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187B1 -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187B1
KR100267187B1 KR1019970074805A KR19970074805A KR100267187B1 KR 100267187 B1 KR100267187 B1 KR 100267187B1 KR 1019970074805 A KR1019970074805 A KR 1019970074805A KR 19970074805 A KR19970074805 A KR 19970074805A KR 100267187 B1 KR100267187 B1 KR 10026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olymerization
reaction
cooling
p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928A (ko
Inventor
황규억
Original Assignee
황규억
신호유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억, 신호유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규억
Priority to KR101997007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187B1/ko
Priority to DE69805949T priority patent/DE69805949T2/de
Priority to EP98105035A priority patent/EP0925899B1/en
Priority to PT98105035T priority patent/PT925899E/pt
Priority to AT98105035T priority patent/ATE218962T1/de
Publication of KR1999005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20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the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1862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plac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0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helices, e.g. screw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07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 B01J2219/00087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ing or cooling employing heat exchange fluids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 B01J2219/00094J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051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19/00159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ling multiple zone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e.g. pre-heating and after-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스티렌 수지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비 반응수단, 스크류피더 반응수단, 본 반응수단 등을 차례로 거치면서 단계별 반응이 이루어지게 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순환방식의 냉각수단과 충격 샤워방식의 세척수단을 통과하면서 적정온도가 유지되게 하며, 제습수단을 통해 건조시의 온도를 최대한 낮춰 수지의 최적물성이 보존되게 함으로써, 생산하는 수지의 입자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원하는 크기의 입자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에 대해 별도로 숙성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 절약과 반응 사이클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또 내충격성, 강도, 단열성, 발포성 등 서로 보완적인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발포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발포 스티렌 수지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중합에 앞서 예비 중합을 할 수 있는 수단과 숙성효과도 얻으면서 수지비드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과 수지비드의 진행력을 이용하여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과 건조하기 전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연계적으로 잘 조합하여 전체적인 제조라인의 효율화를 도모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입자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반응 사이클을 종전보다 훨씬 앞당겨 생산성이 우수한 발포 스티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스티렌 수지를 제조하는 장치는 크게 순수, 스티렌 단량체, 첨가제 등을 저장하는 각각의 탱크와, 냉각 및 가열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이것들을 반응시키는 중합조와, 입자에 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탱크와, 수분제거를 위한 원심분리기 및 열풍건조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순수, 스티렌 단량체 및 첨가제, 발포제를 소정의 비율로 중합조에 투입하는 동시에 이곳에서 일정온도와 시간에 걸쳐 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다량의 수지비드를 중합조 내에서 재차 냉각시킨 다음, 이것을 별도의 탱크에 투입하여 수지비드에 붙은 불순물을 세척한다.
계속해서, 세척이 끝나면 원심분리기를 거쳐 수분을 제거하면서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이것을 소정의 단위로 묶는 과정을 통해 발포스티렌 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한 후 일정기간 숙성하지 않으면 내부 발포성이 불안하여 물성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냉장창고 등에서 적어도 60일 내지 90일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전의 제조장치에서는 각각의 반응물들을 하나의 중합조 내에 모두 정량 투입한 상태에서 한 번에 가온 및 냉각 시키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길 뿐더러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상당하고, 이로 인해 수지의 입자 크기 조절이 어렵고 입자의 크기도 원하지 않는 범위까지 넓게 분포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세척과정에서도 염산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가지고 하기 때문에 작업용수의 오염을 물론 충분한 세척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완전한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갖기 위해 제조한 후 반드시 오랜 숙성기간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품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점을 안고 있었다.
즉, 전체적인 제조시간 중에서 반응 및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많고 무엇보다도 숙성시키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제품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품질면에서도 수요자가 원하는 입자 분포의 범위보다는 그 가치가 저하된 입자 분포의 범위가 더 많게 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예비 반응수단, 스크류피더 반응수단, 본 반응수단 등을 차례로 거치면서 단계별 반응이 이루어지게 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순환방식의 냉각수단과 충격 샤워방식의 세척수단을 통과하면서 적정온도가 유지되게 하며, 제습수단을 통해 건조시의 온도를 최대한 낮춰 수지의 최적물성이 보존되게 함으로써, 생산하는 수지의 입지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원하는 크기의 입자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에 대해 별도로 숙성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 절약과 반응 사이클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또 내충격성, 강도, 단열성, 발포성 등 서로 보완적인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발포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중합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냉각순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순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세척 드럼스크린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순수탱크 11 : 스티렌 단량체탱크
12 : 분산탱크 13 : 발포제탱크
14 : 예비 중합조 15 : 스크류피더 반응기
16 : 본 중합조 17 : 냉각순환기
18 : 드럼스크린 19 : 슬러지 저장탱크
20 : 원심분리기 21 : 제습시스템
22 : 제습공기건조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체 온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순수를 약 70℃로 가열시킬 수 있으며 분산탱크와 본 중합조로 순수를 공급하는 순수탱크와, 일정량의 스티렌 단량체가 채워져 있으며 예비 중합조와 본 중합조에 각각 연결되어 그 곳으로 스티렌 단량체를 공급하는 스티렌 단량체탱크와, 가온 및 교반수단을 갖고 있으며 물과 여러 첨가제를 본 중합조에 투입하기 전에 70℃~90℃로 가열하면서 미리 혼합하는 분산탱크와, 본 중합조 내에 발포제를 공급하는 발포제탱크와, 소정의 스티렌 단량제와 첨가제를 전환률 5%~10%까지 1차 중합시키는 예비 중합조와, 예비 중합조와 본 중합조 사이에 배치되며 예비 중합조에서 중합이 끝난 반응물을 전환률 7%~20%까지 2차 중합시키는 스크류피더 반응기와, 스팀 및 냉각수를 이용한 가온 및 냉각 수단이 갖추어져 있으며 순수탱크와 분산탱크, 그리고 스티렌 단량체탱크로부터 소정의 물, 첨가제, 스티렌 단량체를 공급받는 동시에 스크류피더 반응기에서 중합을 끝낸 반응물을 공급받아 70℃~90℃에서 1단반응을 실시하고 110℃~135℃에서 2단 반응을 실시하여 전환률 99.80%까지 중합시키는 본 중합조와, 이중으로 된 관을 일정구간 수회 반복해서 구부려 놓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냉각수와의 전열작용을 이용하여 본 중합조에서 반응이 끝난 수지비드를 20℃ 이하로 냉각 및 숙성시켜주는 냉각순환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럼스크린과 다수의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순수로 수지비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드럼세척기와, 세척을 마친 수지비드를 교반시키면서 15℃이하로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탱크와, 건조하기 전에 수분 및 습기를 제거하는 원신분리기 및 제습시스템과, 제습공기를 이용하여 건조 온도 30℃ 이하로 건조시키는 제습공기건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분산탱크에 갖추어져 있는 가온 및 냉각수단은 입구와 출구를 밖에 두고 탱크 내벽을 따라 가면서 적어도 5회 이상 파이프를 감아놓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로 스팀과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탱크 내의 반응물을 가온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순환기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직선파이프를 일정간격을 두면서 나란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직선파이프를 다수의 곡선파이프를 가지고 좌우 교대로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직선파이프 둘레에는 하나로 통해 있으며 이것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별도의 파이프를 중복되게 설치하여 내외 간에 열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세척기는 내부에 다수의 스크류 날개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 롤러를 통한 안내를 받으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드럼스크린과, 이 드럼스크린의 상부에서 순수를 뿌려주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이것들을 포함하는 동시에 받쳐주는 밀폐형 커버 및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크게 순수를 공급하는 순수탱크(10), 스티렌 단량체를 공급하는 스티렌 단량체탱크(11), 여러 첨가제를 공급하는 분산탱크(12), 발포제를 공급하는 발포제탱크(13), 예비반응을 위한 예비 중합조(14) 및 스크류피더 반응기(15), 본 반응기인 본 중합조(16), 냉각과 숙성을 동시에 해주는 냉각순환기(17), 세척을 위한 드럼스크린(18), 임시 저장소 역할을 하는 슬러지 저장탱크(19), 탈수 및 제습을 위한 원심분리기(20) 및 제습시스템(21), 제품을 얻어내는 최종단계인 제습공기건조기(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순수탱크(10)는 반응에 필요한 순수를 저장했다가 발포제탱크(13)와 본 중합조(16)에 공급해 준다.
이 순수탱크(10)에는 자체 가온수단이 갖추어져 있으며, 본 중합기(16)에 순수를 투입하기에 앞서 50℃~70℃까지 가열한 다음 투입함으로써, 반응 사이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단량체탱크(11)는 다량의 스티렌 단량체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로서, 예비 중합조(14)와 본 중합조(16)로 각각 일정량의 스티렌 단량체를 순차적으로 공급해 준다.
상기 분산탱크(12)는 물과 분산제, 분산보조제, 수지비드 크기 조절제 등과 난연제, 난연보조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70℃~90℃까지 가열하면서 자체 교반 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하며, 혼합이 끝난 혼합물을 본 중합기(16)로 투입해 준다.
본 중합기(16)에 투입되는 첨가제의 양이 전체 반응물에 비해 그 양이 매우 적어 직접 투입되면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분산탱크(12)를 이용하여 미리 잘 섞은 다음 투입함으로써, 첨가제가 반응물 속에서 골고루 분포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포제탱크(13)는 수지비드가 발포되는데 필요한 발포제를 본 중합조(16)에 공급해 주며, 본 반응시의 전환률이 94% 정도가 됐을 때 발포제를 투입한다.
상기 예비 중합조(14)는 본 중합조(16)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 반응에 앞서 예비 반응을 해주는 수단으로서, 스티렌 단량체탱크(11)로부터 일정량의 스티렌 단량체와 각종 첨가제를 공급받아 이곳에서 60℃의 온도로 전환률 5%~10%까지 조성물의 중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피더 반응기(15)는 예비 중합조(14)와 본 중합조(16)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일종의 예비반응기로서, 예비 중합조(14)에서 전환률 5%까지 중합한 중합물을 전환률 20%까지 중합한 후 본 중합조(16)로 보낸다.
상기 본 중합조(16)는 첨부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날개차를 갖는 교반수단과 가온 및 냉각수단을 갖춘 일종의 밀폐형 탱크이다.
상기 가온 및 냉각수단은 물자킷과 같은 형태로 본 중합조(16)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제작하여 스팀이나 냉각수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본 중합조(16)내부의 반응물을 가온 또는 냉각시켜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가온 및 냉각수단은 물자킷 형태와는 달리 탱크에 내벽을 따라 가면서 수회 감겨진 파이프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가온 냉각수단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중합조(16)에는 스크류피더 반응기(15)에서 중합이 끝난 반응물과 순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50℃~70℃의 순수와 스티렌 단량체탱크(11)에서 공급되는 순수와 같은 양의 스티렌 단량체와 분산탱크(12)에서 공급되는 혼합된 첨가제가 함께 투입된다.
본 중합조(16)에서 반응은 2단 반응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1단 반응은 온도 70℃~90℃ 교반속도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실시하며, 2단 반응은 온도 110℃~135℃ 불활성기체와 발포제를 투입한다.
본 중합조(16)에서는 전환률 99.80%까지 실시하며, 반응이 완료된 수지비드는 이곳에서 70℃까지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순환기(17)는 본 중합조(16)에서 반응이 종료된 수지비드를 온도 20℃ 이내로 유지하면서 냉각시켜주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각순환기(17)는 첨부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수회 반복해서 굽힘성형하면서 그 입구와 출구를 각각 본 중합조(16)측과 드럼스크린(16)측으로 연결하여 수지비드가 일정시간 흐를 수 거리를 확보하고, 첨부한 제4도에서 볼 수 있듯이 파이프 둘레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별도의 파이프를 동심원 상으로중복 설치하여 수지비드가 안쪽으 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동안 그 주위의 냉각수와 전열작용을 일으키면서 열을 빼앗기게 되므로서, 수지비드를 원하는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수지비드가 2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일정시간 동안 냉각순환기(17)를 통과함에 따라 수지비드의 내부 셸이 균일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숙성기간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드럼스크린(18)은 첨부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날개를 갖는 동시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 드럼과, 이 드럼의 상부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과, 이것들을 감싸주는 동시에 받쳐주는 밀폐형 커버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형 후 융착성 증가와 성형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목적으로 하는 세척 수단이다.
드럼스크린(18)에서는 상기 냉각순환기(17)를 빠져나온 다음 냉각이 완료된 수지비드를 노즐에서 분사되는 순수로 20여분 동안 세척하여 수지비드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의 수지비드는 스크류 궤적을 따라 진행되면서 서로 부딪히고 또 소정의 분사압으로 가해지는 순수에 의한 세척력을 받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세척액에 넣고 같이 휘저어주는 방식에 비해 세척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으며, 연속적 세척이 가능하므로 이후 생산공정의 연속적,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19)는 일종의 냉각조로서, 세척을 마친 수지비드를 교반시켜 주면서 15℃ 이하로 유지해 준다.
상기 원심분리기(20)는 건조하기 전에 수지비드에 포함된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는 탈수수단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원심분리기(20)를 통해 탈수가 완료된 수지비드의 습기를 한차례 더 빼주는 제습시스템(21)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제습시스템(21)을 활용함으로써, 건조온도를 30℃ 이하로 낮게 유지하여 건조시 수지비드에서 발포제가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상기 제습공기건조기(22)는 열풍을 이용하여 수지비드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해주는 수단으로서, 이곳을 거친 후 소정의 입자 크기를 갖는 최종 제품이 얻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발포 스티렌 수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과정은 반응 단계별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며 예비 반응, 스크류피더 반응, 본 반응 등에서 단계별 반응을 하고, 본 반응에서도 온도에 따라 2단계 반응을 한다.
그 조성물은 예비 중합시 스티렌 단량체에 난연제, 난연보조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넣어 전환률 5%~10% 까지 중합하고, 스크류피더 반응기에서 방향족 탄화 수소 연쇄이동제 등을 첨가하여 전환률 7%~20% 까지 중합하면서 본 중합조에 투입한다.
이때, 본 중합조에는 순수를 스티렌 단량체와 같은 양을 먼저 투입한다.
본 중합조에 투입하는 순수는 가온 탱크에서 반응 사이클을 단축하기 위해 미리 50℃~70℃ 가열한 다음 투입한다.
또한, 분산탱크에 물과 분산제, 분산보조제, 수지비드 크기 조절제 등을 넣고 70℃~90℃ 까지 가열하면서 첨가제를 혼합한다.
혼합이 끝난 혼합물을 본 중합조에 투입하고 다시 스티렌 단량체를 일정량 투입한다.
계속해서, 스크류피더 반응기에서 중합이 끝난 반응물을 본 중합조의 온도를 70℃~90℃ 올리면서 투입하며, 이때의 투입시간은 30분 내지 60분 사이로 한다.
본 중합조에서 반응은 70℃~90℃ 에서 1단 반응과 110%~135% 에서 2단 반응을 차례로 실시하며, 1단 반응에서 2단 반응으로 온도를 올리는 시점에서 발포제와 불활성기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투입한다.
이때의 불활성기체는 발포제 등이 수지비드에 용이하게 침투하는데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사이클을 단축하기 위하여 냉각순환기에 수지비드를 통과시킨다.
냉각순환기를 통과한 수지는 발포 후 융착, 내충격성, 강도향상을 위하여 드럼스크린을 20분 내지 30분 동안 통과하면서 순수로 깨끗이 세척한 다음, 슬러지 저장탱크에서 1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탈수 후 건조하기 전에 제습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건조온도를 30℃ 이하로 낮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조시 수지비드에서 발포제가 빠져나가는 것을 극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제품은 별도의 숙성기간이 필요없고, 또한 90일 이상 장기간 보관하여도 발포제가 빠져나가는 일이 거의 없어 발포력이 뛰어나며, 성형 후 융착이 우수하고 난연성, 내충격성, 강도, 내수분흡수성 등이 뛰어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발포 스티렌 물성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반응 단계별로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또한 수지의 입자 크기 조절을 위하여 본 반응에 앞선 2차례의 예비 반응에는 수지 입자 조절제 및 분산제를 첨가하지 않고 이를 본 반응시 첨가하는 동시에 교반속도를 변화시킴으로 원하는 입자를 약 94% 이상 얻을 수 있고, 반응 단계별로 반응하고 또한 분산 탱크, 예비 중합조, 가온이 가능한 순수탱크, 냉각순환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반응 사이클을 종전보다 6시간 이상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냉각순환기와 냉각조 등에서 냉각함으로써, 숙성이 필요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후 장시간 방치하여도 발포제가 빠져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자체 온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순수를 약 70℃로 가열시킬 수 있으며 분산탱크와 본 중합조로 순수를 공급하는 순수탱크와, 일정량의 스티렌 단량체가 채워져 있으며 예비 중합조와 본 중합조에 각각 연결되어 그 곳으로 스티렌 단량체를 공급하는 스티렌 단량체탱크와,
    본 중합기 내에 발포제를 공급하는 발포제탱크와,
    가온 및 교반수단을 갖고 있으며 물과 여러 첨가제를 본 중합조에 투입하기 전에 70℃~90℃로 가열하면서 미리 혼합하는 분산탱크와,
    소정의 스티렌 단량체와 첨가제를 전환률 5%~10% 까지 1차 중합시키는 예비 중합조와,
    예비 중합조와 본 중합조 사이에 배치되며 예비 중합조에서 중합이 끝난 반응물을 전환률 7%~20% 까지 2차 중합시키는 스크류피더 반응기와,
    스팀 및 냉각수를 이용한 가온 및 냉각수단이 갖추어져 있으며 순수탱크와 분산탱크, 그리고 스티렌 단량체탱크로부터 소정의 물, 첨가제, 스티렌 단량체를 공급받는 동시에 스크류피더 중합기에서 중합을 끝낸 반응물을 공급받아 70℃~90℃ 에서 1단반응를 실시하고 110℃~135℃에서 2단반응을 실시하여 전환률 99.80%까지 중합시키는 본 중합조와,
    이중으로 된 관을 일정구간 수회 반복해서 구부려 놓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냉각수와의 전열작용을 이용하여 본 중합조에서 반응이 끝난 수지비드를 20℃ 이하로 냉각 및 숙성시켜주는 냉각순환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럼스크린과 다수의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순수로 수지비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드럼세척기와,
    세척을 마친 수지비드를 교반시키면서 15℃ 이하로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탱크와,
    건조하기 전에 수분 및 습기를 제거하는 원심분리기 및 제습시스템과,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온도 30℃ 이하로 건조시키는 제습공기건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탱크에 갖추어져 있는 가온 및 냉각수단은 입구와 출구를 밖에 두고 탱크 내벽을 따라 가면서 적어도 5회 이상 파이프를 감아놓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로 스팀과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탱크 내의 반응물을 가온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순환기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직선파이프를 일정간격을 두면서 나란하게 배치하고 각각의 직선파이프를 다수의 곡선파이프를 가지고 좌우 교대로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직선파이프 둘레에는 하나로 통해 있으며 이것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별도의 파이프를 중복되게 설치하여 내외 간에 열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척기는 내부에 다수의 스크류 날개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 롤러를 통한 안내를 받으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드럼스크린과, 이 드럼스크린의 상부에서 순수를 뿌려주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이것들을 포함하는 동시에 받쳐주는 밀폐형 커버 및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KR1019970074805A 1997-12-26 1997-12-26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KR10026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805A KR100267187B1 (ko) 1997-12-26 1997-12-26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DE69805949T DE69805949T2 (de) 1997-12-26 1998-03-1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aumstoffperlen aus Styrolharz
EP98105035A EP0925899B1 (en) 1997-12-26 1998-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styrene resin beads
PT98105035T PT925899E (pt) 1997-12-26 1998-03-19 Aparelho e metodo para produzir perolas de espuma de resina de estireno
AT98105035T ATE218962T1 (de) 1997-12-26 1998-03-1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aumstoffperlen aus styrolharz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805A KR100267187B1 (ko) 1997-12-26 1997-12-26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928A KR19990054928A (ko) 1999-07-15
KR100267187B1 true KR100267187B1 (ko) 2000-10-16

Family

ID=1952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805A KR100267187B1 (ko) 1997-12-26 1997-12-26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25899B1 (ko)
KR (1) KR100267187B1 (ko)
AT (1) ATE218962T1 (ko)
DE (1) DE69805949T2 (ko)
PT (1) PT925899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594B1 (ko) * 2009-08-31 2012-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열 조건을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의 제조방법
JP5568446B2 (ja) * 2009-11-06 2014-08-06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重合反応装置及び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CN103538199B (zh) * 2013-09-22 2016-02-24 合肥超威光电科技有限公司 聚苯乙烯预发熟化系统
TWI676543B (zh) * 2018-01-04 2019-11-11 蘇榮華 氣體發泡及其爆發膨脹冷卻回收系統
CN112108090B (zh) * 2020-08-04 2022-03-04 浙江禾欣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生产设备
CN111890620A (zh) * 2020-08-07 2020-11-06 江西科技学院 多孔轻质光催化材料的制备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068A (ko) * 1988-02-13 1989-09-21 홍고오 무쓰비 스티렌계 중합체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46114B (ko) * 1965-05-13 1972-06-26 Hoechst Ag
GB1175262A (en) * 1967-07-26 1969-12-23 Shell Int Research The Manufacture of Polyvinyl-Aromatic Compounds, and the Resulting Polymers.
US3679651A (en) * 1968-08-29 1972-07-25 Mitsui Toatsu Chemicals Method of polymerizing styrene
US4525485A (en) * 1983-09-08 1985-06-25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e-expan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ame
GB2162789A (en) * 1984-07-16 1986-02-12 Cosden Technology Process for making expandable polystyrene
JP2933707B2 (ja) * 1990-11-21 1999-08-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性スチレン系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CA2107157C (en) * 1992-09-29 1998-02-03 Thomas N. Hall, Iii Continuous process for expanding thermoplastic minipellets
DE19530765A1 (de) * 1995-08-22 1997-02-27 Basf Ag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DE19548515C1 (de) * 1995-12-27 1997-07-10 Buna Sow Leuna Olefinverb Gmbh Verfahren zur Trocknung und Konditionier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068A (ko) * 1988-02-13 1989-09-21 홍고오 무쓰비 스티렌계 중합체 제조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5949T2 (de) 2003-01-09
ATE218962T1 (de) 2002-06-15
PT925899E (pt) 2002-11-29
EP0925899B1 (en) 2002-06-12
DE69805949D1 (de) 2002-07-18
KR19990054928A (ko) 1999-07-15
EP0925899A1 (en) 199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187B1 (ko) 발포 스티렌 수지의 제조장치
CN103319705B (zh) 一种熔融缩聚反应方法及其反应器和降膜管
CN115501826B (zh) 一种制备气凝胶复合材料的一体化装置及方法
CN102672872A (zh) 一种电子辐照交联聚乙烯发泡设备
US4680281A (en) Process of producing a V2 O5 -and-alkali-metal-sulfate-containing catalyst for oxidizing SO2 to SO3
CN205288387U (zh) 苯二亚甲基二异氰酸酯的合成装置
KR890004162B1 (ko) 합성수지 성형품 염색장치
CN204385545U (zh) 全自动通过式揉纹设备
KR100795108B1 (ko) 인라인 방식의 원적외선 라텍스 장갑 건조 경화장치
CN113373574B (zh) 一种过滤布加工工艺及装置
CN109774045A (zh) 一种彩色橡塑绝热材料制备装置
CN212975145U (zh) 一种聚氨酯防水涂料生产用反应釜
CN213886887U (zh) 一种方便使用的高温热塑环预浸料生产设备
CN212855745U (zh) 一种能够提高卤化丁基胶液混合效果的中和釜
CN106967255A (zh) 一种硅藻土交联抑菌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209652362U (zh) 一种环保型阻燃系列充电栓电缆生产退火装置
JP2005037216A (ja) 複合サイクル試験装置及び複合サイクル試験方法
CN216551103U (zh) 一种沥青防水卷材浸涂料池
CN205443530U (zh) 编织袋扁丝的生产设备
CN220570440U (zh) 一种用于辅助发电机定子绕组绝缘固化的装置
CN109096505A (zh) 一种多羧基聚氨酯接枝提高复合材料界面性能的方法
CN109777110A (zh) 一种液体阻燃流水线发泡硅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219922931U (zh) 一种液氮原料药反应釜
CN210613488U (zh) 成核剂乳化生产装置
JPS59204510A (ja) ホツパ−ドラ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