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798B1 -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798B1
KR100266798B1 KR1019980002990A KR19980002990A KR100266798B1 KR 100266798 B1 KR100266798 B1 KR 100266798B1 KR 1019980002990 A KR1019980002990 A KR 1019980002990A KR 19980002990 A KR19980002990 A KR 19980002990A KR 100266798 B1 KR100266798 B1 KR 10026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vitamin
casein
nutritional composition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013A (ko
Inventor
박은하
정형근
손헌수
홍성룡
정재원
Original Assignee
김무영
주식회사정.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영, 주식회사정.식품 filed Critical 김무영
Priority to KR101998000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7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013A/ko
Priority to KR1020000002937A priority patent/KR100266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신장의 여과 및 배설기능이 약화된 비투석 신장병 환자나 신부전의 진행으로 혈액투석이 요구되는 투석 신장병 환자 등에게 간편하고 안전하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의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100g당 총 200kcal의 열량을 가지며, 3대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열량비율이 단백질 4 내지 14 중량 %, 지방 22.5 내지 31.5 중량 % 및 탄수화물 62 내지 74 중량 %이고, 비타민류와 무기질류는 한국인 성인 1일 권장량의 5 내지 15 중량 %를 함유한 영양균형 특수영양식품으로서, 단순불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M)이 1이하이고, 유당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신장병 환자용 액상 영양조성물은 기존의 병원이나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신장병 환자용 식이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신장병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신장의 여과 및 배설기능이 약화된 비투석 신장병 환자나 신부전의 진행으로 혈액투석이 요구되는 투석 신장병 환자 등에게 간편하고 안전하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액상의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신체에서 신장은 횡경막 아래 척추의 양측에 1쌍이 있는데, 지방피막에 싸여 복막과 후복벽의 사이에 위치한다. 성인에서 한쪽 신장의 무게는 130~170 g이며, 크기는 성인의 주먹만하다. 한쪽 신장에는 약 100만개 정도의 신장기능의 기본단위인 네프론이 존재하는데, 이 기관은 모세혈관 덩어리인 사구체와 이에 연결된 가늘고 긴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주된 기능은 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음식물의 대사과정에서 유래되는 노폐물과 체내로 들어온 이물질 등을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설하는 것이며, 이외에도 체액기능, 혈압유지, 적혈구 수 조절 및 성장인자 합성 등의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신장은 배설, 조절 및 내분비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의 노폐물(요소, 요산, 크레아티닌, 황산염, 및 유기산)의 양이 증가하고, 체내 수분 및 전해질의 배설 장애로 균형을 잃게 된다. 이 질환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피로감, 구토증 및 두통 등의 만성증상과 부종, 혈압상승 등의 중증의 증상들이 동반되며, 질병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요독증으로 생명을 잃게 된다.
신장질환의 치료방법으로는, (1) 유지 또는 고식적 요법(conservative treatment), (2) 혈액투석(hemodialysis), (3)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또는 (4) 신장이식(renal transplantation) 등이 있는데, 각각의 치료방법에 따라 영양공급의 기준이 달라진다.
신장질환에서는 많은 대사이상과 환자의 쇠약(衰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영양요법(nutrition therapy)은 신장병 치료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신장질환시에는 영양소의 대사이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이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이들 이상에는 요소, 요산, 및 크레아티닌 등의 단백질 대사산물과 나트륨(Na), 칼륨(K) 및 인(P) 등의 신장배설기능이 감소되고, 칼슘(Ca), 철(Fe)과 같은 무기질의 장관흡수도 감소된다. 또한, 신장질환 환자는 쇠약하거나, 영양불량인 경우가 빈번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소모성질환(chronic debilitating illness), 요독증 및 감정적 의기소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식욕부진(anorexia)으로 인하여, 식사섭취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필요한 열량이 부족하다;
둘째, 심한 이화장애(catabolic illness)가 합병된다;
셋째, 검사를 위한 채혈과 잠혈성 위장출혈 등으로 인하여 체내 단백질이 결핍된다;
넷째, 아미노산, 단백질, 포도당 및 수용성비타민 등의 생물활성물질의 손실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신장질환자의 대사장애, 쇠약 및 영양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영양치료의 노력은 20세기 초반부터 체계적으로 시도되어, 고생물가의 단백질 식품과 전분 제품으로 신장질환 환자의 에너지 섭취를 권장한 예를 지오바네티(Giovannetti, S.) 등이 보고하였다(참조: Giovannetti, S. et al., Lancet, 1:1000(1964)). 한편, 올드리찌(Oldrizzi, L.) 등은 급·만성신부전 환자의 치료에서 영양관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섭취하는 질소원의 양과 질을 제한함으로써 신장질환의 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는데(참조: L. Oldrizzi. et al., Nutritional in Clinical Practice. 9:1(1994)),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신부전의 영양관리]
만성신부전의 식이관리는 1960년대 유지요법(또는 고식적요법)으로부터 시작되어, 현재에는 단백질과 인의 제한이 가장 보편적인 식이관리 조건이 되었다. 또한, 지질의 대사이상으로 인한 만성신부전이 요독증(uremia)으로 진전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질의 지방 공급이 필요하다. 올드리찌 등이 제안한 만성신부전의 일반적인 식이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질소원의 섭취 제한과 체내 질소균형 유지를 위해 고생물가의 단백질이 권장된다; (2) 필수아미노산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단백질 섭취가 권장된다; (3) 체단백질 손실 감소를 위한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권장된다; (4) 식이는 맛이 있고 경제적이어야 한다.
[급성신부전의 영양관리]
급성신부전의 영양관리는 만성신부전의 영양관리보다 좀더 엄격한 식이 제한이 필요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적절한 에너지(열량) 섭취는 요소합성과 단백질 이화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급성신부전 환자의 영양치료의 핵심이 되며, 에너지 공급은 환자에 따라 1,500~2,700kcal/日가 권장된다; (2)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의 혼합사용이 권장되고, 경구섭취가 가능한 경우 체중 kg당 0.6g/日이 권장된다; (3) 지방은 섭취 총열량의 10~20%정도의 구성이 요구되어, 1일 400kcal(45g) 정도가 권장된다; (4) 수용성 비타민의 요구량이 증가된다; (5) 무기질의 경우, 칼륨(K), 인(P) 등이 제한된다.
결국 신장질환의 영양관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소분해산물의 과량축적을 방지하고, 양성 질소평형(positive nitrogen balance)을 유지하기 위해 아미노산 조성 및 생물가가 높은 단백질을 공급한다;
둘째, 체단백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열량을 섭취한다;
셋째, 혈압 조절과 갈증 및 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나트륨 섭취를 제한한다;
넷째, 고칼륨혈증과 체중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다섯째, 고인산혈증 및 신성골이영양증(renal osteodystrophy)을 방지하기 위해 인의 섭취를 제한한다.
신장질환자는 이상과 같은 영양기준과 영양치료를 충족시킴으로써 질환을 개선시키거나 악화를 지연시키고, 육체적·심리적 안정을 유지하여 삶의 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신장질환자도 기타의 질환자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음식섭취가 불가능하고 소화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한 1일 필요영양소가 균형있게 섭취될 수 있는 식품이 요구됨과 동시에, 신장의 질환에 따른 영양소의 가감 및 구성성분의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신장질환자를 위한 병원 및 가정에서의 식이 조제는 제반 영양학적 기준에 부적합한 채로 환자에게 사용되었던 바, 필연적으로 영양학적 불균형을 초래하였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제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 환자식 제조시 세균에 오염되기 쉽다;
둘째,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영양성분 조성의 차이가 있다;
셋째, 완전히 액화되지 않거나 불용성 성분으로 인하여 관을 통한 급식이 어렵다;
넷째, 별도의 조제 공간이 필요하고, 조제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다섯째, 정확하고 균일한 열량 및 영양소 공급이 어렵다;
여섯째, 식재료비 및 간접비용으로 인하여 원가부담이 상승된다;
일곱째, 침전이 발생하거나,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기름성분이 분리되는 품질 저하고 인하여 관급식이 어렵다.
결국, 이러한 종래 식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신장질환자의 영양요구량에 맞지 않는 문제점과 침전, 응고 및 부유 등 제품 안정성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신장질환자를 위한 적절한 영양조성물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신장질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영양학적 균형과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된 영양조성물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영양학적 균형과 제품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영양소의 섭취가 엄격히 제한되는 신장병 질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영양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비타민 및 무기질류를 적절히 함유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이 신장질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영양을 공급하여 이들의 여러가지 신체지수가 증가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장병 환자에게 적합한 영양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단백질의 주된 영양학적 기능은 필수 아미노산과 체조직 단백질의 합성이며, 그 필요량은 '신체적 활동을 적당한 수준으로 할 때의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며 체내 질소배설량과 식이질소 섭취량이 균형을 이루는 최소의 수준'이라고 정의되고 있다(참조: WHO, 1985). 단백질은 체내에서 대사될 때, 여러가지 질소분해산물(요소, 크레아티닌, 요산)을 생성하는데, 이들은 신장을 통하여 배설되므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된 신장질환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단백질의 섭취가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백질의 영양지표인 생물가(biological value)와 단백가(protein score)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면, 단백질의 분해시 신장에 주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지방은 영양소들 중 가장 높은 열량(9kcal/g)을 함유하고 있고, 필수 지방산의 공급과 체내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 흡수를 도와주며, 체구성 성분으로서의 기능, 생체기관 보호기능 및 식품의 향미와 미각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 신장질환자의 식이에서는 단백질이 제한되므로, 지방과 탄수화물로 필요한 열량을 보충하게 되어 식이 중 이들의 함량이 높아진다. 그러나, 신장질환자의 경우,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고지혈증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이 중 지방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지혈증 환자에게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추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상대적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단일불포화 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이하, 'M'이라 약함)과 다가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이하, 'P'라 약함)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해바라기유를 사용함으로써, 고지방 식이에서 올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소화·흡수가 용이한 중쇄중성지방(MCT oil)을 사용함으로써 지방흡수 불량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탄수화물은 저단백, 고칼로리의 식사요법이 요구되는 신장질환자에게 칼로리 원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탄수화물은 소화 흡수시,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되어 감미가 높아져 대량의 섭취가 곤란하거나, 급격한 혈당의 상승을 초래하여 당뇨병 등의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화흡수 속도가 느리면서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복합당질의 섭취가 권장되는 바, 본 발명자들은 감미와 소화흡수 속도 등을 감안하여 덱스트린을 본 발명의 영양조성물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영양조성물의 용도를 비투석 신장병 환자용과 투석 신장병 환자용으로 구분한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선택 원리에 의하여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을 각각에 적합한 조성 및 성분비로 함유하고, 미량의 비타민 및 무기질류를 함유하는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단백질원으로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을 포함하고; 단순불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M)이 1 이하가 되도록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며; 탄수화물원으로서 복합당질을 포함하고; 신장질환자가 일일 필요한 정도에 따라 비타민 및 무기질류를 포함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을 혼합 및 균질시킨 다음, 고온멸균 처리하여, 신장병 환자용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영양조성물들은 대부분의 신장질환자에게 권장되는 열량인 2,000kcal를 섭취하였을 때, 균형있는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조되었으며, 단백질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량을 신장질환자에 적합한 수준으로 제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투석 신장질환자용 영양조성물의 경우, 투석으로 인한 단백질의 손실을 고려하여 비투석 환자에 비하여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가지도록 제조되었다. 또한, 지방과 탄수화물은 생리적으로 우수한 원료를 선택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신장병 환자용 영양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비투석 및 투석 신장질환자용 액상 영양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각 영양성분 물질의 첨가량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신장병 환자용 액상영양조성물은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백질원으로서 단백질 함량이 90% 이상인 카제인류 분리유단백(카제인, 카제인나트륨, 카제인칼륨, 카제인칼슘) 또는 카제인류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아미노산 3 내지 5개의 결합체) 등의 동물성 단백질을 제품의 특성에 따라 100g당 2 내지 7 중량 %를 함유하도록 물에 용해시킨 다음, 지방원으로서 다가불포화지방산(P)과 단순불포화지방산(M)의 비율이 1 이하인 해바라기유 또는 중쇄중성지방 등의 식물성 유지를 5 내지 7 중량 %, 탄수화물원으로서 당분해도(dextrose equivalent, DE) 값이 10 내지 19 사이인 덱스트린과 정백당을 혼합(혼합비율은 중량비로 24:1 내지 25:1)하여 31 내지 37 중량 %, 비타민과 무기질류를 한국인 성인 1일 권장량을 기준으로 신장질환자가 일일 필요한 정도에 따라 미량 혼합하고,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유화제 0.3 내지 0.5 중량 % 및 요구르트향, 땅콩향, 바닐라향, 밀크향, 커피향, 밤향 등의 향료 0.2 내지 0.4 중량 %를 함유하도록 분산시킨다. 이어, 150kg/cm2내지 450kg/cm2의 압력조건으로 균질화시키고, 충진온도 80℃ 내지 95℃에서 충진시킨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 동안 고온 멸균처리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액상 영양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 영양성분의 순수한 함량 및 한국인 영양권장량은 하기 표 2와 같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영양조성물은, 하기 표 3과 같은 물성을 가지며, 15 내지 25℃의 상온에서 1년간 보관하여도 지방분리 및 단백질 침전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2.2g, 해바라기유 3.4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3g 및 하기 표 4의 무기질 혼합분말 0.3877g을 정제수 40.6052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49.6g, 정백당 2.0g, 하기 표 5의 비타민 혼합분말 0.0071g 및 향료 0.2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3.3g, 해바라기유 5.0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4g 및 하기 표 6의 무기질 혼합분말 0.7753g을 정제수 43.8106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43.6g, 정백당 1.5g, 하기 표 7의 비타민 혼합분말 0.0141g 및 향료 0.3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2.7g, 해바라기유 5.2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5g 및 하기 표 8의 무기질 혼합분말 1.163g을 정제수 44.0158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43.2g, 정백당 1.5g, 하기 표 9의 비타민 혼합분말 0.0212g 및 향료 0.4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7.1g, 해바라기유 3.4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3g 및 하기 표 10의 무기질 혼합분말 0.3127g을 정제수 41.9802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43.9g, 정백당 1.5g, 상기 표 5의 비타민 혼합분말 0.0071g 및 향료 0.2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6.5g, 해바라기유 5.0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4g 및 하기 표 11의 무기질 혼합분말 0.6253g을 정제수 45.1106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39.3g, 정백당 1.45g, 상기 표 7의 비타민 혼합분말 0.0141g 및 향료 0.3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분리유단백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 7.6g, 해바라기유 5.2g, 중쇄중성지방 1.3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5g 및 하기 표 12의 무기질 혼합분말 0.938g을 정제수 45.7408g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150kg/cm2내지 450kg/cm2의 고압으로 균질화하였다. 여기에, 덱스트린 36.8g, 정백당 1.5g, 상기 표 9의 비타민 혼합분말 0.0212g 및 향료 0.4g을 가하여 전체중량을 100g으로 한 다음, 10 내지 20분간 재차 혼합하였다. 이어, 80℃ 내지 95℃의 온도로 충진한 다음, 121℃ 내지 140℃에서 30초 내지 15분간 고온 멸균처리하여 액상의 영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본 영양조성물의 영양효과가 신장병 환자에게 각종 영양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임상학적으로 검토하고자, 6개월 이상 복막투석을 시행받고 있는 환자중 영양불량 상태인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1일 400-800kcal와 12-24g의 단백질을 공급하는 본 발명의 액상 영양조성물을 3개월 동안 경구투여하면서,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혈청 생화학적 지표,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subjective global assessment, 이하 'SGA'로 약함), 및 인체계측치를 조사하여, 투여 전후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11명의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월 후 영양조성물 투여군에서 평균체중, 이상체중 %(% IBW), 체질량지수(BMI), 체지방 분율, 총근육량 및 상완근육둘레 등의 인체계측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있게 증가한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액상 영양조성물이 신장질환자를 위한 영양공급원으로서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참조: 표 13).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영양 조성물은 100g당 총 2000kcal의 열량을 가지며, 3대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열량비율이 단백질 4 내지 14 중량 %, 지방 22.5 내지 31.5 중량 % 및 탄수화물 62 내지 74 중량 %이고, 비타민류와 무기질류는 한국인 성인 1일 권장량의 5 내지 15 중량 %를 함유한 영양 균형 특수영양식품으로서, 단순불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M)이 1이하이고, 유당을 함유하지 않는다. 투석 신장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 결과, 본 발명의 영양조성물을 이용한 3개월 정도의 경구 영양보충은 환자의 순응도가 높았으며, 인체계측학적 영양상태 지표를 호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장병 환자용 액상 영양조성물은 기존의 병원이나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신장병 환자용 식이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신장병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다음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신장병 환자를 위한 액상의 영양조성물:
    상기에서, 비타민 분말은 비타민 A 아세테이트 35 내지 105㎍; 비타민 D30.25 내지 0.75㎍; 비타민 E 0.5 내지 1.5mg; 비타민 B10.07 내지 0.2mg; 비타민 B20.08 내지 0.23mg; 비타민 B60.25 내지 0.75mg; 비타민 B120.1 내지 0.3㎍; 비타민 C 5 내지 15mg; 비오틴 5 내지 15㎍; 니코틴산아미드 0.85 내지 2.55mg; 엽산 25 내지 75㎍; 판토텐산칼슘 0.25 내지 0.75mg을 함유하며; 및, 무기질 분말은 황산제1철 1.75 내지 5.25mg; 산화아연 0.85 내지 2.55mg;제2인산칼슘 55 내지 165mg; 탄산칼슘 100 내지 300mg; 탄산마그네슘 25.3 내지 75.9mg; 제1인산칼륨 15 내지 45mg; 구연산칼륨 90 내지 270mg; 염화마그네슘 24.8 내지 74.3mg; 구연산나트륨 75 내지 225mg을 함유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원은 동물성 단백질인 분리 유단백질 또는 분리유단백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분리 유단백질은 카제인, 카제인나트륨, 카제인칼륨, 카제인칼슘 및 카제인류 가수분해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지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지방원은 다가불포화지방산과 단순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1 이하인 식물성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식물성 유지는 해바라기유 또는 중쇄중성지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탄수화물원은 당분해도 값이 10 내지 19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탄수화물원은 덱스트린과 정백당을 중량비로 24:1 내지 25:1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조성물.
KR1019980002990A 1998-02-03 1998-02-03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90A KR100266798B1 (ko) 1998-02-03 1998-02-03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00002937A KR100266799B1 (ko) 1998-02-03 2000-01-21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90A KR100266798B1 (ko) 1998-02-03 1998-02-03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937A Division KR100266799B1 (ko) 1998-02-03 2000-01-21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013A KR19990069013A (ko) 1999-09-06
KR100266798B1 true KR100266798B1 (ko) 2000-09-15

Family

ID=195324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990A KR100266798B1 (ko) 1998-02-03 1998-02-03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00002937A KR100266799B1 (ko) 1998-02-03 2000-01-21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937A KR100266799B1 (ko) 1998-02-03 2000-01-21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266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608A (zh) * 2018-03-15 2018-07-24 北京康爱营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血液透析肾病患者的全营养配方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923B1 (ko) * 2002-10-22 2005-09-21 이환업 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KR20040035504A (ko) * 2002-10-22 2004-04-29 이환업 해독, 항산화 기능 작용, 흡연 억제 기능 작용을 하는바이오 복합 단백질 조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608A (zh) * 2018-03-15 2018-07-24 北京康爱营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血液透析肾病患者的全营养配方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6799B1 (ko) 2000-09-15
KR19990069013A (ko) 1999-09-06
KR20000030024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4268C (en) Nutritional composition
CN1104855C (zh) 组合物及其作为食品增补剂或用于降低血清中脂质的用途
KR101075816B1 (ko) 종합 경장 영양 조성물
US4921877A (en) Liquid nutritional formula for glucose intolerance
JP2599400B2 (ja) グルコース不耐性患者用調合液体栄養組成物
Lin Effect of ethanol feeding during pregnancy on placental transfer of alpha-aminoisobutyric acid in the rat
CN106473153A (zh) 全营养配方食品及其制备方法
Giordano et al. Protein restric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CN107048137A (zh) 一种适用于慢性肾病患者的低磷乳清蛋白粉及其制备方法
EP1351584A2 (en) Nutritional composition for a bone condition
CN113647469A (zh) 一种促进骨骼生长的儿童配方奶粉及其制备方法
CN109548880A (zh) 一种产妇产后身体修复的调制乳粉及其制备方法
CN101279089B (zh) 阿胶钙组合物及其制备方法
Polskin et al. Secretion of vitamin D in milks of women fed fish liver oil
KR100266798B1 (ko)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81331A (zh) 一种补钙营养组合物
RU2356246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добавка с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для мучных изделий, изготовленных на основе соевого напитка и/или соевой окары, и продукт, ее содержащий
Herlihy et al. Effects of Aloe vera ingestion in the rat. I. Growth, food and fluid intake and serum chemistry
JP2001316278A (ja) 液状経腸栄養組成物
JP3589807B2 (ja) 腎臓病患者の各症状に適応した液状調整 栄養組成物
Harries et al. Low Proline Diet in Type 1 Hyperprolinaemia
JP3179555B2 (ja) 腎臓病患者用液状調製栄養食品
MERRILL Nutri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Rubini et al. Dietary management of end-stage uremia.
Rutishauser et al. Toasted full-fat soya flour in treatment of kwashiork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