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254B1 -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254B1
KR100268254B1 KR1019970080307A KR19970080307A KR100268254B1 KR 100268254 B1 KR100268254 B1 KR 100268254B1 KR 1019970080307 A KR1019970080307 A KR 1019970080307A KR 19970080307 A KR19970080307 A KR 19970080307A KR 100268254 B1 KR100268254 B1 KR 10026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ancer
ball
welding
balanc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089A (ko
Inventor
이금찬
김재신
장삼용
김진수
이현무
한우정
안기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254B1/ko
Priority to JP10039218A priority patent/JPH11207081A/ja
Priority to MYPI98000887A priority patent/MY126414A/en
Priority to EP98301735A priority patent/EP0927833A1/en
Priority to CN98105528A priority patent/CN1086757C/zh
Publication of KR1999006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 F16F15/363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using rolling bodies, e.g. balls free to mov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볼 밸런서의 프론트 볼 밸런서에 볼을 투입한 후 프론트 볼 밸런서상에 백 볼 밸런서를 덮은 다음 가용접 위치로 볼 밸런서를 취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취출된 볼 밸런서를 가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가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진행하므로써 볼 밸런서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된 볼 밸런서가 드럼 세탁기에 장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어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를 제작시 볼의 투입에서 가용접 및 용접을 거쳐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전체 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의 회전으로 발생된 낙차에 의해 세탁되는 드럼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세탁 및 건조 일체형과, 건조 기능이 생략된 세탁 단독형의 세탁기가 있는데, 도 1과 같은 드럼 세탁기에서 세탁시에는 터브(104)내의 드럼(105)의 회전으로 발생된 낙차를 이용하여 두드려 빠는 방식으로 세탁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 터브(104)의 내부로 도관(106)을 통해 들어오는 건조한 공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수증기로 변화하게 됨과 동시에, 원심팬(107)의 작동에 의해 건조 히터(108)로 이동중에 상기 터브(104)의 벽면에 콘덴싱 호스(109)로부터 공급된 소량의 냉수에 의해 응축되어 1500W의 건조 히터(108)에 옮겨지게 되며, 물은 배수구를 통해 배수 호스(110)로 배출된다.
또한, 수송된 공기는 다시 건조 히터(108)에 의해 가열되고 난 후 도관(106)을 통해 드럼(105)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 진행하므로써 건조가 진행되고, 완전 건조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응축된 물의 배수를 하기 위해 배수 펌프(111)는 30초 정지, 5초 작동의 방식으로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터브(104)내의 드럼(105) 내부에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볼(Steel Ball)(5)이 외측 레이스(3)와 내측 레이스(4)에 각각 내장된 볼 밸런서(1)는 세탁물이 한쪽으로 몰려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기 전에 균형을 잡아 주어 진동과 소음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에 설치되는 볼 밸런서(1)를 제작시에는 볼 밸런서(1)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볼(5)을 투입하는 공정과, 가용접 및 용접 공정을 거쳐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전체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인해 볼 밸런서(1)의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시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여 작업 능률의 저하에 따른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를 제작시 볼의 투입에서 가용접 및 용접을 거쳐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전체 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할수 있도록 하여 볼 밸런서의 제작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수 있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드럼 세탁기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럼 내부에 설치된 볼 밸런서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에 각각 복수개의 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을 투입하기 위한 볼 밸런서 공급 및 취출장치와 볼 투입 유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회전 테이블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볼 밸런서 공급 및 취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볼 투입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제 1,2 이송 슈트 내부로 볼이 공급 및 차단시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구동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잔수 제거장치에서 볼 밸런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그의 동작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잔수 제거장치에서 잔수 제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안착되는 볼 밸런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상태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용접 상태 검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 작용도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의 용접 상태 검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 작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볼 밸런서 2; 프론트 볼 밸런서
3; 외측 레이스 4; 내측 레이스
5; 볼 6; 백 볼 밸런서
7; 메인 프레임 8; 제 1 실린더
11; 이동 플레이트 13; 그립퍼
15; 제 2 실린더 17; 로드리스 실린더
19; 회전 테이블 21; 볼 투입 유니트
22; 제 1 파츠 피더 23; 제 2 파츠 피더
24; 제 1 이송 슈트 25; 제 2 이송 슈트
28; 제 3 실린더 29; 제 4 실린더
34; 하부 프레임 36,55; 지그 테이블
39; 제 5 실린더 44,63; 가압 부재
45; 제 6 실린더 47; 용접기
48; 제 1 모터 51; 제 2 모터
58; 제 7 실린더 64; 제 3 모터
65; 제 4 모터 67; 제 1 기어
68; 제 2 기어 70; 상부 용접전극
71; 하부 용접전극 74; 제 5 모터
76,100; 수조 77; 필터 박스
78; 필터 79; 펌프
81; 안착 지그 84a,84b,84c,84d; 오일 주입공
88; 제 8 실린더 91; 제 9 실린더
92; 에어 노즐 93; 제 10 실린더
96; 제 11 실린더 97; 제 12 실린더
101; 공기 주입기 102; 주입공 개폐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볼 밸런서의 프론트 볼 밸런서에 볼을 투입한 후 프론트 볼 밸런서상에 백 볼 밸런서를 덮은 다음 가용접 위치로 볼 밸런서를 취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취출된 볼 밸런서를 가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가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진행하도록 된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이 제공되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볼을 투입하기 전 픽 앤 플레이스의 그립퍼가 프론트 볼 밸런서를 파지하여 회전 테이블상에 안착시킨 후 회전 테이블이 회전하여 볼 투입 유니트의 하부에 정지된 상태에서 프론트 볼 밸런서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에 각각 크기가 다른 볼을 투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볼 밸런서를 가용접 장치로서 가용접시 볼 밸런서 외측면 3곳의 가용접을 한 후 볼 밸런서 내측면 3곳의 가용접을 복수회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 밸런서를 용접 장치로서 용접시 볼 밸런서의 외주면을 용접한 후 볼 밸런서의 외주면보다 안쪽의 용접을 복수회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용접시 냉각수를 동시에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시 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기포 발생 여부를 통해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 검사가 완료되면 오일 주입공을 통해 볼 밸런서의 내부에 오일을 주입시킨 후 상기 볼 밸런서의 오일 주입공 입구를 폐쇄시키므로써 볼 밸런서의 제작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를 제작시 볼의 투입에서 가용접 및 용접을 거쳐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전체 제조 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할수 있어서 볼 밸런서의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수 있고.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된 볼 밸런서가 드럼 세탁기에 장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어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을 투입하기 위한 볼 밸런서 공급 및 취출장치와 볼 투입 유니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 테이블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볼 밸런서 공급 및 취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볼 투입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제 1,2 이송 슈트 내부로 볼이 공급 및 차단시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용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구동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수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잔수 제거장치에서 볼 밸런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그의 동작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잔수 제거장치에서 잔수 제거수단의 동작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안착되는 볼 밸런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상태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용접 상태 검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 작용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의 용접 상태 검사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 작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1)를 제작시에는 먼저,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에 형성된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에 볼(5)을 투입한 후, 상기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백 볼 밸런서(6)를 덮은 다음, 용접 위치로 취출시키는 작업을 자동으로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픽 앤 플레이스(Pick And Place)의 메인 프레임(7)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작동 로드(9)가 하강함과 동시에 지지바(10)로 연결된 메인 프레임(7)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로드(9)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는 이동 플레이트(11)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11)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고정 브라켓(1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그립퍼(13)가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그립퍼(13)와 작동 로드(14)로 연결된 제 2 실린더(15)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그립퍼(13)가 적재대(16)상에 안착되어 볼(5)의 투입 작업을 하기 위한 프론트 볼 밸런서(2)를 파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메인 프레임(7)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작동 로드(9)가 상승함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11)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7)의 상부에 설치된 로드리스 실린더(17)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1)가 메인 프레임(7)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이동하여 그립퍼(13)가 회전 테이블(19)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11)가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실린더(15)가 작동함에 따라 그립퍼(13)가 회전 테이블(19)의 상부에 작업해야 할 프론트 볼 밸런서(2)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11)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로드리스 실린더(17)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11)가 메인 프레임(7)의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 후, 회전 테이블(19)상의 안착홈(20)에 작업해야 할 프론트 볼 밸런서(2)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볼 밸런서(2)를 볼 투입 유니트(21)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테이블(19)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19a)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 테이블(1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 투입 유니트(21)의 하부에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볼 투입 유니트(21)의 제 1,2 파츠 피더(22)(23) 내부에 각각 담겨져 있는 볼(5)이 제 1,2 파츠 피더(22)(23)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제 1,2 이송 슈트(24)(25)를 통해 도 7a와 같은 상태로 이송되어 회전 테이블(19)의 상부에 안착된 프론트 볼 밸런서(2)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프론트 볼 밸런서(2)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 내부에 공급되는 볼(5)의 수량을 제 1,2 이송 슈트(24)(25)에 각각 부착된 제 1,2 감지 센서(26)(27)가 카운트하여 상기 프론트 볼 밸런서(2)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에 적정 수량의 볼(5)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 1,2 이송 슈트(24)(25)에 각각 설치된 제 3,4 실린더(28)(29)가 작동함에 따라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상기 제 1,2 이송 슈트(24)(25)의 내부에 제 3,4 실린더(28)(29)와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1,2 스톱퍼(30)(31)가 하강하여 제 1,2 이송 슈트(24)(25)의 내부로 볼(5)이 이송되는 것을 차단시키므로써 프론트 볼 밸런서(2)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에 크기가 다른 복수개 볼(5)의 투입 작업을 완료할수 있게 된다.
그 후, 회전 테이블(19)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모터(19a)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 테이블(1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5)의 투입 작업이 완료된 프론트 볼 밸런서(2)가 적재대(32)상에 적층된 복수개의 백 볼 밸런서(6) 하부에 정지하게 되면 상기 볼(5)이 투입된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도 5의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작업대(32)상의 백 볼 밸런서(6)를 그립퍼(13)가 파지하여 덮어준다.
그 다음, 회전 테이블(19)상의 프론트 볼 밸런서(2) 상부에 백 볼 밸런서(6)가 덮혀 있는 상태에서 다시 모터(19a)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 테이블(1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취출 수단의 하부에 정지하게 되면 취출 수단인 도 5의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회전 테이블(19)상의 프론트 볼 밸런서(2)와 백 볼 밸런서(6)를 그립퍼(13)가 파지하여 가용접 위치인 작업대(33)로 취출시키는 동작을 작업할 때마다 반복하므로써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에 형성된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에 볼(5)을 투입한 후 상기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백 볼 밸런서(6)를 덮은 다음 가용접 위치로 취출시키는 작업을 자동화할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백 볼 밸런서(6)를 덮은 다음 취출하여 가용접을 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먼저,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백 볼 밸런서(6)가 덮혀 있는 볼 밸런서(1)를 하부 프레임(34)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그 테이블(36)상의 중앙에 설치된 작업 지그(37)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상부 프레임(38)의 상단에 설치된 제 5 실린더(39)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5 실린더(39)의 작동 로드(40) 하단에 설치된 지지대(41)와 상부 프레임(3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바(42) 하단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4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압 부재(44)가 볼 밸런서(1)를 가용접시 위치 틀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기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프레임(38)의 하단에 설치된 제 6 실린더(45)가 작동함에 따라 제 6 실린더(45)의 작동 로드(46) 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용접기(47)가 하강하여 볼 밸런서(1)상에 외측면 3곳중의 1곳을 가용접한 후 원위치로 상승함과 동시에 작업 지그(37)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제 1 모터(48)가 구동함에 따라 볼 밸런서(1)가 안착된 작업 지그(37)가 120°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볼 밸런서(1)상에 외측면 3곳중의 나머지 2곳을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가용접을 한 후 볼 밸런서(1)상에 내측면 3곳을 가용접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하부 프레임(34)상의 양단 및 지그 테이블(36)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안내 부재(49)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축(50)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2 모터(51)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지그 테이블(36)이 하부 프레임(34)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전진하여 하부 프레임(34)상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볼 밸런서(1)상에 내측면 3곳의 가용접을 완료하게 되면 제 2 모터(51)가 구동함에 따라 지그 테이블(36)이 원위치로 후퇴하는 동작을 반복하므로써 하나의 볼 밸런서(1)를 시밍 용접하기 전에 가용접하는 작업을 마칠수 있게 되며, 다른 볼 밸런서(1)의 가용접시에도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지그 테이블(36)상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52)의 상단에는 로울러(5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작업 지그(37)의 회전시 작업 지그(37)의 하단면과 접촉되어 작업 지그(37)의 회전을 원활한 상태로 안내할수 있게 된다.
그 후, 가용접이 완료된 상태에서 시밍 용접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먼저, 프론트 볼 밸런서(2)상에 백 볼 밸런서(6)가 덮혀 있는 볼 밸런서(1)를 도 10과 같이 하부 프레임(54)상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그 테이블(55)상의 중앙에 설치된 작업 지그(56)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상부 프레임(57)의 상단에 설치된 제 7 실린더(58)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7 실린더(58)의 작동 로드(59) 하단에 설치된 지지대(60)와 상부 프레임(5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바(61) 하단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압 부재(63)가 볼 밸런서(1)를 용접시 위치 틀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하여 상기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작업 지그(56)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제 3 모터(64)가 구동함에 따라 볼 밸런서(1)가 안착된 작업 지그(56)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도 11과 같이 하부 프레임(54)상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 4 모터(65)가 구동함에 따라 각각의 제 4 모터(65)에 연결된 회전축(66)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축(66)의 끝단에 설치된 제 1 기어(67)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기어(67)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제 2 기어(68)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기어(68) 중앙의 축(69)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부 및 하부 용접 전극(70)(71)이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와 백 볼 밸런서(6)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1회 용접할수 있게 된다.
그 후, 복수회의 용접 작업중 1회의 용접 작업이 완료되면 제 3 모터(64)와 제 4 모터(65)가 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최초의 상태로 원위치를 한 다음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와 백 볼 밸런서(6)의 외주면보다 안쪽을 용접하기 위해 도 12와 같이 하부 프레임(54)상의 양단 및 지그 테이블(55)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안내 부재(7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축(73)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5 모터(74)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지그 테이블(55)이 하부 프레임(54) 상에서 전진하여 하부 프레임(54)상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므로써 하나의 볼 밸런서(1)를 복수회 시밍(Seaming) 용접하는 용접 작업을 마칠수 있게 되며, 다른 볼 밸런서(1)의 용접 작업을 할 때에도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상부 및 하부 용접 전극(70)(71)이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볼 밸런서(2)와 백 볼 밸런서(6)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용접할 때에는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용접 전극(20)(21)상에 설치된 분사 호스(75)를 통해서 동시에 냉각수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장치의 하부 프레임(54) 하부 외주면에 설치된 수조(76)의 내부에 분사된 냉각수가 채워지면 수조(76)의 일측에 설치된 필터 박스(77)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서 필터 박스(77)에 내장된 필터(78)가 사용한 냉각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 박스(77)의 일측에 설치된 펌프(79)의 작동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냉각수가 필터 박스(77)로부터 펌프(79)를 통과하여 분사 호스(75)로 공급되므로써 사용한 냉각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효과적으로 재사용할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 박스(77)의 상단에는 덮개(80)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터(78)의 사용 수명이 다 되어 필터(78)를 교체하거나, 필터(78)를 세척시 상기 필터 박스(77) 상단의 덮개(80)를 열고 용이하게 작업할수 있게 된다.
또한, 볼 밸런서(1)의 프론트 및 백 볼 밸런서(2)(6)를 용접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접합시킨 다음에는 볼 밸런서(1) 내부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해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 지그(81)의 상부에 볼 밸런서(1)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부측에 접합되는 프론트 볼 밸런서(2)를 180°회전시켜 상기 안착 지그(81) 상면에 돌출된 지그핀(82)을 지그공(83)으로 삽입시키면, 내,외측레이스(4)(3)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오일 주입공(84a)(84b)(84c)(84d)에 대해 배출공(85) 및 관통공(86)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된다.
그 후, 지지대(87) 상부측에 결합된 제 8 실린더(88)를 동작시키면 도 15에나타낸 바와 같이, 제 8 실린더(88)의 피스톤 로드 일단부에 설치된 고정 지그(89)가 프론트 볼 밸런서(2)의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가이드 바(90)를 따라 하강하면서 프론트 볼 밸런서(2)를 가압하여 이의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오일 주입공(84a)(84b)(84c)(84d)의 중심과 배출공(85) 및 관통공(86)의 중심이 불일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볼 밸런서(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외측레이스(4)(3) 내부에 잔류된 냉각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16에서와 같이 잔수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면, 제 9 실린더(91)의 에어 노즐(92) 끝부분이 오일 주입공(84a)(84b)(84c)(84d) 외주면에 닿을때까지 관통공(86)의 내부로 승강함과 동시에 에어 노즐(92)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오일 주입공(84a)(84b)(84c)(84d)으로 주입됨에 따라서 내,외측레이스(3)(4)와 이에 개재된 볼(5)의 표면에 잔류된 냉각수를 에어압력에 의해 다른 오일 주입공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오일 주입공(84a)(84b)(84c)(84d)으로 흐르는 냉각수는 안착지그(81)의 배출공(85)을 따라 이의 저부에 밀착되는 제 10 실린더(93) 측으로 배출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제 10 실린더(93)에서는 에어와 냉각수를 빠르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진공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18 내지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전의 공정에서 별도의 용접 장치를 통해 용접된 볼 밸런서(1)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지그(94)에 볼 밸런서(1)를 안착시키면, 브라켓(95)상에 설치된 위치 고정용 제 11 실린더(96)가 하강 작동하여 상기 지그(94)에 안착된 볼 밸런서(1)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작동에 의해 지그(94)에 안착된 볼 밸런서(1)의 위치가 고정되면,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승하강용 제 12 실린더(97)가 프레임(98)의 내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99)을 타고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95)이 하강하게 되므로써 상기 볼 밸런서(1)는 수조(100)속에 담겨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한 작동에 의해 볼 밸런서(1)가 안착된 지그(94)가 수조(100)속에 담겨지게 되면, 브라켓(95)의 하단에 설치된 공기 주입기(101)가 상기 볼 밸런서(1)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3)(4)의 각 표면에 형성된 각각 2개의 오일 주입공(84a)(84b)(84c)(8d)중 각각 1개의 오일 주입공(84a)(84c)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타측의 주입공 개폐기(102)는 상기 공기주입기(101)의 노즐(103)을 통해 공기를 주입할 때 다른 1개의 공기 주입공(84b)(8d)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그(94)에 안착된 볼 밸런서(1)를 수조(100)속에 잠기게 한 후, 공기 주입수단을 통해 볼 밸런서(1)에 공기를 불어 넣게 되면, 볼 밸런서(1)의 용접이 덜 된 부분이나 용접상태가 확실치 않은 부분에서 기포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때 기포의 발생 여부를 통해 볼 밸런서(1)의 용접 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볼 밸런서(1)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고 나면, 상기 지그 승하강용 제 12 실린더(97)가 승강하게 됨과 동시에 브라켓(95)상에 설치된 위치 고정용 제 11 실린더(96)또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이때, 용접 상태 검사가 완료된 볼 밸런서(1)를 지그(94)에서 빼내면 된다.
그 다음, 용접 상태 검사가 완료된 볼 밸런서(1)중 불량인 볼 밸런서는 다시 재용접 작업을 거치게 되며, 정상 상태인 볼 밸런서(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오일 주입공(84a)(84b)(84c)(8d)을 통해 볼 밸런서(1)의 내부에 도 2와 같은 상태로 오일을 주입시킨 후, 상기 볼 밸런서(1)의 오일 주입공(84a)(84b)(84c)(8d) 및 지그공(83) 입구를 폐쇄시킴에 따라 볼 밸런서(1)의 제작을 완료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를 제작시 볼의 투입에서 가용접 및 용접을 거쳐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전체 제조 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할수 있으므로써 볼 밸런서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대폭 증대시킬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된 볼 밸런서가 드럼 세탁기에 장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어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볼 밸런서의 프론트 볼 밸런서에 볼을 투입한 후 프론트 볼 밸런서상에 백 볼 밸런서를 덮은 다음 가용접 위치로 볼 밸런서를 취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취출된 볼 밸런서를 가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가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을 투입하기 전 픽 앤 플레이스의 그립퍼가 프론트 볼 밸런서를 파지하여 회전 테이블상에 안착시킨 후 회전 테이블이 회전하여 볼 투입 유니트의 하부에 정지된 상태에서 프론트 볼 밸런서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에 각각 크기가 다른 볼을 투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 투입된 프론트 볼 밸런서상에 픽 앤 플레이스의 그립퍼가 백 볼 밸런서를 파지하여 덮도록 된 것을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가용접 위치로 취출시 회전 테이블상의 볼 밸런서를 그립퍼가 파지하여 가용접 위치인 작업대로 취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투입 유니트의 제 1,2 파츠 피더 내부에는 각각 크기가 다른 볼이 담겨져 상기 제 1,2 파츠 피더 하부의 제 1,2 이송 슈트를 통해 프론트 볼 밸런서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이송 슈트에는 각각 제 1,2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공급되는 볼의 수량을 카운트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이송 슈트의 내부에는 제 3,4 실린더와 각각 연결되는 제 1,2 스톱퍼가 설치되어 볼의 공급이 완료시 제 1,2 스톱퍼가 하강하여 제 1,2 이송 슈트의 내부로 볼이 더 이상 이송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가용접 장치로서 가용접시 볼 밸런서 외측면 3곳의 가용접을 한 후 볼 밸런서 내측면 3곳의 가용접을 복수회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용접 장치로서 용접시 볼 밸런서의 외주면을 용접한 후 볼 밸런서의 외주면보다 안쪽의 용접을 복수회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용접 장치로서 용접시 냉각수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시 분사되는 냉각수를 처리하기 위한 용접 장치 외주면의 수조에는 여과 수단이 구비되어 용접시 사용한 냉각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상기 여과 수단이 제거하여 분사 호스로 공급함에 따라 냉각수를 재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용접후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볼 밸런서의 내부에 잔존하는 잔수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측 및 외측 레이스의 내부에 잔류된 냉각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 9 실린더의 에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볼 밸런서의 오일 주입공을 통해 주입됨에 따라 잔수를 에어 압력에 의해 다른 오일 주입공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시 용접이 완료된 볼 밸런서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기포 발생 여부를 통해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를 검사시 볼 밸런서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 각 표면에 형성된 각각 2개의 오일 주입공중 각각 1개의 오일 주입공을 막은 후 그 나머지 각각 1개의 오일 주입공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의 용접 상태 검사가 완료되면 오일 주입공을 통해 볼 밸런서의 내부에 오일을 주입시킨 후 상기 볼 밸런서의 오일 주입공 및 지그공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KR1019970080307A 1997-12-31 1997-12-31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KR10026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07A KR100268254B1 (ko) 1997-12-31 1997-12-31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JP10039218A JPH11207081A (ja) 1997-12-31 1998-02-20 ドラム式洗濯機用バランサーの製作方法
MYPI98000887A MY126414A (en) 1997-12-31 1998-02-28 Method for producing a ball balance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EP98301735A EP0927833A1 (en) 1997-12-31 1998-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vice for counteracting imbalance caused by the uneven distribution of a load in a rotary drum
CN98105528A CN1086757C (zh) 1997-12-31 1998-03-12 制造滚筒式洗衣机的平衡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07A KR100268254B1 (ko) 1997-12-31 1997-12-31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089A KR19990060089A (ko) 1999-07-26
KR100268254B1 true KR100268254B1 (ko) 2000-10-16

Family

ID=1953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307A KR100268254B1 (ko) 1997-12-31 1997-12-31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27833A1 (ko)
JP (1) JPH11207081A (ko)
KR (1) KR100268254B1 (ko)
CN (1) CN1086757C (ko)
MY (1) MY1264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15B1 (ko) * 2006-06-01 201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19370B1 (ko) * 2006-06-01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20216B1 (ko) * 2006-06-01 201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밸런서 제작방법
KR101219371B1 (ko) * 2006-06-01 2013-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2140753B (zh) * 2011-02-28 2012-08-15 苏州凯尔博精密机械有限公司 平衡环自动加工流水线
CN113897759B (zh) * 2021-11-18 2023-07-25 怀化学院 一种水动力驱动小型洗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688A (en) * 1971-05-03 1972-10-10 Eugene A Goodrich Automatic balancer for rotating masses
US3733923A (en) * 1971-08-30 1973-05-22 E Goodrich Economical automatic balancer for rotating masses
US3939880A (en) * 1974-06-10 1976-02-24 Caterpillar Tractor Co. Method of vacuum pressure fill of viscous dampers
US4787132A (en) * 1985-05-01 1988-11-29 Kilgore Ronald B Method of making dynamic rotational counterbalance structure
DE69308205T2 (de) * 1993-04-14 1997-06-05 Vibratech Inc Torsionschwingungsdämpfer und Methode zur Herstellung desselben
EP0781882B2 (en) * 1995-12-28 2005-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um appliances with balancing devices
JPH1043474A (ja) * 1996-05-29 1998-02-17 Samsung Electron Co Ltd ボールバラ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757C (zh) 2002-06-26
KR19990060089A (ko) 1999-07-26
JPH11207081A (ja) 1999-08-03
CN1221828A (zh) 1999-07-07
EP0927833A1 (en) 1999-07-07
MY126414A (en)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659B1 (ko) 터릿 유형 세정 장치
KR100268254B1 (ko) 드럼 세탁기의 볼 밸런서 제조방법
JP2009185307A (ja) 表面処理装置
KR101852123B1 (ko) 셔틀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JP2002126661A (ja) 洗浄装置
CN112344688B (zh) 一种清洗后全自动离心脱水干燥机
CN111014130A (zh) 清洗装置以及对象物的清洗和干燥方法
KR100574584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공정용 절단 및 핸들러시스템
KR100223520B1 (ko) 차량의 정보관리 시스템
CN114042715A (zh) 油桶的全自动清洗装置的清洗方法
CA2114907A1 (en) Method and machine for automatically ironing and stacking men's socks
KR100223407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 커버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208077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 커버의 용접 방법
CN220092323U (zh) 一种全自动碳氢真空清洗干燥系统
KR100247738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 커버의 공급 장치
KR102239057B1 (ko) 에어브로잉장치
KR100223405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 커버의 가용접 장치
KR950009614Y1 (ko) 자동디캡(Auto Decap)장치
KR100431943B1 (ko) 전기세탁기용 방진댐퍼를 조립하는 자동화 설비의 지지바공급 및 검사장치
KR100208102B1 (ko)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KR960014875B1 (ko) 플렉시블 생산 시스템의 자동세척장치
KR100259157B1 (ko) 드럼 세탁기의 볼 투입 제어장치
CN116651834A (zh) 一种全自动碳氢真空清洗干燥系统
JPH07144177A (ja) ワークの洗浄装置
JPS63586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