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979B1 - 디인터리버 - Google Patents

디인터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979B1
KR100266979B1 KR1019980014357A KR19980014357A KR100266979B1 KR 100266979 B1 KR100266979 B1 KR 100266979B1 KR 1019980014357 A KR1019980014357 A KR 1019980014357A KR 19980014357 A KR19980014357 A KR 19980014357A KR 100266979 B1 KR100266979 B1 KR 10026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output
unit
b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624A (ko
Inventor
요시가즈 나라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8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디인터리버는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유닛, 제1저장유닛 출력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래칭유닛, 데이터 래칭유닛의 출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유닛, 및 제1저장유닛에 출력되는 판독 어드세싱신호와 제2저장유닛에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어드레싱유닛을 포함한다. 어드레싱유닛은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유닛과, 카운팅유닛으로부터 출력된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사용하여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하기 위한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계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인터리버
본 발명은 인터리브된 데이터 시퀀스를 디인터리빙하기 위한 디인터리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S. IS-95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DMA) 단말유닛에 필요한 디인터리버에 관한 것이다.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경로 등의 환경에 따라 통신데이터에 연속적인 에러들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무작위-에러-정정코딩의 유리한 장점을 무효로 만든다. 그러한 상황에서, 다음 동작들이 공통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송동안 연속적으로 발생한 데이터에러들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전송될 전송데이터의 순서가 규정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고, 그런 다음에 전송데이터가 송신기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에서, 수신데이터의 순서는 원래 순서의 바른 순서로 재배열된다. 전송데이터의 순서를 규정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시키기 위한 장치를 인터리버(interleaver)라고 부르고, 그리고 수신데이터의 순서를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시키기 위한 장치를 디인터리버(deinterleaver)라고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디인터리버는 제1저장유닛(110), 데이터 래칭유닛(120), 제2저장유닛(130), 및 이진 카운팅유닛(141)과 제3저장유닛(142)을 포함하는 어드레싱유닛(140)을 포함한다.
수신데이터는 어드레스 "0"에서 시작하여 제1저장유닛(11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어드레싱유닛(140)의 이진 카운팅유닛(141)은 초기 카운트값 "0"에서부터 제1저장유닛(1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의 수까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출력신호는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 및 제3저장유닛(140과 142)에 출력된다. 따라서, 제1저장유닛(1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는 어드레스 "0"에서부터 시작하여 이진 카운팅유닛(141)으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싱신호에 응해 제1저장유닛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독출된다. 제1저장유닛(110)으로부터 독출된 수신데이터는 일시적으로 데이터 래칭유닛(120)에 유지된다.
어드레싱유닛(140)의 제3저장유닛(142)에서, 수신데이터의 정확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들이 어드레스 "0"에서 시작하여 저장된다. 번호들은 어드레스 "0"에서부터 시작하는 이진 카운팅유닛(141)으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싱신호에 응해 제3저장유닛(14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독출된다. 제3저장유닛(142)으로부터 독출된 번호들의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130)에 출력된다.
제2저장유닛(130)에서, 데이터 래칭유닛(1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들이 제3저장유닛(142)으로부터의 기록 어드레싱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에 저장된다. 결과적으로, 수신데이터들은 어드레스"0"에서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순서로 제2저장유닛(13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디인터리버에서, 수신데이터들은 수신순으로 제1저장유닛(110)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독출된다. 제1저장유닛(110)으로부터 독출된 수신데이터들은 제2저장유닛(130)에 기록되면, 제2저장유닛(130)의 기록어드레스가 수정된다. 이에 의해, 수신데이터의 순서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순서로 재배열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디인터리버는 제2저장유닛(130)의 기록 어드레스정보로서 수신데이터의 정확한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3저장유닛(142)으로서 비교적 큰 저장용량을 가지는 메모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면적과 전력소비가 불리하게 증가된다. 따라서, 그러한 디인터리버는 크기와 전력소비가 작아져야할 필요가 있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같은 수신장치에 적절히 설치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와 전력소비가 감소될 수 있는 디인터리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제1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래칭수단; 데이터 래칭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및 제1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싱신호와 제2저장수단에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고 또한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수단과; 카운팅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사용하여 임의순서에서 정확한 순서로 데이터의 순서를 재배열하기 위한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어드레싱수단을 포함하는 제1디인터리버가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제1저장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래칭수단; 데이터 래칭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및 제1저장수단에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싱신호와 제2저장수단에 출력되는 기록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고, 또한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수단과; 카운팅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사용하여 임의순서에서 정확한 순서로 데이터의 순서를 재배열시키기 위해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어드레싱수단을 포함하는 제2디인터리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함께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인터리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인터리버를 가지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IS-95표준의 다운링크의 페이징채널 또는 이의 순방향 트래픽채널의 인터리브후 데이터 시퀀스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U.S. IS-95표준에 따른 CDMA단말장치의 다운링크를 위한 페이징채널 또는 순방향 트래픽채널에 사용을 위한 디인터리버를 예로써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는 제1저장유닛(10), 데이터 래칭유닛(20), 제2저장유닛(30), 및 어드레싱유닛(40)을 포함한다. 구성에서, 어드레싱유닛(40)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 비트순서 반전유닛(43), 가수(addend) 선택유닛(44), 및 가산기(45)를 포함한다.
수신데이터들은 어드레스 "0(십진)"에서 시작하여 제1저장유닛(1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어드레싱유닛(40)의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은 "0(십진)"에서부터 "383(십진)"까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이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10)에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제1저장유닛(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는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으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싱신호에 응해 어드레서 "0(십진)"에서부터 시작하여 제1저장유닛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독출된다. 제1저장유닛(10)으로부터 독출된 수신데이터는 일시적으로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유지된다.
어드레싱유닛(40)의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은 클럭신호(CLK2)로 구동된다. 클럭신호(CLK2)의 주파수는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클럭신호(CLK1)의 주파수의 1/6이다.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은 "0(십진)"에서부터 "63(십진)"까지 카운트하고, 그리고 획득된 카운트값은 비트순서 반전유닛(43)으로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43)은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으로부터의 카운트값의 비트순서를 반전된 비트순서로 재배열시킨다. 예컨대,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으로부터의 카운트값이 "101000"이면, 비트순서 반전유닛(43)은 "101"의 출력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수 선택유닛(44)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럭신호(CLK1)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신호(CLK3)로 구동된다. 가산 선택유닛(44)은 클럭신호(CLK3)와 동기하여 여섯 개의 가수(즉, 0, 64, 128, 192, 256 및 320)를 연속적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가수 선택유닛(44)이 3-비트 육진 카운터이어서, 카운트값들이 "0(십진)", "1(십진)", "2(십진)", "3(십진)", "4(십진)", "5(십진)"들이면, 가수 "0(십진)", "64(십진)", "128(십진)", "192(십진)", "256(십진)" 및 "320(십진)"들이 각각 선택된다. 이후에, 동작은 비슷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이점과 관련해, 가수 선택유닛(44)은 카운터와 선택기로 구현될 수 있다.
가산기(45)는 비트순서 반전유닛(43)의 출력신호와 가수 선택유닛(44)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고, 그리고 결과신호가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30)에 출력된다.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는 가산기(45)로부터의 기록 어드레싱신호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브된 수신데이터가 입력되는, 이 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주어진다. 도 5에서, 판독 어드레스는 제1저장유닛(10)의 판독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그리고 각 수신데이터는 IS-95표준의 다운링크를 위한 페이징채널 또는 순방향 트래픽채널에서 인터리브된 후의 데이터 시퀀스의 부분을 나타낸다. 예컨대, 이점에 있어서, 판독 어드레스"0(십진)"에서 제1저장유닛(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0)는 그 위치가 인터리빙동작 전에 첫 번째인 데이터를 나타내고, 그리고 판독 어드레스 "1(십진)"에서 제1저장유닛(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64)는 그 위치가 인터리빙동작 전에 64번째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의 초기 카운트값 "0"(십진"0")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에서부터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10)으로 출력되면, 판독 어드레스 "0(십진)"에서 저장된 제1저장유닛(10)의 수신데이터(D0)가 제1저장유닛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게다가,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의 초기 카운트값 "0"(십진"0")이 비트순서 반전유닛(43)으로 출력된 다음에, 초기 카운트값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결과적으로, "0"(십진"0")이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서 가산기(45)로 출력된다. 이 상황에서, 가수 선택유닛(44)이 가수 "0(십진)"("0")을 선택하기 때문에, 가산결과 "0"(십진"0")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가산기(45)에서부터 제2저장유닛(3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0)가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0)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0(십진)"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카운트값 "1"(십진"1)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에서부터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10)에 출력되면, 판독 어드레스 "1(십진)"에서 저장된 수신데이터(D64)가 제1저장유닛(10)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때에,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은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 "0"(십진 "0")을 연속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0"(십진 "0")은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서 가산기(45)로 출력된다. 이외에도, 가수 선택유닛(44)은 가수 "64(십진)"("1000000")를 선택하여 가수를 가산기(45)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가산결과 "1000000"(십진 "64")가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가산기(45)에서 제2저장유닛(30)으로 출력된다. 이에 응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64)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64)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64(십진)"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이 시점후에, 동작은 비슷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수신데이터들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의 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표 1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제1저장유닛(10)의 판독 어드레스 인터리브된 데이터 독출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으로부터의 출력 비트순서 반전유닛(43)으로부터의 출력 가스 선택유닛(44)으로부터의 출력(십진) 가산기(4)로부터의 출력(십진)(제2저장유닛(30)의 기록 어드레스
"0" D0 "0" "0" 0 0
"1" D64 "0" "0" 64 64
"10" D128 "0" "0" 128 128
"11" D192 "0" "0" 192 192
"100" D256 "0" "0" 256 256
"101" D320 "0" "0" 320 320
"110" D32 "1" "100000" 0 32
"111" D96 "1" "100000" 64 96
"1000" D160 "1" "100000" 128 160
"1001" D224 "1" "100000" 192 224
"1010" D288 "1" "100000" 256 288
"1011" D352 "1" "100000" 320 352
"1100" D16 "10" "10000" 0 16
"1101" D80 "10" "10000" 64 80
"1110" D144 "10" "10000" 128 144
"1111" D208 "10" "10000" 192 208
"10000" D272 "10" "10000" 256 272
"10001" D336 "10" "10000" 320 336
"10010" D48 "11" "110000" 0 48
"10011" D112 "11" "110000" 64 112
"10100" D176 "11" "110000" 128 176
"10101" D240 "11" "110000" 192 240
"10110" D304 "11" "110000" 256 304
"10111" D368 "11" "110000" 320 368
예컨대, 기록 어드레스 "6(십진)", "14(십진)" 및 "23(십진)"에서 제1저장유닛(1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32, D144 및 D368)들은 다음과 같이(참조가 표 1의 7번째, 15번째 및 마지막 열에 대해 이루어진다), 인터리빙동작 전에 수신데이터(D32, D144 및 D368)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카운트값 "110"(십진 "6")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에서부터 제1저장유닛(10)으로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출력되면, 판독 어드레스 "6(십진)"에서 저장된 수신데이터(D32)가 제1저장유닛(10)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의 카운트값이 이 경우에 "1"(십진 "1")이기 때문에,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서부터 가산기(45)로 "100000"(십진 "32")가 출력된다. 한편, 가수 "0(십진)"("0")이 선택되어 가수 선택유닛(44)에서 가산기(45)로 출력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산결과 "100000"(십진 "32")이 가산기(45)에서 제2저장유닛(3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32)가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32)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32(십진)"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카운트값 "1110"(십진 "14")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에서부터 제1저장유닛(10)으로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출력되면, 판독 어드레스"14(십진)"에서 저장된 수신데이터(D144)가 제1저장유닛(10)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때에,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의 카운트값이 "1"(십진 "2")이기 때문에,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서 가산기(45)로 "10000"(십진 "16")이 출력된다. 한편, 가수 "128(십진)"("10000000")이 선택되어 가수 선택유닛(44)에서 가산기(45)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가산결과 "0100010000"(십진 "144")가 가산기(45)에서 제2저장유닛(3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144)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144)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144(십진)"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수신데이터(D368)에 있어서, 카운트값 "10111"(십진 "23")이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1)에서부터 제1저장유닛(10)으로 출력되면, 판독 어드레스 "23(십진)"에서 저장된 수신데이터(D368)가 제1저장유닛(10)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경우에, 6-비트 이진 카운팅유닛(42)의 카운트값이 "11"(십진 "3")이기 때문에, 비트순서 반전유닛(43)에서 가산기(45)로 "110000"(십진 "48")이 출력된다. 한편, 가수 "320(십진)"("101000000")이 선택되어 가수 선택유닛(44)에서 가산기(45)로 출력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산결과 "101000011"(십진 "368")이 가산기(45)에서 제2저장유닛(3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칭유닛(2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368)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데이터 래칭유닛(20)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368(십진)"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디인터리버에서, 어드레싱유닛(40)이 카운터와 계산회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디인터리빙동작을 위한 어드레스 수정테이블용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될 수 있고 그리고 회로시스템은 최소화된 전력소비를 위한 작은 크기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는 제1저장유닛(50), 데이터 래칭유닛(60), 제2저장유닛(70), 및 어드레싱유닛(80)을 포함한다. 이 점에 있어서, 어드레싱유닛(80)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 비트순서 반전유닛(82), 승산기(83), 제산기(84), 및 가산기(85)를 포함한다.
수신데이터들은 어드레스 "0(십진)"에서 시작하여 제1저장유닛(5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어드레싱유닛(80)의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은 "0(십진)"에서부터 "383(십진)"까지 카운트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의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의 비트순서들을 반전된 순서로 재배열한다. 예컨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이 "100101000"(십진 "296")이면, "101"(십진 "5")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부터 출력된다. 승산기(83)는 비트순서 반전유닛(82)의 출력신호를 승산계수 "6(십진)"으로 승산한다. 부가적으로, 제산기(84)는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을 고정된 값 "64(십진)"로 나눈다. 부수적으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의 세 개의 상위-순서 비트만을 추출할 수 있다. 가산기(85)는 승산기(83)의 출력신호를 제산기(84)의 출력신호에 가산하고, 그런 다음에 가산결과는 제1저장유닛(50)에서부터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는 가산기(85)로부터의 판독 어드레싱신호에 응해 제1저장유닛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독출된다. 제1저장유닛(50)으로부터 독출된 수신데이터는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어드레싱유닛(80)의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은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들은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으로부터의 기록 어드레싱신호에 따라 제2저장유닛(70)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의 동작이, 도 5에 도시된 인터리브된 수신데이터가 입력되는 예를 참조로 설명된다.
어드레싱유닛(80)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초기 카운트값 "0"(십진 "0")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에서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 출력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단지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만이 카운트값에서부터 추출된 다음, 추출된 비트들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따라서, "0"(십진 "0")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승산기(83)로 출력된다. 승산기(83)에서, "0"(십진 "0")이 승산계수 "6(십진)"에 의해 승산되어 승산결과 "0"(십진 "0")가 가산기(85)로 출력된다. 한편, 제산기(81)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초기 카운트값 "0"(십진 "0")이 고정된 값 "64(십진)"에 의해 나뉘어져, 제산결과 "0"(십진 "0")이 가산기(85)에 출력된다. 가산기(85)에서, 승산결과 "0"(십진 "0")가 제산결과 "0"(십진 "0")에 가산되어, 가산결과 "0"(십진 "0")가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50)으로부터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판독 어드레스 "0(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0)들이 제1저장유닛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도 5를 보라). 이 상황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초기 카운트값 "0"(십진 "0")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입력되기 때문에,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0)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0)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0(십진)"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계속하여, 카운트값 "1"(십진 "1")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에서부터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 출력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만이 카운트값에서부터 추출된 다음, 추출된 비트들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따라서, "100000"(십진 "32")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부터 승산기(83)로 출력된다. 승산기(83)에서, "100000"(십진 "32")은 승산계수 "6(십진)"에 의해 승산된 다음, 승산결과 "110000000"(십진 "192")가 가산기(85)로 출력된다. 한편, 제산기(81)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십진 "1")이 고정된 값 "64(십진)"에 의해 제산된 다음, 제산결과 "0"(십진 "0")이 가산기(85)에 공급된다. 가산기(85)에서, 승산결과 "110000000"(십진 "192")이 제산결과 "0"(십진 "0")에 가산되어, 가산결과 "110000000"(십진 "192")가 판독 어드레싱으로서 제1저장유닛(50)에 출력된다. 판독 어드레스 "192(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1)(도 5에 도시되지 않음)는 제1저장유닛으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입력되기 때문에, 데이터 래칭유닛(7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1)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1)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1(십진)"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상기 동작은 비슷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수신데이터들은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표 2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91)으로부터의 출력(제2저장유닛(70)의 기록 어드레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부터의 출력 승산기(83)으로부터의 출력(십진) 제산기(84)로부터의 출력(십진) 가산기(85)로부터의 출력(십진)(제1저장유닛(50)의 판독 어드레스 인터리브된 데이터 독출
"0" "0" 0 0 0 D0
"1" "100000" 192 0 192 D1
"10" "10000" 96 0 96 D2
"11" "110000" 288 0 288 D3
"100" "1000" 48 0 48 D4
"101" "101000" 240 0 240 D5
"110" "11000" 144 0 144 D6
"111" "111000" 336 0 336 D7
"1000" "100" 24 0 24 D8
"1001" "100100" 216 0 216 D9
"1010" "10100" 120 0 120 D10
"1011" "110100" 312 0 312 D11
"1100" "1100" 72 0 72 D12
"1101" "101100" 264 0 264 D13
"1110" "11100" 168 0 168 D14
"1111" "111100" 360 0 360 D15
"10000" "10" 12 0 12 D16
"10001" "100010" 204 0 204 D17
"10010" "10010" 108 0 108 D18
"10011" "110010" 300 0 300 D19
"10100" "1010" 60 0 60 D20
예컨대, 판독 어드레스 "12(십진)"와 "24(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16 및 D8)는 다음과 같이(표 2의 제17 및 제9열을 보라),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16 및 D8)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에서 제2저장유닛(30)에 저장된다.
수신데이터(D16)에 있어서, "10000"(십진 "16")의 카운트값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에서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 출력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단지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만이 카운트값에서부터 추출된 다음, 추출된 비트들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따라서, "10"(십진 "2")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부터 승산기(83)으로 출력된다. 승산기(83)에서, "10"(십진 "2")은 승산계수 "6(십진)"에 의해 승산된 다음, 승산결과 "1100"(십진 "12")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한편, 제산기(81)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0000"(십진 "16")이 고정된 값 "64(십진)"에 의해 나뉘어진 다음, 제산결과 "0"(십진 "0")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가산기(85)에서, 승산결과 "1100"(십진 "12")가 제산결과 "0"(십진 "0")에 가산되어, 가산결과 "1100"(십진 "12")가 판독 어드레싱으로서 제1저장유닛(50)에 출력된다. 따라서, 판독 어드레스 "12(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16)(도 5를 보라)들이 제1저장유닛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으로부터의 카운트값 "10000"(십진 "16")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16)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16)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16(십진)"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수신데이터(D8)에 있어서, 카운트값 "1000"(십진 "8")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에서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 출력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단지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만이 카운트값으로부터 추출된 다음, 추출된 비트들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결과적으로, "100"(십진 "4")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부터 승산기(83)로 출력된다. 승산기(83)에서, "100"(십진 "4")이 승산계수 "6(십진)"에 의해 승산된 다음, 승산결과 "11000"(십진 "24")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한편, 제산기(81)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000"(십진 "8")이 고정된 값 "64(십진)"에 의해 나뉘어진 다음, 제산결과 "0"(십진 "0")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가산기(85)에서, 승산결과 "11000"(십진 "24")이 제산결과 "0"(십진 "0")에 가산되어, 가산결과 "11000"(십진 "24")이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50)에 출력된다. 이에 응해, 판독 어드레스 "24(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서 저장된 수신데이터(D8)가 제1저장유닛으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000"(십진 "8")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입력되기 때문에, 데이터 래칭유닛(6)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8)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8)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8(십진)"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제산기(84)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판독 어드레스 "5(십진)"와 "11(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320 및 D352)에 관해서 디인터리버의 동작의 설명이 주어지게 된다.
카운트값 "101100000"(십진 "352")이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에서 비트순서 반전유닛(82)으로 전달된다.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 단지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만이 추출된 다음, 추출된 비트들의 비트순서가 반전된다. 따라서, "1"(십진 "1")이 비트순서 반전유닛(82)에서부터 승산기(83)로 출력된다. 승산기(83)에서, "1"(십진 "1")은 승산계수 "6(십진)"에 의해 승산되어, 승산결과 "110"(십진 "6")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한편, 제산기(81)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01100000"(십진 "352")이 고정된 값 "64"로 나뉘어진 다음, 제산결과 "101"(십진 "5")이 가산기(85)로 출력된다. 가산기(85)에서, 승산결과 "110"(십진 "6")이 제산결과 "101"(십진 "5")에 가산되어, 가산결과 "1011"(십진 "11")이 판독 어드레싱신호로서 제1저장유닛(50)에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판독 어드레스 "11(십진)"에서 제1저장유닛(50)에 저장된 수신데이터(D352)는 제1저장유닛에서부터 독출되어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상황에서, 9-비트 이진 카운팅유닛(81)의 카운트값 "101100000"(십진 "352")이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 래칭유닛(60)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수신데이터(D352)는 인터리빙동작 전의 수신데이터(D352)의 데이터위치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352(십진)"에서 제2저장유닛(7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인터리버에서, 어드레싱유닛(80)은 카운터와 계산회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디인터리빙 동작을 위한 어드레스 수정테이블용 메모리가 불필요해 질 수 있다. 이는 최소화된 전력소비를 위한 작은 크기의 구조로 디인터리버를 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의 실시예)
도 4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조유닛(410), 도 2 또는 3에 도시된 디인터리버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디인터리빙유닛(420), 및 에러-정정 복호유닛(43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인터리버를 가지는 수신장치(400)가 제공된다. 수신기(400)는 전송경로(300)를 통해, 전송데이터에 대한 에러-정정 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에러-정정 코딩유닛(210), 에러-정정 코팅유닛(210)의 출력신호에 대한 인터리빙동작을 이루기 위한 인터리빙유닛(220), 및 변조된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리빙유닛(220)의 출력신호를 변조시키기 위한 변조유닛(230)을 포함하는 전송유닛(200)에 연결된다.
수신유닛(400)에서, 전송경로(300)를 통해 송신기(200)에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는 수신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종유닛(410)에 의해 복조된다. 수신데이터들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인터리빙유닛(420)에 의해 디인터리브된다. 따라서, 수신신호들은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된 다음, 디인터리빙유닛(420)에서 에러-정정 복호유닛(430)으로 출력되어, 에러-정정 복호유닛에서 복호되게 된다. 이에 응해, 복호된 데이터들이 수신장치(400)에서부터 출력된다.
수신기(400)의 디인터리빙유닛(420)에서, 어드레싱유닛은 카운터와 계산회로(도 2 및 3)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화된 전력소비를 위한 작은 크기로 디인터리빙유닛(420)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도 2에 도시된 디인터리버는 다음과 같이, 송신장치에서 인터리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어드레싱유닛(40)에서부터 제1저장유닛(10)으로 전송된 판독 어드레싱신호는 제1저장유닛(10)에 대한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제2저장유닛(30)에 대한 판독 어드레싱신호는 제2저장유닛(30)에 대한 기록 어드레싱신호로서 채택될 수 있어서, 전송데이터는 데이터 래칭유닛(20)을 통해 제2저장유닛(30)에서 제1저장유닛(10)으로 출력되어 제1저장유닛(10)에 기록되게 된다.
비슷하게, 도 3의 디인터리버는 또한 송신장치에서 인터리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만 제한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실시예들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상기 제1저장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래칭수단;
    상기 데이터 래칭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및
    상기 제1저장수단에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싱신호와, 상기 제2저장수단에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어드레싱수단을 포함하는 디인터리버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수단은:
    상기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수단; 및
    상기 카운팅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임의의 순서에서 상기 정확한 순서로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재배열하기 위한 상기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수단은 상기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m-비트(m은 정수) 이진 카운팅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계산수단은:
    카운트값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클럭의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를 가지는 다른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n-비트(n은 m보다 작은 정수) 이진 카운팅수단;
    상기 n-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카운트값의 비트순서를 반전시키기 위한 비트순서 반전수단;
    상기 클럭과 동기하여 다수의 가수를 연속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가수선택수단; 및
    상기 가수선택수단의 출력신호에 상기 비트순서 반전수단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은 9-비트 이진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n-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은 6-비트 이진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클럭은 상기 클럭의 주파수의 1/6인 주파수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가수선택수단은 상기 클럭과 동기하여 0, 64, 128, 192, 256 및 320의 가수들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4. 송신장치에서부터 전송되고 또한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순서에서 상기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하기 위해 제1, 2 또는 3항에 따른 디인터리버를 포함하는 수신장치.
  5.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상기 제1저장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 래칭수단;
    상기 데이터 래칭수단의 출력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및
    상기 제1저장수단에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싱신호와, 상기 제2저장유닛에 출력되는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어드레싱수단을 포함하는 디인터리버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수단은:
    상기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클럭을 발생시키기 위한 카운팅수단; 및
    상기 기록 어드레싱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순서를 상기 임의의 순서에서 상기 정확한 순서로 재배열시키기 위한 상기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수단은 상기 판독 어드레싱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클럭을 카운팅하기 위한 m-비트(m은 정수) 이진 카운팅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m-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에서부터 출력된 상기 카운트값의 n하위-순서(n은 m보다 작은 정수) 비트들의 비트순서들을 반전시키기 위한 비트순서 반전수단;
    규정된 승산계수로 상기 비트순서 반전수단의 출력신호를 승산하기 위한 승산수단;
    규정된 고정된 값으로 상기 m-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에서부터 출력된 상기 카운트값을 제산하기 위한 제산수단; 및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산수단의 출력신호에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은 9-비트 이진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순서 반전수단은 상기 m-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에서부터 출력된 상기 카운트값중 여섯 개의 하위-순서 비트들의 비트순서를 반전시키고;
    상기 승산수단은 상기 비트순서 반전수단의 출력신호를 6으로 승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산수단은 상기 9-비트 이진 카운팅수단에서부터 출력된 상기 카운트값을 64로 나누는 것이 특징인 디인터리버.
  8.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고 또한 그 순서가 정확한 순서에서 임의의 순서로 재배열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임의의 순서에서 상기 정확한 순서로 재열시키기 위하여 제5, 6 또는 7에 따른 디인터리버를 포함하는 수신장치.
KR1019980014357A 1997-04-23 1998-04-22 디인터리버 KR100266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18662 1997-04-23
JP9118662A JPH10303854A (ja) 1997-04-23 1997-04-23 デインタリー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24A KR19980081624A (ko) 1998-11-25
KR100266979B1 true KR100266979B1 (ko) 2000-09-15

Family

ID=1474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357A KR100266979B1 (ko) 1997-04-23 1998-04-22 디인터리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09544A (ko)
EP (1) EP0874492A3 (ko)
JP (1) JPH10303854A (ko)
KR (1) KR100266979B1 (ko)
CN (1) CN1197237A (ko)
CA (1) CA22355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82B1 (ko) 1998-12-10 2001-11-02 윤종용 통신시스템의인터리빙/디인터리빙장치및방법
DE19936272C2 (de) * 1999-07-31 2001-09-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Empfang von digitalen Signalen und Vorrichtung zum Senden von digitalen Signalen
AU5679401A (en) * 2000-05-22 2001-12-03 Yozan Inc. Address converter,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KR100430567B1 (ko) 2000-10-11 2004-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발생기를 포함한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수행 장치 및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채널 부호화 시스템
US6915479B2 (en) 2001-05-17 2005-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on
FI20021222A (fi) * 2002-06-20 2003-12-21 Nokia Corp Informaatiobittien limitys
JP2006203418A (ja) * 2005-01-19 2006-08-03 Sanyo Electric Co Ltd 振幅調整回路
US7954015B1 (en) * 2008-12-05 2011-05-31 Altera Corporation Data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involving concatenation of words read from storage
CN112418413A (zh) * 2019-08-21 2021-02-26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存储数据的装置和方法以及执行分组卷积运算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319A (en) * 1988-03-18 1990-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ssion system with adaptive interleaving
US5420640A (en) * 1993-12-03 1995-05-30 Scientific-Atlanta, Inc. Memory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 detection
US5572532A (en) * 1993-12-29 1996-11-05 Zenith Electronics Corp. Convolutional interleaver and deinterleaver
US5659580A (en) * 1994-11-29 1997-08-19 Lucent Technologies Inc. Data interleaver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having a contiguous counter and an address twister
US5566183A (en) * 1994-12-02 1996-10-15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interleaving digital data
JPH08221972A (ja) * 1995-02-14 1996-08-30 Toshiba Corp アドレス発生装置、アドレス発生方法、データ形成装置、データ形成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4492A3 (en) 2001-07-04
KR19980081624A (ko) 1998-11-25
CA2235529A1 (en) 1998-10-23
US6009544A (en) 1999-12-28
JPH10303854A (ja) 1998-11-13
CN1197237A (zh) 1998-10-28
EP0874492A2 (en) 1998-10-28
CA2235529C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2733B1 (en) Interleaving / deinterleaving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ystem
US6748560B2 (en) Address generator, interleave unit, deinterleaver unit, and transmission unit
US5991857A (en)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of data in telecommunications
RU2137310C1 (ru) Перемежитель в групповом спектре
AU2003202155B2 (en) Interle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100266979B1 (ko) 디인터리버
KR100430567B1 (ko) 주소발생기를 포함한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수행 장치 및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채널 부호화 시스템
MXPA98003160A (en) Disintercal
EP1093232A1 (en)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US7586993B2 (en) Interleaver memory selectably receiving PN or counter chain read address
JPH10163887A (ja) インターリーブ装置およびデインターリーブ装置
GB2294616A (en) Data interleaving process for radio transmission
JPH0537402A (ja) ビタビ復号器
KR20050045766A (ko) 기지국의 모뎀을 위한 인터리빙 로직 및 인터리빙 방법
JPH0695960A (ja) インターリーブ回路及びデ・インターリーブ回路
JPH07120254B2 (ja) シ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