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708B1 - 칼라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708B1
KR100271708B1 KR1019980020316A KR19980020316A KR100271708B1 KR 100271708 B1 KR100271708 B1 KR 100271708B1 KR 1019980020316 A KR1019980020316 A KR 1019980020316A KR 19980020316 A KR19980020316 A KR 19980020316A KR 100271708 B1 KR100271708 B1 KR 10027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xis
mask body
short axis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548A (ko
Inventor
노리오 시미즈
신이치로 나카가와
마사츠구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87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66Details of skirt or border
    • H01J2229/0772Apertures, cut-outs, depres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특히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울링, 섀도우마스크 조립시의 변형, 섀도우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도밍 등을 감소시키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섀도우 마스크를 하울링, 변형, 국부적인 도밍 등을 일으키기 어려운 구조로 형성하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 수상관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패널(22)의 유효부(20)가 거의 평면 또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칼라 수상관에서, 섀도우 마스크(25)의 마스크 본체(32)의 단축부근 및 장축부근 중 적어도 단축 부근에서의 대향 스커트부의 개방단부 가장자리간의 간격을 마스크 프레임(33) 부착전후에서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 특히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하울링(howling), 섀도우마스크 조립시의 변형, 섀도우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도밍(doming) 등을 감소시키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패널과 퍼넬로 이루어진 외관용기를 갖고, 상기 패널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유효부의 내부면에,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그 내측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섀도우 마스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에서는 퍼넬의 네크내에 설치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3전자빔을 퍼넬의 외측에 장착된 편향장치에 의해 편향시키고, 섀도우 마스크
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칼라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3색 형광체층에 입사하는 3전자빔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는 형광체 스크린과 대향하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에 위치된 구멍이 없는 부분과, 상기 구멍이 없는 부분의 주위에 설치된 스커트부를 갖고 있다. 또한, 마스크 프레임은 스커트부에 부착된 측벽부를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의 조합에는,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의 내측에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부를 부착하는 경우와, 스커트부의 외부측에 측벽부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대형관에서는 그 대부분이 스커트부의 외부측에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부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섀도우 마스크에서, 마스크 본체의 단축방향 및 장축방향을 따른 대향하는 스커트부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간의 간격은, 각각 마스크 프레임의 동 방향의 측벽부간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최근, 칼라 음극선관은 시인성 향상을 위해, 패널의 유효부 외부면을 평면 또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은 상기 유효부 외부면의 평탄화에 수반하여, 유효부 내부면도 평탄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의 유효부 내부면이 평탄화된 경우, 화면 전면에 걸쳐 3색 형광체층에 대한 빔 랜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곡률을 작게 하여 평탄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곡률이 작아지면, 상기 주 면부의 인장 강도가 저하되고 칼라 음극선관을 텔레비젼 세트에 끼워 넣을 때, 스피커로부터의 음성 진동이 마스크 본체에 전달되어 마스크 본체가 공진을 일으켜 하울링이 발생하기 쉬워, 화상특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킨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곡률이 작아지고 인장 강도가 저하되면,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에서 마스크 본체가 변형되고 색순도의 악화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은 동작 원리상, 섀도우 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지나 형광체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은 전자총(7)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량의 1/3 이하이고, 그 이외의 전자빔은 주로 마스크 본체에 충돌하여 이것을 가열한다. 그 결과 발생하는 열팽창에 의해 마스크 본체는 형광체 스크린 방향으로 팽창하는 도밍을 일으킨다. 도밍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과 마스크 본체의 간격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3색 형광체층에 대한 빔 랜딩이 어긋나고 색순도가 악화된다.
도밍에 의한 빔 랜딩의 어긋남의 크기는 화상 패턴의 휘도, 그 패턴의 계속 시간 등에 의해 크게 달라진다. 특히, 국부적으로 고휘도 패턴을 표시하면, 마스크 본체의 국부적인 도밍이 발생하고 단시간 중에 국부적인 빔 랜딩 어긋남이 발생한다. 그리고, 섀도우 마스크의 국부적인 도밍은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곡률이 작은 경우에 특히 크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섀도우 마스크의 하울링, 변형, 국부적인 도밍을 감소시키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상기 칼라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칼라음극선관의 마스크 본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조립전의 섀도우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조립후의 섀도우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마스크 본체를 마스크 프레임에 부착하기 전과 후에서의 마스크 본체의 곡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선 ⅦA-ⅦA를 따른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선 ⅦB-ⅦB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상기 마스크 본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서의 마스크 본체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선 ⅨB-ⅨB를 따른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서의 마스크 본체의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선 ⅩB-ⅩB을 따른 단면도,
도 10c는 도 10a의 선ⅩC-ⅩC를 따른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섀도우 마스크의 조립전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11b는 조립후의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외관용기 20: 유효부(패널)
21: 스커트부(패널) 22: 패널
23: 퍼넬 24: 형광체 스크린
25: 섀도우 마스크 27: 네크
28R,G,B: 3전자빔 29: 전자총
30: 편향장치 31: 주 면부(마스크본체)
32: 마스크 본체 33: 마스크 프레임
34a: 전자빔 통과구멍 34: 구멍이 있는 부분(마스크 본체)
35: 구멍이 없는 부분(마스크 본체) 36: 스커트부(마스크 본체)
36a: 누름부(장측부) 36b: 누름부(단측부)
37a: 장측벽(스커트부) 37b: 단측벽(스커트부)
38: 노치(장측벽) 39a: 장측벽(마스크 프레임)
39b: 단측벽(마스크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 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지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 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 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장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LX, 상기 누름부의 상기 장축 방향을 따른 길이를 PX로 할 때, PX는 LX/2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 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 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 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눌러 상기 주 면부에 내부 잔류 응력을 발생시킨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용기 내에서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 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 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누른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 면부의 상기 단축 근방부분에서, 상기 단축 방향을 따른 곡률은 주 면부의 중심 부근 보다도 둘레 가장자리부쪽이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에 설치된 누름부에 의해 마스크 프레임을 누름으로써,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에 잔류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 그에 의해, 주 면부의 인장 강도가 향상되고 섀도우 마스크의 하울링, 제조시의 변형, 전자빔의 충돌에 의한 국부적인 도밍을 감소시키며, 이에 기인하는 색순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양호한 화상 특성을 갖는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칼라음극선관은 패널의 유효부 외부면이 평탄화되고,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가 평탄화된 칼라음극선관에 적용하면, 큰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은 진공외관용기(10)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외관용기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유효부(20), 및 유효부의 주변에 설치된 스커트부(21)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22)과, 스커트부(21)에 접합된 퍼넬(23)로 구성되어 있다. 유효부(20)의 내부면에는 청색, 녹색, 적색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 및 광차폐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24)이 형성되고 상기 형광체 스크린(24)과 소정 간격 떨어지며, 그 내측에 후술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섀도우 마스크(25)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퍼넬(23)의 네크(27) 내에는 3전자빔(28B,28G,28R)을 방출하는 전자총(2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음극선관에서는 전자총(29)으로부터 방출되는 3전자빔(28B,28G,28R)을 퍼넬(23)의 외측에 장착된 편향장치(30)의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편향시키고, 섀도우 마스크(25)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24)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칼라화상을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25)는 형광체 스크린(24)과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32)와, 상기 마스크 본체(32)의 주변부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33)을 구비하고 있다. 섀도우 마스크(25)는 칼라음극선관의 관축(Z)이 지나는 중심(C)과, 상기 중심을 지나 서로 직교한 장축(X) 및 단축(Y)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32)는 형광체 스크린과 대향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31)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36)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주 면부(31)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34a)이 형성된 구멍이 있는 부분(34)과, 구멍이 있는 부분(34)의 둘레에 위치한 구멍이 없는 부분(35)을 갖고 있다. 스커트부(36)를 장축(X)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37a)과, 단축(Y)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37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커트부(36)의 각 장측벽(37a)에는 마스크 본체(32)의 단축(Y)을 끼고 한쌍의 노치(38)가 설치되며, 각각 구멍이 없는 부분(35)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스커트부의 개방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측벽(37a) 중, 한쌍의 노치(38)에 끼워진 단축(Y)부근의 부분은 외측에 돌출하도록 잘라 세워져 누름부(36a)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누름부(36a)의 선단부간의 거리(Pd)는 주 면부(31)의 단축(Y)을 따른 길이(LY) 보다도 2da만큼 길어지고 있다(Pd-LY=2da). 또한, 각 누름부(36a)의 장축(X) 방향의 길이(PX)는 주 면부(31)의 장축(X)을 따른 길이(LX)로 할 때, PX≤LX/2가 되어 있다. 각 누름부(36a)의 길이(PX)는 마스크 본체의 곡면의 곡률이나 인장 강도에 맞추어 LX/2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각 누름부(36a)는 단축(Y)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 프레임(3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축(X)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39a)과, 단축(Y)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한쪽만을 도시한다)(39b)을 구비하고, 각 측벽은 내측으로 뻗어 나온 부분을 갖는 단면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축(Y)방향을 따른, 한쌍의 장측벽(39a)의 내부면간의 거리(FY)는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31)의 단축(Y)방항을 따른 길이(LY)와 거의 동등하고 한쌍의 누름부(36a) 간의 거리(Pd) 보다도 작고, FY<Pd가 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32)와 마스크 프레임(33)을 접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2)의 한쌍의 누름부(36a)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누름부 및 스커트부(36)의 다른 부분을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부(39a) 및 단측부(39b)의 내측에 넣는다. 그리고, 스커트부(36)의 복수 개소를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 및 단측벽(39b)의 내부면에 용접하여 마스크 본체(32)와 마스크 프레임(33)을 접합하여 섀도우 마스크(25)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한쌍의 누름부(36a)는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의 내부면에 각각 맞닿고, 마스크 본체의 유효부(34)를 그 양측으로부터 단축(Y) 방향을 따라서 누르고 있다.
이하의 표는 상기 구성의 섀도우 마스크(25)를 예를 들어, 화면의 세로 가로의 비가 16:9, 대각 크기가 66㎝인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에 적용한 경우의 각 크기(Pd,LY,FY,PL)를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와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Pd(㎜) LY(㎜) FY(㎜) PX(㎜)
본실시예 337 331 331 250
종래예 331 331 331 -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에서는 Pd와 FY가 거의 동일해져 있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섀도우 마스크에서는 FY에 대해서 Pd가 대폭 커져있다.
마스크 프레임(33)에 부착되기 전의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곡면은 도 6에 파선(4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근의 곡률이 커지고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패널(22)에 대해서 섀도우 마스크(25)를 적성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32)의 전자빔 통과구멍(34a)을 지나 3색 형광층에 전자빔을 정확하게 랜딩시키는 데에 필요한 주 면부의 곡면은 실선(4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근의 곡률이 작아지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32)의 곡면의 인장 강도는 그 곡률이 클수록 커진다. 또한, 섀도우 마스크(25)의 국부적인 도밍은 곡면의 인장강도가 클수록 작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섀도우 마스크(25)의 마스크 본체(32)는 한쌍의 누름부(36a)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마스크 본체(32)의 단축(Y)상에서, 섀도우 마스크 조립후의 마스크 본체(32)의 곡면의 중앙부근의 곡률은 도 6에 실선(4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전의 마스크 본체의 곡면에 대해서 작아진다. 반대로, 주 면부(3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는 조립전에 비하여, 곡률이 중앙부근 보다도 커진다.
그러나, 한쌍의 누름부(36a)의 개방단부 가장자리간의 간격(Pd)은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의 간격(FY) 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상기 누름부는 간격(Pd)을 압축한 상태에서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 사이에 끼워 맞추고, 상기 장측벽을 누르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누름부(36a)는 마스크 본체(32)의 곡면에 큰 잔류 내부 응력을 발생시키고 마스크 본체의 곡면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며, 섀도우 마스크 조립전의 강도에 가까운 강도를 유지한다. 또한,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는 곡률을 크게 함과 동시에 잔류 내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25)의 하울링, 칼라음극선관의 제조공정에서의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 전자빔의 충돌에 의한 마스크 본체(32)의 국부적인 도밍을 감소시키고, 이에 기인하는 색순도의 악화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호한 화상 특성을 구비하는 칼라음극선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섀도우 마스크(25)는 도 7a∼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2)의 중앙부에서, 단축(Y)을 따른 곡률은 장축(X)을 따른 곡률 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32)의 도밍 억제 교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장축(X) 방향 크기(LX)에 대해서 단축(Y)방향 크기(LY)가 짧은 것이나, 섀도우 마스크(25)의 이방성에 기인한다. 즉, 마스크 본체(32)에서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34a)이 단축(Y)과 평행인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경우, 단축(Y)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빔 통과구멍(34a)이 형성되지 않은 연속적인 직선부(44)가 복수개 존재하지만, 장축(X) 방향으로는 선(45)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직선부가 없으므로 섀도우 마스크(25)는 이방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곡률이면 단축 방향의 곡률을 크게 하는 편이 도밍 억제 효과가 커진다.
또한, 시인성 향상을 위해 패널(22)의 유효부(20) 외부면을 거의 평면 또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하고, 그에 수반되어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31)가 평탄화되는 칼라음극선관에 적용하여 큰 효과가 얻어지며, 또한 화면의 가로세로의 비가 16:9인 가로가 긴 칼라음극선관에 적용하여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섀도우 마스크(25)의 조립후의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단축(Y) 방향 길이(LY')는 마스크 프레임(33)의 대향측벽부(39a)의 내부면 간격(FY) 보다도 2db만큼 작아지고 있다. "db"의 크기는 전자빔을 마스크 본체(32)의 전자빔 통과구멍(34a)을 지나 형광체 스크린에 올바르게 랜딩시키는 데에 필요한 마스크 본체의 곡면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32)의 각 누름부(36a)는 스커트부(36a)의 장측벽(37a)에, 마스크 본체의 단축(Y)을 끼고 한쌍의 노치(38)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에 의해 끼워진 부분을 외측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도 9a,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누름부(36a)는 스커트부(36)의 장측벽(37a)의 단축(Y) 부근을,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외측으로 매끄럽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본체(32)의 단축(Y) 부근에만, 즉, 스커트부(36)의 장측벽(37a)에만 누름부(36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10 a∼도 10c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와 같이 마스크 본체(32)의 장축(X) 부근, 즉 스커트부(36a)의 단측벽(37b)에도 누름부(36b)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각 누름부(36b)는 누름부(36a)와 동일하게 단측벽(37a)에 장축(X)을 끼고 도시하지 않는 한쌍의 노치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에 의해 끼워진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잘라 세움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축(X) 부근의 스커트부(36)에 대해서는 한쌍의 누름부(36b)의 개방 단부 가장자리 간의 간격(P1)은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31)의 장축(X)방향을 따른 길이(LX)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P1>LX가 되어 있다. 또한, 각 누름부(36b)의 단축(Y)방향의 길이(PY)는 주 면부(31)의 단축(Y)방향의 길이(LY)에 대해서, PY≤LY/2로 설정되어 있다. 누름부(36b)의 길이(PY)는 주 면부(31)의 곡률이나 인장 강도에 따라서 LY/2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각 누름부(36b)는 장축(X)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제 3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마스크 본체(32)에 누름부(36a,36b)를 설치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를 마스크 프레임(33)에 부착했을 때, 누름부의 작용에 의해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31)에 큰 잔류 내부 응력을 발생시키고 주 면부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한, 상기 섀도우 마스크(25)는 특히, 시인성 향상을 위해 패널의 유효부 외부면을 거의 평면 또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하고, 그에 수반하여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가 평탄화되어 있는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한 경우 큰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대형 섀도우 마스크가 들어가는 대형 칼라음극선관에 적용한 경우에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섀도우 마스크 조립 후의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단축(Y)방향크기(LY')는 마스프 프레임(33)의 한쌍의 장측벽(39a)의 간격(FY) 보다도 작게 설정했지만,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25) 조립전의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단축(Y)방향 길이(LY)를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의 내부면간격(FY) 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하고, 동시에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후의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의 단축(Y)방향 길이(LY')를 조립전의 단축(Y)방향 길이(LY)보다도 작아지도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32)의 스커트부(36)에 설치된 한쌍의 누름부(36a)의 개방단부 간의 거리(Pd)는 마스크 프레임(33)의 장측벽(39a)의 내부면 간격(FY)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32)의 주 면부(31)는 단축(Y)방향뿐만 아니라, 장축(X)방향에 대해서도 마스크 프레임(33)의 단측벽(39b)의 내부면 간격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섀도우 마스크의 하울링, 변형, 국부적인 도밍을 감소시켜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칼라음극선관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 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 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의 장축방향을 따른 길이를 LX, 상기 누름부의 상기 장축방향을 따른 길이를 PX라고 할 때, PX는 LX/2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누름부는 상기 단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주 면부는 중심 부근에서 장축을 따른 곡률 보다도 단축을 따른곡률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노치를 갖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노치 사이의 부분을 외측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누름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장측벽의 일부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각 단측벽은 상기 장축 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누르는 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8.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 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각 장측벽은 상기 단축 부근에 상기 마스크 프레임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 프레임을 눌러 상기 주 면부에 내부 잔류 응력을 발생시킨 누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9.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 스크린, 및
    상기 외관용기 내에서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주 면부와,
    주 면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를 구비한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 외부 둘레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스커트부는 상기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측벽과, 상기 단축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적어도 단축부근의 단축에 평행인 방향의 곡률이, 마스크 프레임과의 부착전에 대해 부착한 후 중심 부근은 곡률이 작아지고, 주변부근에서는 곡률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
KR1019980020316A 1997-05-30 1998-05-27 칼라음극선관 KR100271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1350A JPH10334822A (ja) 1997-05-30 1997-05-30 カラー受像管
JP9-141350 199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48A KR19980087548A (ko) 1998-12-05
KR100271708B1 true KR100271708B1 (ko) 2000-11-15

Family

ID=1528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316A KR100271708B1 (ko) 1997-05-30 1998-05-27 칼라음극선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8772B1 (ko)
EP (1) EP0881659B1 (ko)
JP (1) JPH10334822A (ko)
KR (1) KR100271708B1 (ko)
CN (1) CN1153246C (ko)
DE (1) DE6983797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2872B2 (ja) * 1998-05-15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KR100688901B1 (ko) * 1999-06-11 2007-03-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의 하울링 방지 구조
JP2003346678A (ja) * 2002-05-22 2003-12-05 Toshiba Corp カラー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91267A2 (en) * 2005-02-24 2006-08-31 Thomson Licensing Cathode ray tube having shadow mask with instant geometric thermal transition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3881B2 (ja) 1984-12-27 1998-01-26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US4748371A (en) * 1987-02-10 1988-05-31 Rca Licensing Corporation Cathode-ray tube shadow mask for low overscan
KR910005085B1 (ko) * 1988-02-03 1991-07-22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갸이샤 컬러수상관
JPH06139949A (ja) * 1992-10-30 1994-05-20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08255578A (ja) *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548A (ko) 1998-12-05
EP0881659A2 (en) 1998-12-02
EP0881659A3 (en) 1999-03-10
EP0881659B1 (en) 2007-06-27
CN1153246C (zh) 2004-06-09
CN1204137A (zh) 1999-01-06
US6218772B1 (en) 2001-04-17
DE69837978T2 (de) 2008-03-06
DE69837978D1 (de) 2007-08-09
JPH10334822A (ja) 199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KR100418169B1 (ko) 칼라 음극선 관
EP079588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EP1091381A2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655762B1 (en) Color cathode-ray tube
EP0881658B1 (en) Shadow mask and cathode ray tube
KR100271708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210566B1 (ko) 섀도우마스크 및 이를 가진 컬러음극선관
KR100297995B1 (ko) 컬러수상관
US5637956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halo
EP1306875B1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US6518695B2 (en) Mask-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100350622B1 (ko) 컬러 음극선관
KR200347794Y1 (ko)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100470336B1 (ko) 칼라 음극선관 섀도우 마스크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100470337B1 (ko) 칼라 음극선관 섀도우 마스크
KR100747360B1 (ko) 새도우 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
JP3101120B2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8171866A (ja) 陰極線管
JPH1040825A (ja) カラー受像管
JP2001118525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9990036690U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20034214A (ko) 음극선관
KR19990027068A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제조용 플랫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