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816B1 - 화상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816B1
KR100271816B1 KR1019970059022A KR19970059022A KR100271816B1 KR 100271816 B1 KR100271816 B1 KR 100271816B1 KR 1019970059022 A KR1019970059022 A KR 1019970059022A KR 19970059022 A KR19970059022 A KR 19970059022A KR 100271816 B1 KR100271816 B1 KR 10027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late
scanning unit
orig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065A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최재혁
주식회사알티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혁, 주식회사알티즌 filed Critical 최재혁
Priority to KR101997005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8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및/또는 사진 등이 혼합되어 도안된 원고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윈도우가 장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원고의 화상을 전기적신호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미지지 스캐닝 유니트가 위치되며, 이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다수의 영역으로 등분된 원고에 따라 X 및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횡,종방향 이송수단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있고, 횡방향 이송수단에는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의 초기 시작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이 장착되며, 횡,종방향 이송수단의 하부에는 전기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수단이 설치되고, 데이터 변환수단은 송출된 화상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화상 입력수단이 케이블로 연결됨으로써, 문자 또는 사진 등이 혼합되어 도안된 원고의 크기에 따라 화상 입력장치의 치수 설정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원고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록장치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편집할 수 있고, 도안의 시작점을 세팅함에 따라 고배율로 확대시 화상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입력장치
본 발명은 화상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 및/또는 사진 등이 혼합된 대형 크기의 원고를 다수의 영역으로 등분함으로써, 원고의 크기에 관계없이 스캐닝한 화상데이터를 기록장치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입력장치는 원고에 인쇄된 문자 또는 사진 등의 도안을 화소(畵素)로 분해한 후 화상데이터를 기록장치에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상 입력장치는 대표적으로 스캐너(scanner)가 사용된다. 스캐너는 케이스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직선왕복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된 본체와 이의 상부에 위치되어 원고에 광을 방사하는 전하결합소자(CCD; chard coupled device) 그리고, 본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아와 전하결합소자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타이밍 벨트가 연결된 구동부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통상의 스캐너는,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윈도우 위에 스캐닝(scanning)할 문자 또는 그림 등이 도안된 원고의 최대 크기 예를들면, A4(297x210) 및/또는 그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올려놓은 다음 케이스에 장착된 트리거 스위치를 누르면, 전하결합소자를 이루는 발광장치가 온(on)됨과 동시에 구동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본체가 가이드바아를 따라 이송되면서 원고에 도안된 화소를 주사한 후 컴퓨터 등의 기록장치로 송출한다.
즉, 윈도우상에 올려진 원고는 발광장치에서 방사된 광이 도안에 조사됨과 동시에 반사되고, 반사된 광신호는 화상을 집속하는 렌즈군 및 화상을 화소단위의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화상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이미지 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된 전기적신호를 해독하여 사용자가 기록장치에서 화상정보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화상 입력장치는 윈도우상에 크기가 작은 원고를 올려놓고 스캔닝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A4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원고는 화상 입력장치의 설정된 치수 보다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원고를 제대로 스캐닝할 수 없음은 물론 기록장치에 송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안된 원고를 설정된 치수의 크기로 자르거나 또는 여러개로 분할한 후 한 장씩 스캐닝한 화소정보를 기록장치로 송출하면, 기록장치에서는 분할된 화소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도안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캐닝방식에서는 여러장의 분활된 화소정보를 조합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함은 물론, 화상을 일일히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 처리 등의 번거로운 수작업이 요구되며, 특히 도안을 고배율로 확대하는 경우에 조합된 도안과 도안의 시작점이 정확하게 맞지 않아 전체적으로 도안의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및/또는 사진 등이 혼합된 원고의 크기에 따라 화상 입력장치의 치수 설정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원고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록장치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편집할 수 있고, 도안의 시작점을 세팅함에 따라 고배율로 확대시 화상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화상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의 외관과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에 적용된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횡방향 이송수단은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횡방향 이송수단의 제1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종방향 이송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종방향 이송수단의 제2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윈도우 12 : 케이스
14 :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 16 : 화상 입력수단
18 : 덮개 20,50 : 제1 및 제2플레이트
22,52 : 지지대 24,54 : 가이드바아
30,60 : 제1 및 제2구동부 32,72 : 구동모터
34,62 : 제1 및 제2브라켓트 36,66,66' : 벨트
38 : 풀리 40 : 매개부재
42,74 : 타이밍 벨트 44 : 홀더
68,70 : 제1 및 제2매개부재 76 : 인쇄회로기판
78 : 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문자 및/또는 사진 등이 도안된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기 위한 화상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윈도우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원고의 화상을 전기적신호로 전송하는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다수의 영역으로 등분된 원고에 따라 X 및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횡,종방향 이송수단과; 상기 횡방향 이송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의 초기 시작점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이송수단의 하부에 위치되어 전기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송출된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상 입력장치는 원고가 올려지는 윈도우(10)가 장착된 케이스(12)와 케이스(12)의 내부에 수평왕복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 및 이를 X,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횡방향 및 종방향 이송수단 그리고,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에 의해 스캐닝된 전기적신호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변환수단 및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송출된 화상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상 입력수단(16)으로 구성되며, 화상 입력수단을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된다.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는 광원과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을 원고에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집속하는 렌즈군 및 집속된 화상을 화소단위의 전기적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통상의 전하결합소자 어레이(array) 등으로 이루어진다.
횡방향 이송수단은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케이스(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장착된 제1플레이트(20)와 제1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22) 및 이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제1플레이트(20)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바아(24) 및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를 횡(좌,우)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30)로 구비된다.
제1구동부(30)는 제1플레이트(20)의 일면으로 제1브라켓트(32)가 고정되고, 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4)와 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벨트(36)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풀리(38)가 압입된 매개부재(40)와 풀리(38) 및 지지대(22)에 각각 연결되어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를 이송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42)로 구비된다.
제1플레이트(20)에는 횡방향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송되는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의 초기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은 다수의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된다. 이 위치결정수단은 제1브라켓트(32)를 잡기 위하여 제1플레이트(20)의 상면에 고정된 홀더(44)와 홀더(44)에 부착되어 설정된 값으로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를 미세 이송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센서(도시되지않음)로 된다.
종방향 이송수단은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플레이트(20)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제2플레이트(50)와 제2플레이트(50)의 상부에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된 지지대(52) 그리고, 지지대(52)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어 제1플레이트(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54) 및 제1플레이트(20)를 종(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60)로 구비된다.
제2구동부(60)는 제2플레이트(5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트(62)와 제2브라켓트(62)의 일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트(66)가 연결된 제1 및 제2매개부재(68)(70) 그리고, 제1매개부재(68)와 벨트(66')로 연결되는 구동모터(72) 및 제2매개부재(70)와 지지대(52)에 각각 연결되어 제1플레이트(20)를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74)로 된다.
데이터 변환수단은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의 전하결합소자 어레이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입력하여 화상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50) 하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76)으로 되며, 인쇄회로기판(76)에는 화상 입력수단(16)과의 통신을 위해 케이블(78)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의 작용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상 입력장치의 가로 및 세로의 치수를 스캐닝할 원고의 크기에 알맞도록 세팅한 다음 케이스(12)의 윈도우(10)상에 원고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덮개(18)를 덮은 다음 케이스(12)의 일측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면, 횡방향 이송수단을 이루는 제1구동부(30)의 구동모터(32)가 작동하면서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를 초기시작점 위치로 미세 이송시킨다. 이때,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가 위치되어 있는 제1브라켓트(34)는 제1플레이트(20)의 홀더(44)에 부착된 위치결정센서에 의해서 초기위치가 결정된다.
그 후, 구동모터(32)에서 제공된 구동력은 벨트(36)에 의해 매개부재(40)로 전달됨과 동시에 매개부재(40)의 풀리(38)와 지지대(22)에 연결된 타이밍 벨트(42)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어 제1브라켓트(34)가 지지대(22)에 평행하게 고정된 가이드바아(24)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되고, 원고에 도안된 문자 및/또는 사진은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의 전하결합소자 어레이에 의해 스캐닝되면서 전기적신호를 인쇄회로기판(76)으로 실시간(real time) 전송한다.
전송된 전기적신호는 화상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쇄회로기판(76)과 케이블(78)로 연결된 화상 입력수단(16)으로 송출하면, 화상 입력수단(16)에서는 원고의 첫 번째의 영역을 스캐닝한 문자 또는 사진 등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첫 번째 영역의 스캐닝이 완료될 때 제2구동부(60)의 구동모터(72)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72)의 구동력이 제2브라켓트(62)에 장착된 제1 및 제2매개부재(68)(70) 측으로 벨트(66)에 의해 전달되고, 제2매개부재(70)와 지지대(52)에 각각 연결된 타이밍 벨트(74)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플레이트(20)를 두 번째 영역의 스캐닝할 위치까지 가이드바아(54)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제1구동부(30)의 구동모터(32)가 역회전되어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를 두 번째 영역의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에서, 첫 번째 원고 영역의 스캐닝이 완료되면 제1구동부(30)를 정지시킨다. 이때, 제1구동부(30)의 정지시점은 통상 스캐닝할 거리에 대한 구동모터(32)의 회전속도(RPM)를 조정함으로써 산술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의 영역으로 복귀된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는 위치결정센서에 의해 시작점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첫 번째 영역을 스캐닝한 원고에 도안된 문자 및/또는 사진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두 번째 영역의 시작위치로 이송된 제1브라켓트(34)는 전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2구동부(60)가 정지한 상태에서 제1구동부(30)에서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서 가이드바아(54)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송되고,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그 의 영역을 스캐닝한다. 이때, 제1구동부(30)는 제2구동부(60)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회전된다.
그리고, 원고의 스캐닝이 모두 완료되면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14)는 제1구동부(30)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20)는 역회전되는 제2구동부(60)에 의해서 제2플레이트(50)의 지지대(52)에 고정된 가이드바아(54)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다른 원고를 스캐닝할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자 또는 사진 등이 혼합되어 도안된 원고의 크기에 따라 화상 입력장치의 치수 설정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원고의 크기에 관계없이 기록장치에서 화상을 확실하게 편집할 수 있고, 도안의 시작점을 세팅함에 따라 고배율로 확대시 화상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도안된 문자 및/또는 사진 등과 같은 원고로부터 화상을 스캐닝하기 위한 화상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윈도우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윈도우에 장착된 원고의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와; 그리고,
    상기 원고를 다수의 화상영역으로 등분하여 스캐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X 및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횡,종방향 이송수단과;
    상기 횡방향 이송수단에 장착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의 초기 시작점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에 의해 스캐닝된 원고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그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송출된 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횡방향으로 장착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바아와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횡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제1구동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이송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장착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에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와 상기 제1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사면에 고정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부착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를 미세 이송시켜 초기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센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 유니트의 전하결합소자 어레이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는 인쇄회로기판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면에 제1브라켓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트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풀리가 압입된 매개부재와 상기 풀리 및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 스캐닝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 제2브라켓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벨트가 연결된 제1 및 제2매개부재와 상기 제1매개부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매개부재 및 지지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입력장치.
KR1019970059022A 1997-11-10 1997-11-10 화상입력장치 KR10027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22A KR100271816B1 (ko) 1997-11-10 1997-11-10 화상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22A KR100271816B1 (ko) 1997-11-10 1997-11-10 화상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65A KR19990039065A (ko) 1999-06-05
KR100271816B1 true KR100271816B1 (ko) 2000-11-15

Family

ID=1952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022A KR100271816B1 (ko) 1997-11-10 1997-11-10 화상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1707B (zh) * 2018-06-29 2024-01-30 佛山石湾鹰牌陶瓷有限公司 微晶板材扫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65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4341C (en) Compact read/write scanner
US7633656B2 (en) Image reading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554704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having a scanning position adjustment capability
US6204494B1 (en) Compact optical scanner wherein the platen member length is less than the platen member width
KR100271816B1 (ko) 화상입력장치
JPH08149257A (ja) 画像入力装置
US6271912B1 (en) Film scanning device
EP0369824A2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218002B1 (ko) 셔틀 스캐너 방식의 복합기에서 프린팅 영역 판별 방법
US20010013957A1 (en) High resolution scanner
US7149003B2 (en) Bi-directional flatbed scanning and automatic document feed
EP0926876B1 (en) An image scanner with automatic document feeder
US20040012803A1 (en) System and method of a scanning moudle incorporated with a printer head
JPH109858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S63172571A (ja) 読取装置
JPS6225557A (ja) 画像読取り装置
TW569605B (en) System for scan module with print head and as the same method
JP2008058718A (ja) スキャ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S61219261A (ja) 画像読取装置
JPS6225560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430605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528429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12974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324132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S6225548A (ja) 画像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