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144B1 -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144B1
KR100268144B1 KR1019980018442A KR19980018442A KR100268144B1 KR 100268144 B1 KR100268144 B1 KR 100268144B1 KR 1019980018442 A KR1019980018442 A KR 1019980018442A KR 19980018442 A KR19980018442 A KR 19980018442A KR 100268144 B1 KR100268144 B1 KR 10026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as generator
heads
pyrotechnic gas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274A (ko
Inventor
프랑끄 레바우디
크리스띠앙 뻬로또
Original Assignee
마르소 브느와
리브박 에스. 엔. 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소 브느와, 리브박 에스. 엔. 쎄. filed Critical 마르소 브느와
Publication of KR1998008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생기(1)는 그 두 단부가 폐쇄된 측벽을 구비한 원통형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횡단판(3)은 상기 하우징(2)을 상류부(9)와 하류부(10)로 분할한다. 상류부(9)는 튜브(16)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각각 하나의 파이러테크닉 차지를 구비한 두 개의 연소실(17, 18)을 가스 밀봉 방식으로 분리한다. 전기 점화 장치(5)는 두 개의 헤드(21, 22)를 가진 기폭장치(initiator)로 구성되고, 상기 기폭장치는 단일의 전원을 갖는다. 두 개의 헤드(21, 22)는 다이오드를 가진 회로에 연결된 네 개의 스위치를 구비한 개폐 브리지에 결합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단지 하나의 헤드(21, 22)만을 기폭하거나 프로그램된 시간 교차(time-staggered) 방식으로 양쪽 헤드 모두를 기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개선된 발생기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성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적응성 발생기(adaptive generator)라 지칭되는 새로운 발생기가 특별한 상황에서 전개되는 에어백으로 신체 부상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최근 개발되었다. 적절한 검출 시스템과 조합된 상기 발생기는 예로서, 대기 온도, 충격의 특성 및 강도, 승객의 형상 및 위치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가스 흐름 속도가 조정된다. ″적응성″ 발생기의 구성을 위해, 한편으로는 하이브리드형 발생기, 즉,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가 일정한 압력이 유지된 용기 내에 저장된 가스와 파이러테크닉 차지(pyrotechnic charge)의 연소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혼합물로 구성된 발생기를 사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파이러테크닉 차지 또는 차지들만의 연소가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 3,972,545호는 소모성 격벽에 의해 이격된 두 개의 연소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소실이 파이러테크닉 차지와 기폭장치(initiator)를 가지는 ″탑승자(passenger)″ 발생기가 기술 된다. 충격의 강도에 따라서, 하나의 전원에 연결된 두 개의 기폭장치의 작동이 교차(staggered)될 수 있다. 저전압 전기 신호가 방출되었을 때, 단지 하나의 연소실만이 그것이 포함하는 기폭장치에 의해 점화되고, 두 연소실을 이격시키는 격벽이 연소되었을 때 두 번째 연소실이 점화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전압 신호가 방출되었을 때 두 개의 기폭장치가 동시에 작동하고, 그래서 두 개의 연소실의 동시 점화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에어백으로 방출되는 가스의 체적이 일정하고, 모든 상황하에서 최대량으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특허 출원 EP 609,981호는 ″운전자(driver)″ 가스 발생기를 규정하고, 상기 발생기는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발화될 수 있는 두 개의 기폭장치에 의해 파이러테크닉 차지의 연소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두 개의 독립적이고 분리된 기폭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리된 전원이 필요하므로 소요되는 공간과 비용이 증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발생된 가스의 체적이 모든 조건에서 동일하다.
특허 출원 EP 0,382,552호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더욱 특별히 설계된 발생기가 기술된다. 상기 발생기는 내부 격벽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두 개의 연소실을 구비한 단일블록의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은 각각 파이러테크닉 차지와 기폭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폭장치는 분리된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에서, 두 개의 연소실은 시차를 두고 점화되어 가스 흐름 속도가 최적화되고, 그에따라 에어백 내에서 얻어진 압력 수준도 최적화된다.
따라서, 상기 발생기는 에어백의 팽창 속도가 변화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에어백 내로 방출되는 가스의 최종 체적을 감소시킬 수 없다. 더욱이, 상기 발생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복잡한 공정과, 상기 발생기에는 분리된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기 때문에 소형이고 저가인 발생기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 전환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며, 상황에 따라 단지 소정 체적의 가스만을 방출하여 에어백을 부분적으로만 팽창시키거나, 팽창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에어백을 완전히 팽창시키도록 가스의 최대 체적을 방출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성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단부 중 하나가 봉합링에 의해 폐쇄되고 측벽을 구비하는 원통형 하우징과, 두 개의 분리된 점화헤드를 구비한 전기 점화장치로 구성되는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생기는 초기에 차단되어 있는 오리피스를 구비한 횡단판이 상기 하우징을 상류부와 하류부로 분할하고, 상기 하우징이 그 상류부에서 보조연소실로부터 주연소실을 가스 밀봉 방식으로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연소실이 각각 파이러테크닉 차지와 점화 헤드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하류부가 연소 가스 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은 두 단부 중 하나가 밀봉링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 단부가 부가된 부분에 의해 폐쇄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의 회전축이 하우징의 회전축에 평행하고,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스 밀봉의 측면에서 완전한 안전을 제공하여 두 개의 점화 헤드 모두가 작동되지 않는한은 열절달에 의해서 점화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 및/또는 튜브가 열차단막에 의해 덮혀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특성에 따라, 안전 장치는 두 개의 연소실 중 각각의 하나를 다른 연소실로부터의 가스 전파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전장치는 원반부로 구성되고, 상기 원반부는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을 구비하고, 횡단판내의 오리피스 중 각각의 하나가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 중 하나에 의해 덮히도록 하류부에 수용된다. 각각의 오리피스 측면 중 하나에 형성된 수렴홈(convergent groove)으로 삽입된 클립으로 각각의 오리피스를 폐쇄함에 의해 안전장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안전장치는 두 개의 파이러테크닉 차지 중 하나만을 기폭함에 의해 한정된 가스 체적만을 방출하거나, 모듈화된 팽창율을 허용하는 시간 교차 기폭작용으로 양쪽 차지 모두를 기폭함에 의해 에어백을 완전히 팽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성에 따라, 다이아프램은 하우징의 상류부에서 횡단판을 덮는다. 따라서, 이 다이아프램은 횡단판의 오리피스를 폐쇄하고, 파열 덮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성에 따라, 전기 점화 장치는 두 개의 헤드를 가진 기폭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기폭장치는 단지 하나의 전원을 갖는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헤드 중 각각의 하나는 개폐 브리지(switching bridge)에 결합된 분리된 저항을 갖는다. 개폐 브리지는 네 개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쌍으로 개폐되며, 다이오드를 가진 회로로 형성된 전달 회로에 연결된다. 따라서, 적절한 한 쌍 또는 여러 쌍의 스위치를 접속함에 의해, 이 시스템은 단지 하나의 연소실을 점화하거나 필요에 따라 양쪽 연소실 모두를 프로그램된 시간 교차 방식으로 점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위치는 전자 제어박스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 제어박스는 두 개의 연결핀으로 종결되는 단일의 전력 공급원으로 저항과 다이오드를 구비한 점화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핀과 저항과 다이오드는 인쇄 회로에 통합된다. 예로서 원형, 고리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는 점화 지지판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가요성 인쇄 회로나 강성 인쇄 회로가 사용된다. 네 개의 스위치는 단일 모듈로 결합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헤드 중 각각의 하나는 다른 값을 가진 저항을 갖는다. 두 개의 헤드가 동일한 전류에 의해 기폭되기 때문에, 사용된 저항과 전자 제어 박스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의 강도에 따라 두 개의 연소실 중 단지 하나만을 작동시키거나 양쪽 연소실 모두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러테크닉 차지는 복합 추진제나 이중바닥 추진제 또는 나트륨 아지드(sodium azide)에 기초한 추진제 등에 근거한 펠릿이나 블록 형태의 고체 추진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발생기와 비교하여 본 발생기의 주된 장점은 하기와 같다.
본 발생기는 ″운전자″와 ″탑승자″ 에어백 양쪽 모두를 팽창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의 측벽의 길이와 내부 튜브의 길이를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필요한 추진제의 양에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생기는 한편으로 단조 또는 기계가공된 부품대신 튜브를 사용하고 두 개의 독립된 회로를 가진 두 개의 기폭장치 대신 단일 전력 공급원을 가진 이중헤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단지 두 개의 환형 주름을 하나는 횡단판에 다른 하나는 봉합링에 형성하는 작업만이 소요되므로 조립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생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생기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발생기의 점화 지지판의 하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점화 지지판의 Ⅳ-Ⅳ 단면의 정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발생기의 전기 점화 장치의 회로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3 : 측벽
4 : 봉합링 6 : 횡단판
7, 8 : 오리피스 9 : 상류부
10 : 하류부 11 : 연소가스 배출구
13 : 원반부 15 : 다이아프램
16 : 튜브 17 : 주연소실
18 : 보조연소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름을 잡을 수 있는 충분히 연질인 금속, 즉, 신장 및 인장 강도가 각각 20% 및 400Mpa 보다 큰 금속으로 제조된 단일블록 실린더형 하우징(2)으로 구성된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은 측벽(3)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폐쇄 단부와 그에 대향한 개방단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단부는 전기 점화 장치(5)를 위한 지지부 역할을 하는 봉합링(4)이 그 내부로 크림프된다. 두 개의 오리피스(7, 8)를 가진 횡단판(6)은 하우징(2)의 내부 측벽(3)내로 크림프되고, 하우징을 상류부(9)와 하류부(10)로 분할하며, 상기 하류부(10)에 배치된 측벽(3)은 연소가스 배출구(11)를 구비한다. 상기 횡단판(6)은 하류부(10)에서 리세스(12)를 가진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 내부에는 두 개의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a, 14b)을 구비한 원반부(13)가 수용되어있다. 상기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은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a, 14b) 중 하나가 상기 판(6)내의 각각의 오리피스(7, 8)를 덮도록 배치된다. 크림핑 지점에서 판(6)과 측벽(3) 사이에 림(rim)이 끼워진 금속 다이아프램(15)은 상류부(9)에서 상기 판(6)을 덮어서, 오리피스(7, 8)를 폐쇄한다. 상류부(9)의 하우징(2)은 원통형 튜브(16)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튜브는 한쪽에서 전기 점화 장치(5)의 홈내부로 삽입된 제 1 단부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서 다이아프램(15)과 접촉하며 상기 판(6)의 홈내부로 삽입된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회전축에 평행한 튜브(16)의 회전축은 하우징의 회전축과 일치하지 않으며, 상기 튜브(16)가 주연소실(17)을 보조연소실(18)로부터 가스 밀봉 방식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두 개의 연소실(17, 18)은 바인더(binder)와, 옥시던트(oxidant)와, 첨가제를 함유하는 복합 추진제에 기초한 작은 펠릿(pellet) 형태의 고체 추진제로 구성된 파이러테크닉 차지(19, 20)를 각각 포함하고, 주연소실(17)내에 들어있는 고체 추진제의 양이 보조연소실(18)내에 들어있는 고체 추진제의 양보다 많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두 개의 헤드(21, 22)를 가진 기폭장치로 구성된 전기 점화 장치(5)가 도시되고, 상기 기폭장치는 전자 제어 박스내의 단일의 전기 회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헤드(21, 22)는 주연소실(17)과 보조연소실(18)내에 각각 수용되고, 각각의 헤드(21, 22)는 분리된 저항(A1, A2)을 갖는다. 상기 분리된 저항은 전자 제어 박스에 포함된 네 개의 스위치(Q1내지 Q4)를 포함하는 개폐 브리지(switching bridge)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 브리지는 두 개씩 한쌍을 이루어 개폐작용을 수행하며, 다이오드(D1, D2)로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 쌍(Q1, Q4및 Q2, Q3)은 점화 전압(Va)과 회로의 전기적 접지(Vo) 사이에 연결된다. 전자 제어 박스내의 전기 회로는 기폭 유닛(I1)에 연결된 두 개의 핀(P1, P2)에 의해 전기 점화 장치(5)에 연결되고, 상기 기폭 유닛은 한쪽이 저항(A1, A2)으로 구성되고 다른쪽이 상기 저항과 조합된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오드는 핀을 통해 적용되는 점화 전압(Vr)의 극성에 따라 두 개의 저항(A1, A2) 중 하나와 분리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핀(P1, P2)과, 저항(A1, A2)과 다이오드(D1, D2)가 가요성 인쇄 회로(23)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는 원반 지지부(24)를 환형소판(25; annular small plate)에 연결하며, 상기 소판(25)과 상기 지지부(24)는 평행하지만 단차가 형성된 평면상에 배치되고, 인쇄 회로(23)와 함께 점화장치 장착판(26)을 형성한다. 연결핀(P1, P2)은 지지부(24)에 파묻히고, 저항(A1, A2)은 다이오드(D1, D2)와 함께 소판(25)상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열은 전기 회로와 발생기(1) 사이의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상기 기폭장치(5)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기폭장치(5)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발생기(1)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자 제어 박스내에 포함된 스위치(Q1내지 Q4)는 단일 모듈로 바꿔질 수 있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기능(multi-function) 전자 제어 박스와 조합된 이 발생기(1)는 하기의 작동 시나리오를 허용한다. 사고의 상황에 따라, 전자 제어 박스는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헤드(21, 22)중 하나 만을 작동시키고, 만약 필요하다면, 양쪽 헤드(21, 22) 모두를 시간 교차(time-staggered) 방식으로 작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첫 번째 경우에, 헤드와 조합된 파이러테크닉 차지가 상황에 가장 적절한 가스 체적을 발생시키는 기폭장치(5)의 헤드가 선택된다. 예로서, 만약 한 쌍의 스위치(Q1, Q4)가 접속되고, 한 쌍의 스위치(Q2, Q3)가 개방상태로 남아 있다면, 전압(Vr)의 극성은 양성이고, 다이오드(D1)가 작동한다. 따라서, 저항(A1)이 전류에 노출되고, 주연소실(17)의 헤드(21)가 점화된다. 이에 반하여, 다이오드(D2)는 꺼지고, 따라서, 저항(A2)은 전류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후, 헤드(21)에 의해 발생된 연소 가스가 펠릿(19)과 접촉하게되고, 상기 펠릿(19)의 점화를 유발한다. 압력이 오리피스(7)를 폐쇄하는 다이아프램(15)의 파열값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다이아프램(15)은 오리피스의 근방에서 파열되고, 그후 가스가 오리피스(7)를 덮고 있는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상에 압력을 작용하여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을 가스 흐름의 방향으로 접어 젖힌다. 그후, 가스는 최종적으로 연소 가스 배출구를 경유하여 배출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전에 하우징(2)의 하류부(10)로 들어간다. 오리피스(8)를 덮는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b)과 원반부(13)는 그후, 펠릿(19)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고온가스가 오리피스(8) 근방의 다이아프램(15)을 파열하고 팔레트(20)를 점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작동은 전자 제어박스가 스위치(Q2, Q3) 쌍을 접속함에 의해 기폭장치(5)의 헤드(22)만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유사하다.
두 번째 경우에, 두 개의 헤드(21, 22)는 먼저 첫 번째 스위치 쌍, 예로서 Q1, Q4쌍을 접속하고, 그후 두 번째 쌍(Q2, Q3)을 접속함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에 점화된다. 헤드(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화되고, 그후, 헤드(21) 이후에 프로그램된 지연에 따라 헤드(22)가 기폭된다. 따라서, 펠릿(20)이 점화되고, 압력이 임계값에 도달하였을 때, 다이아프램(15)이 오리피스(8) 근방에서 파열된다. 그후, 발생된 가스는 오리피스(8)를 덮고 있는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b)상에 압력을 가하여,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을 가스 흐름의 방향으로 접어 젖혀지게 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에어백을 부풀리기 전에 하우징의 하류부(10)로 가스가 들어간다. 다이오드의 응답 시간이 대략 1 내지 2 미리초이기 때문에, 두 개의 헤드(21, 22)는 거의 동시에 기폭된다.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와 탑승자용 에어백 양쪽 모두를 팽창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조립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가 제공된다.

Claims (10)

  1. 두 단부 중 한 단부가 봉합링(4)에 의해 폐쇄된 측벽(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우징(2)과, 두 개의 분리된 점화 헤드(21, 22)를 가진 전기 점화 장치(5)로 구성된 자동차의 안전을 위한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 초기에 폐쇄되어 있는 오리피스(7, 8)를 구비한 횡단판(6)이 상기 하우징(2)을 상류부(9)와 하류부(10)로 분할하고, 상기 하우징(2)이 상류부에서 튜브(16)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가 가스 밀봉 방식으로 주연소실(17)을 보조연소실(18)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두 연소실(17, 18)은 각각 파이러테크닉 차지(19, 20)와 점화 헤드(21, 2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류부(10)는 연소가스 배출구(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6)의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2)에 평행하고, 상기 하우징(2)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 장치는 두 연소실(17, 18) 중 각각의 하나를 다른 연소실로부터 가스가 퍼지는 것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원반부(13)로 구성되고, 상기 원반부는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a, 14b)을 가지며, 횡단판(6)내의 오리피스(7, 8) 중 각각의 하나가 상기 접는 자국이 형성된 영역(14a, 14b)중 하나에 의해 덮히도록 하류부(1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15)이 하우징(2)의 상류부(9)에서 횡단판(6)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점화 장치(5)는 두 개의 헤드(21, 22)를 가진 기폭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기폭장치는 단지 하나의 전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7. 제 6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헤드(21, 22) 중 각각의 하나는 스위칭 브리지에 결합된 분리된 저항(A1, A2)을 가지고, 상기 개폐 브리지는 네 개의 스위치(Q1내지 Q4)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개폐되며, 다이오드(D1, D2)를 가진 회로에 의해 형성된 전달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Q1내지 Q4)는 전자 제어 박스에 포함되고, 상기 전자 제어박스는 두 개의 연결핀(P1, P2)으로 접속되는 단일의 전력 공급원에 의해 점화 지지판(26)에 연결되고, 상기 점화 지지판은 저항(A1, A2)과 다이오드(D1, D2)를 구비하고, 상기 핀(P1, P2)과 저항(A1, A2)과 다이오드(D1, D2)는 인쇄 회로(23)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스위치(Q1내지 Q4)는 단일 모둘로 결합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헤드(21, 22) 중 각각의 하나는 다른 값의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KR1019980018442A 1997-05-23 1998-05-22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KR100268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6324A FR2763548B1 (fr) 1997-05-23 1997-05-23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daptatif a chambres tubulair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FR9706324 199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74A KR19980087274A (ko) 1998-12-05
KR100268144B1 true KR100268144B1 (ko) 2001-04-02

Family

ID=950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442A KR100268144B1 (ko) 1997-05-23 1998-05-22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68291A (ko)
EP (1) EP0879739B1 (ko)
JP (1) JP2912350B2 (ko)
KR (1) KR100268144B1 (ko)
DE (1) DE69807005T2 (ko)
ES (1) ES2180127T3 (ko)
FR (1) FR2763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6463B4 (de) * 1996-06-21 2005-07-07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s Einströmens des Gases in einen Gassack eines Airbagmoduls
DE19757478A1 (de) * 1997-12-23 1999-06-24 Dynamit Nobel Ag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US6412815B1 (en) 1998-09-28 2002-07-0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DE69923054T2 (de) 1998-09-28 2005-05-2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akai Gasgenerator für luftsack und luftsackvorrichtung
JP3220443B2 (ja) 1998-11-30 2001-10-2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EP2489557B1 (en) 1999-02-16 2015-05-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DE10006522B4 (de) 1999-03-05 2018-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ufblasvorrichtung für einen zweistufigen Airbag
US6701849B2 (en) 1999-03-05 2004-03-09 Trw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with secondary propellant cap
JP2002544035A (ja) * 1999-05-11 2002-12-24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ュアルチャンバインフレータ
TW504475B (en) * 1999-06-18 2002-10-01 Daicel Chem A mixed inflater having multi-stage expansions
DE19933556A1 (de) * 1999-07-16 2001-01-18 Autoliv Dev Aufbla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cherheitseinrichtungen
US6237950B1 (en) * 1999-07-26 2001-05-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taged air bag inflator
US6709012B1 (en) 1999-07-28 2004-03-23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as generator
US6149193A (en) * 1999-08-06 2000-11-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Variable output inflator
US6199906B1 (en) * 1999-08-12 2001-03-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ES2166319B1 (es) * 2000-03-10 2003-10-16 Dalphi Metal Espana Sa Generador monoestado tipo vaso.
DE60119088T2 (de) * 2000-03-13 2006-12-07 Nippon Kayaku K.K. Gasgenerator
US6447007B1 (en) * 2000-03-28 2002-09-10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Compact dual nozzle air bag inflator
JP4587584B2 (ja) 2000-03-28 2010-11-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WO2001074632A1 (fr) * 2000-04-03 2001-10-11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enerateur de gaz
AU2001244702A1 (en) * 2000-04-03 2001-10-1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Gas generator
US6659500B2 (en) * 2000-05-11 2003-12-0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inflator
JP5050298B2 (ja) * 2000-05-19 2012-10-17 タカタ株式会社 ガス発生装置
JP4860807B2 (ja) 2000-06-12 2012-01-25 株式会社ダイセル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FR2813118B1 (fr) 2000-08-17 2003-03-07 Livbag Snc Allumeur electro-pyrotechnique a deux tetes d'allumage et utilisation en securite automobile
US20040061319A1 (en) * 2000-12-26 2004-04-01 Takashi Saso Gas generator
DE10102646A1 (de) 2001-01-20 2002-08-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irbagsystem für Fahrzeuge
EP1361971B1 (en) * 2001-01-26 2008-02-2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Dual chamber inflator
US6857658B2 (en) * 2001-03-15 2005-02-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JP4864250B2 (ja) * 2001-08-31 2012-02-01 株式会社ダイセル 多段膨張式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US6851709B2 (en) 2001-08-31 2005-02-0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inflating type hybrid inflator
US6502514B1 (en) * 2001-09-12 2003-01-07 Christopher A. Holler Firearm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ignition primer chambers and associated methods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misfire and cold shot and enhancing rapid and reliable firing
US6948737B2 (en) * 2001-12-26 2005-09-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5521582A (ja) * 2002-03-26 2005-07-2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チャンバを備えた2段インフレータ
US6964430B2 (en) * 2002-03-27 2005-11-1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Weld-less driver-side inflator
EP1497162B1 (en) * 2002-04-19 2010-05-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6918614B2 (en) * 2002-09-05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ion assembly for variable profile air bag
US7150227B2 (en) * 2003-06-03 2006-12-1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ignition type gas generator
JP4190353B2 (ja) * 2003-06-03 2008-12-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多段着火式ガス発生器
JP2005349934A (ja) * 2004-06-10 2005-12-22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7390019B2 (en) * 2004-06-10 2008-06-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for airbag
US7660666B2 (en) * 2005-11-18 2010-02-09 Navteq North America, Llc Geographic database with detailed local data
EP1800973B1 (en) * 2005-12-20 2008-10-29 Key Safety Systems, Inc. Inflator having a variable gas flow throttle
DE202006003312U1 (de) * 2006-03-02 2006-06-14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EP2076410A2 (fr) * 2006-10-09 2009-07-08 SNPE Matériaux Energétiques Procédé pyrotechnique de génération de gaz a deux régimes - générateur pyrotechnique associé
DE102007031899A1 (de) * 2007-07-09 2009-0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Mehrstufiger Gasgenerator für ein Airbag-Modul mit einem Luftsack und Verfahren zum Befüllen des Luftsackes
JP5062866B2 (ja) * 2008-01-15 2012-10-3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FR2932136B1 (fr) * 2008-06-06 2010-08-20 Livbag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 chambres de combustion et de diffusion de sections differentes
DE102008028420B4 (de) * 2008-06-17 2023-03-23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mit mehreren Brennkammern und wenigstens einem Brennkammerverschlußelement
US8393641B1 (en) 2009-06-12 2013-03-12 Tk Holdings, Inc. Gas generator
DE202010014286U1 (de) 2010-10-15 2012-01-30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nd Gassackmodul
US9248802B2 (en) 2012-11-29 2016-02-02 Autoliv Asp, Inc. Surface mount initiators
US9010803B2 (en) * 2012-11-29 2015-04-21 Autoliv Asp, Inc. Duplex firing inflator
US9290419B2 (en) 2012-11-29 2016-03-22 Autoliv Asp, Inc. Duplex actuation system for inflatable restraints
DE102016001611A1 (de) * 2016-02-12 2017-08-17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gasgenerators,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2018012418A (ja) * 2016-07-21 2018-01-2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910828B2 (ja) * 2017-04-03 2021-07-28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21105143A1 (de) 2021-03-03 2022-09-08 Ruag Ammotec Gmbh Elektronische Anzünd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352A (en) * 1972-03-30 1973-11-20 D Radke Multiple ignition system for air cushion gas supply
US3972545A (en) * 1975-03-10 1976-08-03 Thiokol Corporation Multi-level cool gas generator
JPH03548A (ja) 1989-02-10 1991-01-07 Morton Internatl Inc エアバッグ用二室式膨張器
US5346254A (en) * 1993-02-01 1994-09-13 Trw Inc. Inflator assembly
CA2114663A1 (en) 1993-02-05 1994-08-06 Joshua B. Sweeney Microporous polymer structures
US5631439A (en) * 1995-06-07 1997-05-20 Tracor Aerospace, Inc. Multiple squib assembly
US5622380A (en) * 1995-09-21 1997-04-2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ariable nonazide gas generator having multiple propellant chambers
FR2740545B1 (fr) * 1995-10-30 1997-12-05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a debit variable,pour coussins de protection
DE19541583A1 (de) * 1995-11-08 1997-05-15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DE19541584A1 (de) * 1995-11-08 1997-05-15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Anordnung zum mehrstufigen Zünden von Gasgenerato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3548B1 (fr) 1999-06-18
FR2763548A1 (fr) 1998-11-27
US6068291A (en) 2000-05-30
KR19980087274A (ko) 1998-12-05
EP0879739B1 (fr) 2002-08-07
DE69807005D1 (de) 2002-09-12
JP2912350B2 (ja) 1999-06-28
EP0879739A1 (fr) 1998-11-25
DE69807005T2 (de) 2003-04-03
ES2180127T3 (es) 2003-02-01
JPH1148905A (ja) 199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8144B1 (ko) 관형 연소실을 가진 에어백용 적응성 파이러테크닉 가스 발생기
US6019389A (en) Air bag inflator
EP0836563B1 (en) Dual chamber nonazide gas generator
JP4377488B2 (ja) 複数の起爆装置を備えたインフレータ
EP0793587B1 (en) Variable nonazide gas generator having multiple propellant chambers
KR100479307B1 (ko) 차량 탑승자용 안전 구속 시스템의 에어백 팽창 장치
US6659500B2 (en) Multi-chamber inflator
KR970011514B1 (ko) 차량의 팽창식 구속 쿠션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기
US6382668B1 (en) Air bag inflator
US6079739A (en) Pyrotechnic gas generator with an adaptable flow rate for air bags
WO2001094162A1 (fr) Generateur de gaz pour coussin de securite gonflable et coussin de securite gonflable
US5829784A (en) Airbag inflator f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JP2004520997A (ja) 2チャンバー式インフレータ
JP2004520997A6 (ja) 2チャンバー式インフレータ
KR100316680B1 (ko) 발연가스발생기
US3944249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KR100287054B1 (ko) 중립 장치를 구비한 에어백용 적응 발화 가스 발생기
US20040227337A1 (en) Inflation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CN214450811U (zh) 一种气囊充气机
JP4625735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040183292A1 (en) Inflation devic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0292108B1 (ko) 에어백인플레터의기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