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256B1 -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256B1
KR100270256B1 KR1019940037632A KR19940037632A KR100270256B1 KR 100270256 B1 KR100270256 B1 KR 100270256B1 KR 1019940037632 A KR1019940037632 A KR 1019940037632A KR 19940037632 A KR19940037632 A KR 19940037632A KR 100270256 B1 KR100270256 B1 KR 10027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mulsion
oiling agent
discharge ho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288A (ko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4003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256B1/ko
Publication of KR96002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6Humidity control, or oiling,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밭명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등의 합성섬유를 용융방사함에 있어서, 주행하는 사조에 윤활제와 대전 장지제등이 함유된 유제를 급유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시말하면 주행 사조에 균일급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사조(F)가 토출안내되는 가이드면(110)의 상부측에 유제를 사조(F)측으로 공급토록 하는 유제토출공(120)과, 이의 하부위치에 공급되는 유제를 사조(F)측에 도포하도록 하는 유제급유홈(130)과, 상기 유제토출공(120)과 유제급유홈(130)을 연결하여 유제토출공(120)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제를 유제급유홈(130)으로 유도하는 유제유도홈(131)과, 외부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유제를 사조(F)의 표면에 침투시키도록 하는 공기분사공(14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창치
제1도 종래 유제급유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제2도 본 고안 유제급유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제3도 본 고안 유제급유장치의 측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제급유장치 110 : 가이드면
120 : 유제토출공 130 : 유제급유홈
131 : 유제유도홈 140 : 공기분사공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등의 합성섬유를 용융방사함에 있어서, 주행하는 사조에 윤활제와 대전 방지제등이 함유된 유제를 급유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시말하면 주행 사조에 균일급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제를 급유하는 장치로서는 로울러식 장치가 있고, 근래에는 계량펌프(measuring pump)애 의해 일정하게 급유되는 유제가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되어 이를 주행하는 사조에 급유하는 가이드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후자의 방식은 유제 공급량의 변경에 따른 급유량을 쉽게 조절하고, 방사장력을 감소시켜 고속방사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급유 가이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사조의 주행에 수반해서 발생되는 기류, 주행사도와 급유가이드 토출공 및 사조 통과부의 미세한 어긋남등으로 인하여 유제가 토출공으로 부터 직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좌우로 치우쳐 흘러내리는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이와같은 현상은 가이드 급유방식의 장점인 정량·균일 급유를 곤란하게 하고, 급유되는 유제가 사조에 흡수되지 않고 외부로 비산되어 방사장치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폐단의 원인이 된다. 더구나, 주행사조에 균일 급유가 되지 않으면 유제 부족과 유제가 미부착된 부분의 섬유가 후공정의 사도에서 마찰 마모되어 사 절단등에 의한 모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가 일본 특개소 63-12O1O6호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는 첨부도면의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조(F)가 토출안내되는 가이드면(1O)에 유제가 사조(F)측으로 토출되는 유제토출공(11)이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유제토출공(11)으로 부터 토출되는 유제가 흘러내려 정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조(F)측으로 유제를 급유하기 위한 유제급유홈(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구성외에도 유제토출공(11)과 그 하부의 유제급유홈(12)을 연결하는 유로를 설치한 구성이다.
그렇지만 상기에서와 같은 급유 방식에서도 주행하는 사조(F)와 유제를 단순히 접촉에 의한 방식에 의해 급유를 하는 것임으로 사조(F)의 필라멘트수가 많아질 경우에는 접촉면과 비접촉 주행부의 필라멘트 사이에는 유제 부착량의 편차가 증가되어 제사공정에서 사절단의 문제점은 계속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가이드 급유장치에서 발생하는 불균일한 급유로 인한 사품질의 저하와 조업성 및 제사 안정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유제급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주행사조를 급유가이드에 유도되어 유체토출공과 하부의 유제급유홈에서 급유된 후 유제급유홈 하부에 구비된 공기토출공으로 부터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로서 급유된 유제를 각 필라멘트간에 균일하게 침투 도포시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유제급유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유제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유제급유수단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유제급유장치(1OO)은 사조(F)가 토출되면서 접촉안내되는 가이드면(110)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의 가이드면(110)의 상부 경사면에는 유제가 별도의 장치에 의해 사조(F)측으로 토출되는 유제토출공(1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제토출공(120)의 하부에는 상기 유제토출공(120)으로 부터 유제를 공급받아 사조(F)로 급유하도록 하는 유제급유홈(130)이 갖추어져 있음과 동시에 이의 유제급유홈(130)과 상기 유제토출공(120)과의 사이에는 유제토출공(120)으로 토출되는 유제를 유제급유홈(130)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공급토록 하는 유제유도홈(13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제급유홈(130)의 하부에는 압축된 공기를 사조(F)축으로 공급 분사토록 하는 공기분사공(14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유제급유장치는 유제토출공(120)에서 토출된 유제가 유제유도홈(131)을 따라 흘러내리면셔 주행하는 사조(F)와 접촉되므로 편류 현상이 방지되어 적절한 급유를 할 수 있으며 급유된 사조(F)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공(140)의 분사 공기에 의해서 섬유표면에 급유된 유제를 각 필라멘트간에 균일하게 침투 도포시킬수가 있어 이후 제조공정에서 사도와의 마찰에 의한 사절단등을 방지하고 조업성은 물론 제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를 방사속도 3.500m/min로 방사하여 본 발명의 유제급유장치를 사용하여 100D/72F의 부분 미연신사를 제사하였다. 사용한 유제는 농도 9%의 에멀젼형이고, 사조에 대한 유제 부착량은 1.0중량%였다. 공기 분사공에 공급한 공기 압력은 O.8㎏/㎠고 주행 사조가 공기 분사공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사도를 조정하고 급유 가이드 하부에는 사조가 가이드 사조 접촉면으로 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막대형 가이드를 추가하였다. 얻어진 미연신사는 연신 공정에서 배율 1.34로 연신하여 75D/72F의 연신사로 만들어 연신사의 사균 제도(U%)와 모우 발생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와 동일한 방사조건으로 하고 급유가이드는 제1도에 나타낸 종래장치를 사용하여 제사하고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Claims (1)

  1. 합성섬유용 유제 급유장치에 있어서, 사조(F)가 토출안내되는 가이드면(11O)의 상부측에 유제를 사조(F)측으로 공급토록 하는 유제토출공(120)과, 이의 하부위치에 구비되고 공급되는 유제를 사조(F)측에 도포하도록 하는 유제급유홈(130)과, 상기 유제토출공(120)과 유제급유홈(130)의 사이에 구비되고 유제토출공(120)으로 부터 공급되는 유제를 유제급유홈(130)으로 유도하는 유제유도홈(131)과, 외부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유제를 사조(F)의 표면에 침투시키도록 하는 공기분사공(1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용 유제급유장치.
KR1019940037632A 1994-12-28 1994-12-28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KR10027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32A KR100270256B1 (ko) 1994-12-28 1994-12-28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32A KR100270256B1 (ko) 1994-12-28 1994-12-28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288A KR960023288A (ko) 1996-07-18
KR100270256B1 true KR100270256B1 (ko) 2000-10-16

Family

ID=1940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632A KR100270256B1 (ko) 1994-12-28 1994-12-28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116A (ko) * 2018-02-05 2019-08-14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급유 가이드 및 방사 인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116A (ko) * 2018-02-05 2019-08-14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급유 가이드 및 방사 인취 장치
KR102464606B1 (ko) 2018-02-05 2022-11-10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급유 가이드 및 방사 인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288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997A (en) Continuous process for melt-spinning monofilaments
CA1085121A (en) Liquid treating filaments and fibres from curved slot
GB1361172A (en) Composite spun yarn
JP2003534465A (ja) 先進的仕上げノズル装置
US2161354A (en) Method for lubrication of artificial silk
US3120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yarn
KR100270256B1 (ko) 합성 섬유용 유제 급유장치
EP1501968B1 (de) Texturiermaschine
US4095558A (en) Coating apparatus
US3244142A (en) Finish applicator for a continuous filament yarn
KR0147001B1 (ko) 용융방사형 스판덱스 섬유 제조장치
CN113249804A (zh) 油剂赋予导丝器以及纺丝牵引机
KR100379192B1 (ko) 합성섬유용 방사유제공급장치
GB703613A (en) Process for spinning artificial fibres
JPH0321642B2 (ko)
KR890000600B1 (ko) 트래버어스(Traverse) 장치
JPH0910659A (ja) 油剤付与ガイド
KR930005093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속 방사 방법
EP0185806B1 (en) Supported antistatic yarn, product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077330Y2 (ja) 糸条集束ガイドを兼ねた油剤付与ノズル
CN113802195A (zh) 用于工业缝纫线的涤纶工业丝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DE2409146A1 (de) Vorrichtung zum drehen und aufwinden eines fadens
JPS5812855Y2 (ja) 油剤付与装置
JPS6128010A (ja) 高速製糸方法
JP2004300582A (ja) 繊維用油剤付与ガイド装置および油剤付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