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20B1 -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20B1
KR100265420B1 KR1019970076798A KR19970076798A KR100265420B1 KR 100265420 B1 KR100265420 B1 KR 100265420B1 KR 1019970076798 A KR1019970076798 A KR 1019970076798A KR 19970076798 A KR19970076798 A KR 19970076798A KR 100265420 B1 KR100265420 B1 KR 10026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ir bag
occupant
passenger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786A (ko
Inventor
임철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4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의 조수석측의 시트(50)와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4)상에 일측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하우징(61)과 이 하우징(6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62)를 구비하는 에어 백 유닛(60)과; 에어 백 유닛(60)의 하우징(61)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크래쉬 패드(14)의 내측면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만곡되게 연장된 탄성 플레이트(70)와; 조수석측의 시트(50)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에 따라 에어 백 유닛(60)을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가변수단(100);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탑승 유무 체형 그리고 하중에 따라 에어 백의 전개 각도를 최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탑승시 더욱 큰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구매력의 향상 등을 꾀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수측에 탑승한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크래쉬 패드(crush pad)상에 마련되는 에어 백 유닛(air bag unit)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 전면에는 전방시야(前方視野)확보를 위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11)가 마련되고, 좌, 우 외측면에는 후면을 주시(注視)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side mirror;12)가 마련된다.
또한 좌, 우 측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차할 수 있도록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20)가 마련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는 매우 고속(高速)으로 주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충돌사고시 인명피해를 야기시킴으로써 자동차에는 각종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안전장치로는, 자동차 전면과 측면에 범퍼(bumper;30)나 임팩트 바등을 마련하여, 정면 및 측면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차 내부에는 즉, 운전석과 조수석측의 시트(seat;40,50)와 대응되는 조향 휠(13)과 크래쉬 패드(crush pad;14)상에 에어 백 유닛(air bag unit;60)과, 시트 벨트(seat belt;미도시) 등을 채용하는 충돌 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안전장치에 있어서, 특히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조수석측의 크래쉬 패드(14)상에 마련된 에어 백 유닛(60)을 통해 충돌사고시 탑승자에게 오히려 상해(傷害)를 끼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특히 탑승자가 어린이일 경우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바, 이는 통상적으로 에어 백 유닛(60)을 성인(成人)을 기준으로 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에어 백의 전개각도 등을 설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가 탑승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어린이의 목부분으로 에어백이 전개되게 되고, 이에 의해 에어 백에 의한 어린이의 사망(死亡)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근래에 특히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체형이나 하중을 감안하여 에어 백의 전개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는, 자동차 내부의 조수석측의 시트와 대응도는 크래쉬 패드상에 일측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는 에어 백 유닛과; 상기 에어 백 유닛의 하우징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면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만곡되게 연장된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에어 백 유닛을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가변수단이,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면으로부터 상상기 인플레이터의 양측면과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쌍과; 상기 브라켓쌍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하면에 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며, 서로 대응되는 중심 내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된 보조 브라켓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 브라켓의 기어와 이 맞물림되는 기어쌍과; 상기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탑승 유무와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정,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조수석측 시트의 쿠션과 등받이에 각각 다수 배열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업 전소자를 통한 변위량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정,역 구동시키는 에어백 콘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사시도.
도2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차체 40, 50 : 시트
51 : 쿠션 52 : 등받이
60 : 에어 백 유닛 61 : 하우징
62 : 인플레이터 70 : 탄성 플레이트
100 : 가변수단 110 : 브라켓쌍
111 : 관통구멍 120 : 모터
121 : 회전축 122 : 베어링
130 : 보조 브라켓 131 : 기어
140 : 기어쌍 150 : 감지수단
151 : (복수의)압전소자 152 : 에어 백 콘트롤 유닛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4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차체(10) 전면에는 전방시야(前方視野)확보를 위하여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11)가 마련되고, 좌, 우 외측면에는 후면을 주시(注視)하기 위한 사이드 미러(side mirror;12)가 마련된다.
또한 좌, 우 측면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차할 수 있도록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20)가 마련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는 매우 고속(高速)으로 주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충돌사고시 인명 피해를 야기시킴으로써 자동차에는 각종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안전장치로는, 자동차 전면과 측면에 범퍼(bumper;30)나 임팩트 바(impact bar;미도시) 등을 마련하여, 정면 및 측면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차 내부에는 즉, 운전석과 조수석측의 시트(seat;40,50)와 대응되는 조향 휠(13)과 크래쉬 패드(crush pad;14)상에는 에어 백 유닛(air bag unit;60)을 설치하고, 시트(40, 50)상에는 시트 벨트(seat belt;미도시) 등을 채용하여 충돌 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조수석측과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14)의 일측면은 에어 백 유닛(60)이 소정길이 노출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절개 형성되며, 특히 양측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4a)이 연장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에어 백 유닛(60)을 구성하고 있는 하우징(houshing;61)의 외측면으로는 전술한 크래쉬 패드(14)의 가이드 레일(14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성 플레이트(彈性plate;70)가 고정 설치되는 바, 이 탄성 플레이트(70)는 특히 외측으로 탄성을 받도록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어진다.
또한 크래쉬 패드(14)의 내면에는 에어 백 유닛(60)의 승객의 탑승위치나 체형 그리고 체중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수단(100)이 마련된다.
이와같은 가변수단(1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브라켓(bracket;110)쌍과, 모터(motor;120) 그리고 보조 브라켓(130)과 기어쌍(140) 및 감지수단(150)으로 대별된다.
브라켓쌍(110)은, 크래쉬 패드(14)의 내측면으로부터 에어 백 유닛(60)을 구성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62)의 양측면과 인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대응되는 측면에는 관통구멍(111)이 형성된다.
모터(120)는 브라켓(110)상에 그 회전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bearing;122)을 통해 구름 지지된다.
보조 브라켓(130)은, 인플레이터(62)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서로 대응되는 중심 내주면에는 기어(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보조 브라켓(130)의 기어(131)와 맞물림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기어(140)가 모터(120)의 회전축(121)상에 고정 설치된다.
감지수단(150)은 조수석측의 시트(50)상에 탑승자의 탑승유무 그리고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하중을 감지함으로써 전술한 모터(120)를 정, 역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시트(50)의 쿠션(51)과 등받이(52)상에는 하중을 가하는 여부에 따라 변위량을 달리하는 압전소자(151)가 다수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압전소자(151)에는 에어 백 콘트롤 유닛(152)와 연결되며, 이 에어백 콘트롤 유닛(152)은 압전소자(151)의 변위량에 따라 전술한 모터(1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면, 먼저 탑승자가 시트(50)상에 탑승하게 되면, 체형이나 하중에 따라 쿠션(51)과 등받이(52)상에 다수 마련된 압전소자(151)의 변위량이 변화되게 되고, 이를 미리 설정된 값이 입력된 에어 백 콘트롤 유닛(152)이 인식하여, 모터(120)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와같이 모터(1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이 모터(120)의 회전축(121)에 결합된 기어쌍(140)이 회전됨으로써 이 맞물림된 보조 브라켓(130)의 기어(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된다.
이와같이 보조 브라켓(130) 기어(131)의 회전에 의해 전체 에어 백 유닛(60)이 브라켓쌍(110)과 모터(120)의 회전축(121)간의 베어링 지지부위를 중심으로 정, 역 방향으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에어 백의 전개가 최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61)에 고정 설치된 탄성 플레이트(70)는 전체 에어 백 유닛(60)의 상, 하 슬라이딩 이송을 가이딩 하는것 뿐만 아니라 크래쉬 패드(14)의 절개 부위를 차단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탑승자의 탑승 유무 및 체형 그리고 하중에 따라 에어 백의 전개 각도를 최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탑승시 더욱 큰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구매력의 향상 등을 꾀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내부의 조수석측의 시트와 대응되는 크래쉬 패드상에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는 에어 백 유닛과; 상기 에어 백 유닛의 하우징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면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받도록 만곡되게 연장된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위치에 따사 상기 에어 백 유닛을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가변수단; 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변수단이 상기 크래쉬 패드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인프레이터의 양측면과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쌍과; 상기 브라켓쌍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하면에 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며, 서로 대응되는 중심 내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된 보조 브라켓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 브라켓의 기어와 이 맞물림되는 기어쌍과; 상기 조수석측의 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탑승 유무와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정, 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조수석측 시트의 쿠션과 등받이에 각각 다수 배열 설치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한 변위량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정, 역 구동시키는 에어백 콘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KR1019970076798A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KR10026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798A KR100265420B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798A KR100265420B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786A KR19990056786A (ko) 1999-07-15
KR100265420B1 true KR100265420B1 (ko) 2000-09-15

Family

ID=1952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798A KR100265420B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4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78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5805B1 (en) An airbag arrangement
KR100265420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유닛 각도 조절장치
KR20090102132A (ko) 차량용 베이비시트 에어백
KR10050151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KR200151151Y1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JP2975464B2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100461146B1 (ko) 목 부상 방지를 위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치
KR0125519Y1 (ko) 뒷좌석의 탑승자 보호장치
KR890004574Y1 (ko) 자동차 완충장치
KR100456544B1 (ko) 측면 충돌시 승객 상해를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200204144Y1 (ko) 자동차용 후방시트
KR20030013819A (ko) 토션바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방 시트 구조
KR101028026B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도어 시스템
KR19990005884U (ko) 에어백 충격 완화를 위한 시트구조
KR20210073359A (ko)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100537312B1 (ko) 자동차용 무릎 보호 장치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00224227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9990005891U (ko) 에어백 사고 방지를 위한 조수석 구조
KR19980051143U (ko) 차량충돌시 승객보호용 시트
KR19980018063U (ko) 자동차의 루프 에어백
KR19990023789U (ko) 후방 충돌을 대비한 자동 시트 완충장치
KR19980024381U (ko) 어린이 보호장치가 장착된 리어시트
KR19990035132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