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512B1 -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512B1
KR100265512B1 KR1019970054977A KR19970054977A KR100265512B1 KR 100265512 B1 KR100265512 B1 KR 100265512B1 KR 1019970054977 A KR1019970054977 A KR 1019970054977A KR 19970054977 A KR19970054977 A KR 19970054977A KR 100265512 B1 KR100265512 B1 KR 10026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itting
gap
coil spring
fitt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584A (ko
Inventor
임재원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7005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5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4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 F16D65/54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by means of direct linear adjustment for mounting within the confines of a drum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종래의 간극 자동조정장치가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하여 조정되지 않음으로써, 브레이크의 제동성능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이 제 2 브레이크 슈우(12B)의 제 2 끼움단(16B)에 결합되고, 상.하 좌.우측면에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이 천공된 몸체(20)의 삽입공(28)에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고, 이 코일스프링(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42)가 형성된 확장클립(40)이 삽입되며, 확장클립(40)의 안착부(42)에는 스프링 시트(50)가 삽입되고, 제 1 브레이크 슈우(12A)의 제 1 끼움단(16A)에 결합된 이동부재(60)의 일단이 삽입된 것으로, 브레이크의 작동시 상기 확장클립(40)의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의 각 끝단이 코일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좁은 간격으로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 몸체(20)의 상기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에 각각 선택되어 끼워짐으로써,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가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브레이크 라이닝(14A,14B)과 드럼(15)의 간극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식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주면과 브레이크 드럼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측면에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몸체의 삽입공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하고, 상.하 좌.우방으로 확장되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는 확장클립을 삽입하며, 일단에 끼움부가 형성된 이동부재를 삽입한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좌.우측 브레이크 슈우 사이에 설치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시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의 간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제동장치는 주로 마찰력을 이용하고 있다.
즉,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휠 실린더가 1,2차 슈우를 좌.우측으로 확장시켜, 각 슈우의 외측면에 부착된 브레이크 라이닝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제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식 제동장치에서, 1,2차 슈우의 외주면에 부착된 라이닝은 브레이크의 작동시 드럼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마모되고 있었고, 이와 같이 라이닝이 마모됨으로써, 라이닝과 드럼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은 최초에 셋팅된 간극보다 크게 형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의 작동시 마모되고 있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크게 형성된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은 자동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간극 자동조정장치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 자동차가 후진하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작동하는 형식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브레이크 슈우(B)와 연결된 조정케이블(C)과, 이 조정케이블(C)의 일단이 고정되고, 제 2 슈우(B)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조정레버(D)와, 상기 조정레버(D)의 일단과 연결되고, 이(齒)(E-1)가 형성된 조정나사(E)와, 상기 조정레버(D)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브레이크 슈우(F)의 하부에 고정된 조정스프링(G)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A)는 자동차가 후진할 때, 브레이크 페달(미도시 됨)을 밟으면, 제 1,2 브레이크 슈우(B,F)는 좌.우측으로 벌어져 드럼(H)의 내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화살표(I)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 1,2 브레이크 슈우(B,F) 중에서 제 2 브레이크 슈우(F)가 외측으로 벌어지면, 조정케이블(C)은 조정레버(D)를 당기게 되며, 이 조정레버(D)가 상방으로 움직이면, 조정나사(E)의 이(E-1)에 물려있던 조정레버(D)의 끝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놓게 되면, 조정레버(D)의 끝단부는 조정스프링(G)에 의해 회전된 조정나사(E)의 이(E-1)에 다시 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정나사(E)의 이(E-1)가 회전하게 되면, 조정나사(E)는 좌.우측으로 확장되어 제 1 브레이크 슈우(F)와 제 2 브레이크 슈우(B)를 좌,우측으로 확장시켜 브레이크 라이닝(J)과 드럼(H) 사이의 간극(T)은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A)는 브레이크의 작동시 조정레버(D)의 끝단부가 조정나사(E)의 이(E-1)에 잘 걸리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었고, 브레이크 라이닝(J)의 마모 정도가 조정레버(D) 끝단부와 맞물려 있는 조정나사(E)가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마모되어야만 다음 이(E-1)에 상기 조정레버(D)의 끝단부가 맞물림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J)과 드럼(K) 사이의 간극(T)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A)가 갖는 문제점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았을 경우에, 브레이크가 밀리는 현상을 유발하였고, 신속한 제동이 불가능하였으며, 페달행정이 길어지고, 주차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드럼식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주면과 브레이크 드럼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정하되, 브레이크의 작동시 브레이크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의 간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휠 실린더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는 제 1,2 브레이크 슈유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 1,2 라이닝과, 브레이크 드럼 내주면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슈우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끼움단이 삽입되도록 제 2 끼움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며, 좌.우측면에 상기 제 1,2 끼움공과 엇갈리게 제 3,4 끼움공이 천공되고, 타측면이 개구되어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이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확장클립과; 이 확장클립의 안착부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일단과 밀착되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일단이 상기 확장클립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단에는 제 1 브레이크 슈우의 제 1 끼움단이 삽입되도록 제 1 끼움부가 형성된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클립은 그 상.하부에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부 걸림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는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걸림단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걸림단과 좌.우측 걸림단이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받는 스프링 시트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몸체의 제 1,2 끼움공과 제 3,4 끼움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5b는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클립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 실린더 12A,12B : 제 1,2 브레이크 슈우
14A,14B : 제 1,2 라이닝 15 : 브레이크 드럼
16A,16B : 제 1,2 끼움단 20 : 몸체
22 : 제 2 끼움부 24A,24B : 제 1,2 끼움공
26A,26B : 제 3,4 끼움공 28 : 삽입공
30 : 코일스프링 40 : 확장클립
42 : 안착부 50 : 스프링 시트
60 : 이동부재 62 : 제 1 끼움부
t : 간극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5b는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클립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휠 실린더(10)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는 제 1,2 브레이크 슈유(12A,12B)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 1,2 라이닝(14A,14B)과, 브레이크 드럼(15) 내주면 사이의 간극(t)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슈우(12B)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끼움단(16B)이 삽입되도록 제 2 끼움부(22)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24A,24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며, 좌.우측면에 상기 제 1,2 끼움공(24A,24B)과 엇갈리게 제 3,4 끼움공(26A,26B)이 천공되고, 타측면에는 삽입공(28)이 형성된 몸체(20)와; 이 몸체(20)의 삽입공(2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30)과; 이 코일스프링(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42)가 형성된 확장클립(40)과; 이 확장클립(40)의 안착부(42)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0)의 일단과 밀착되는 스프링 시트(50)와; 상기 몸체(20)의 삽입공(28)에 삽입되는 일단이 상기 확장클립(4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단에는 제 1 브레이크 슈우(12A)의 제 1 끼움단(16A)이 삽입되도록 제 1 끼움부(62)가 형성된 이동부재(6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확장클립(40)은 그 상.하부에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부 걸림단(44A,44B)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는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상기 안착부(42)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30)의 탄성을 받는 스프링 시트(50)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몸체(20)의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를 브레이크장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고 결합한다.
먼저, 상기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 상부에 제 1,2 끼움단(16A,16B)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의 상단부에 제 1,2 끼움단(16A,16B)이 형성되면, 상기 제 2 끼움단(16B)과 일단이 결합될 몸체(20)를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상기 몸체(20)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끼움부(16B)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끼움부(22)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삽입공(28)을 형성하며, 몸체(20)의 상.하면에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24A,24B)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고, 몸체(20)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 1,2 끼움공(24A,24B)과 엇갈리게 제 3,4 끼움공(26A,26B)을 천공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20)가 형성되면, 몸체(20)의 삽입공(28)에 코일스프링(30)을 삽입하고, 이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된 삽입공(28)에 스프링 시트(50)가 안착된 확장클립(40)을 삽설하되, 상기 확장클립(40)은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즉, 확장클립(40)의 상.하부에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부 걸림단(44A,44B)을 형성하고, 좌.우측에는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걸림단(46A,46B)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사이에 안착부(4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확장클립(40)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확장클립(40)의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각각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42)에 스프링 시트(5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시트(50)는 원뿔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 스프링 시트(50)가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부(42)에 삽입될 때, 스프링 시트(50)의 외주면과 안착부(42)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몸체(20)의 삽입공(28)에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고, 스프링 시트(50)가 끼워진 확장클립(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28)에 상기 제 1 브레이크 슈우(12A)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끼움단(16A)과 결합되는 제 1 끼움부(62)가 형성된 이동부재(60)의 타단을 삽입하여 그 타단면이 확장클립(4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는 삽입공(28)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0)이 스프링 시트(50)를 밀게 되면, 스프링 시트(50)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관계로 안착부(42)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은 탄성을 갖고 각각 상.하 좌.우측으로 벌어져 외측으로 절곡된 각 걸림단(44A,44B, 46A,46B)의 끝단이 상기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몸체(20)의 삽입공(28)에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고, 스프링 시트(50)가 끼워진 확장클립(40)이 삽입되며, 이동부재(6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0)의 제 2 끼움부(22)를 제 2 끼움단(16B)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몸체(20)의 삽입공(28)에 일단이 삽입된 이동부재(60)의 제 1 끼움부(62)를 제 1 끼움단(16A)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의 설치는 완료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가 설치완료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미도시 됨)을 밟게 되면, 휠 실린더(10)는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를 좌.우측으로 확장시키게 되고, 상기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가 좌.우측으로 확장되면, 몸체(20)와 이 몸체(20)의 삽입공(28)에 삽입된 이동부재(60)는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60)와 몸체(20)가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량은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가 이동하는 만큼이며, 상기 몸체(20)와 이동부재(60)는 삽입공(28)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좌.우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30)은 압축하던 힘이 없어짐으로 해서 팽창하게 되고, 이로써 팽창하는 코일스프링(30)의 일단은 확장클립(40)의 안착부(42)에 끼워진 스프링 시트(50)을 밀어 스프링 시트(50)의 외주면이 확장클립(40)의 안착부(42)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끼움단(16A)과 결합된 이동부재(60)를 좌측으로 밀어 낸다.
이때, 이동부재(60)를 밀어냄으로써 발생하는 코일스프링(30)의 반력은 몸체(20)를 우측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몸체(20)와 이동부재(60)는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몸체(20)와 이동부재(60)가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확장클립(40)은 좌측(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착부(42)에 끼워진 스프링 시트(50)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을 갖는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은 각각 외측으로 벌어져, 외측으로 절곡된 각 걸림단(44A,44B,46A46B)의 끝단 상.하 좌.우면에 천공된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0)의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은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의 이동량이 적어 확장클립(40)의 상.하부 걸림단(44A,44B)이 몸체(2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 1,2 끼움공(24A,24B)에 끼워지지 않으면, 몸체(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제 3,4 끼움공(26A,26B)에 좌.우측 걸림단(46A,46B)의 끝단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의 이동량이 미세하더라도 브레이크의 제 1,2 라이닝(14A,14B)과 드럼(15)의 내주면 간극(t)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몸체(20)의 상.하 좌.우측면에 형성된 끼움공(24A,24B,26A,26B)이 상호 엇갈리어 좁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의 각 끝단은 몸체(20)의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에 선택되어 끼워짐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14A,14B)과 드럼(15)의 간극(t)은 정확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제 1,2 브레이크 슈우(12A,12B)에 유압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좌측으로 이동한 확장클립(40)은 상.하부 걸림단(44A,44B) 또는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몸체(20)의 상.하 좌.우측면에 형성된 끼움공(24A,24B,26A,26B)에 걸려있기 때문에 우측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조정된 간극(t)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는 제 2 브레이크 슈우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끼움단이 삽입되도록 제 2 끼움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며, 좌.우측면에 상기 제 1,2 끼움공과 엇갈리게 제 3,4 끼움공이 천공되고, 타측면이 개구되어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이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확장클립과; 이 확장클립의 안착부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의 일단과 밀착되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일단이 상기 확장클립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단에는 제 1 브레이크 슈우의 제 1 끼움단이 삽입되도록 제 1 끼움부가 형성된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의 삽입공에 코일스프링이 삽입되고, 스프링 시트가 끼워진 확장클립이 삽입되며, 이동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제 2 끼움부를 제 2 끼움단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몸체의 삽입공에 일단이 삽입된 이동부재의 제 1 끼움부를 제 1 끼움단에 삽입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상기 확장클립의 상.하부 걸림단과 좌.우측 걸림단의 각 끝단은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좁은 간격으로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 몸체의 제 1,2 끼움공과 제 3,4 끼움공에 선택되어 끼워짐으로써, 제 1,2 브레이크 슈우가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즉, 브레이크 라이닝이 미세하게 마모되어도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의 간극(t)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 휠 실린더(10)에 의해 좌.우로 확장되는 제 1,2 브레이크 슈유(12A,12B)의 외주면에 부착된 제 1,2 라이닝(14A,14B)과, 브레이크 드럼(15) 내주면 사이의 간극(t)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슈우(12B)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끼움단(16B)이 삽입되도록 제 2 끼움부(22)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제 1,2 끼움공(24A,24B)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며, 좌.우측면에 상기 제 1,2 끼움공(24A,24B)과 엇갈리게 제 3,4 끼움공(26A,26B)이 천공되고, 타측면이 개구되어 삽입공(28)이 형성된 몸체(20)와; 이 몸체(20)의 삽입공(2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30)과; 이 코일스프링(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안착부(42)가 형성된 확장클립(40)과; 이 확장클립(40)의 안착부(42)에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30)의 일단과 밀착되는 스프링 시트(50)와; 상기 몸체(20)의 삽입공(28)에 삽입되는 일단이 상기 확장클립(40)의 일면에 밀착되고, 타단에는 제 1 브레이크 슈우(12A)의 제 1 끼움단(16A)이 삽입되도록 제 1 끼움부(62)가 형성된 이동부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클립(40)은 그 상.하부에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상.하부 걸림단(44A,44B)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는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된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걸림단(44A,44B)과 좌.우측 걸림단(46A,46B)이 상기 안착부(42)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30)의 탄성을 받는 스프링 시트(50)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몸체(20)의 제 1,2 끼움공(24A,24B)과 제 3,4 끼움공(26A,26B)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KR1019970054977A 1997-10-25 1997-10-25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KR10026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77A KR100265512B1 (ko) 1997-10-25 1997-10-25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77A KR100265512B1 (ko) 1997-10-25 1997-10-25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84A KR19990033584A (ko) 1999-05-15
KR100265512B1 true KR100265512B1 (ko) 2000-09-15

Family

ID=195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977A KR100265512B1 (ko) 1997-10-25 1997-10-25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15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28250B (zh) * 2023-09-06 2024-05-03 浙江新中南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刹车间隙自动调整臂预设间隙调节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15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
KR102039645B1 (ko) * 2018-03-20 2019-11-01 주식회사 만도 드럼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84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191B1 (ko) 디스크 브레이크식 캘리퍼 조립장치
JP2008527278A (ja) 高摩擦ブレーキシューアセンブリ
KR100265512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 자동조정장치
US6412609B2 (en) Brake cable mounting structure for a drum brake
US6942074B2 (en) Drum brake system for vehicle
KR10077103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3694801B2 (ja) ブレーキシューの作動装置
KR100192289B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JPH0550174U (ja) 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のブレーキシュー支持構造
KR100466133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브레이크패드 복귀구조
JPH1015322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20009924A (ko) 드럼 브레이크
KR100245784B1 (ko) 프론트 브레이크의 피스톤 복귀장치
KR19990024043A (ko) 드럼 브레이크 장치
JPH0529382Y2 (ko)
KR1007710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H0124443Y2 (ko)
KR200162199Y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피스톤 복원구조
JP2024053149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KR200153447Y1 (ko) 차량용 브레이크 앵커
KR19980057152A (ko) 드럼브레이크용 슈우의 설치구조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10021482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
KR20080081707A (ko) 자동차용 파킹 브레이크의 앵커
KR19980037032U (ko) 차량용 리어브레이크어세이의 러버식 노이즈 감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