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102B1 -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 Google Patents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102B1
KR100208102B1 KR1019970028875A KR19970028875A KR100208102B1 KR 100208102 B1 KR100208102 B1 KR 100208102B1 KR 1019970028875 A KR1019970028875 A KR 1019970028875A KR 19970028875 A KR19970028875 A KR 19970028875A KR 100208102 B1 KR100208102 B1 KR 10020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drum cover
cover assembly
weld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734A (ko
Inventor
장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102B1/ko
Priority to JP10037733A priority patent/JP2918528B2/ja
Priority to EP98301457A priority patent/EP0889310A3/en
Priority to CN98105623A priority patent/CN1090263C/zh
Priority to TW87104384A priority patent/TW392014B/zh
Priority to MYPI9801385 priority patent/MY123987A/en
Publication of KR1999000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는, 드럼 커버 제작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4)를 물이 담겨진 수조(14)에 넣고, 그 드럼 커버 조립체(4)에 공기를 불어 넣어 그 공기가 누설됨을 검사하므로서, 용접상태의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14)에 대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수조(14)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14)에 담겨진 물을 소정의 유로를 따라 배수하는 배수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조에 급·배수 수단을 형성하여 수조내의 물을 쉽게 교환 할 수 있고, 그 내부의 이물질을 쉽게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드럼 커버 제작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으로 발생된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1)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드럼(3)으로 구성되어 그 드럼(3)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낙차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두드려 빠는 방식으로 세탁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터브(1)내의 드럼(3)에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볼(Steel Ball)(9)이 외측 레이스(5)와 내측 레이스(6)에 각각 내장된 드럼 커버 조립체(4)는 세탁물이 한쪽으로 몰려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기 전에 균형을 잡아 주게 되므로서 진동과 이에 따른 소음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럼 커버 조립체(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 레이스(5)(6)의 표면에 각각 구멍(7)(8)을 갖는 한 쌍의 드럼 커버(4a)(4b)를 구비하고, 상기 레이스(5)(6)에 각기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볼(9)을 개재하여 그 드럼 커버(4a)(4b)를 별도의 용접장치를 통해 용접한 후, 그 용접된 상태로 드럼(3)의 커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용접장치를 통해 용접된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사용할 때, 그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를 검사 할 수가 없었고 또,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 불량여부가 확인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그 사용도중 용접이 덜 된 부분등에서 오일이 샐 우려가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접상태 검사장치(10)를 통해 용접상태를 검사하였다. 이와 같은 용접상태 검사장치(10)는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안착시키기 위한 지그(11)와, 상기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외측 및 내측 레이스(5)(6)의 각 표면에 형성된 구멍(7)(8)에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공기 주입수단(12)과, 상기 지그(11)에 안착된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수조(14)와, 상기 지그(11)에 안착된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상기 수조(14)에 넣기 위한 지그 승하강 수단(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10)에 의하면, 용접이 완료되어 지그(11)에 안착된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지그 승하강 수단(13)을 이용하여 물이 담겨진 수조(14)에 넣고, 그 드럼 커버 조립체(4)에 공기 주입수단(12)을 이용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 누설로 인한 기포 발생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10)에 사용되는 수조(14)는 급수 수단과 배수 수단이 갖춰지지 않은 단순한 박스형태로 되어, 수조(14)내부에 물을 공급하기가 어려웠으며, 수조(14)내에 한번 공급된 물의 교체는 더욱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럼 커버 제작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불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수조에 급수 수단과 배수 수단을 설치하므로써, 수조내의 물의 교환을 쉽게 할 수 있고, 수조내의 이물질을 쉽게 걸러낼 수 있는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럼 내부에 설치된 드럼 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드럼 커버 조립체용 용접상태 검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가 적용된 용접상태 검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접상태 검사장치 11 : 지그
12 : 공기주입수단 13 ; 지그 승하강 수단
14 : 수조 15 : 급수관
16 ; 급수 밸브 17 : 제 1 배수관
18 : 배수 밸브 19 : 제 2 배수관
20 : 클램프 21 : 필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럼 커버 제작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를 물이 담겨진 수조에 넣은 후 상기 드럼 커버 조립체에 공기를 공급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용접상태의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대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수조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에 담겨진 물을 소정의 유로를 따라 배수하는 배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수단의 적당한 곳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수단으로 이루어 진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조에 급·배수 수단을 형성하여 수조내의 물을 쉽게 교환 할 수 있고, 그 내부의 이물질을 쉽게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커버 제작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드럼 커버 조립체용 용접상태 검사장치의 수조(14)에 있어, 그 수조(14)내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수단과, 수조(14)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수조(14)내의 물을 사용 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수조(14)내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5)과, 그 급수관(15)에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 밸브(16)로 구성된다.
또,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수조(14)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배수관(17)과, 상기 제1 배수관(17)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수관(19)과, 상기 제1, 2 배수관(17)(19)을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20)와, 상기 제1, 2 배수관(17)(19)의 사이에 게재되는 필터(2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는,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10)를 통해, 전공정에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 불량여부를 검사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수조(14)속에 넣어 기포 발생여부를 통해 드럼 커버 조립체(4)의 용접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조(14)속에 물을 충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수조(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 밸브(16)를 열게되면 물이 급수관(15)을 통해 수조(14)내에 공급된다. 이후, 그 수조(14)속에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4)를 지그(11)에 안착시키고, 그 지그(11)를 지그 승하강 수단(13)를 이용하여 수조(14)속에 넣게 된다. 이어 지그(11)에 안착된 상태의 드럼 커버 조립체(4)에 공기 주입수단(12)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기포 발생여부를 통해 용접상태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수조(14)내에 이물질등이 쌓여 물이 오염되게 되면, 수조(14)내의 물을 교환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 때에상기 수조(14)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배수 밸브(18)를 열게 되면, 수조(14)내의 물은 제 1 배수관(17)과 연결 설치되는 제 2 배수관(19)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며, 그 물속에 혼재된 이물질은 제 1 배수관(17)과 제 2 배수관(19)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21)에 걸러지게 된다. 이 때, 제 1, 2 배수관(17)(19)을 고정하는 클램프(2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그 사이에 개재되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필터(21)를 빼낼 수 있으므로, 필터(21)의 사용 수명이 다 된 필터(21)를 교체하거나, 필터(21)를 세척시 용이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수단의 적당한 곳에는 상기 필터(21)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14)의 내측으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수단이 구비된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필터(21) 하방의 상기 제2 배수관(19)측에 설치되는 모터펌프(22)로 구성되며 이들의 작동은, 수조(14)내의 물을 사용 후 배출하고자 할 때, 필터(21)에서 혼재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상기 모터펌프(22)의 작동을 통해 급수관(1)으로 공급하므로써, 수조(14)에서 사용된 물 속에 혼재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효과적으로 재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드럼 커버 제작시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불량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에,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된 물을 재활용 할 수 있어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드럼 커버 제작시 용접이 완료된 드럼 커버 조립체를 물이 담겨진 수조에 넣은 후 상기 드럼 커버 조립체에 공기를 공급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용접상태의 불량여부를 확인하는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대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수조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조에 담겨진 물을 소정의 유로를 따라 배수하는 배수수단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수조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배수관과, 상기 제1 배수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수관과, 상기 제1, 2 배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클램프와, 상기 제1, 2 배수관의 사이에 게재되는 필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의 적당한 곳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배수되는 물을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수단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필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배수관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모터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KR1019970028875A 1997-06-30 1997-06-30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KR10020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875A KR100208102B1 (ko) 1997-06-30 1997-06-30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JP10037733A JP2918528B2 (ja) 1997-06-30 1998-02-19 ドラム式洗濯機用バランサーの溶接状態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
EP98301457A EP0889310A3 (en) 1997-06-30 1998-02-27 An apparatus for testing a join between two metallic members
CN98105623A CN1090263C (zh) 1997-06-30 1998-03-19 检验滚筒式洗衣机平衡器焊接质量的设备
TW87104384A TW392014B (en) 1997-06-30 1998-03-24 Apparatus for testing a quality of weld of a balancer i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MYPI9801385 MY123987A (en) 1997-06-30 1998-03-28 Apparatus for testing a quality of weld of a balancer in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875A KR100208102B1 (ko) 1997-06-30 1997-06-30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734A KR19990004734A (ko) 1999-01-25
KR100208102B1 true KR100208102B1 (ko) 1999-07-15

Family

ID=1951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875A KR100208102B1 (ko) 1997-06-30 1997-06-30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12B1 (ko) * 2009-11-09 2011-09-28 주식회사 케이앤지 경관조명등 밀폐 확인방법 및 시스템
CN114012297A (zh) * 2021-11-30 2022-02-08 山推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激振室焊接打压工作站及加工工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73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8528B2 (ja) ドラム式洗濯機用バランサーの溶接状態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
KR100208102B1 (ko) 용접상태 검사장치용 수조
DK2316997T3 (en) Washing device
KR101628473B1 (ko) 자동차 연료, 오일공급용 파이프 유닛의 기밀검사 및 세척기
KR101113272B1 (ko) 필터 클리너
KR101008340B1 (ko)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KR200284334Y1 (ko) 초음파 탐상용 지그의 물 순환장치
KR100208075B1 (ko) 드럼 커버 조립체의 용접상태 검사장치
KR20130028311A (ko) 슬러리 탱크 냉각 라인의 누수 검사 장치 및 누수 감지 방법
KR200237450Y1 (ko) 습식세정장비의누설용액처리장치
KR100253331B1 (ko) 반도체 제조장비에 사용되는 필터의 케미컬 웨팅장치
JP3253374B2 (ja) ワーク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0125878Y1 (ko) 필터 세척장치
KR200279032Y1 (ko) 기름 추출장치
JPS59132343A (ja) クロ−ズドル−プ方式浸透探傷装置
KR20000020878A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용 약액배출장치
KR100713870B1 (ko) 분뇨처리공급장치 및 제어방법
JP3016324B2 (ja) 水圧試験対象管の水切り装置
JPH0714886Y2 (ja) 超音波検査装置
KR200198447Y1 (ko) 반도체 화학기상증착장비용 튜브의 세정시점검출장치
KR19980015776U (ko) 반도체소자 제조를 위한 포토 공정용 신너 자동 공급장치
KR20120010025A (ko) 노즐 처리장치
JPS63143990A (ja) 原子炉系の配管洗浄方法
KR200408948Y1 (ko) 분뇨처리공급장치
JPH0913912A (ja) 大型回転機器における潤滑油循環系統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