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67B1 -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67B1
KR100270767B1 KR1019970058647A KR19970058647A KR100270767B1 KR 100270767 B1 KR100270767 B1 KR 100270767B1 KR 1019970058647 A KR1019970058647 A KR 1019970058647A KR 19970058647 A KR19970058647 A KR 19970058647A KR 100270767 B1 KR100270767 B1 KR 10027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pwm signal
driving
gate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785A (ko
Inventor
정석태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1997005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7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a H-bridge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WM제어방식을 사용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용 드라이버에서 유지전류 인가시에 사용되는 파우어 저항의 열 발생및 ECU크기가 증대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구동명령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1-I4)와, 상기 인버터(I1-I4)에 의해 반전된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Q4)와, 상기 트랜지스터(Q1-Q4)의 에미터에 콜렉터가 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5-Q8)와, 상기 트랜지스터(Q5-Q8)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구동명령과 PWM신호를 논리곱시키는 앤드게이트(A1-A4)와, 콘트롤 비트와 구형파를 논리합하여 상기 앤드게이트(A1-A4)에 PWM 신호를 출력시키는 오아게이트(OR)로 이루어져 심한 전류 리플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PWM제어방식을 사용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용 드라이버에서 유지전류 인가시에 사용되는 파우어 저항의 열 발생및 ECU크기가 증대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PWM 방식을 적용한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에 구동명령이 입력되고 타측에 PWM신호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A1-A8)와, 상기 앤드게이트(A1-A8)의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Q8)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Q1-Q4)의 각 에미터가 트랜지스터(Q5-Q8)의 콜렉터에 접속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Q1)(Q5)의 접점과 트랜지스터(Q2)(Q6)의 접점이 접속되었고 트랜지스터(Q3)(Q7)의 접점과 트랜지스터(Q4)(Q8)의 접점이 접속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액츄에이터 구동회로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 구동시 콘트롤 비트가 온이 되므로 PWM신호는 항상 1상태가 되고, 구동명령 신호에 의해서만 트랜지스터(Q1-Q8)가 온되므로 코일(L1)(L2)에 전류가 인가되어 액츄에이터가 작동된다.
또한, 유지모드시에는 콘트롤 비트만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는 구형파의 듀티비에 의해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면서 PWM전류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유지전류는 정격전류의 1/3이 되도록 구형파의 듀티비를 조정한다.
도 2는 PWM작동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유지 전류 파형은 300-380mA의 리플현상을 보이며, 이 전류의 변동은 회로에 전자기 노이즈 현상을 유발하며, 또한 액츄에이터의 유지토오크의 변화를 유발하여 심한 경우는
오프-트랙킹(Off-tracking)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NPN, PNP 트랜지스터에 모두 PWM신호를 인가하지 않고 NPN트랜지스터에만 PWM신호를 인가하여 심한 전류 리플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입력되는 구동명령을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상기 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된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 1스위칭수단과 접속되어 스위칭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구동명령과 PWM신호를 논리곱시켜 상기 제 2스위칭수단의 입력단에 출력시키는 앤드게이트와, 콘트롤 비트와 구형파를 논리합하여 상기 앤드게이트에 PWM 신호를 출력시키는 오아게이트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의 회로도
도 2는 종래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유지전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 전류 리플 현상을 개선하여 PWM방식을 적용한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1-Q8:트랜지스터 I1-I4:인버터
A1-A4:앤드게이트 OR:오아게이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도로, 입력되는 구동명령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1-I4)와, 상기 인버터(I1-I4)에 의해 반전된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Q4)와, 상기 트랜지스터(Q1-Q4)의 에미터에 콜렉터가 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5-Q8)와, 상기 트랜지스터(Q5-Q8)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구동명령과 PWM신호를 논리곱시키는 앤드게이트(A1-A4)와, 콘트롤 비트와 구형파를 논리합하여 상기 앤드게이트(A1-A4)에 PWM 신호를 출력시키는 오아게이트(O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구동시, 콘트롤 비트를 턴온시키므로 오아게이트(OR)로부터의 PWM신호는 항상 1이 되며, 이에따라 액튜에이터의 구동명령[1],구동명령[2],구동명령[3],구동명령[4]중 하나만 하이레벨이 되고 나머지는 로우레벨이 되게하여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여기서,구동명령[1]∼[4]중 하나만 하이레벨이 되면, 인버터(I1-I4)와 앤드게이트(A1-A4)중 해당 되는 소자가 동작하여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액튜에이터를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서는 구동명령[1]→구동명령[2]→구동명령[3]→구동명령[4]순으로 순차적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며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구동명령[4]→구동명령[3]→구동명령[2]→구동명령1[→]순으로 순차적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며, 이때 액튜에이터에는 정격전류가 인가된다.
이 액튜에이터의 구동후 모드유지를 하고자할 때에는 마지막 구동명령(구동명령[1]∼[4]중 하나임)만을 하이레벨 상태로 유지시키고 콘트롤비트를 '0'이 되게 한다.
예를들어, A 상에서 유지시키고자할 때에는 구동명령[1]만 하이레벨로 유지시키면 된다.
상기 도 3의 개선된 구동회로를 통하여 측정한 전류파형이 도 4로 이 전류파형을 고찰하면 유지전류는 330∼365mA현상이 관찰되나, 이는 종래 도 1과 같은 회로의 45%전도의 전류변동으로써 상당히 양호한 전류파형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PNP,NPN트랜지스터에 모두 PWM신호를 입력시키지 않고 NPN트랜지스터에만 PWM신호를 입력시켜 심한 전류 리플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구동명령을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상기 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된 출력레벨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스위칭수단과, 상기 제 1스위칭수단과 접속되어 스위칭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구동명령과 PWM신호를 논리곱시켜 상기 제 2스위칭수단의 입력단에 출력시키는 앤드게이트와, 콘트롤 비트와 구형파를 논리합하여 상기 앤드게이트에 PWM 신호를 출력시키는 오아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제2스위칭 수단이,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KR1019970058647A 1997-11-07 1997-11-07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KR10027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647A KR100270767B1 (ko) 1997-11-07 1997-11-07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647A KR100270767B1 (ko) 1997-11-07 1997-11-07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85A KR19990038785A (ko) 1999-06-05
KR100270767B1 true KR100270767B1 (ko) 2000-11-01

Family

ID=1952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647A KR100270767B1 (ko) 1997-11-07 1997-11-07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8945A (zh) * 2015-03-30 2017-11-28 索尼公司 功率门控控制电路以及半导体器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8945A (zh) * 2015-03-30 2017-11-28 索尼公司 功率门控控制电路以及半导体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85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767B1 (ko) 액츄에이터 구동 드라이버
US5534769A (en) Synchronous rectifying circuit
JP2898140B2 (ja) トランジスタブリッジ回路
US5939854A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ed reluctance motor
JPH0515325B2 (ko)
JP3049938B2 (ja) Igbtのゲート駆動方法
JPH04157813A (ja) ハイサイド・スイッチ駆動回路
JP4842663B2 (ja) 汎用ドライバ回路
JP280879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KR100486354B1 (ko) 모터구동집적회로의출력단회로
KR100377793B1 (ko) 저전력구동을위한히스테리시스동기모터구동회로
KR920004064Y1 (ko) 전자식 전원 스위치 회로
JP2819878B2 (ja) パルス出力装置
JPH0686569A (ja) インバータ回路
JP2539383B2 (ja) 直流モ−タのパルス幅変調制御方式
JPH0677340U (ja) 負荷駆動回路
JPS5833793B2 (ja) トランジスタインバ−タのトランジスタ駆動装置
JPH01235119A (ja) ラッチングリレー駆動回路
JPS6231481B2 (ko)
JPS5927620A (ja) ドライバ回路
JP2000196428A (ja) 自己保持機能を持つスイッチング回路
JPH0582144U (ja) ダイオードドライバー回路
JPH01268326A (ja) 電磁雑音の発生を低下させる電力制御回路
JPH0454723A (ja) 出力回路
JPH0537326A (ja) 負荷駆動回路のゲート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