지와 복귀정지를 제어한다.
또 제1캠판(13)과 제1스위치(SW1)와의 캠동작의 타이밍을 제4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원판으로된 제2캠판(15)는 중심각이 약 270℃의 원주면을 갖고, 제2스위치(SW2)로부터 뻗어나온 레버편(21)의 로울러부가 캠판(15)의 원주에 맞닿음과 동시에 중심각이 약 90°의 오목한면에 소요의 타이밍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제2스위치(SW2)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2릴레이(X2)에 접속되고, 이와 협력동작하는 상시개방접점(X2-a)의 개폐에 의해 상기한 열가스밸브(HV)의 개방폐색을 제어한다(후술함).
또, 제3캠판(17)은 중심각이 약 90°의 원주캠면을 갖고, 제3스위치(SW3)으로부터 뻗어나온 레버편(23)의 로울러 부가 그 캠판(17)의 원주에 맞닿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의 레버편(23)이 상기한 캠면에 맞닿으면 그 스위치의 「ON」동작이 행해진다.
이 제3스위치(SW3)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릴레이(X3)에 접속되고, 이것과 협력동작하는 상시 개방접점(XW-a1)의 개폐에 의해 상기한 급수밸브(WV)의 개방 및 폐색을 제어한다(후에 상술한다).
이들 제2캠판(15)와 제2스위치(SW3) 및 제3캠판(17)과 제3스위치(SW3)과의 캠동작의 타이밍을 제4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낸다.
[요동판에 대하여]
물접시(24)에 있어서의 제빙실(32)의 내부에는 엘(L)자형을 이루는 요동판(44)가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요동구동 되도록 되어있다.
즉, 특히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수직의 직립부(45)를 구비한 수평판재로된 요동판(44)는 그 표면에 다수의 관통구멍(46)이 소요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요동판(44)의 주위치수는 제빙실(32)에 있어서의 저면(24a)의 내부치수 보다 약간 적게 설정되고, 그 직립부(45)의 상단에 만곡형성한 관통구멍에 요동지지축(48)이 삽입관통된다.
이 요동지지축(48)의 양단부는 물접시(24)의 양외측벽에 각각 배치한 지지편(50)에 돌출설치한 돌기편(53)의 관통구멍(53a)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지지축(48)에 의해 요동판(44)를 축지지한 상태에서 요동판(44)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빙실(32)의 저면에 밀착해서 탑재된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요동판(44)에 있어서의 짧은쪽방향 단말가장자리부에 직립편(59)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직립편(59)로부터 수평으로 걸어맞춤핀(61)이 뻗어나와 있다.
또 제1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요동용 전동기(RM)은 제빙기의 본체내측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약간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전동기(RM)의 회전축에 배치되어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편(62)가 상기한 요동판(44)의 걸어맞춤핀(61)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맞춤과 이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용전동기(RM)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걸어맞춤편(62)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걸어맞춤핀(61)과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회전하고, 요동판(44)를 제빙실(32)의 저면으로부터 소요거리만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걸어맞춤편(62)가 걸어맞춤핀(61)로부터 벗겨지면 요동판(44)는 자중으로 제빙실(32)의 저면으로 낙하한다.
즉, 제빙운전중에 요동용전동기(RM)을 회전시키면 요동지지축(48)을 중심으로해서 요동판(44)는 제빙실(32)의 내부에서 상하의 요동을 반복하고, 이것에 의해 제빙수를 항상 운동시킬 수가 있다.
이 요동판(44)에는 관통구멍(4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수는 이 관통구멍(46)을 거쳐서 상하로 유통하고, 다시 또 활발한 운동이 얻어진다.
단 이 관통구멍(46)은 불가결한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생략해도 된다.
다시 또 상기한 요동판(44)는 후술하는 얼음제거운전시에 물접시(24)의 경사이동에 수반하여 일체적으로 경사이동하지만, 그 요동판(44)에 설치한 상기한 걸어맞춤핀(61)의 경사이동 궤적중에 상기한 외부상자(10)으로부터 수평으로 뻗어나온 저지부(63)을 임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한 요동판(44)가 물접시(24)와 함께 경사이동하는 도중에서 상기한 걸어맞춤핀(61)을 저지부(63)에 걸어맞추므로서, 요동판(44)는 물접시(24)로부터 분리되어서 그 경사이동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요동용전동기(RM)의 부착구조에 대해)
제1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요동판(44)의 걸어맞춤핀(61)이 배치되는 측의 제빙기의 본체내측에 고정철물(80)이 배치고정됨과 동시에, 그 고정철물(80)에 지지축(81)을 거쳐서 부착지그(jig)(25)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지그(25)에 상기한 요동용 전동기(RM)이 배치된다.
부착지그(25)에 있어서의 요동용전동기(RM)을 끼워서 지지축(81)과 반대측에 작동편(25a)가 형성되고, 그 작동편(25a)에는 부착지그(25)를 지지축(81)을 지지점으로 해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인장용수철(8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용 전동기(RM)에 소요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이 부착지그(25)가 지지축(81)을 지지점으로해서 소요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인장용수철(82)는 통상은 요동용전동기(RM)을 그 회전축에 설치한 걸어맞춤편(62)가 요동판(44)의 걸어맞춤핀(61)에 걸어맞춤 가능한 작동위치에 유지함과 동시에 그 요동용 전동기(RM)에 외부힘이 가해져서 회전한 후 그 외부힘이 해제된 때에 요동용 전동기(RM)을 작동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기능한다.
(제빙 및 제빙완료 검지용의 스위치(SW4)(Th)에 대해)
상기한 고정철물(80)에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스위치로된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가 배치되고, 그 레버편(27)을 상기한 작동편(25a)의 회전궤적에 임하게해서 부착지그(25)(요동용전동기 RM)의 회전에 따라 작동편(25a)에 맞닿아서 그 스위치의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2도에 관해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빙운전이 진행해서 제빙돌기(36)의 주위에 얼음덩어리(70)이 성장하면, 상기한 요동판(44)는 그 상부 이동시에 그 얼음덩어리(70)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한 걸어맞춤핀(61) 및 걸어맞춤편(62)를 거쳐서 요동용 전동기(RM)에 아래쪽으로의 반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요동용 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25)는 상기한 지지축(81)을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과정에서 작동편(25a)가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의 레버편(27)을 가압하므로서 그 스위치를 「ON」작동시켜서 제빙장치(20)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1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빙장치(20)에 있어서의 제빙기판(34)의 상면에는 제빙완료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검지기(Th)가 배치되고, 얼음덩어리(70)이 제빙돌기(36)으로부터 낙하한때의 급격한 온도상승에 의해 「ON」작동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작동기용 전동기(AM)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기제어회로의 예에 대해)
제3도는 제1실시예에 관한 제빙기의 전기제어회로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전원공급선(R)과 접속점(D)와의 사이에 퓨우즈(F)와 얼음저장 검지스위치(SW5)와가 직렬로 개재 삽입되고, 이 접속점(D)와 선(T)와의 사이에 압축기(CM)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점(D)와 선(T)와의 사이에는,
① 제2도에 나타내는 작동기용 전동기(AM)용의 제1스위치(SW1)과 릴레이(X1),
② 제2도에 나타내는 열가스공급용의 제2스위치(SW2)와 릴레이(X2),
③ 제2도에 나타내는 제빙수공급용의 제3스위치(SW3)와 릴레이(X3),
④ 제1도에 나타내는 상기한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와 릴레이(X4)가 각각 직렬로 개재 삽입되어 있다.
또 요동용전동기(RM)의 구동을 한시제어 하는 타이머(T)가 설치되고, 그 한쪽의 단자는 선(T)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단자는 상기한 릴레이(X3)의 상시 개방접점(X3-a2)를 거쳐서 접속점(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시 개방접점(X3-a2)에는 상기한 타이머(T)의 제2의 상시 개방접점(T-a2)가 병렬로 개재삽입되어서, 그 자기유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작동기용전동기(AM)의 한쪽의 단자는 선(T)에 접속되고, 또 전동기(AM)의 다른쪽의 단자는,
① 상기한 릴레이(X4)의 상시 개방접점(X4-a),
② 상기한 릴레이(X1)의 상시 개방접점(X1-a),
③ 얼음제거완료 검지용의 상기한 온도검지기(Th)로된 병렬접속 소자를 거쳐서 접속점(D)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또 접속점(D)와 선(T)와의 사이에는,
① 상기한 요동용 전동기(RM)과 상기한 타이머(T)의 제1상시 개방접점(T-a1),
② 열가스 공급용의 열가스밸브(HV)와 상기한 릴레이(X2)의 상시 개방접점(X2-a),
③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WV)와 상기한 릴레이(X3)의 상시 개방접점(X3-a1)이 각각 직렬로 개재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방지기구를 채용한 제빙기의 작용에 대해 제4도에 나타내는 시간도표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빙운전에 앞서서 물접시(24)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평상시에는 수평자세로 유지되고, 제빙수공급관(68)을 거쳐서 상기한 물접시(24)내의 제빙실(32)에 제빙수가 공급된다.
이 제빙수공급관(68)로부터의 제빙수의 공급 및 정지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3캠판(17)과 제3스위치(SW3)과의 캠작용에 의해 상기한 급수밸브(WV)의 개방폐색을 제어하므로서 행해진다.
또한 다소 많이 공급되어도 제빙실(32)내의 제빙수는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저지둑판(42)를 넘처흘러서 배수활강기(38) 및 배수수용부(28)을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냉동계의 냉매순환파이프로부터 냉매가 상기한 증발관(22)로 공급되고, 그 열교환작용에 의해 제빙기판(34)에 돌출설치된 제빙돌기(36)의 냉각이 개시된다.
이 제빙돌기(36)은 제빙수에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돌기(36)의 주위로부터 결빙이 개시되고, 점차로 성장해서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역도움 형상의 얼음덩어리(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빙운전의 사이에 상기한 타이머(T)에 의해 시한설정된 요동용전동기(RM)이 그 회전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전동기(RM)의 그 회전축에 설치한 걸어맞춤편(62)가 상기한 직립편(59)에 설치한 걸어맞춤핀(61)과 걸어맞추어져서 요동판(44)를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걸어맞춤편(62)가 걸어맞춤핀(61)로부터 이탈하면,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판(44)는 자중으로 낙하해서 제빙실(32)의 저편(24a)에 맞닿게 된다.
이와같이 요동판(44)는 제빙운전 기간중 제빙실(32)에 있어서의 제빙수내에서 요동을 반복하고, 이것에 의해 제빙수를 항상 움직이게 된다.
더구나 요동판(44)에는 관통구멍(4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요동판(44)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빙수는 관통구멍(46)을 유통하여 이것이 분사형상을 수반해서 제빙수의 움직임을 다시 또 활발한 것으로 한다.
이와같이 제빙수가 항상 동적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제빙돌기(36)에 형성되는 얼음덩어리(70)의 백탁이 방지되고, 투명하고 청정한 얼음덩어리(70)이 얻어진다.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빙돌기(36)에 완전한 얼음덩어리(70)이 역도움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한 요동판(44)는 그 상부이동시에 얼음덩어리(70)과 접촉하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한 걸어맞춤핀(61) 및 걸어맞춤편(62)를 거쳐서 요동용 전동기(RM)에 아래쪽으로의 반력을 부여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요동용 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25)는 상기한 지지축(81)은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의 회전을 개시해서 부착지그(25)의 작동편(25a)로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의 레버편(27)을 가압해서 「ON」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제빙장치(20)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지한다.
그러면 제3도에 나타내는 릴레이(X4)에 힘이 가해지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4-a)가 폐색되어서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캠원판(5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여기에 편심위치한 캠공이(56)이 캠편(50a)에 형성한 상기 캠홈(54)와 미끄러져 움직이므로서 상기한 물접시(24)는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을 개시한다.
이 경사이동에 의해 제빙실(32)내의 제빙수는 상기한 물접시 내벽(24a) 및 저지둑판(42)를 거쳐서 배수활강기(38)로 방출되고, 이 배수활강기(38)로부터 배수수용부(28)로 방출된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내는 제1스위치(SW1)의 레버편(19)는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개시 직전까지 상기한 제1캠판(13)의 오목한 부(13a)에 떨어져 있으나, 그 전동기(AM)의 회전개시에 의해 원주면(A1)에 올라가서 스위치(SW1)를 「ON」작동시킨다.
이 때문에 릴레이(X1)에 힘이 가해지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 개방접점(X1-a)가 폐색된다.
따라서 물접시(24)의 경사이동에 의해 요동용전동기(RM)에 대한 반력이 해제되고, 상기한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가 「OFF」작동해도 상기한 상기개방접점(X1-a)의 폐색에 의해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을 계속된다.
그리고 제1캠판(13)에 설치된 상기한 오목한부(13b)가 제1스위치 (SW1)의 레버편(19)에 도래하면 그 스위치(SW1)은 「OFF」작동해서 릴레이(X1)을 힘을 감소시키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1-a)를 개방시킨다.
이 때문에 물접시(24)는 제14도에 나타내는 소요의 경사이동 각도에 도달한 위치에서 경사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제빙실(32)의 내부에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한 저지둑판(42)에 의해 둑저지되어 잔류하지만, 이 잔류수는 앞서의 제빙운전에 따라 충분히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제빙운전을 위해 보급되는 새로운 제빙수와 혼합되어서 제빙수 전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가 있다.
또 물접시(24)의 경사이동에 의해 제빙돌기(36)의 주위에 형성된 얼음덩어리(70)은 그 돌기(36)에 부착된 상태로 노출된다.
다음에 물접시(24)의 경사이동에 따라 상기한 요동판(44)도 일체적으로 경사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한 걸어맞춤핀(61)은 요동용 전동기(RM)의 걸어맞춤편(62)부터 이탈한다.
그리고 물접시(24)가 경사이동 정지하는 과정에서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요동판(44)의 걸어맞춤핀(61)이 상기한 저지부재(63)에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에 그후에 경사이동을 정지한 물접시(24)에 있어서의 제빙실(32)의 저면(24a)보다도 요동판(44)는 경사진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요동판(44)는 얼음덩어리(70)이 낙하한때에 이것을 얼음저장고(12)에 안내하기 위한 활강용 활강기로서도 기능한다.
상기한 물접시(24)가 경사이동을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제2스위치(SW2)로부터 뻗어 나온 레버편(21)에 제2캠판(15)에 있어서의 중심각 약 90°의 오목한 면이 도래하고(제13도 참조).
그 스위치(SW2)를 「ON」작동시켜서 제3도에 나타내는 제2릴레이 (X2)에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그 릴레이(X2)와 형동하는 상시 개방접점(X2- )가 폐색되어서 상기한 열가스밸브(HV)를 개방시키고, 제4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냉매 대신에 열가스를 상기한 증발관(2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제빙기판(34)를 거쳐서 제빙돌기(36)은 급속히 가열된다.
이 때문에 제빙돌기(36)과 얼음덩어리(70)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그 얼음덩어리(70)은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한 저지부재(63)에 의해 소요의 경사자세로 유지되고 있는 요동판(44)의 상면을 활강하여 그 경사진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한 얼음저장고(12)내로 안내 방출 된다.
이 얼음덩어리(70)의 낙하에 의해 제빙기판(34)에 있어서의 마이너스의 온도부하가 해제되고, 그 기판(34)는 상기한 증발관(22)에서의 열가스의 유통에 의해 일거에 온도상승을 가져온다.
이 온도상승을 상기한 온도검지기(Th)가 검지하여 즉시 「ON」작동하므로서,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이 재개된다.
따라서 캠원판(58), 캠공이(56), 캠홈(54)의 작용하에 캠편(50a)가 선회지지축(52)를 중심으로해서 반시게 방향으로 회전해서, 물접시(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수평자세로의 복귀를 개시한다.
또 전동기(AM)의 회전재개에 따라 상기한 제2캠판(15)도 그회전을 재개하고, 제2스위치(SW2)에서 뻗어나온 레버편(21)이 제2캠판(15)의 원주캠면에 올라가서 스위치(SW2)를 「OFF」작동시킨다.
이 때문에 제3도의 제2릴레이(X2)가 힘이줄어들고 그 릴레이(X2)와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2-a)가 재차 개방되어서 상기한 열가스밸브(HV)를 폐색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증발관(22)에의 냉매공급이 제거된다.
다시또 전동기(AM)의 회전재개에 의해 제3캠판(17)의 원주캠면이 제3스위치(SW3)의 레버편(23)에 도래하고, 그 스위치를 「ON」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3도에 나타내는 제3릴레이(X3)에 힘을 가하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기개방접점(X3-a1)이 폐색되어서 급수밸브(WV)를 개방시키고, 제빙실(32)에 제빙수를 보급한다.
그리고 제3캠판(17)이 제3스위치(SW3)으로부터 이탈하며, 그 스위치가 「OFF」작동해서 제3릴레이(X3)에 힘을 줄이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3-a1)을 개방시켜서 급수밸브(WV)를 폐색시켜서 제빙수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또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에 따라 제1캠판(13)의 오목한부(13b)에 떨어져 있든 제1스위치(SW1)의 레버편(19)는 원주면(A2)측의 캠면에 올라가서 릴레이(X1)에 힘을 가하고, 상기한 상시개방접점(X1-a)를 폐색시키므로서, 상기한 온도검지기(Th)와 중첩되어서 그 전동기(AM)에의 통전을 행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증발관(22)에의 냉매의 공급에 의해 제빙기판(34)가 재냉각되고, 온도검지기(Th)는 그후 발로 폐색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캠판(13)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별개의 오목한부(13a)과 제1스위치(SW1)의 레버편(19)에 도래하면, 그 스위치(SW1)이 개방되고 릴레이(X1)에 힘이 줄어서 상기한 상기개방접점(X1-a)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작동기용 전동기(AM)이 회전을 정지해서 물접시(24)는 수평자세가 된 상태로 정지된다.
또한 급수밸브(WV)를 개폐하는 상기한 제3스위치(SW3)이 「ON」작동되면, 릴레이(X3)과 협동하는 상시 개방접점(X3-a2)가 폐색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타이머(T)에의 통전이 행해진다.
그리고 그 타이머(T)에 설정한 소요시간이 경과하면 이것과 협동하는 제1상시 개방접점(T-a1)이 폐색되어서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을 회전시키고 제빙운전중에 있어서의 요동판(44)의 상하 요동을 재개시킨다.
또 타이머(T)의 제2상시개방접점(T-a2)가 폐색되어서, 그 타이머(T)의 자기유지를 행한다.
그리고 타이머(T)에 설정한 시간이 시간경과하면 제1상시 개방접점(T-a1) 및 제2상시개방접점(T-a2)를 개방시키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기의 개략구성에 대해)
제17도 및 제23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가 채용되는 제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또 설명의 편의상 「전후」「좌우」란 제빙기를 정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제빙기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상자(110)의 내부는 압축기(CM)이나 응축기(111)등이 냉동기계가 수납되는 하부기계실(112)와 그 위쪽에 위치하고, 단열재등으로 둘러싸임과 동시에 내부에 얼음저장실(183)을 구획 형성한 상자형상의 얼음저장고(114)와 이 얼음저장고(114)의 내부 위쪽에 배치되는 제빙장치(115)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빙장치(115)는 제18도 및 제19도에 관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빙수를 소정의 수준으로 저장하는 물접시(116)과 이 제빙수 중에 침지되는 제빙돌기(117)을 구비한 제빙기판(118)을 구비하고 물접시(116)은 얼음제거운전으로 전환되면 소정각도 경사이동해서 그 물접시(116)내의 제빙수를 배수수용부(119) 및 배수관(120)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얼음덩어리(121)을 상기한 얼음저장실(183)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얼음저장고(114)에는 후술하는 얼음덩어리 방출장치(113)이 배치되고, 그장치(113)에 의해 얼음저장실(183)에 저장되는 얼음덩어리(121)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상자의 외부구조에 대해]
상기한 외부상자(110)은 제2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각부재를 둘러싸는 주프레임(122)와 그 프레임(122)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23)으로 구성되고, 전체로서 가로폭의 치수가 극히 짧은 얇은 형상을 하고 있다.
전면패널(123)은 합성수지에 의해 도시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높이방향의 대략 중간위치에 얼음저장고(114)를 형성한 얼음덩어리(121)의 방출구(114a)와 대응하는 개방구(123a)가 아래쪽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다(제17도 참조).
이 개방구(123a)의 아래쪽에는 용기형상의 탑재대(124)가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얼음덩어리(121)을 꺼내는 때에 그 탑재대(124)에 컵등의 수요기구를 탑재시키도록 되어 있다.
탑재대(124)의 상면에는 다수의 틈새(124a)가 형성되어 방출구(114a)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을 모아서 주위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개방구(123a)의 위쪽으로 뻗어있는 정면패널(123)에는 전원램프(L)과 얼음덩어리 방출용의 제6스위치(SW6)의 누름버튼(125)가 배치되고, 이 누름버튼(125)를 눌러서 스위치(SW6)을 「ON」작동시키고 있는 동안 얼음방출용장치(113)이 작동해서 얼음저장실(118)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덩어리(121)을 방출구(114a) 및 개방구(123a)를 거쳐서 방출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상자(110)의 저면에는 하부기계실(112)에 연달아 통하는 개방구(도시생략)가 형성되고, 그 개방구는 외부상자(110)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필터부재(126)에 의해 피복되도록 되어 있다.
이 필터부재(126)은 상기한 응축기(111)의 공냉 때문에 기계실(112)에 도입되는 외기중의 먼지를 포착해서 응축기(111)의 그물눈 막힘에 의한 냉각능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 필터부재(26)은 외부상자(110)의 전면측으로부터 간단히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에 대해]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얼음저장고(114)의 전면에 덮개체(127)이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이 덮개체(127)의 전면측에 제빙장치(115)에 있어서의 물접시(116)의 경사 이동용의 작동기용 전동기(AM), 요동판(154)(후술함)의 요동용의 전동기(RM) 및 얼음덩어리 방출장치(113)의 방출용 전동기(GM)이 배치되어 있다.
덮개체(127)에 배치되어 있는 각 전동기(AM)(RM)(GM) 및 그에 부대하는 부재는 상기한 전면패널(123)을 벗겨내므로서, 간단하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자동제빙기의 조립시에는 미리 덮개체(127)에 각 전동기(AM)(RM)(GM)을 배치한 상태에서 그 덮개체(127)을 얼음저장고(114)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조립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빙장치에 대해]
제19도는 제빙장치(115)의 상세한 것을 세로단면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물접시(116)은 제18도에 나타내는 형상을 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129)내에 소정의 수준으로 제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빙실(129)는 물접시(116)에 있어서의 구형형상 저면(116a)와 그 사방향으로 직립된 벽면(116b)(116c)(116d)(116e)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제18도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직립벽(116e)의 외측에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의 축지지부(130)이 정렬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부(130)은 제빙기판(118)을 얼음저장고(114)의 내부위쪽에 매달아 지지하는 브래킷(132)에 형성한 관통구멍(132a)에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관통되어, 물접시(116)을 축지지부(130)을 중심으로 짧은쪽방향(제빙기의 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제21도 참조).
또 그 제빙기판(118)의 적절한 위치(후술함)에는 제빙수의 급수관(149)가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타이밍으로 급수밸브(WV)가 개방되어서 제빙실(129)에 소정량의 제빙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제40도 참조).
또 전면측에 위치하는 축지지부(130)에 각 구멍(130a)가 형성되고, 여기에 후술하는 선회지지축(133)의 축단말에 돌출설치한 각축(133a)가 끼워넣어져 있다.
그 선회지지축(133)은 상기한 덮개체(127)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고, 그 덮개체(127)에 배치된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에 따라 상기한 물접시(116)은 축지지부(130)을 중심으로 해서, 제32도-제3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의 경사 이동 및 경사지게 위쪽으로의 복귀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물접시(116)은 제빙의 폭방향으로 경사이동 시키도록 구성하므로서, 전술한 바와같이 제빙기의 가로폭 치수를 짧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물접시의 경사이동 기구에 대해]
상기한 덮개체(127)에 있어서의 물접시(116)의 축지지부(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상의 축받이부(134)가 돌출 설치되고, 그 축 받이부(134)에 형성한 관통구멍(134a)에 상기한 선회지지축(133)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관통되어서, 그 축 단말에 돌출설치한 각축(133a)를 축지지부(130)의 각 구멍(130a)에 끼워넣고 있다.
또 선회지지축(133)의 전면측의 단말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뻗어나온 레버편(133c)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레버편(133b)의 전면측에 걸어맞춤돌기(133c)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덮개체(127)에 브래킷(135)를 거쳐서 배치된 작동기용전동기(AM)에 있어서의 브래킷(135)의 전면측에 뻗어나온 회전축에 원주방향의 일부가 절단된 소요직경의 원판으로된 캠판(136)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캠판(136)의 전면에 연결레버(137)의 일단이 편심해서 축지지되고, 그 연결지레(137)의 타단에 형성된 깃구멍(137a)에 상기한 선회지지축(133)에 형성한 레버편(133b)의 걸어맞춤돌기(133c)가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작동기용 전동기(AM)을 회전시키므로서, 캠판(136) 및 연결레버(137)을 거쳐서 선회지지축(133)이 소요각도로 왕복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물접시(116)이 경사이동 된다.
또한 상기한 걸어맞춤돌기(133c)의 전단부에는 연결레버(137)의 긴구멍(137a)에 삽입관통 가능한 타원형상의 규제부(133d)가 돌기(133c)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뻗어나오도록 배치되고, 걸어맞춤돌기(133c)를 긴구멍(137a)삽입관통시킨 상태에서 그 걸어맞춤돌기(133c)로부터 연결레버(137)이 용이하게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연결레버(137)에 대해 레버편(133b)를 긴구멍(137a)분만큼 이동가능하게 하므로서 후술하는 물접시(116)의 경사 정지시에 있어서의 레버편(133b)와 연결레버(137)과의 위치의 오차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또 레버편(133b)의 이면측에 상기한 요동용 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138)을 소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비틀림스프링(139)(후술함)의 일단이 걸어맞추어 지는 걸어맞춤편(133e)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물접시의 배수구조에 대해]
제19도 및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물접시(116)에는 그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시에 제빙실(129)내의 제빙수를 외부로 방출하는 물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물접시(116)의 후측에 위치하는 직립벽(116c)에 있어서의 경사이동 하단측의 근방에 후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된 보조실(146)의 구획형성되고, 그 보조실(146)의 외측(후측)에 소정길이의 배수관(147)이 연달아 통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배수관(147)의 아래쪽에는 상기한 배출수를 받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용부(119)가 얼음저장고(114)의 후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조실(146)과 제빙실(129)와는 직립벽(116c)보다 낮은 저지둑판(148)에 의해 구획 형성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물접시(116)에 공급된 제빙수는 저지둑판(148)의 상단면으로부터 넘처 흘러서 상기한 배수관(147)을 거쳐서 배수수용부(119)로 배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저지둑판(148)에 의해 제빙실(129)에 저장되는 제빙수는 소정의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 후술하는 얼음제거운전으로 전환되면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물접시(116)은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해서 제빙수를 배수관(147)을 거쳐서 배출시킨다.
그리고 그 물접시(116)이 경사이동을 정지한 위치에서 제빙수의 일부는 저지둑판(148)에 의해 그대로 잔류하고(제33도 참조), 이 잔류수는 다음의 제빙운전을 위해 제빙수공급관(149)로부터 보급되는 물과 혼합되어서 전체로서 제빙수의 온도저하를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배수관(147)은 물접시(116)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한 때에 배수수용부(119)의 얼음저장실측의 단말 가장자리부에 맞닿고, 물접시(116)을 경사이동 상태로 유지하는 저지부로서도 기능한다.
또 이때 상기한 경사이동기구에 있어서의 연결레버(137)의 긴구멍(137a)에 대해 선회지지축(133)의 걸어맞춤돌기(133c)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물접시(116)의 경사이동 정지위치와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정지위치와에 어긋남이 있어도 경사이동기구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얼음저장고(114)의 내부위쪽에는 복수의 브래킷(132)를 거쳐서 제빙기판(118)이 수평으로 배치고정되고, 이 제빙기판(118)의 상면에 기계실(112)내에 수납된 냉동계로부터 도출한 증발관(131)이 사행배치되어 있다.
또 제빙기판(118)의 하면에 다수의 제빙돌기(117)이 소요간격으로 늘어지도록 돌출설치되고, 제빙운전에 있어서 이 제빙돌기(117)은 물접시(116)에 저장된 제빙수에 침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계의 운전에 의해 증발관(131)에 있어서 냉매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빙돌기(117)은 0℃이하로 냉각 유지되는 결과로서, 이 제빙돌기(117)의 주위에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점차 얼음덩어리(121)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빙돌기(117)은 증발관(131)의 배치위치에 대응해서 돌출설치되고, 그 돌기(117)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빙기판(118)에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관(131)(제빙돌기 117)의 배치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복수의 관통구멍(118a)가 소요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기판(118)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제빙돌기(117)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의 냉기의 방출을 억제하고, 그 돌기(117)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얼음덩어리를 단시간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빙 및 얼음제거운전에 의해 생긴 결로수는 제빙기판(118)의 상면에 고이는 일이 없이 관통구멍(118a)을 거쳐서 떨어지고, 불필요한 얼음의 성장에 기인하는 냉각효율의 저하나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이나, 요동판(154)의 요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다시또 제빙기판 자체의 경량화나 얼음제거 운전시에 있어서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에 의한 얼음이탈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제빙기판(118)의 적절한 위치에 나사구멍(118b)가 형성되고, 그 기판(118)은 상기한 브래킷(132)와 나사구멍(118b)와에 나사 조임한 나사(도시생략)을 거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또 기판(118)에 제빙수 급수관(149)의 부착구(181)이 형성되고, 부착구(181)을 거쳐서 급수관(149)가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캠제어기구에 대해]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작동기용전동기(AM)에 배치되는 캠판(136)의 상기한 브래킷(135)를 지향하는 이면에 제1캠부(150)과 제2캠부(151)이 반경방향으로 편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브래킷(135)에는 상기한 제1캠부(150) 및 제2캠부(151)과 각각에 대응해서 제7스위치(SW7) 및 제9스위치(SW9)가 배치되고,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에 따라 소요의 타이밍으로 캠작용을 부여해서,
① 전동기(AM)에 의한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정지 및 복귀정지 열가스밸브(HV)의 개방,
② 제빙수를 보급하는 급수밸브(WV)의 개방 및 폐색을 각각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1캠부(150) 및 제2캠부(151)은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소요반경의 원호상 돌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7스위치(SW7)로부터 뻗어나온 레버편(152)가 제1캠부(150)에 맞닿음과 동시에 그 제1캠부(150)로부터 소요의 타이밍으로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7스위치(SW7)의 레버편(152)가 상기한 캠부(150)에 맞닿으면 그 스위치의 「ON」작동이 이루어진다.
제7스위치(SW7)은 제28도의 제어회로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릴레이(X2) 및 작동기용 전용기(AM)에 접속되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작동기용 전동기(AM)에 의한 물접시(116)의 경사 이동정지와 복귀정지를 제어함과 동시에 열가스밸브(HV)의 개방을 제어한다(후술함), 또한 제1캠부 (150)과 제7스위치(SW7)의 캠동작의 타이밍을 제40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낸다.
또 제9스위치(SW9)로부터 뻗어나온 레버편(153)이 제2캠부(151)에 맞닿음과 동시에 소요의 타이밍으로 이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9스위치(SW9)의 레버편(153)이 상기한 캠부(151)에 맞닿으면 그 스위치의 「ON」작동이 행해진다.
이 제9스위치(SW9)는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급수밸브(WV)에 접속되고, 그 급수밸브(WV)의 개방을 제어한다(후술함).
제2캠부(151)과 제9스위치(SW9)의 캠동작의 타이밍을 제40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낸다.
[요동판 및 요동기구에 대해]
상기한 물접시(116)에 있어서의 제빙실(129)의 내부에는 구형형상으로 형성한 저면판(154a)에 있어서의 물접시(116)의 경사이동하단측(좌측)이 되는 직립벽(116d)와 대향하는 측을 제외한 3번에 수직의 직립부(154b)(154c)(154d)를 각각 형성한 요동판(154)가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요동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요동판(154)의 주위치수는 제빙실(129)에 있어서의 저면(116a)의 내부치수보다 약간 적게 설정되고, 상기한 직립부(154b)의 상부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한 돌기부(156)이 물접시(116)에 핀(157)(157)을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 된다.
그리고 물접시(116)에 요동판(154)를 축지지한 상태에서 요동판(154)는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빙실(129)의 저면에 밀착해서 탑재된다.
상기한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저면판(154a)에는 제25도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원형이나 4각형상을 한 다수의 관통구멍(155)가 소요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155)는 상기한 인접해서 설치한 제빙돌기(117)(177)사이에 임하도록 설정되고, 요동판(154)의 요동에 있어서, 각 제빙돌기(117)(117)사이에 임하는 위치에서의 제빙수의 운동을 활발하게해서 얼음덩어리(121)이 백탁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제39도 참조).
또 길이방향에 따른 직립부(159b)에는 물접시(116)에 저장되어 있는 제빙수의 수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으로 관통구멍(155)가 형성되고, 그 관통구멍(155)도 제빙수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다시 또 짧은쪽방향에 따른 위치(요동방향에 따른 양단말가장자리부)에 설치한 직립부(154c)(154d)는 요동판(154)가 요동한 때에 물접시(116)의 직립벽(116b)(116c)에 근접하는 제빙수를 활발히 운동시키도록 기능한다.
다시 또 상기한 요동판(154)의 직립부(154b)에는 위쪽으로 뻗은 직립편(160)이 형성되고, 얼음제거운전에 있어서, 요동판(154)가 물접시(116)과 함께 경사이동하는 도중에서 직립편(160)을 상기한 제빙기판(118)에 걸어맞추므로서 요동판(154)를 물접시(116)으로부터 분리해서 그 경사이동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33도 참조).
여기서 요동판(154)에 의해 제빙수를 효율적으로 운동시키기 위해 그 요동판(154)의 주위치수는 제빙실(129)에 있어서의 저면(116a)의 내부치수 보다 약간 적고, 또한 요동판(154)가 제빙실내에서 요동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얼음제거운전에 있어서, 상기한 직립편(160)이 제빙기판(118)에 걸어맞추어 지므로서 정지한 요동판(154)에 대해 물접시(116)이 다시 또 경사이동하는 때에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직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요동단말 가장자리부와 직립벽(116d)와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간격은 좁게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면 저면판(154a)의 요동단말 가장자리부가 직선상으로 되어 있으면 직립벽(116d)와 그 단말 가장자리부와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물접시(116)에 잔류하고 있는 제빙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저면판(154a)의 위쪽으로 쌓여서 직립벽(116d)의 상단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요동판(154)에서는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저면판(154a)의 요동 가장자리단말부에 그 길이방향에 따라 복수의 브이(V)자 형상의 절단부(180)을 소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요동판(154)에 대해 물접시(116)이 경사이동하는 때에 저면판(154a)의 요동단말 가장자리부와 직립벽(116d)와의 사이의 간격을 절단부(180)의 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설정하므로서 요동단말 가장자리부와 직립벽(116d)와의 사이에 임하는 제빙수는 각 절단부(180)로부터 물접시 내로 떨어지고, 제빙수가 직립벽(116d)의 상단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직립부(154c)에 역엘(L)자 형의 걸어맞춤편(158)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부 수평부(158a)는 제빙실(129)의 직립벽(116b)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또 상기한 덮개체(127)의 상부 수평부(158a)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127a)가 형성되고, 그 긴구멍(127a)에 상기한 요동용 전동기(RM)에 의해 회전되는 요동부재(159)가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관통 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159)는 제26도 및 제2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판형상본체(159d)와 그 본체(159d)에 있어서의 덮개체(127)의 이면측 [물접시(116)을 지향하는 측]을 지향하는 면에 편심해서 돌출설치된 요동돌기(159a)와 본체(159d)의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동축으로 배치된 원주상의 캠부(159b)로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그 캠부(159b)의 축단말에 요동용 전동기(RM)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동부재(159)는 원판형상본체(159a)에 있어서의 캠부(159b)가 돌출설치되는 면을 덮개체(127)의 이면측에 맞닿게한 위치에서 상기한 요동돌기(159a)가 요동판(154)의 상부 수평부(158a)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맞춤 및 이탈가능한 위치에 임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부재(15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요동돌기(159a)는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수평부(158a)와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회전하고, 요동판(154)를 제빙실(129)의 저면으로부터 소요거리만큼 상승시킴과 동시에 요동돌기(159a)가 상부수평부(158a)로부터 벗겨지면 그 요동판(154)는 자중으로 제빙실(129)의 저면에 낙하한다.
즉, 제빙운전중에 요동용 전동기(RM)을 회전시키면, 상기한 핀(157)(157)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판(154)는 제빙실(129)의 내부에서 상하의 요동을 반복하고, 이것에 의해 제빙수를 항상 운동시킬 수가 있다(제37도-제39도 참조).
또한 요동판(154)의 관통구멍(155) 및 직립부(154c)(154d)에 의해 제빙실(129)내의 제빙수에는 전체에 걸쳐서 활발한 운동이 부여된다.
[요동용 전동기(RM)의 부착구조에 대해]
제16도 및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덮개체(127)에 돌출설치한 축받이부(134)에 평판형상을 한 부착지그(138)의 일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부착지그(138)의 축지지부로부터 이간되는 단말부 근방의 전면측에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관통구멍(127a)로부터 전면측으로 돌출하는 요동부재(159)의 캠부(159b)에 전동기(RM)이 연결되어 있다.
또 축지지부와 요동용전동기(RM)과의 사이에 임하는 부착지그(138)의 전면측에 돌기편(138a)가 형성되고 그 돌기편(138a)의 하단에 축받이부(134)에 개재장착한 비틀림용수철(139)의 한쪽의 단말부(139a)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돌기편(138a)에 근접해서 상기한 레버편(133b)에 형성한 걸어맞춤편(133e)가 임하고 있고, 이 걸어맞춤편(133e)의 상단에 비틀림용수철(139)의 다른쪽의 단말부(139b)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걸어맞춤편(133e)의 상단은 상기한 물접시(116)이 수평자세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지그(138)에 있어서의 돌기편(138a)의 상단보다도 위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부착지그(138)은 비틀림용수철(139)의 탄력작용하에 축받이부(134)를 지지점으로 해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요동용 전동기(RM)에 소요의 외부힘이 가해지면 그 부착지그(138)이 축받이부(134)를 지지점으로해서 소요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비틀림용수철(139)는 제빙운전시에 물접시(116)이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한 요동부재(159)의 요동돌기(159a)가 요동판(154)의 걸어맞춤편(158)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작동위치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또 제빙운전으로부터 얼음제거운전으로 전환되어서 물접시(116)이 경사이동하면 상기한 레버편(133b)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33a)의 상단은 부착지그(138)에 있어서의 돌기편(138a)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이때에는 비틀림용수철(139)의 단말부(139b)는 돌기편(138a)의 상단에 걸어맞추어 지기에 이른다(제36도 참조).
따라서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시에는 비틀림 용수철(139)는 부착지그(138)에 대해 가하는 힘을 작용시키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부착지그(138)의 축지지부로부터 이간되는 단말부에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138b)가 형성되고, 이 긴구멍(138b)에 덮개체(127)에 대응해서 돌출설치한 규제핀(161)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삽입관통되어 있다.
이 규제핀(161)은 부착지그(138)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도록 기능하고, 상기한 비틀림용수철(139)의 탄력적인 가하는 힘으로 항상 긴구멍(138b)의 하단이 규제핀(161)에 맞닿아서 요동부재(159)를 작동위치로 임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제29도 참조).
(제빙 및 얼음제거완료 검지용의 스위치 SW10, Th1에 대해)
상기한 덮개체(127)에는 예를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등의 제빙완료 검지용의 제10스위치(SW10)이 브래킷(170)을 거쳐서 배치되고, 그 레버편(162)를 상기한 요동부재(159)에 있어서의 캠부(159b)의 하강궤적에 임하게 해서 부착지그(138)(요동용 전동기RM)의 회전에 따라 캠부(159b)에 맞닿아서 그 스위치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30도에 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빙운전이 진행해서 제빙돌기(117)의 주위에 얼음덩어리(121)이 성장하면 상기한 요동판(154)는 그 상부이동시에 얼음덩어리(121)과 접촉하기에 이르고, 상기한 걸어맞춤편(158) 및 요동돌기(159a)를 거쳐서 요동용 전동기(RM)에 아래쪽으로 반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요동용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138)은 상기한 축받이부(134)를 지지점으로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과정에서 캠부(159b)가 제10스위치(SW10)의 레버편(162)를 가압하므로서 그 스위치(SW10)의 접점을 「a」측으로부터 「b」측으로 전환해서 제빙장치(115)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브래킷(170)은 덮개체(127)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브래킷(170)을 상하로 조절하므로서, 제10스위치(SW10)의 레버편(162)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빙돌기(117)에 형성되는 얼음덩어리(121)의 치수를 가변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제10스위치(SW10)가 접점 「b」측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요동용전동기(RM)을 정지시키면 요동판(154)의 걸어맞춤편(158)에 맞닿는 요동돌기(159a)가 요동판(154)의 경사이동의 방해가 된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요동부재(159)의 캠부(159b)에 요동용전동기(RM)이 회전한 상태에서 제10스위치(SW10)의 접점을 「a」측으로 전환가능한 절단부(159c)를 형성하여 그 절단부(159a)에 의해 요동돌기(159a)를 걸어맞춤편(158)의 경사이동궤적으로부터 이간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절단부(159c)는 상기한 요동돌기(159a)가 걸어맞춤편(158)의 상부수평부(158a)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임한때에 제 10스위치(SW10)의 레버편(162)와 대응하는 위치에 임하는 위치관계를 갖고, 캠부(159b)에 형성되어 있다.
즉, 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에 의해 제빙완료검지스위치(SW10)이 접점 「b」측으로 전환된 후도 그 전동기(RM)을 회전시키고,
② 절단부(159c)가 스위치(SW10)의 레버편(162)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래한때, 그 스위치(SW10)의 접점을 「a」측으로 전환한 때에 그 요동용전동기(RM)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요동돌기(159a)는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58)의 경사이동궤적으로부터 이간되게 되고, 요동판(154)의 경사이동을 방해하는 일은 없어진다.
또, 제빙완료 검지용의 제10스위치(SW10)을 요동부재(159)에 있어서의 요동돌기(159a)의 위치결정용의 스위치로서 겸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부품점수를 적게해서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제빙장치(115)에 있어서의 제빙기판(118)의 상면에는 얼음제거완료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검지기(Th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검지기(Th1)은 제빙운전에 의해 제빙기판(118)이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한때에 접점 「b」로 전환되고, 또 얼음제거운전에 의해 얼음덩어리(121)이 제빙돌기(117)로부터 낙하한때의 급격한 온도상승을 검출해서 그 접점을 「b」로부터 「a」로 전환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이때 후술하는 바와같이 열가스밸브(HV)를 폐색시킴과 동시에 작동기용 전동기(AM)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얼음덩어리 방출장치 및 얼음저장완료검지 스위치에 대해]
상기한 덮개체(27)의 전면하부에 얼음덩어리 방출용의 전동기(GM)이 배치되고, 그 전동기(GM)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얼음덩어리 반출용의 스크류(163)이 얼음저장실(183)내에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류(163)의 돌출단말부는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얼음저장고(114)의 대응위치에 오목하게 형성한 오목한부(164)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서 정위치에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방출용 전동기(GM)은 전면패널(123)에 배치한 상기한 누름버튼(125)를 눌러서 제6스위치(SW6)을 「ON」작동시키고 있는 동안만 회전하고, 스크류(163)에 의해 얼음저장실(183)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덩어리(121)을 상기한 방출구(114a)에 까지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덮개체(127)의 이면에는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류(163)의 배치위치에 대응함과 동시에 방출구(114a)의 형성위치로부터 얼음저장실측으로 임하는 규제판(165)가 회전이 자유롭게 늘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판(165)는 상기한 스크류(163)에 의해 반송되는 얼음덩어리(121)에 의해 가압되어서 방출구(114a)를 개방해서 얼음덩어리(121)의 방출을 허용함과 동시에 얼음덩어리방출장치(113)이 정지한때에는 초기의 위치로 복귀해서 방출구(114a)를 폐색시키고, 이 방출구(114a)를 거쳐서 외기가 얼음저장실(183)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 규제판(165)에 근접해서 분리판(168)이 덮개체(127)에 배치되고, 그 분리판(168)은 얼음저장실(183)에 저장되는 얼음덩어리(121)이 방출구(114a)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류(163)에 의해 반송되는 얼음덩어리(121)의 일부를 얼음저장실(183)에 복귀시켜서 방출구(114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얼음저장고(114)에 있어서의 상기한 오목한부(164)의 형성위치에 근접하는 저면부에 배출관(169)가 배치되고, 얼음덩어리(121)로부터의 해빙수를 괴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물접시(116)의 하면에 검지판(166)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그 검지판(166)은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통상은 물접시(116)의 저면에 대해 그 개방단말부측의 아래쪽으로 이간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물접시(116)의 전면에 얼음저장완료 검지용의 제8스위치(SW8)이 배치되고, 이 스위치(SW8)의 레버편(167)은 검지판(166)의 전면측의 단말부에 형성한 돌기편(166a)에 의해 통상은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물접시(116)이 경사이동하는 과정에서 검지판(166)이 얼음덩어리(121)에 맞닿으므로서 물접시(116)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때, 상기한 돌기편(166a)가 레버편(167)로부터 이간되어서 그 스위치(SW8)을 「ON」작동해서 얼음저장완료를 검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지판(166)의 돌기편(166a)를 얼음덩어리(121)의 비검출시에 제8스위치(SW8)의 레버편(167)에 맞닿도록 설정하므로서 검지판(166)의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 물접시(116)으로부터 탈락한 때에 제빙기를 정지시켜서 얼음저장완료의 검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얼음덩어리(121)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검지판(166)의 개방단말부는 빗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검지판(166)이 얼음덩어리(121)에 맞닿은 때에 가해지는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고 있다.
[전기제어회로예에 대해]
제28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기의 전기제어회로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전원공급선(R)과, 접속점(D)와의 사이에 퓨우즈(F)가 개재 삽입되고, 이 접속점(D)와 선(T)와의 사이에 전원램프(L)이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속점(D)와 선(T)와의 사이에,
① 얼음덩어리 방출용의 제6스위치(SW6)과 방출용전동기(GM)
② 작동기용전동기(AM)용의 제7스위치(SW7)과 얼음저장완료 검지용의 제8스위치(SW8) 및 릴레이(X1)이 각각 직렬로 개재삽입되어 있다.
또 제7스위치(SW7)과 얼음저장완료 검지스위치(SW8)과의 사이의 접속점(E)와 접속점(K)와의 사이에 릴레이(X1)의 상시 폐색접점(X1-a1)이 개재 삽입되고,
이 접속점(K)와 선(T)와의 사이에,
① 릴레이(X1),
② 제빙수공급용의 제9스위치(SW9)와 급수밸브(WV)
③ 릴레이(X3)의 상시폐색접점(X3-a1)과 작동기용전동기(AM)이 각각 직렬로 개재삽입되어 있다.
또 퓨우즈 (F)와 직렬로 접속된 릴레이(X1)의 상시 폐색접점(X1-b1)와 상기한 릴레이(X3)의 상시개방접점(X3-a1)과 작동기용 전동기(AM)과의 사이의 접속점(N)과의 사이에 릴레이(X2)의 상시 폐색접점(X2-b1)과 릴레이(X3)의 상시 폐색접점(X3-b)가 직렬로 개재삽입되어 있다.
릴레이(X2)의 상시 개방접점(X2-a)와 직렬로 접속되는 얼음제거 완료검지용의 온도검지기(Th1)의 접점 「a」측에 응축기(111)용의 팬전동기(FM)이 접속되고, 접점 「b」측에 열가스 공급용의 열가스밸브(HV)가 접속되어 있다.
다시 또 릴레이(X1)의 상시 폐색접점(X1-b2)와 선(T)와의 사이에
① 릴레이(X3)의 상시 개방접점(X3-a2)와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 및 릴레이(X2)의 상시 폐색접점(X2-b2)
② 릴레이(SR)과 상기한 압축기(CM)이 각각 직렬로 개재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릴레이(X3)의 상시 개방접점(X3-a2) 및 요동용 전동기(RM)과의 사이의 접속점(P)에 제빙완료검지용의 제10스위치(SW10)이 접속되고, 그 스위치(SW10)의 접점「a」측에 보호온도검지기(Th2)와 릴레이(X3)가 직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접점 「b」측은 전기한 접속점(D)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팬전동기(FM)과 릴레이(X3)과는 병렬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관한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방지기구를 채용한 제빙기의 작용에 대해 제40도에 나타내는 시간도표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초기동작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제빙기의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상기한 전원램프(L)이 점등됨과 동시에 압축기(CM)이 시동해서 증발관(131)에 냉매가 공급된다.
또 릴레이(X1)(X2)(X3)의 각 상시 폐색접점(X1-b2)(X2-b1)(X3-b)를 거쳐서 작동기용전동기(AM)이 회전되고, 수평자세로 유지되고 있는 물접시(116)은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을 개시한다.
전동기(AM)의 회전에 의해 제9스위치(SW9)가 「OFF」 작동한 후에 제7스위치(SW7)이 「ON」작동되고, 릴레이(X2)가 힘이가해져서 이것과 협동하는 상기개방접점(X2-a)가 폐색되고 온도검지기(Th1)을 거쳐서 릴레이(X3)에 힘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그 릴레이(X3)와 협동하는 상시 개방접점(X3-a1)을 거쳐서 작동기용전동기(AM)은 회전을 계속하고, 물접시(116)은 경사이동을 정지하는 일이 없이 수평자세로 향해서 복귀한다. 또한 릴레이(X3)는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3-a2)에 의해 자기유지된다.
물접시(116)이 소요위치까지 복귀하면, 상기한 제9스위치(SW9)이 「ON」작동해서 급수밸브(WV)가 개방되고, 상기한 제빙수급수관(149)를 거쳐서 물접시(116)내의 제빙실(129)에 제빙수가 공급된다.
또한 물접시(116)은 수평자세를 넘어서 직립벽(116d)측이 직립벽(116e)보다 높게되는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경사 이동한 후 재차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해서 수평자세에서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실(129)에는 미리 설정된 양만큼 제빙수가 확실하게 저장된다.
또 다소 많이 공급된 제빙실(129)내의 제빙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지둑판(148)을 넘쳐흘려서 보조실(146) 및 배수수용부(119)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에 따라 제7스위치(SW7)이 「OFF」작동됨에 따라 전동기(AM)이 회전을 정지하고, 물접시(116)은 수평자세가 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또 릴레이(X2)와 협동하는 상시폐색접점(X2-b2)가 폐색되므로서,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은 회전을 개시한다.
다시 또 제7스위치(SW7)가 「OFF」작동되므로서, 급수밸브(WV)가 폐색되어서 제빙수의 공급을 정지한다.
단 제9스위치(SW9)는 「ON」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빙운전에 대해]
전원투입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는 압축기(CM)에 의해 냉동계의 냉매순환 파이프로부터 냉매가 상기한 증발관(131)에 공급되고, 그 열교환작용에 의해 제빙기판(118)에 돌출설치된 제빙돌기(117)의 냉각이 개시된다.
이 제빙돌기(117)은 제빙수에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돌기(117)의 주위로부터 결빙이 개시되고, 점차 성장해서 역도움형상의 얼음덩어리(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빙운전의 사이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전동기(RM)에 의해 회전되는 요동부재(159)의 요동돌기(159a)가 상기한 직립부(154c)에 설치한 걸어맞춤편(158)과 걸어맞추어져서 요동판(154)를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위 쪽으로 들어올린다.
상기한 요동돌기(159a)가 걸어맞춤편(158)로부터 이탈하면, 요동판(154)는 자중으로 낙하해서 제빙실(129)의 저면(116a)에 맞닿게 된다.
이와같이 요동판(154)는 제빙운전 기간중 제빙실(129)에 있어서의 제빙수내에서 요동을 반복하고 이것에 의해 그 제빙수를 항상 운동시키게 된다(제37도-제39도 참조).
더구나 요동판(154)에는 관통구멍(15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요동판(154)의 요동에 따라 제빙수는 그 관통구멍(155)를 통과하고, 이것이 분사현상에 따라 제빙수의 운동을 다시 또 활발한 것으로 한다.
더구나 저면판(154a)에 형성한 관통구멍(155)는 인접해 설치한 제빙돌기(117)(11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제빙돌기(117)의 주위에 있어서 제빙수의 운동이 활발해진다.
이와같이 제빙수가 항상 동적상태로 유지되므로서, 제빙돌기(117)에 형성되는 얼음덩어리(121)의 백탁이 방지되고, 투명하고 청정한 얼음덩어리(121)이 얻어진다.
또 요동판(154)에 세워설치한 직립부(154c)(154d)에 의해 제3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물접시(116)에 대응하는 양 직립벽(116b)(116c) 근방에서의 제빙수의 운동을 활발하게 할 수가 있고, 제빙기판(118)에 설치된 모든 제빙돌기(117)에 투명하고 청정한 얼음덩어리(121)을 형성할 수가 있다.
[얼음제거운전에 대해]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빙돌기(117)에 완전한 얼음덩어리(121)이 역도움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한 요동판(154)는 그 상부이동시에 얼음덩어리(121)과 접촉하게 되고, 마침내는 상기한 걸어맞춤편(158) 요동돌기(159a)를 거쳐서 요동용전동기(RM)에 아래쪽으로의 반력을 부여하기에 이른다.
따라서 요동용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138)은 상기한 축받이부(134)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개시해서 요동부재(159)의 캠부(159b)로 제빙완료검지용의 제10스위치(SW10)의 레버편(162)를 가압해서 그 접점을 「a」측으로부터 「b」측으로 전환하고, 이것에 의해 제빙장치(115)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출한다.
그러면 제28도에 나타내는 릴레이(X3)의 자기유지가 해제되어서 힘이 감소되고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 폐색접점(X3-b)가 폐색되어서 작동기용 전동기(AM)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캠판(13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여기에 편심연결된 연결레버(137)과 걸어맞추어지는 선회지지축(133)의 레버편(133b)가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 되므로서 물접시(116)은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을 개시한다(제32도 참조).
이 경사이동에 의해 제빙실(129)내의 제빙수는 저지둑판(148)을 거쳐서 보조실(146)에 넘쳐흐르고 이 보조실(146)으로부터 배수수용부(119)로 방출된다.
또 물접시(116)이 경사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기용전동기(AM)에 의해 회전되는 캠판(136)의 제2캠부(151)에 의해 제9스위치(SW9)는 「OFF」작동된다(제40도 참조).
여기서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은 제빙완료 검지용의 제10스위치(SW10)의 레버편(162)가 요동부재(159)의 캠부(159b)에 의해 가압되어서 접점「b」측으로 전환되어도 그 회전은 계속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요동부재(159)에 설치한 요동돌기(159a)가 상부수평부(158a)로부터 이간되어 부착지그(138)는 비틀림용수철(139)의 탄력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0스위치(SW10)의 접점은 「b」측으로부터 「a」측으로 전환되고, 요동용전동기(RM)은 일단 정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선회지지축(133)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레버편(133b)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33e)의 상단이 부착지그(138)에 있어서의 돌기편(138a)의 상단보다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비틀림용수철(139)의 단말부(139b)는 그 돌기편(138a)의 상단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부착지그(138)에는 용수철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제36(b)도참조). 그러면 그 부착지그(138)은 자중에 의해 축받이부(134)를 지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개시하고, 상기한 캠부(159b)에서 제10스위치(SW10)의 접점을 재차「a」측으로부터 「b」측으로 전환시키고, 요동용전동기(RM)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캠부(159a)에 형성한 절단부(159c)가 레버편(162)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래한 때에 그 레버편(162)의 가압이 해제되어서 스위치(SW10)의 접점이 「b」측으로 부터「a」측으로 전환되므로서 요동용전동기(RM)은 회전을 정지한다(제36(c)도 참조).
이것에 의해 요동부재(159)에 설치한 요동돌기(159a)는 상기한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58)의 경사이동 궤적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정지하고, 그 요동판(154)의 경사이동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빙운전중에 가령 정전이 발생한 경우라도 재통전시의 물접시 경사이동에 의해 상기한 부착지그(13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제10스위치(SW10)의 접점이 「b」측이되면, 요동용 전동기(RM)이 회전하고, 요동부재(159)는 전기한 절단부(159c)가 레버편(162)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래하기까지 회전된다.
즉 정전등이 있었든 경우에도 상기한 요동돌기(159a)와 상기한 걸어맞춤편(158)의 경사이동 궤적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캠판(136)에 설치한 제1캠부(150)이 제7스위치(SW7)의 레버편(152)에 도래하면 그 스위치(SW7)은 「ON」작동해서 릴레이(X2)에 힘을 가하고 이것과 형등하는 상시 폐색접점(X2-b1)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개방접점(X2-a)를 폐색시킨다.
이때 얼음제거완료 검지용의 온도검지기(Th1)은 제빙돌기(117)에 얼음덩어리(121)이 생성되므로서 접점 「b」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릴레이(X3)은 힘이 가해지지 않고, 작동기용전동기(AM)은 회전이 정지되고, 물접시(116)은 제33도에 나타내는 소요의 경사이동 각도에 도달한 위치에서 경사이동을 정지한다.
이때 제빙실(129)의 내부에는 제빙수의 일부가 상기한 저지둑판(148)에 의해 둑저지 되어서 잔류하지만 이 잔류수는 앞서의 제빙운전에 따라 충분히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제빙운전을 위해 보급되는 새로운 제빙수와 혼합되어서 제빙수 전체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가 있다.
또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에 의해 제빙돌기(117)의 주위에 형성된 얼음덩어리(121)은 그 돌기(117)에 부착된 상태로 노출된다.
다시 또 물접시(116)이 경사이동을 정지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요동판(154)의 직립편(160)이 상기한 제빙기판(118)에 맞닿기 때문에 그후에 경사이동을 정지한 물접시(116)에 있어서의 제빙실(129)의 저면(116a)보다도 요동판(154)는 경사지게 위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요동판(154)는 얼음덩어리(121)이 낙하한때 이것을 얼음저장실(183)으로 안내하기 위한 활강낙하용 활강기로서도 기능한다.
다시 또 요동판(154)의 요동단말가장자리부에 절단부(180)을 형성했기 때문에 물접시(116)의 경사이동에 있어서 그 물접시(116)에 잔류하고 있는 제빙수가 요동판(154)에 의해 직립벽(116d)의 상단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작동기용전동기(AM)의 정지와 동시에 상기한 열가스밸브(HV)가 개방되고, 제40도의 시간도표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냉매대신에 열가스를 증발관(131)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제빙기판(118)을 거쳐서 제빙돌기(117)은 급속히 가열된다.
이 때문에 제빙돌기(117)과 얼음덩어리(121)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그 얼음덩어리(121)은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그리고 상기한 직립편(160)에 의해 소요의 경사자세로 유지되어 있는 요동판(154)의 상면을 활강낙하하여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한 얼음저장실(183)내로 안내 방출된다.
이 얼음덩어리(121)의 낙하에 의해 제빙기판(118)에 있어서의 마이너스의 온도부하가 해제되고, 그 기판(118)은 상기한 증발관(131)에서의 열가스의 유통에 의해 일거에 온도상승하게 된다.
이 온도상승을 상기한 온도검지기(Th1)이 검출하여 즉시 접점「a」측으로 전환하므로서, 릴레이(X3)에 힘이 가해져서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개방접점(X3-a1)이 폐색되므로서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이 재개된다.
또, 상기한 열가스밸브(HV)가 폐색되고, 상기한 증발관(131)에의 냉매공급이 재개된다
전동기(AM)의 회전재개에 의해 캠판(136)연결레버(137) 및 레버편(133b)의 작용하에 선회지지축(1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물접시(116)도 같은모양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수평자세에의 복귀를 개시한다.
또 전동기(AM)의 회전재개에 따라 캠판(136)의 제2캠부(151)이 제3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9스위치(SW9)의 레버편(153)에 도래하고, 그 스위치를 「ON」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급수밸브(WV)를 개방시키고, 제빙실(129)에 제빙수를 보급한다.
그리고 캠판(136)의 제1캠부(150)이 제7스위치(SW7)의 레버편(152)로부터 이탈하면 그 스위치(SW7)이 「OFF」작동하고, 급수밸브(WV)를 폐색시켜서 제빙수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작동기용 전동기(AM)이 정지한다.
이것은 릴레이(X3)이 자기유지되어서 그 릴레이(X3)의 상시폐색 접점(X3-b)를 개방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물접시(116)은 수평자세로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물접시(116)을 수평자세로 복귀시킴에 있어서 제3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수평자세를 넘어서 경사개방단말(직립벽 116d 측)이 높게되는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시킨후,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서 수평자세에서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물접시(116)에 설치한 저지둑판(148)이 높은수준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제빙실(129)에 저지둑판(148)로부터 넘쳐흐르는 양만큼 제빙수를 공급하면 그물접시(116)이 수평자세로 복귀한때에는 제빙실(129)에 필요량의 제빙수가 확실히 공급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빙수의 부족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선회지지축(133)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 레버편(133b)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33e)의 상단은 부착지그(138)에 있어서의 돌기편(138a)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이동하고, 비틀림용수철(139)의 단말부(139b)는 걸어맞춤편(133e)의 상단에 걸어맞추어진다(제36(a)도 참조).
이것에 의해 부착지그(138)은 비틀림용수철(139)의 탄력의 가하는 힘에 의해 선회지지축(133)을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요동부재(159)를 그 요동돌기(159a)가 요동판(154)의 걸어맞춤편(158)에 걸어맞춤이 가능한 작동위치에 임하게 한다.
따라서 제7스위치(SW7)이 「OFF」작동해서 릴레이(X2)가 힘이 감소되면,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 폐색접점(X2-b2)가 폐색해서 상기한 요동용 전동기(RM)을 회전시키고, 제빙운전중에 있어서의 요동판(154)의 상하요동을 재개한다.
상기한 제빙운전 얼음제거운전이 반복되어서 얼음저장실(183)에 소정량의 얼음덩어리(121)이 저장된 상태에서 제빙운전이 완료되어서 물접시(116)이 경사이동하면, 그 경사이동과정에서 상기한 검지판(166)이 얼음덩어리군에 맞닿아서 경사이동이 저지되고, 이에 대해 경사이동을 계속하는 물접시(116)에 대해 회전해서 얼음저장완료검지용의 제8스위치(SW8)을 「ON」작동시킨다.
이때에는 제28도에 나타는 제7스위치(SW7)이 「ON」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릴레이(X1)이 힘이가해져 있으므로 이것과 협동하는 상시 폐색접점(X1-b1)(X1-b2)가 개방되고, 작동기용전동기(AM)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압축기(CM)에의 통전도 정지된다.
또 제빙운전과 얼음제거운전을 반복하면 상기한 제빙기판(118)에는 결로수가 발생하지만 그 결로수는 관통구멍(118a)를 거쳐서 떨어져서 그 상면에 고이지 않기 때문에 제빙운전에 있어서 그 결로수가 결빙해서 성장하는데 기인하는 냉각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불필요한 얼음이 제빙기판(118)의 측면쪽에 덧붙어서 물접시(116)의 경사이동기구나 요동판(154)의 요동기구에 간섭하는 일은 없고, 물접시(116)의 경사이동 및 요동판(154)의 요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역테이퍼(taper)형상의 제빙돌기(36)(117)을 제빙기판(34)(118)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늘어지게한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빙돌기는 소위 제빙부로서 기능하는 중추적인 피냉각부재이면 둥근막대 형상의 부재나 핀형상의 부재등 각종의 것을 아주 적당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압축기(CM)이나 응축기(18)(111)등을 구비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22)(131)과 이중빌관(22)(131)이 배치됨과 동시에, 제빙부(36)(117)을 설치한 제빙기판(34)(118)과를 구비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부(36)(117)에 대해 접근 이간동작을 행하는 요동판(44)(154) 및 요동수단(61)(62)(RM)(159)와 상기한 제빙부(36)(117)의 주위에 소요의 얼음덩어리(70)(21)이 형성되고, 이 얼음덩어리(70)(121)에 상기한 요동판(44)(154)이 맞닿은 위치에 의해 동작하는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SW10)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빙완료 검지스위치(SW4)(SW10)의 신호에 의해 상기한 제빙부(36)(117)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기구.
  2. 압축기(CM)이나 응축기(18)등을 구비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22)와 이 증발관(22)가 상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에 다수의 제빙부(36)을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설치해 늘어지게한 제빙기판(34)와 제빙기 본체에 고정시킨 지지축(52)에 의해 경사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통상은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32)내의 제빙수에 상기한 제빙부(36)을 침지시키도록한 물접시(24)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빙부(36)의 주위에 제빙수가 결빙해서 얼음덩어리(70)이 형성되면 상기한 물접시(24)를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시키도록 구성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실(32)의 내부에 수납배치되고, 그 제빙실(32)의 저면에 대해 근접 및 이간이 자유롭게 요동가능한 요동판(44)와 상기한 제빙기의 본체측에 소요의 외부힘을 받아서 약간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회전축에 설치한 제1걸어맞춤수단(62)와 상기한 요동판(44)에 설치한 제2걸어맞춤수단과의 걸어맞춤작용하에 그 요동판(44)를 요동시키는 요동용 전동기(RM)과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의 이동궤적에 임하게한 제빙완료검지스위치(SW4)로 구성되고,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이 제1 및 제2 걸어맞춤수단(62)(61)을 거쳐서 요동판(44)을 요동시키는데 있어서 상기한 제빙부(36)의 주위에 형성된 얼음덩어리(70)에 상기한 요동판(44)가 맞닿아서 그 요동용전동기(RM)에 반력이 가해지면 그 전동기(RM)이 소요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스위치(SW4)를 작동시켜 그 제빙부(36)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기구.
  3. 압축기(CM)이나 응축기(111)등을 구비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131)과 이 증발관(131)이 상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에 다수의 제빙부(117)을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설치하여 늘어지게한 제빙기판(118)과 제빙기본체에 경사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통상은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129)내의 제빙수에 상기한 제빙부(117)을 침지시키도록한 물접시(1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빙부(117)의 주위에 제빙수가 결빙해서 얼음덩어리(121)이 형성되면 상기한 물접시(116)을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시키도록 구성한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한 제빙실(129)의 내부에 수납배치되고, 그 제빙실(129)의 저면에 대해 근저 및 이간이 자유롭게 요동가능한 요동판(154)와 제빙기의 본체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요동용전동기(RM)이 배치되는 부착지그(138)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요동수단(159)와 상기한 요동수단(159)에 설치되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요동판(154)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재(158)과의 걸어맞춤작용하에 요동판(154)를 요동시키는 걸어맞춤부재(159a)와 요동수단(159)의 회전궤적에 임하게한 제방완료 검지수단(SW10)과 상기한 부착지그(138)에 걸어맞추어지고 요동수단(159)를 제빙완료 검지수단(SW10)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39)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요동수단(159)의 걸어맞춤부재(159a) 및 요동판(154)의 걸어맞춤부재(158)을 거쳐서 요동판(154)를 요동시키는 때에 제빙부(117)의 주위에 형성된 얼음덩어리(121)에 요동판(154)가 맞닿아서 요동수단(159)를 거쳐서 부착지그(138)에 반력이 가해지면 부착지그(138)이 탄성부재(139)의 탄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요동수단(159)에서 상기한 제빙완료검지수단(SW10)을 작동시켜 상기한 제빙부(117)에서의 제빙완료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39)는 제빙기의 본체측에 배치된 비틀림용수철이며 이 비틀림용수철(139)는 제빙완료를 검출해서 상기한 물접시(116)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한 때에 부착지그(138)에 대한 가하는 힘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제빙완료 검지기구.
  5. 압축기(CM)나 응축기(18)(111)등을 구비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22)(131)과 이 증발관(22)(131)이 상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에 다수의 제빙부(36)(117)를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설치해 늘어지게한 제빙기판(34)(118)과 경사이동이 자유롭고 통상시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32)(129)내에 제빙수에 제빙부(36)(117)이 침지되는 물접시(24)(116)과 제빙부(36)(117)의 주위에 제빙수가 결빙되어서 소요의 얼음덩어리(70)(121)이 형성되면 물접시(24)(116)을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시키는 경사이동기구(56)(50a)(130)(133)(136)(137)(AM)으로 구성한 제빙기에 있어서 물접시(24)(116)에 있어서의 제빙실(32)(129)의 내부에 제빙실(32)(129)의 저면에 대해 근접 및 이간이 자유롭게 요동가능한 요동판(44)(154)를 수납배치하고, 물접시(24)(116)의 바깥쪽에 배치한 요동수단(62)(159)(RM)과 상기한 요동판(44)(154)와의 걸어맞춤 작용하에 제빙운전중에 요동판(44)(154)를 제빙실(32)(129)의 내부에서 요동시켜서 제빙실(32)(129)내의 제빙수를 운동시켜 이것에 의해 제빙부(36)(117)의 주위에 형성되는 얼음덩어리(70)(121)의 백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요동판(44)(154)에는 그 요동중에 제빙수의 유통을 허용하는 관통구멍(46)(155)가 소요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요동수단이 제빙기 본체측에 설치한 요동용 전동기(RM)와 그 전동기(RM)의 회전축에 설치되어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편(62)와 요동판(44)의 개방단말부에 설치되어서 수평으로 돌출한 걸어맞춤핀(61)로 구성되고,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되는 걸어맞춤편(62)가 걸어맞춤핀(61)과의 걸어맞춤 및 이탈을 반복해서 요동판(44)에 그 요동지지축(48)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요동판(154)는 물접시내에 수납가능한 주위치수의 저면판(154a)의 1단말가장자리부에 요동판(154)를 물접시(116)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직립부(154a)를 구비하고, 상기한 저면판(154a) 및 직립부(154b)에 복수의 관통구멍(155)가 형성됨과 동시에 저면판(154a)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55)는 제빙수에 침지된 상기한 각 제빙부(117)의 사이에 임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저면판(154a)의 요동방향에 따른 양단말 가장자리부에 소정의 높이의 직립부(154c)(154d)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요동판(154)에 있어서의 저면판(154a)의 요동단말측의 가장자리부에 소요의 간격으로 복수의 절단부(18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요동수단이 제빙기의 본체측에 설치한 요동용전동기(RM)과 그 전동기(RM)의 회전축에 설치된 요동부재(159)와 이 요동부재(159)의 한쪽면에 편심해서 돌출설치된 요동돌기(159a)와 요동판(154)의 개방단말부에 설치되어서 수평으로 뻗어나온 수평부(158a)로 구성되고,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되는 요동돌기(159a)가 상기한 수평부(158a)와의 걸어맞춤 및 이탈을 반복해서 요동판(154)에 요동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12. 압축기(CM)이나 응축기(111)등을 구비한 냉동계에 접속하는 증발관(131)과 이 증발관(131)이 상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면에 다수의 제빙부(117)을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설치해 늘어지게한 제빙기판(118)과 경사이동이 자유롭고 통상은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구획형성한 제빙실(129)내의 제빙수에 상기한 제빙부(117)이 침지되는 물접시(116)과 상기한 제빙부(117)의 주위에 제빙수가 결빙해서 소요의 얼음덩어리(121)이 형성되면 상기한 물접시(116)을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경사이동시키도록 구성한 제빙기에 있어서, 물접시(116)에 있어서의 제빙실(129)의 내부에 수납배치되고, 제빙실(129)의 저면에 대해 근접 및 이간이 자유롭게 요동가능한 요동판(154)와 상기한 제빙기의 본체측에 배치된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요동수단(159)와 그 요동수단(159)에 설치되고 요동용전동기(RM)의 회전에 의해 요동판(154)와의 걸어맞춤 및 이탈을 반복해서 제빙운전중에 그 요동판(154)를 제빙실(129)의 내부에서 요동시키는 걸어맞춤부재(159a)와 상기한 요동수단(159)에 설치되고 원주방향의 소요위치에 절단부(159b)를 형성한 제어부(159b)와 상기한 제어부(159b)의 회전궤적에 임하게한 검지수단(SW10)과를 구비하고, 제어부(159b)의 절단부(159c)는 걸어맞춤부재(159a)가 요동판(154)로부터 이간되는 위치에 임한때에 검지수단(SW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임하도록 설정되고, 요동용전동기(RM)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요동수단(159)의 걸이 맞춤부재(159a)가 요동판(154)에 걸어맞추어진 때에 제어부(159b)로 검지수단(SW10)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제빙완료 신호에 의해 회전을 계속하는 제어부(159b)의 절단부(159c)가 검지수단(SW10)에 도달하면 검지수단(SW10)의 작동을 해제하고, 이때 요동용전동기(RM)을 정지시키므로서 걸어맞춤부재(159a)를 요동판(154)로부터 이간되는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제빙기의 본체측에 부착지그(138)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그 지그(138)에 요동용전동기(RM)이 배치됨과 동시에 요동수단(159)가 부착지그(138)에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기구.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요동수단(159)는 원판형상본체(159d)의 한쪽면에 상기한 걸어맞춤부재(159a)가 편심되게 돌출설치됨과 동시에 타면측에 제어부(159b)가 동축으로 돌출설치되고, 이 제어부(159b)가 요동용전동기(RM)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백탁방지 기구.
KR1019930011804A 1992-07-31 1993-06-28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KR100272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65192U JP2567197Y2 (ja) 1992-07-31 1992-07-31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92-59651 1992-07-31
JP1992061010U JP2570435Y2 (ja) 1991-12-10 1992-08-05 製氷機の製氷完了検知機構
JP1992064399U JP2572174Y2 (ja) 1991-12-10 1992-08-22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1992069818U JP2586200Y2 (ja) 1992-09-09 1992-09-09 製氷機の製氷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894B1 true KR100272894B1 (ko) 2000-11-15

Family

ID=2746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804A KR100272894B1 (ko) 1992-07-31 1993-06-28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580951B1 (ko)
KR (1) KR100272894B1 (ko)
DE (1) DE69307418T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60B1 (ko) 2009-03-17 2011-10-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얼음 제조기 및 투명얼음 제조방법
KR101156905B1 (ko) 2009-09-30 2012-06-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4619B1 (ko) * 2010-06-24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제조방법
KR101264618B1 (ko) * 2010-06-24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제조방법
KR101746613B1 (ko) * 2015-09-18 2017-06-13 박창우 투명 얼음 제조용 먹는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6522B (zh) * 2010-04-12 2012-03-07 大连三洋压缩机有限公司 一种载冷剂垂直循环的制冰装置
CN102022874B (zh) * 2010-11-18 2012-06-06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制冰机及具有该制冰机的制冷设备
KR101952299B1 (ko) * 2015-11-18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얼음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667825A (zh) * 2021-03-16 2023-01-31 Dh环球株式会社 家用制冰机以及用家用制冰机制造趣味形状冰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6753A (en) * 1961-04-27 1962-07-31 Frank Carapico Sr Apparatus for producing ice cubes
US4045979A (en) * 1975-11-28 1977-09-06 Castel Mac S.P.A. Ice-making machine
GB1533295A (en) * 1975-12-31 1978-11-22 Apostolou 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and continuous production of ice-cubes
BE856123A (nl) * 1977-06-27 1977-10-17 Simkens Alfons P M L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ijsblokjes
FR2424493A1 (fr) * 1978-04-27 1979-11-23 Wessa Theo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blocs de glace transparente
US4199956A (en) * 1978-10-04 1980-04-29 Lunde Howard L Ice cube making machine
GB2234802B (en) * 1989-07-21 1992-10-28 Marcellus Carolus Paul Simkens Device for making ice cubes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60B1 (ko) 2009-03-17 2011-10-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투명얼음 제조기 및 투명얼음 제조방법
KR101156905B1 (ko) 2009-09-30 2012-06-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2120B1 (ko) * 2009-09-30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US9528738B2 (en) 2009-09-30 2016-12-27 Woongjin Coway Co., Ltd Ic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23006B2 (en) 2009-09-30 2017-11-21 Conway Co., Ltd Ic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64619B1 (ko) * 2010-06-24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제조방법
KR101264618B1 (ko) * 2010-06-24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제조방법
US9541320B2 (en) 2010-06-24 2017-01-10 Woongjin Coway Co., Ltd Ice making method
US9568228B2 (en) 2010-06-24 2017-02-14 Woongjin Coway Co., Ltd Ice making method
KR101746613B1 (ko) * 2015-09-18 2017-06-13 박창우 투명 얼음 제조용 먹는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0951B1 (en) 1997-01-15
DE69307418T2 (de) 1997-06-05
EP0580951A1 (en) 1994-02-02
DE69307418D1 (de) 199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243A (en) Mechanism for detecting completion of ice formation in ice making machine
KR100272894B1 (ko)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JPH024185A (ja) 自動製氷機の製氷促進方法
JPH01196478A (ja) 自動製氷機
EP0580950B1 (en) Ice-making machine
JP2567197Y2 (ja)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2586198Y2 (ja) 製氷機のカム制御機構
JP2550008Y2 (ja) 製氷機の水皿傾動機構
JP2570435Y2 (ja) 製氷機の製氷完了検知機構
US3584470A (en) Centrifugal ice maker
JP2550009Y2 (ja) 製氷機の製氷水貯留機構
JP2568321Y2 (ja) 製氷機
JP2572171Y2 (ja) 製氷機の水皿構造
JP2572174Y2 (ja) 製氷機の白濁防止機構
JP2582642Y2 (ja) 製氷機の水皿傾動機構
JP2552859Y2 (ja) 製氷機の給水管構造
JP3819498B2 (ja) 製氷機
JP2569555Y2 (ja) 自動製氷機の停止装置
JP2600921Y2 (ja) 自動製氷機
JP2552858Y2 (ja) 製氷機の貯氷庫構造
JP3919906B2 (ja) 製氷機
JP2606368Y2 (ja) 自動製氷機
JPH09568U (ja) 自動製氷機
KR20050023865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JPH061141B2 (ja) 自動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