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442B1 - 지폐류의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의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442B1
KR100269442B1 KR1019970027040A KR19970027040A KR100269442B1 KR 100269442 B1 KR100269442 B1 KR 100269442B1 KR 1019970027040 A KR1019970027040 A KR 1019970027040A KR 19970027040 A KR19970027040 A KR 19970027040A KR 100269442 B1 KR100269442 B1 KR 10026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ed light
banknote
polarized
rece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216A (ko
Inventor
미츠히로 나가세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1999000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지폐류의 식별장치는 지폐류의 표면과 소정의 각도로 지폐류의 표면을 비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 발광장치로부터 방출되고 지폐류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그리고 수용된 빛을 P-편광 및 S-편광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광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수광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으로부터의 전기신호 입력을 근거로 P-편광과 S-편광의 명암도에 따라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류 식별장치에 따라서, 지폐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을지라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류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류의 식별장치{BILL OR SECURITY DISCRIMINATING APPARATUS}
본발명의 지폐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히는 지폐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을지라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류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선(securty thread)이라고 부르는 수지, 금속등의 선으로 형성된 금권(gold notes)과 같은 지폐류가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발행되고 있다.
일본 특개평 6-215223호는 이러한 보안선으로 형성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장치는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보안선을 광원으로부터의 빛으로 비추고, 아날로그 신호를 산출하도록 반사된 빛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데이타와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므로서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리고 지폐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지폐류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을 때, 동일한 타입의 보안선에 의해 반사된 빛의 명암도가 변하므로 높은 정밀도로 지폐류를 식별하기 어렵고 식별정밀도는 불가피하게 낮아진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목적은 지폐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을지라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류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식별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어떻게 지폐에 부딪히고 반사되는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지폐식별장치의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식별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식별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6은 지폐에 빛을 스캐닝하는 라인을 도시한 지폐의 개략평면도,
도 7은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지폐식별장치의 개략측면도.
본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지폐류의 표면과 소정의 각도로 지폐류의 표면을 비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 발광장치로부터 방출되고 지폐류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그리고 수용된 빛을 P-편광 및 S-편광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광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수광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으로부터의 전기신호 입력을 근거로 P-편광과 S-편광의 명암도에 따라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으로 구성된 지폐류 식별장치에 의해 달성될수 있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면에서, 식별수단은 S-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P-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P-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또는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S-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P-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P-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또는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차이에 따라서 지폐류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면에서, 빛이 비추어지는 지폐류의 표면을 형성하는 재질의 편광각과 동일하거나 근사하게 소정의 각도가 결정된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면에서, 발광수단은 광원, 시준기 렌즈 그리고 슬릿으로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 적어도 하나의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수광수단은 동기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면에서, 2개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편광분리수단,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제2수광수단은 식별되는 지폐류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4개의 계산수단이 대응하여 구비된다.
본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그리고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식별장치(1)는 지폐이송통로(2) 위에 구비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지폐는 지폐(B)에 구비된 보안선 쪽으로 발광하기 위한 광원(3), 광원(3)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평행광으로 변형시키는 시준기 렌즈(4) 그리고 슬릿(5a)으로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발광장치(6)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할로겐 램프가 광원(3)으로 사용된다.
도 1에서, 지폐(B)는 한쌍의 풀리(7)와 지폐의 더 긴 에지가 이송방향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순환벨트(8)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송수단을 갖춘 이송장치(9)에 의해 이송된다. 수지 또는 금속으로 만든 보안선(10)이 지폐의 짧은 에지와 평행하게 놓이도록 지폐의 한 표면에 새겨져 있다. 광원(3), 시준기 렌즈(4) 그리고 슬릿 플레이트(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빛이 지폐(B)의 표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각도(θ)로 지폐(B)에 부딪히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도(θ)는 보안선(10)을 형성하는 물질의 편광 각도와 동일 또는 근사한 각도로 결정된다.
편광 비임 스플리터(15)는 광원(3)으로부터 이송장치(9)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쪽으로 방출된 빛을 수용하고 그리고 지폐(B)의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될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편광 비임 스플리터(15)는 한쌍의 직각 프리즘을 접착하여 입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지폐(B)의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그리고 이것을 P-편광과 S-편광으로 나눈다. 수광장치(18)는 편광 비임 스플리터(15),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수용하기 위한 제1광센서(16) 그리고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분리된 S-편광을 수용하기 위한 제2광센서(1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광센서(16)와 제2광센서(17)는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의 표면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여기서부터 S-편광과 P-편광이 방출되어 제1광센서(16)와 제2광센서(17)에 의해 수용된 P-편광과 S-편광의 명암도가 서로 같아진다.
더욱이, 광센서(19)는 지폐(B)를 검출하기 위해서 빛이 광원으로부터 지폐(B)쪽으로 방출되는 식별섹션(12)의 바로 상류에 구비되고 그리고, 광센서(19)가 지폐(B)를 검출할 때 검출신호는 나중에 설명하는 CPU 로 출력된다.
본 실시에에서,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하고 그 상부에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여 지폐에 구비된 보안선(10)이 지폐식별장치(1)에서 동일 위치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지폐(B)는 지폐식별장치(1)로 이송된다.
도 3은 지폐식별장치(1)의 검출시스템과 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식별장치(1)의 검출시스템은 식별섹션(12)의 바로 상류에 구비된 광센서(19),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제1광센서(16) 그리고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제2광센서(17)를 포함하고 있다.
지폐식별장치(1)의 제어시스템은 CPU(20),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기 위해 제1광센서(16)와 제2광센서(17)로부터의 검출신호입력을 근거로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회로(21), 계산회로(21)에 의해 산출된 검출데이타를 저장하는 RAM(22), 그리고 지폐(B)에 구비된 보안선(10)으로부터 반사된 빛에 담겨진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에 관한 기준데이타를 저장하는 ROM(23)을 포함하고 있다. CPU(20)는 계산회로(21)에 의해 산출되고 RAM(22)에 저장된 검출데이타와 ROM(23)에 저장된 기준데이타를 판독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한다. CPU(20)는 광원이 지폐(B)쪽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광원(3)을 켜는 구성으로 더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식별장치(1)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폐를 식별한다.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하고 그 상부 에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지폐는 이송장치(9)에 의해 지폐이송통로(2)를 따라 이송된다. 광센서(19)가 식별섹션(12)의 바로 상류에 구비되어 지폐(B)를 식별할 때, 지폐검출신호는 CPU(20)로 출력된다. CPU(20)가 광센서(19)로부터 지폐검출신호를 수용할 때, 지폐(B)가 식별섹션에 도달하면 광원(3)을 켠다.
결과적으로, 빛은 광원(3)으로부터 방출되고 시준기 렌즈(4)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빛은 슬릿(5a)을 통과하여 얇은 광선이 되며 지폐(B)에 구비된 보안선(10)에 점같이 충돌한다.
빛은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되어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수용된다.편광 비임 스플리터(15)는 수신된 빛을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한다. P-편광은 제1광센서(16)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검출되고 S-편광은 제2광센서(17)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검출되어 수신된 P-편광과 수신된 S-편광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제1광센서(16)와 제2광센서(17)로부터 검출신호는 계산회로(21)에 입력되고 계산회로(21)는 입력검출신호를 근거로 검출된 P-편광의 명암도와 검출된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을 계산하여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고 이들을 RAM(22)에 출력한다.
CPU(20)는 RAM(22)로부터 검출데이타와 ROM(23)으로부터의 기준데이타를 판독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보안선(10)의 존재여부, 그 재질 그리고 그 위치에 따라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한다.
보안선(10)으로부터의 입사각이 결정되어 지폐(B)의 표면에 수직방향과의 각도(θ)가 보안선(10)을 형성하는 재질의 편광각과 동일하거나 근사하므로,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은 S-편광 성분의 양보다 훨씬 적고, 계산회로(21)에 의해 산출된 진짜 지폐(B)의 검출데이타는 1보다 훨씬 적다. 한편, 보안선(10)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보안선(10)이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입사면을 형성하는 재질에 따라 편광각이 다르므로, 그리고 보안선(10)에의 입사각이 결정되어 지폐(B)의 표면에 수직방향과의 각도(θ)가 보안선(10)을 형성하는 재질의 편광각과 동일 또는 근사하므로, S-편광 성분의 양에 대한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의 비율은 S-편광 성분의 양에 대한 진짜 지폐에 구비된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의 비율보다 더 크고, 그러므로 계산회로(21)에 의해 산출된 검출데이타는 1에 접근한다. 따라서, 계산회로(21)에 의해 산출된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지폐(B)의 진위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광원(3)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슬릿(5a)을 통과하여 보안선(10)에서 점같이 충돌하고 그리고 표면을 형성하는 재질에 고유한 S-편광 성분의 양에 대한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이 비율은 작은 면적을 갖춘 점 구역에 의해 반사된 빛을 근거로 계산되어 지폐(B)의 진위를 판단하므로, 지폐가 손상되거나 또는 구겨져 있을지라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3)으로부터 점같이 방출된 빛이 지폐(B)에 구비된 보안선을 형성하는 재질의 편광각과 동일 또는 근사한 각도로 보안선(10)에 충돌하고 그리고 S-편광 성분의 양에 대한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의 비율이 계산되어 검출데이타가 산출된다. 그러므로 산출된 검출데이타는 S-편광 성분의 양에 대한 지폐(B)의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P-편광 성분의 양의 비율에 관한 기준데이타와 비교되어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한다. 그러므로 지폐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어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지폐식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5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1)는 보안선(10)이 구비된 지폐(B)의 표면이 위로 향하지만 지폐(B)의 상부 에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해 있지 않은 방식으로 이송되는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안선(10)은 지폐(B)의 중앙위치에 구비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지폐(B)의 짧은 에지부분의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가 고정된 경우에,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하고 그 상부에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지폐(B)가 지폐식별장치(1)로 이송되지 않으면,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을 근거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할 수 없다. 이것에 비추어보아 본 실시예에서 발광장치(6)는 일체의 유니트로서 형성되어 있고, 수광장치(18)는 또한 일체의 유니트로 형성되며,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는 동기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만들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식별장치(1)는 한쌍의 구동풀리(30,30)와 한쌍의 구동풀리(30,30) 주위에 감긴 연결와이어(31)로 더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는 연결와이어(31)에 연결된 장착유니트(32)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는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풀리(30,30)를 회전시키므로서 도 4에서 상부로 부터 하부로 이동시킬수 있다. 구동풀리(30,30)의 구동속도는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를 이동시키면서 발광장치(6)로부터 방출된 빛이 도 4에서 지폐(B)의 상부끝에서 하부끝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지폐(B)가 식별섹션(12)을 통과하도록 결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식별장치(1)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폐(B)를 식별한다.
지폐(B)는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하는 방식으로 이송장치(9)에 의해 지폐이송통로(2)를 따라 이송되고, 식별섹션(12)의 바로 상류에 구비된 광센서(19)가 지폐(B)를 검출할 때, 지폐검출신호는 CPU(20)에 출력된다. CPU(20)가 광센서(19)로부터 지폐검출신호를 수신하면, 지폐(B)가 식별섹션(12)에 도달할 때 광원(3)을 켜고, 동시에 구동풀리(30,30)를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구동풀리(30,30)가 회전하면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지폐(B)는 수평방향으로 이송장치(9)에 의해 이송된다. 결과적으로 지폐(B)의 표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원(3)으로부터 방출된 빛으로 대각선을 따라 스캐닝하고, 지폐(B)에 의해 반사된 빛은 수광장치(18)에 의해 수용된다. 수용된 빛은 편광 비임 스플리터(15)에 의해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된다. P-편광은 광센서(16)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검출되고 S-편광은 광센서(17)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검출된다.
검출신호는 광센서(16)와 광센서(17)로부터 계산회로(21)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B)가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하는 방식으로 지폐식별장치(1)에 공급되므로 보안선(10)은 2개의 다른 위치에서 식별섹션(12)을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위치는 알려져 있으므로, CPU(20)는 계산회로(21)가 검출신호를 근거로 검출된 P-편광과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을 계산하도록하여, 광센서(16)와 광센서(17)가 보안선(10)이 존재할 수 있는 위치로부터 방출된 빛을 검출할때만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고 그리고 검출신호를 검출데이타를 계산하는 계산회로(21)에 출력하고 그리고 이들을 RAM (22)에 출력한다.
CPU(20)는 RAM(22)으로부터 검출데이타를 판독하고 그리고 ROM(23)으로부터 기준데이타를 판독한다. CPU(20)는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여 보안선(10)의 존부, 그 재질 그리고 그 위치에 따라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한다.
하나의 지폐(B)의 식별이 끝나면, CPU(20)는 역방향으로 구동풀리(30,30)를 회전시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보안선(10)이 구비된 표면이 위로 향해 있지만 지폐(B)의 상부 에지부분 또는 하부 에지부분이 소정의 방향으로 향해 있지 않는 방식으로 지폐(B)가 지폐식별장치(1)로 이송될때에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B)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폐식별장치(1)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폐식별장치(1)는 식별섹션(12)위에 두쌍의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 그리고 식별섹션(12) 아래에 2쌍의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를 포함하고 있다. 지폐(B)의 관찰표면 그리고 반대표면이 임의로 위 또는 아래에 있고 지폐(B)의 상부 에지부분 또는 하부 에지부분이 소정의 방향으로 향해 있지 않는 방식으로 지폐(B)가 지폐식별장치(1)에 이송되는 경우에 보안선(10)은 4개의 위치에서 식별섹션(12)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보안선(10)의 존부, 그 재질 및 그 위치를 근거로 지폐(B)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해서 지폐의 4위치에 의해 반사된 빛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폐식별장치(1)가 4쌍의 수광장치(18)와 발광장치(6)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쌍의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를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서도 진위를 식별할 수 있다.
본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발명은 설명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경과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지폐(B)에 구비된 보안선(10)을 비추고,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수신된 빛을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하고, P-편광과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기 위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S-편광 성분과 P-편광 성분의 비율을 계산하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지폐(B)가 식별된다. 하지만, 본발명은 보안선(10)이 구비된 지폐(B)의 식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일부분에 홀로그램이 형성된 지폐(B), 그 일부분에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지폐(B), 그 일부분에 특수 잉크로 인쇄된 지폐(B)등을 특정재질로 형성된 지폐(B)의 부분을 비추고, 그 부분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수신된 빛을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하고, P-편광과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기 위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S-편광 성분과 P-편광 성분의 비율을 계산하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식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지폐(B)가 식별될지라도 본발명은 지폐(B)의 진위의 식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보안선 등으로 형성된 보안부를 식별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할로겐 램프가 광원(3)으로 사용되지만, 광원(3)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그리고 레이저 빔 소스 또는 다른 광원이 사용될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폐(B)가 식별섹션(12)에 도달할 때, 광원(3)은 켜지고 지폐(B)는 식별섹션(12)을 통과하는 동안 일정하게 조명된다. 하지만, 지폐(B)의 진위는 보안선(10)이 존재할 수 있는 지폐(B)의 부분에 빛이 사출될수 있는 위치에 지폐(B)가 도달할때만 광원(3)이 켜지고, 지폐를 빛으로 비추고, 보안선(10)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수신된 빛을 P-편광과 S-편광으로 분리하고, P-편광과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데이타를 산출하기 위해 반사된 빛에 포함된 S-편광 성분과 P-편광 성분의 비율을 계산하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식별된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가 이동할지라도, 대신에 2쌍의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가 보안선(10)이 존재하는 지폐(B)의 부분에 빛이 사출되는 위치에 고정적으로 구비될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지폐(B)의 진위는 검출데이타를 산출하도록 S-편광 성분의 명암도에 대한 P-편광 성분의 명암도의 비율을 얻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식별될지라도 지폐(B)의 진위는 검출데이타를 산출하도록 P-편광 성분의 명암도에 대한 S-편광 성분의 명암도의 비율을 얻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고, 또는 검출데이타를 산출하도록 P-편광 성분과 S-편광 성분의 명암도 사이의 차이를 얻고 그리고 검출데이타를 기준데이타와 비교하므로서 식별될수 있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풀리(30,30)의 구동속도가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를 이동시키면서 발광장치(6)로부터 방출된 빛이 도 4의 지폐(B)의 상부끝으로부터 하부끝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지폐(B)가 식별섹션(12)을 통과하도록 결정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풀리(30,30)의 구동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지폐(B)가 식별섹션(12)을 통과하는 동안도 4의 지폐의 상부끝으로부터 하부끝으로 발광장치(6)로부터 방출된 빛이 이동하도록 구동풀리(30,30)의 구동속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발광장치(6)와 수광장치(18)가 도 4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할지라도, 이들은 도 4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본명세서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각각의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인 수단 및 장치일 필요는 없는데, 각각의 수단의 기능은 본발명의 범위내에 소프트웨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단일 수단의 기능은 2개 이상의 물리적인 수단에 의해 달성될수 있고 그리고 2개 이상의 수단의 기능은 단일의 물리적인 수단에 의해 달성될수 있다.
본발명에 따라서, 지폐가 손상되거나 구겨져 있을지라도 높은 정밀도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류 식별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Claims (9)

  1. 지폐류의 표면과 소정의 각도로 지폐류의 표면을 비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 발광장치로부터 방출되고 지폐류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용하고 그리고 수용된 빛을 P-편광 및 S-편광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P-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광수단, 적어도 하나의 편광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S-편광을 광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빛의 명암도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수광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수광수단으로부터의 전기신호 입력을 근거로 P-편광과 S-편광의 명암도에 따라서 지폐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으로 구성된 지폐류 식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은 S-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P-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P-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또는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계산수단에 의해 계산된 S-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P-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P-편광의 명암도에 대한 S-편광의 명암도의 비율 또는 P-편광의 명암도와 S-편광의 명암도의 차이에 따라서 지폐류를 식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빛이 비추어지는 지폐류의 표면을 형성하는 재질의 편광각과 동일하거나 근사하게 소정의 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수단은 광원, 시준기 렌즈 그리고 슬릿으로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발광수단은 광원, 시준기 렌즈 그리고 슬릿으로 형성된 슬릿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분리수단, 적어도 하나의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수광수단은 동기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편광분리수단,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제2수광수단은 식별되는 지폐류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4개의 계산수단이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2개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편광분리수단,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제2수광수단은 식별되는 지폐류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4개의 계산수단이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2개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편광분리수단,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제2수광수단은 식별되는 지폐류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4개의 계산수단이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2개의 발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편광분리수단, 제1수광수단 그리고 여기에 대응하는 제2수광수단은 식별되는 지폐류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고 그리고 4개의 계산수단이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식별장치.
KR1019970027040A 1996-06-28 1997-06-25 지폐류의식별장치 KR100269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046396 1996-06-28
JP96-170463 1996-06-28
JP9154662A JPH1074276A (ja) 1996-06-28 1997-06-12 紙幣または有価証券の判別装置
JP97-154662 199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216A KR19990003216A (ko) 1999-01-15
KR100269442B1 true KR100269442B1 (ko) 2000-10-16

Family

ID=2648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040A KR100269442B1 (ko) 1996-06-28 1997-06-25 지폐류의식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2239A (ko)
EP (1) EP0817136B1 (ko)
JP (1) JPH1074276A (ko)
KR (1) KR100269442B1 (ko)
CN (1) CN1104704C (ko)
DE (1) DE69727857T2 (ko)
TW (1) TW327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0898B1 (en) * 1998-01-21 2004-08-03 Securency Pty Ltd. Method of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 security document and document for use in such a method
US6473165B1 (en) 2000-01-21 2002-10-29 Flex Products, Inc. Automated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optical interference devices
DE10005514A1 (de) * 2000-02-07 2001-08-09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prüfung von Banknoten
JP4596594B2 (ja) * 2000-03-29 2010-12-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紙葉類の蛍光スレッド検出装置
EP1346302B1 (en) * 2000-12-01 2009-09-16 MEI, Inc. Polarizer based detector
KR20010090049A (ko) * 2001-08-29 2001-10-18 주식회사 캐쉬텍 광센서를 이용한 투명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의 감별장치
US20030042438A1 (en) * 2001-08-31 2003-03-06 Lawandy Nabil M. Methods and apparatus for sensing degree of soiling of currency, and the presence of foreign material
US7849993B2 (en) * 2001-12-21 2010-12-14 Giesecke & Devrient Gmbh Devic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heet material
DE10163265A1 (de) * 2001-12-21 2003-07-03 Giesecke & Devrient Gmbh Wertdokument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üfung des Wertdokuments
WO2003085609A2 (de) * 2002-04-04 2003-10-16 Landqart Vorrichtung zur verifikation von sicherheitsmerkmalen
WO2003085608A2 (de) * 2002-04-04 2003-10-16 Landqart Vorrichtung zur verifikation von sicherheitsmerkmalen
JP2003327346A (ja) * 2002-05-14 2003-11-19 Sharp Corp 光学式物体識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
US6970236B1 (en) 2002-08-19 2005-11-29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ication of interference devices
US7265370B2 (en) * 2005-04-28 2007-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nsing light
CN101715589B (zh) * 2007-04-24 2014-01-22 锡克拜控股有限公司 标记物品的方法;用于标识所标记的物品的方法和设备;圆偏振粒子的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836A (en) * 1982-12-22 1985-10-01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mpany Optically-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4526466A (en) * 1983-09-01 1985-07-02 Rca Corporation Technique for verifying genuineness of authenticating device
EP0290875A3 (en) * 1987-05-15 1990-03-07 Svecia Antiqua Limited Flexible sheet or web materials
JPH07113985B2 (ja) * 1988-10-28 1995-12-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方法
US4980569A (en) * 1990-03-05 1990-12-25 Crane Timothy T Security paper verification device
US5543608A (en) * 1990-12-17 1996-08-06 Rantalainen; Erkki Method and the system for identifying a visual object with a polarizing marker
JP3087384B2 (ja) * 1991-10-08 2000-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異物検査装置
US5345308A (en) * 1992-02-07 1994-09-06 Lockheed Corporation Object discriminator
JP2521395B2 (ja) * 1992-08-31 1996-08-07 日本碍子株式会社 光学式電圧・電界センサ
JPH06215233A (ja) * 1993-01-13 1994-08-05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の操作機能方式
US5535871A (en) * 1995-08-29 1996-07-16 Authentication Technologies, Inc. Detector for a security thread having at least two security detection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7136B1 (en) 2004-03-03
JPH1074276A (ja) 1998-03-17
EP0817136A3 (en) 1999-01-07
US5892239A (en) 1999-04-06
EP0817136A2 (en) 1998-01-07
CN1104704C (zh) 2003-04-02
KR19990003216A (ko) 1999-01-15
DE69727857D1 (de) 2004-04-08
TW327685B (en) 1998-03-01
DE69727857T2 (de) 2004-07-22
CN1172313A (zh) 199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9054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KR100269442B1 (ko) 지폐류의식별장치
EP1077434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JP4094068B2 (ja) 光学的回折マークを識別する装置
US6412620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US3782543A (en) Document recognition systems
JPS6230676B2 (ko)
US20080259314A1 (en) Inspection Device
KR900006892A (ko) 지폐식별방법 및 그 장치
US6431341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CN1123850C (zh) 纸币鉴别设备
RU2271576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линности банкно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954850A (ja) 紙幣識別装置
JPH11283069A (ja) 有価証券をテストする装置
JP6505512B2 (ja) 光学識別装置
JPH08180239A (ja) 書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JP2655169B2 (ja) 紙幣識別方法
JP3012128B2 (ja) 硬貨判別装置
JPH09245216A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09140334A (ja) 紙葉類識別装置
JP4634586B2 (ja) 紙葉類の画像入力装置
JPH03139786A (ja) 紙幣鑑別装置
KR20090008708A (ko) 컨택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위폐 식별방법
JPH1139532A (ja) 被検査体の識別方法
JPH02204891A (ja) 媒体上の凹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