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522B1 -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522B1
KR100266522B1 KR1019970021694A KR19970021694A KR100266522B1 KR 100266522 B1 KR100266522 B1 KR 100266522B1 KR 1019970021694 A KR1019970021694 A KR 1019970021694A KR 19970021694 A KR19970021694 A KR 19970021694A KR 100266522 B1 KR100266522 B1 KR 10026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adow mask
hole
area
half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030A (ko
Inventor
노부미쯔 아이바라
시게오 오꾸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7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 H01J2229/0772Apertures, cut-outs, depres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절곡 부위(15a)에서 절곡 가공시, 유공영역(15b)과 하프 에칭 영역(15c)과의 경계에서는 큰 응력이 걸려, 특히 유공 영역(15b)의 외연부는 균일한 곡면이 아닌 근소한 휨 등의 변형을 발생하기 쉽다.
금속 박판의 중앙 부위에 다수의 슬롯 구멍(5a)이 천설된 유공 영역(5b)과, 이유공영역(5b)의 외주 한쪽면측에 비관통 구멍의 하프 에칭 영역(5f)과, 다시 이 하프 에칭 영역(5f)의 의 외부에 비에칭 영역(5h)을 형성하고, 이 유공 영역(5b)을 곡면으로 하여 이 유공 영역(5b)이 외주에 형성된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인 절곡 부위(5g)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거의 수직으로 박스 형태로 절곡해서 스커트부 (5m)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본 발명은 컬러 음극 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새도우 마스크의 스커트부를 비에칭 영역으로 한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컬러 음극선관 장치(1)는 음극선관(2)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페이스 패널(3)의 내면에 형성한 형광면(4), 마스크 프레임(6)에 부착된 새도우 마스크(15)가 순차 배설되고, 음극선관(2)의 넥크(Neck)부에 배설된 전자총(7)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 빔(8)을 편향 요크(9)에 의한 자계로 편향시켜, 다수의 슬롯 구멍 또는 도트 구멍(이하 슬롯 구멍만을 기재)(15a)을 갖는 새도우 마스크(15)를 개재해서 형광면(4)을 주사하므로써, 형광면(4)상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본 발명과 대응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컬러 음극선간용의 다수의 슬롯 구멍을 갖는 새도우 마스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은 새도우 마스크 원판의 평면도이다.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였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 원판(15P)은 금속 박판의 중앙 부위에 다수의 슬롯 구멍(15a)이 천설된 유공 영역(15b)과, 이 유공 영역(15b)의 외주 한쪽면측에 비관통 구멍의 하프 에칭 영역(15c)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새도우 마스크 원판을 프레스 형성한 새도우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15)는 새도우 마스크 원판(15P)의 유공 영역(15b)을 곡면으로 해서 이 유공 영역(15b)의 외주에 형성한 하프 에칭 영역(15c) 내의 절곡 부위(15d)에서 거의 수직하게 절곡 프레스 성형하여 스커트부(15e)를 형성한다. 유공 영역(15b) 이외는 하프 에칭 영역(15c)이므로, 스커트부(15e)는 당연히 하프 에칭되어 있다. 원래, 하프 에칭 영역(15c)을 형성하는 이유는, 프레스 형성시의 가공 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의 프레스 형성 공정에서는 절곡 부위(15d)에서 박스 형태로 절곡할 때, 유공 영역(15b)과 하프 에칭 영역(15c)과의 경계, 특히 유공 영역(15b)의 외연부에서 휨이 발생하는 등 변형되기 쉽다.
또, 새도우 마스크(15)를 마스크 프레임(6)에 용접하는 경우에 용접면이 새도우 마스크(15)의 스커트부(15e)이고, 하프 에칭 영역(15c)이므로, 용접부가 요부 형태를 갖는 평면이므로, 용접시에 스플러쉬가 발생하기 쉬워서 용접 강도 부족이 발생하여 품질상 문제가 되는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 절곡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60-232640호 공보(종래 기술의 예 2)에서는 유공 영역 이외의 전체를 하프 에칭하지 않고 단순히 절곡부에만 연속된 하프 에칭을 실시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용접시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 특개소 57-105946호 공보(종래 기술의 예 3)에서, 용접부만을 국부적으로 하프 에칭 미실시부로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에서는 유공 영역(15b) 이외는 하프 에칭 영역(15c)이므로, 스커트부(15e)는 요부형태를 갖고 완만한 평면 상태가 아니다. 또, 새도우 마스크(15)의 강도차가 가장 큰 부위가 유공 영역(15b)과 하프 에칭 영역(15c)의 경계이므로, 새도우 마스크 원판(15P)을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에서, 절곡 부위(15d)에서 절곡 할 때, 유공 영역(15b)과 하프 에칭 영역(15c)과의 경계에서는 큰 응력이 걸리고, 특히 유공 영역(15b)의 외연부가 균일한 곡면이 아니고 근소한 휨 등의 변형을 생기게 하는 수가 있다. 특히, 유공 영역(15b)과 스커트(15e)의 절곡부와의 간격이 작은 만큼 응력이 걸리기 쉽게 되어 유공 영역(15b)의 외연부에 변형이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종래 기술의 예 2에서는 새도우 마스크 원판의 절곡성과, 새도우 마스크와의 용접 신뢰성은 향상되지만, 새도우 마스크 원판의 유공 영역의 외주가 비에칭 영역으로 되어 하프 에칭 영역으로 되지 않으므로, 유공 영역으로의 응력의 완충 효과가 소멸되어 버린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예 3에서는 용접성의 개량은 되지만, 여전히 하프 에칭 영역 내에 절곡 부위가 있으므로 절곡성의 개량은 달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그 목적은 유공 영역과 스커트부의 사이가 완충 작용하게 되는 수단을 제공하고, 유공 영역과 하프 에칭 영역과의 경계에서의 변형 방지와, 마스크 프레임과의 용접 강도의 개선을 양립시킨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금속 박판의 중앙 부위에 다수의 슬롯 구멍 또는 도트 구멍이 천설된 유공 영역과, 이 유공 영역의 외주에 순차 하프 에칭 영역과 비에칭 영역을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 하프 에칭 영역과, 비에칭 영역과의 경계가 되는 절곡 부위에서 박스 형태로 절곡하고, 이 비에칭 영역을 스커트부로 한 컬러 음극 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를 제공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 원판(휨 가공전)의 평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의 사시도.
제 3도는 제2도의 구체적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새도우 마스크의 부분 단면도.
제 4도는 제2도의 구체적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새도우 마스크의 부분 단면도.
제 5도는 컬러 음극 선관 장치의 단면도.
제 6도는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 원판(휨 가공전)의 평면도.
제 7도는 종래의 새도우 마스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새도우 마스크 5a : 슬롯 구멍
5b : 유공 영역 5f : 하프 에칭 영역
5g : 절곡 부위 5h : 비에칭 영역
5m : 스커트부 5s : 새도우 마스크 원판
6 : 마스크 프레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2에서 도면 참조 번호(5)는 새도우 마스크, 도면 참조 번호(5S)는 새도우 마스크원판, 도면 참조 번호(5a)는 슬롯 구멍, 도면 참조 번호(5b)는 유공 영역, 도면 참조 번호 (5f)는 하프 에칭 영역, 도면 참조 번호(5g)는 절곡 부위, 도면 참조 번호(5h)는 비에칭 영역, 도면 참조 번호(5m)은 비에칭 영역(h)으로 이루어진 스커트부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새도우 마스크 원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새도우 마스크 원판을 절곡 프레스 성형한 후의 새도우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 원판(5S)는 인바재 등으로 된 금속 박판의 중앙 부위에 다수의 슬롯 구멍(5a)이 천설된 유공 영역(5b)과, 이 유공 영역(5b)의 외주 한쪽면측에 비관통 구멍인 하프 에칭 영역(5f)과, 다시 이 하프 에칭 영역(5f)의 외주에, 후에 절곡 성형되어 스커트부(5m)로 되는 비에칭 영역(5h)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가 절곡 부위(5g)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하면, 새도우 마스크 원판(5s)에서의 절곡 강도차가 가장 크게 되는 부분이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가 된다.
따라서, 절곡 작업을 하는 프레스 성형 공정에서는 이 강도차가 가장 큰 개소, 즉,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도우 마스크(5), 새도우 마스크 원판(5S)의 유공 영역(5b)을 곡면으로 하여, 이 유공 영역(5b)의 외주에 형성된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인 절곡 부위(5g)에서 프레스 성형해서 거의 수직으로 박스 형태로 절곡한다. 이 경우, 절곡된 부분이 스커트부(5m)가 되고, 비에칭 영역(5h)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구체적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새도우 마스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하프 에칭 영역(5f)이 한쪽면에 설치된 요부 형태의 반구멍(半孔)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관통된 다수의 슬롯 구멍(5a)을 갖는 유공 영역(5b)을 곡면으로 해서, 한쪽면에 요부 형태의 반구멍을 갖는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 즉 절곡 부위(5g)에서 거의 수직으로 박스 형태로 절곡 프레스 성형해서 스커트부(5m)를 형성하고 있다. 또, 하프 에칭 영역(5f)에 설치된 요부 형태의 반구멍은 일반적인 포토 에칭법에 의해서 슬롯 구멍(5a)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좋고 , 또 새도우 마스크(5)의 내면 외면측의 어느쪽에 형성해도 좋다.
도 4는 구체적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새도우 마스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하프 에칭 영역(5f)이 양면에 설치된 요부 형태의 반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관통된 다수의 슬롯 구멍(5a)을 갖는 유공 영역(5b)을 곡면으로 해서, 양면에 요부 형태의 반구멍을 가진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과의 경계, 즉 절곡 부위(5g)에서 거의 수직으로 박스 형태로 절곡 프레스 형성해서 스커트부(5m)를 형성하고 있다. 또, 하프 에칭 영역(5f)에 설치되는 요부 형상의 반구멍의 크기는 내면 외면 어느쪽이 커도 상관없다.
상술한 어느 경우에도, 하프 에칭 영역(5f)과 비에칭 영역(5h)에서는 강도차가 있으므로 양자의 경계인 절곡 부위(5g)에서 용이하게 절곡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절곡 부위(5g)가 유공 영역(5b)으로부터 하프 에칭 영역(5f)의 일정 폭을 둔 위치에서 거의 직각으로 박스 형태로 절곡하므로써, 하프 에칭 영역(5f)이 응력을 흡수하는 완충 작용으로서 작용하고, 유공 영역(5b)의 주연부에는 응력이 미치는 휨을 발생시키지 않고 곡면 형상을 가공 정도 좋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는 새도우 마스크 원판에 유공 영역, 하프 에칭 영역, 비에칭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절곡 부위에서 절곡할 경우에, 이 절곡 부위가 유공 영역으로부터 하프 에칭 영역의 일정 폭을 둔 위치에서 절곡되므로, 중간 위치에 있는 하프 에칭 영역이 응력을 흡수하는 완충재로서 작용하고, 유공 영역의 주연부에 휨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고 곡면 형상의 가공 정도가 향상된다. 또, 마스크 프레임과의 용접부가 되는 스커트부가 비에칭 영역이므로 평활한 평면이고, 용접부에 스플러쉬가 발생하는 일도 없고 용접 강도의 오차도 적어지게 되어 품질이 안정된다.

Claims (1)

  1. 금속 박판의 중앙 부위에 다수의 슬롯 구멍 또는 도트 구멍이 천설된 유공 영역과, 상기 유공 영역의 외주에 순차적으로 하프 에칭 영역 및 비에칭 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하프 에칭 영역과 상기 비에칭 영역과의 경계가 되는 절곡 부위에서 절곡해서 적어도 상기 비에칭 영역의 일부를 스커트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19970021694A 1996-05-30 1997-05-29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266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36092A JPH09320481A (ja) 1996-05-30 1996-05-30 カラー陰極線管用シャドウマスク
JP96-136092 199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030A KR970077030A (ko) 1997-12-12
KR100266522B1 true KR100266522B1 (ko) 2000-09-15

Family

ID=1516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694A KR100266522B1 (ko) 1996-05-30 1997-05-29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320481A (ko)
KR (1) KR100266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60B1 (ko) * 2000-12-12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0350622B1 (ko) * 2000-12-22 2002-08-30 엘지전자주식회사 컬러 음극선관
EP1432003A1 (en) * 2002-12-20 2004-06-23 Thomson Licensing S.A. Cathode ray tube (CRT) including a shadow mask with a partially etched mask border and skirt
CN115572943A (zh) * 2022-09-02 2023-01-06 南京国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蒸镀掩膜版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529U (ko) * 1994-09-15 1996-04-17 새도우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529U (ko) * 1994-09-15 1996-04-17 새도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030A (ko) 1997-12-12
JPH09320481A (ja)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522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344501B1 (ko) 샤도우 마스크 조립체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
JP2001196002A (ja) カラー陰極線管
US5189334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hadow mask
KR100347398B1 (ko) 섀도우 마스크 구조물 및 칼라 crt
EP06347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halo
KR100319048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306999B1 (ko) 새도우 마스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KR100271708B1 (ko) 칼라음극선관
US7002286B2 (en) Shadow mask frame assembly with etching portion and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the same
JPH0896726A (ja) カラー受像管
JP3082601B2 (ja)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KR100209693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0119652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GB2238423A (en) Shadow mask for a cathode-ray tube
JP2653318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H10334820A (ja) カラー受像管
JP2000149811A (ja) カラー受像管用シャ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KR0136762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KR100215769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구조체
JP2001057162A (ja) カラー受像管
KR100335090B1 (ko) 칼라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JPH1064441A (ja)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KR100291793B1 (ko) 평면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JP2568603Y2 (ja) シャドウマスク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