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550B1 -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550B1
KR100264550B1 KR1019950042530A KR19950042530A KR100264550B1 KR 100264550 B1 KR100264550 B1 KR 100264550B1 KR 1019950042530 A KR1019950042530 A KR 1019950042530A KR 19950042530 A KR19950042530 A KR 19950042530A KR 100264550 B1 KR100264550 B1 KR 10026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power supply
memory
supply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512A (ko
Inventor
길성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550B1/ko
Publication of KR97002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전자 제어 유닛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상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동 장치(1)에 전원 공급 단자(Vdd)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B+)에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Vcc,Vdd)로 각 해당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상태의 전압을 전자 제어 유닛의 구동 전원이나 메모리 구동 전원으로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메모리(204)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dd)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고, 전원 공급 단자(Vcc)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각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 수단과; 상기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1입력단자(A)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1설정 상태일 경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2입력단자(B)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2설정 상태일 경우,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입력되는 전원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전자 제어 유닛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자 제어 유닛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상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 동작을 제어할 경우, 자동차의 승차감 및 주행 성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가 장착되어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각 해당 기능을 수행하여 자동차의 기능을 다양화시킬 경우, 각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해당 상태로 각 해당 전자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또는 데이타 등 많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주행 여부에 무관하게 해당 전자 제어 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호하기 위해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은 자동차의 시동 동작에 무관하게 항상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원 공급 단자(Vdd)로 인가되는 전자 제어 유닛(2)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은 시동 장치(1)를 거쳐 전원 공급 단자(Vdd)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유닛의 전원 공급 단자(Vdd)와 연결되어 있는 레귤레이터(21)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3)로 구동 전원이 인가되어 각 설정된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해 전자 제어 유닛(2)의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레귤레이터(21)를 거쳐 메모리(23)로 인가되는 전원은 축전지의 전원(B+)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시동 장치(1)가 동작되지 않아 전자 제어 유닛(1)의 전원 공급 단자(Vdd)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마이크로 컴퓨터(22)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항상 축전지의 전원(B+)이 전자 제어 유닛(2)의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레귤레이터(21)를 거쳐 메모리(23)로 인가되므로, 메모리(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동 장치(1)의 동작에 무관하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보존하기 위해 공급되는 메모리(23)의 구동 전원은 전자 제어 유닛(1)의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와 연결되어 있는 단자가 단선되거나 단자의 상태가 불량 상태일 경우 또는 전자 제어 유닛(2)에 내장되어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엔 메모리(23)의 동작은 구동 전원이 차단되거나 정상 상태가 아니므로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가 모두 손실되어 전자 제어 유닛(2)의 정상적인 제어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상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별도의 장치나 방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메모리(23)의 이상 상태를 체크할 수 없고, 전자 제어 유닛(2)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고장의 원인을 신속하게 정확하게 발견하지 못해 많은 시간과 경비를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제어 유닛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와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상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시동 장치에 전원 공급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로 각 해당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상태의 전압을 전자 제어 유닛의 구동 전원이나 메모리 구동 전원으로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메모리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고, 전원 공급 단자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각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 수단과; 상기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1설정 상태일 경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2설정 상태일 경우,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를 입력되는 전원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또다른 구성은, 신호 조합 수단에서 출력되어 제1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 상태가 제1설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제1설정 상태일 경우,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와; 신호 조합 수단에서 출력되어 제2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 상태가 제2설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신호의 상태가 제2설정 상태일 경우,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2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B+)과,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시동 장치(1)와, 상기 시동 장치(1)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어 유닛(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100)는 시동 장치(1)에 전원 공급 단자(Vdd)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B+)에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가 연결되어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201)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출력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dd)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각 신호의 상태를 논리적으로 조합하는 신호 조합부(202)ㄴ와, 상기 신호 조합부(2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신호의 상태에 따라 메모리(204)의 구동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의 상태나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이상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0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 조합부(202)는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출력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인버터(INV1)와, 상기 제1인버터(INV1)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cc)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 각각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가 마이크로 컴퓨터(203)의 제1입력단자(A)와 연결되어 있는 제1NAND 게이트(NAND1)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인버터(INV2)와, 상기 제2인버터(INV2)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dd)에 각각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203)의 제2입력단자(B)에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NAND게이트(NAND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 제어 유닛(20)의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메모리(204)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 상태를 판단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203)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제1입력단자(A)로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1), 판독된 신호 상태가 저레벨인 “L”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판독된 신호의 상태가 저레벨인 “L”상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전압 레귤레이터(203)에서 출력되는 메모리(204)의 구동 전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므로,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동작 상태를 이상 상태로 판정한다(S13).
즉, 마이크로 컴퓨터(203)의 제1입력단자(A)로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NAND게이트(NAND1)는 모든 입력단자의 신호가 고레벨인 “H”상태일 경우, 저레벨인 “L”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출력단자의 신호를 인버터(INV1)를 이용하여 반전한 후, 제1NAND게이트(NAND1)로 입력 단자로 인가되므로, 전원 공급 단자(Vdd)나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 상태가 정상 상태나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출력 신호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NAND게이트(NAND1)의 출력전압이 저레벨인 “L”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동작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12)에서 판정된 제1NAND게이트(NAND1)의 출력전압의 상태가 고레벨인 “H”상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한 후(S14), 제2입력단자(B)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5), 저레벨인 “L”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6).
따라서 판단된 신호의 상태가 저레벨인 “L”상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와 연결되는 공급선이 단선되거나 상태가 불량하여 정상 상태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의 이상상태로 판정한다(S17).
그러나 판독된 제2입력단자(B)의 신호 상태가 고레벨인 “H”상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203)는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dd)로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한다(S18).
상기 제2NAND게이트(NAND2)도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2인버터(INV2)를 통해 반전시키므로, 제2NAND 게이트(NAND2)의 출력 신호가 저레벨인 “H”상태일 경우엔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의 신호 상태는 비정상 상태인 “L”상태가 된다.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압 레귤레이터(201)는 시동 장치(1)를 거쳐 전자 제어 유닛(20)의 전원 공급 단자(Vdd)로 공급되는 전압과 전원(B+)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로 공급되는 전압을 모두 처리하여, 전자 제어 유닛(2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과 각종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04)의 데이타를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 구동 전원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효과는 상기와 같이 전압 레귤레이터(201)의 동작 상태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를 판독하여, 이상 상태를 판정할 수 있으므로, 구동 전원의 이상으로 인한 메모리의 이상 원인이나 전자 제어 유닛의 이상 원인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의 이상 상태를 각각 구별하여 인식하므로 고장의 원인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Claims (6)

  1. 시동 장치(1)에 전원 공급 단자(Vdd)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B+)에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Vcc,Vdd)로 각 해당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상태의 전압을 전자 제어 유닛의 구동 전원이나 메모리 구동 전원으로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메모리(204)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dd)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고, 전원 공급 단자(Vcc)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각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 수단과; 상기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1입력단자(A)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1설정 상태일 경우,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신호 조합 수단을 통해 제2입력단자(B)로 입력되는 신호가 제2설정 상태일 경우,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입력되는 전원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합 수단은, 상기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1반전 수단(INV1)과, 상기 제1반전 수단(INV1)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cc)와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 각각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가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1입력단자(A)와 연결되어 있는 제1부정 논리곱 수단(NAND1)으로 이루어져,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 제1설정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반전 수단(INV2)과, 상기 제2반전 수단(INV2)의 출력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Vdd)에 각각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2입력단자(B)에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부정 논리곱 수단(NAND2)으로 이루어져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 제2설정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상태는,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저레벨인 “L”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 단자(Vdd)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처리하여 전자 제어 유닛의 구동 전원과,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처리하여 메모리(204)의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5. 신호 조합 수단에서 출력되어 제1입력 단자(A)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 상태가 제1설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신호 상태가 제1설정 상태일 경우,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와; 신호 조합 수단에서 출력되어 제2입력 단자(B)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된 신호 상태가 제2설정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신호의 상태가 제2설정 상태일 경우, 메모리 전원 공급 단자(Vcc)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상태는,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저레벨인 “L”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의 이상 상태 감지 방법.
KR1019950042530A 1995-11-21 1995-11-21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530A KR100264550B1 (ko) 1995-11-21 1995-11-21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530A KR100264550B1 (ko) 1995-11-21 1995-11-21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512A KR970026512A (ko) 1997-06-24
KR100264550B1 true KR100264550B1 (ko) 2000-10-02

Family

ID=1943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530A KR100264550B1 (ko) 1995-11-21 1995-11-21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149B1 (ko) * 2005-03-18 2008-01-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다중 칩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149B1 (ko) * 2005-03-18 2008-01-2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다중 칩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51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78114A (ja) 電子機器
EP0121570B1 (en) Method of displaying diagnostic result
EP0430219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esume process in a computer unit capable of connecting an expansion unit
KR100264550B1 (ko) 메모리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 및 전압 레귤레이터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JP3491358B2 (ja) 電源遮断検出装置
KR100264554B1 (ko) 전자 제어 유닛의 메모리 구동 전원의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EP0481487A2 (en) Stand-by control circuit
JP2000035923A (ja) 異常検出方法および異常検出装置
JP2504502B2 (ja) 集積回路カ―ド
JPH0736574A (ja) 電子機器の初期化装置及び方法
JPH09213088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2002419A (ja)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
KR970003999B1 (ko) 자동차의 자기진단코드 백업장치 및 그 방법
JPS6237425B2 (ko)
US5218606A (en) Current-spare switching control system
JPH1196012A (ja) 分散制御装置
JPH09297714A (ja) 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45493A (ko) 자동차의 운행정보 기록 시스템에서 데이터 안정화 장치
KR910001243Y1 (ko) 음성합성 모우드의 전환회로
KR0139518B1 (ko) 엔진 제어장치
KR100264551B1 (ko) 전자 제어 유닛의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JPH10136575A (ja) 電気機器および電源供給制御回路
JP3980680B2 (ja) D−ramカード
JPH10133785A (ja) 端末装置
JPH0728776A (ja) マイコン内蔵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