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315B1 -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315B1
KR100264315B1 KR1019970063764A KR19970063764A KR100264315B1 KR 100264315 B1 KR100264315 B1 KR 100264315B1 KR 1019970063764 A KR1019970063764 A KR 1019970063764A KR 19970063764 A KR19970063764 A KR 19970063764A KR 100264315 B1 KR100264315 B1 KR 100264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data unit
data
display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76A (ko
Inventor
오와다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4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counting or timing of machine ope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72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의 전환시에 주영상 및 부화상을 안정하게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메인 타이머(221)는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낸다. 제어부(211)는 메인 타이머(221)의 기준 시간과 데이타 팩의 헤더의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하여, 소정 관계의 패킷을 메모리(213)에 취입 데이타 유닛을 생성한다.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데이타 유닛의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가 행해진다(디코더(214), 제어부(211,216)). 제어부(211)의 제어에 기초하여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메인 타이머(221)를 최신으로 취입한 팩의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한다.

Description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압축된 동화상의 주영상 데이타, 자막 등의 부화상 데이타, 그리고 음성 데이타 등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화상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LD(레이저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영화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자막도 재생되는 경우가 있지만,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자막은 주영상과 분리 불가능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에는 소형화 컴팩트 디스크(직경 약 12cm)에 동화상인 영상 데이타, 음성 데이타, 부화상 데이타(예컨대, 자막의 데이타)를 압축하여 기록하고, 또한, 음성이나 자막에 있어서는, 언어가 다른 것을 복수종 기록해 두고, 재생시에는, 희망하는 언어의 음성, 자막을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하, 이 광디스크를 DVD라 칭한다.
여기에서, 부화상 데이타는 실행 길이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유닛화된 데이타이고, 또 이 부화상 데이타 유닛이 복수로 분할되고 패킷화되어 디스크에 기록된다. 부화상 데이타 유닛에는, 이것을 복호하여 화면상에 영상 출력되는 화상의 색을 정하는 색코드 명령, 주영상과의 콘트라스트를 정하기 위한 명령, 색변화 및 콘트라스트 변화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 표시 영역을 정하기 위한 명령 등이 필요하다. 이들은 표시 시퀀스 제어 데이타라 칭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도, 여러가지 특수 재생 기능이 요망된다. 특수 재생 기능으로는, 스틸 재생, 순차 전송 저속 재생, 포즈 재생, 고속 순차 전송 재생, 고속 역전송 재생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특수 재생 기능이 요망되는 한편, 재생 데이타의 디코드 처리를 위한 시간 관리가 필요하다. 즉, 광디스크로부터 판독한 재생 데이타(패킷)를 언제 디코드하여 출력하는지 관한 시간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예컨대, 영화가 기록되어 있는 DVD에 있어서는, 주영상 이외에 각종 언어의 부화상(자막)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는 재생 장치로 자유롭게 자막 언어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의 통상 재생중에, 예컨대, 스틸 재생이나 저속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 상기 부화상을 주영상에 동기시켜 재생하기 위한 시간 관리가 극히 곤란하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의 통상 재생중에, 예컨대, 고속 순차 전송 재생이나 고속 역전송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에도, 상기 부화상을 주영상에 동기시켜 재생하기 위한 시간 관리가 극히 곤란하다.
이것은 주영상과 부화상이 독립적으로 패킷화되어 기록되어 있고, 각각이 독립한 디코더로 디코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화상에 관해서는 디코드시에 소정수의 패킷을 모아서, 완전한 화상 유닛을 구축했을 때에 비로소 안정되게 재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한 패킷에 각각 다른 압축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제1과 제2 영상 데이타, 예컨대, 주영상과 부화상을 재생했을 때 서로의 동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영상 데이타 재생 제어 장치 및 재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특수 재생중에, 제1 영상 데이타, 예컨대, 주영상을 재생 상태로 하고, 제2 영상 데이타, 예컨대, 부화상을 임의로 재생 또는 마스크할 수 있도록 한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 및 재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독립한 패킷에 각각 다른 압축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주영상과 부화상을 특수 재생했을 때 부화상이 안정되게 재생되도록 한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재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계되는 광학식 디스크의 설명도.
도 2는 상기 광학식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논리 포맷인 볼륨 공간의 설명도.
도 3은 상기 볼륨 공간에 있어서의 비디오 관리자(VMG)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상기 비디오 객체 세트(VOBS)와 셀(Cell)과의 관계와, 또 셀(Cell)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비디오 객체와 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프로그램 체인(PGC)에 의해 셀(Cells)의 재생 순서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 안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의 설명도.
도 8은 1개의 팩과 패킷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네비게이션 팩(NV_PCK)의 설명도.
도 10은 화상 제어 정보(PCI)의 일반 정보의 설명도.
도 11은 데이타 서치 정보(DCI)의 일반 정보의 설명도.
도 12는 심레스(seamless) 재생 정보의 설명도.
도 13은 심레스 앵글 정보의 설명도.
도 14는 데이타 서치 정보내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의 설명도.
도 15는 동기 정보의 설명도.
도 16은 비디오 객체 유닛의 설명도.
도 17은 오디오 스트림의 설명도.
도 18은 부화상 유닛의 설명도.
도 19는 동일 부화상 유닛의 설명도.
도 20은 동일 부화상 유닛의 설명도.
도 21은 부화상 유닛의 연속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부화상 유닛의 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부화상 유닛의 헤더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는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의 설명도.
도 25는 동일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의 설명도.
도 26은 부화상 표시 제어 명령의 설명도.
도 27은 동일 부화상 표시 제어 명령의 설명도.
도 28은 부화상 표시 제어 명령의 내용의 설명도.
도 29는 실행 길이 압축 규칙의 설명도.
도 30은 실행 길이 압축된 데이타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재생 장치의 구성 설명도.
도 32는 상기 재생 장치의 메뉴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3은 동일 재생 장치의 타이틀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4는 동일 재생 장치의 고속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5는 동일 재생 장치의 스틸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6은 동일 재생 장치의 화면 구분 전송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7은 동일 재생 장치의 저속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8은 동일 재생 장치의 부화상 디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상기 부화상 디코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0은 부화상과 기준 타이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화면 구분 전송 재생시의 부화상 디코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2는 저속 재생시의 부화상 디코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3은 고속 재생시의 부화상 디코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4는 부화상 유닛의 메모리로의 취입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5는 메모리에 취입된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처리의 설명도.
도 46은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7은 고속 재생이 행해질 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8은 동일 고속 재생이 행해질 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9는 심레스 재생에 있어서의 앵글 절환이 행해졌을 때의 부화상 유닛의 시간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0은 심레스 재생에 있어서의 앵글 절환이 행해졌을 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1은 심레스 재생에 있어서의 앵글 절환이 행해졌을 때의 부화상 유닛의 메모리로의 취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2는 심레스 재생에 있어서의 앵글 절환이 행해졌을 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학식 디스크
101 : 모터
102 : 픽업부
103 : 서보부
104 : 디스크 모터 행동부
l05 : 복조/에러 정정부
106 : 버퍼
107 : 디멀티플렉서
108 : 입력 버퍼
109 : DSI 디코더
110 : 버퍼
111 : 시스템 버퍼
121, 126, 129, 132 : 버퍼
123 : 비디오 디코더
125 : 합성기
127 : 부화상 디코더
130 : 오디오 디코더
133 : PCI 디코더
135 : 하일라이트 처리부
200 : 시스템 제어부
201 : 조작부
211 :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
212 : 레지스터
213 : 메모리
213A : 버퍼 메모리
214 : 실행 길이 디코더
215 : 버퍼 메모리
216 : 시퀀스 제어부
217 : 명령 레지스터
218 : 출력 제어부
221 : 메인 타이머
222 : 서브 타이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의 경우에는, 해당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행하는 디코드 처리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스틸 또는 간헐 표시 등의 특수 재생 동작 모드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해질 때에는,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에 입력하는 상기 시스템 클록을 오프 제어하는 기간을 가지며, 통상 재생 동작 모드로 이행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타이머를 최신으로 취입한 팩의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하는 타이머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해, 특수 재생시에 타이머의 카운트치에 오차가 생겨도 통상 재생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정확한 카운트치로 복귀한다. 또, 서브 타이머는 데이타 유닛 갱신시에 클리어되므로, 메인 타이머가 정확하면 데이타 유닛의 전환도 정확해지며, 서브 타이머도 정확해진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타 유닛내에 포함되는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와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퀀스 타임 스탬프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하는 표시 시퀀스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머 제어 수단은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도, 안정되게 부화상의 시퀀스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타이머 제어 수단에 의해, 스틸 또는 간헐 표시 등의 특수 재생 동작 모드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해질 때에는,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에 입력하는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오프 제어하는 기간을 가지며, 통상 재생 동작 모드로 이행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타이머를 최신으로 취입한 팩의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타 유닛내에 포함되는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와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 이상의 경우에는,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하는 표시 시퀀스 제어 수단을 이용하고 있고, 상기 타이머 제어 수단은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킨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도, 특수 재생시에 타이머의 카운트치에 오차가 생겨도 통상 재생으로 전환될 때에는 정확한 카운트치로 복귀한다. 또, 서브 타이머는 데이타 유닛 갱신시에 클리어되므로, 메인 타이머가 정확하면 데이타 유닛의 전환도 정확해지고, 서브 타이머도 정확해진다. 또한,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안정되게 부화상의 시퀀스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내장 시스템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행하고,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행하지 않고, 상기 디코드 유닛 전에 디코드하고 있던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강제적으로 소정의 값으로 하여,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의 디코드를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강제 디코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PTS와 타이머와의 관계가 정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도, 부화상을 디코드할지, 마스크할지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에 취입되는 상기 패킷이 기록 매체로부터 고속 순차 전송 동작시에 취입되고 있는 패킷일 때, 상기 강제 디코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강제적으로 최소치로 하여,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이 디코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통상 재생 또는 고속 순차(또는 역) 전송 재생중에도 부화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또, 통상 재생 또는 고속 순차(또는 역) 전송 재생중에도 부화상의 표시를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에서는, 부화상을 디코드하여, 그 표시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한 부화상 디코더에 있어서, 고속 재생 등의 특수 재생 모드의 상태에서는, 다음에 디코드 사용으로 하는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가 소정의 구성으로 완결된 것을 디코드하고, 완결된 것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디코드중인 것을 디코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재생 등의 특수 재생시에는, 전송되어 온 복수의 신데이타 유닛중 완결된 최초의 데이타 유닛을 판정하고, 이 최초의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여 다음 복수의 신데이타 유닛이 전송될 때까지 상기 최초의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심레스 재생 등으로 절환된 경우, 전송되어 온 신데이타 유닛의 표시 시간 스탬프(PTS)가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PTS와 디스플레이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과의 가산치 이하이면,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해, 부화상의 재생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또한, 주영상에 양호하게 대응한 부화상로서 재생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정보 유지 매체에 어떠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유지 매체의 일례로서의 광학식 디스크(100)의 기록 데이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광학식 디스크(100)는 예컨대, 한 면에 약 5G바이트의 기억 용량을 갖는 2면 접합 디스크로서, 디스크 내주측의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의 리드아웃 영역까지의 사이에 다수의 기록 트랙이 배치되어 있다. 각 트랙은 다수의 논리 섹터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섹터에 각종 정보(적당하게 압축된 디지탈 데이타)가 격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광학식 디스크(100)의 볼륨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공간은 볼륨 및 파일 구성존, DVD 비디오존, 다른 존으로 이루어진다. 볼륨 및 파일 구성존에는, UDF 브리지 구성이 기술되어 있고, 소정 규격의 컴퓨터로도 그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VD 비디오존은 비디오 관리자(VMG),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를 갖는다. 비디오 관리자(VMG),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는 각각 복수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관리자(VMG)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3에는, 비디오 관리자(VMG)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비디오 관리자(VMG)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등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타로서의 비디오 관리자 정보(VMGI)와, 메뉴 표시를 위한 데이타로서의 비디오 객체 세트(VMGM_VOBS)를 갖는다. 또한, 백업용 비디오 관리자 정보(VMGI)도 갖는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에는, 제어 데이타로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와, 메뉴 표시를 위한 데이타로서의 비디오 객체 세트(VMGM_VOBS)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객체 세트인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타이틀을 위한 비디오 객체 세트(VTSTT_VOBS)가 포함된다. 또한, 백업용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도 포함된다.
또,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객체 세트인 (VTSTT_VOBS)는 복수의 셀(Cell)로 구성되어 있다. 각 셀(Cell)에는 셀 ID 번호가 첨부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비디오 객체 세트(VOBS)와 셀(Cell)과의 관계와, 또 셀(Cell)의 내용을 계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DVD의 재생 처리가 행해질 때는 영상 양태의 선택(장면 체인지, 앵글 체인지, 스토리 체인지 등)이나 특수 재생에 관해서는, 셀(Cell) 단위 또는 그 하위의 층인 비디오 객체 유닛(VOBU) 단위로 취급되도록 되어 있다.
비디오 객체 세트(VOBS)는 우선, 복수의 비디오 객체(VOB_IDN1∼VOB_IDNi)로 구성되어 있다. 또 1개의 비디오 객체는 복수의 셀(C_IDN1∼C_IDN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1개의 셀(Cell)은 복수의 비디오 객체 유닛(VOBU)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개의 비디오 객체 유닛(VOBU)는 1개의 네비게이션 팩(NV_PCK), 복수의 오디오팩(A_PCK), 복수의 비디오팩(V_PCK), 복수의 부화상 팩(SP_PCK)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팩(NV_PCK)은 주로 소속하는 비디오 객체 유닛내의 데이타의 재생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 및 비디오 객체 유닛의 데이타 서치를 행하기 위한 제어 데이타로서 이용된다.
비디오팩(V_PCK)은 주영상 정보로서, MPEG 등의 규격으로 압축되어 있다. 또한, 부화상 팩(SP_PCK)은 주영상에 대하여 보조적인 내용을 갖는 부화상 정보이다. 오디오 팩(A_PCK)은 음성 정보이다.
도 5에는 비디오 객체(VOB)와 셀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예는, 1개의 타이틀(예컨대, 영화의 장면)이 연속하고 있는 상태의 블록 배열로서, 블록내의 셀이 연속하여 재생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5의 (b)는 다중 장면을 기록한 경우의 셀의 배열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DVD에 있어서는, 동시 진행하는 이벤트로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기록하여도 좋다고 하는 기획이 정해져 있다. 예컨대, 야구 영화였을 경우, 백네트 뒤에서 구장 전체를 촬영한 영상과, 심판의 얼굴을 줌업한 영상을 동시에 취득하여, 각각의 영상을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하여 이들을 인터리브하여 트랙상에 기록하는 것이다. 도 5의 (b)의 예는 2개의 장면을 유닛으로 분할하여 각 데이타 유닛을 인터리브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데이타 유닛이 띄엄띄엄 취득되어 재생되게 된다. 어느 쪽의 장면을 선택할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고 사용자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도가 높은 쪽이 재생된다.
도 6에는 프로그램 체인(PGC)에 의해, 상기 셀(Cells)의 재생 순서를 제어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체인(PGC)으로는 데이터 셀의 재생 순서로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각종 프로그램 체인(PGC#1, PGC#2, PGC#3 …)이 준비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체인을 선택함으로써 셀의 재생 순서가 설정되게 된다.
프로그램 체인 정보(PGCI)로 기술되어 있는 프로그램 #1∼프로그램 #n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프로그램은 비디오 객체 세트(VOBS)내의 #s 이후의 셀을 순서대로 지정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도 7에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내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를 나타내고 있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내에 비디오 타이틀 세트 프로그램 체인 정보 테이블(VTS_PGCIT)이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1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내의 비디오 객체 세트(VOBS)가 재생될 때는, 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 프로그램 체인 정보 테이블(VTS_PGCIT)로 제시되는 복수의 프로그램 체인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체인이 이용된다.
VTSI의 중에는, 그 이외에 다음과 같은 데이타가 기술되어 있다.
VTSI_MAT …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의 관리 테이블로서, 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어떠한 정보가 존재하는 것인지, 또는 각 정보의 개시 어드레스나 종료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VTS_PTT_SRPT …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 일부 서치 지시기 테이블로서, 여기에서는, 타이틀의 엔트리 포인트 등이 기술되어 있다.
VTSM_PGCI_UT …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 프로그램 체인 정보 유닛 테이블로서, 여기에는, 각종의 언어로 기술되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메뉴가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어떠한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기술되어 있고, 어떠한 스타일의 재생 순서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인지 기술되어 있는가를 메뉴로 확인할 수 있다.
VTS_TM아파트 … 비디오 타이틀 세트 시간 맵 테이블로서, 이 테이블에는 프로그램 체인내에서 관리되는 VOBU의 기록 위치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VTSM_C_ADT …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 셀 어드레스 테이블로서,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를 구성하는 셀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 등이 기술되어 있다.
VTSM_VOBU_ADMAP …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 비디오 객체 유닛 어드레스 맵으로, 이 맵에는 메뉴용 비디오 오브넥트 유닛의 개시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VTS_C_ADT … 비디오 타이틀 세트 셀 어드레스 테이블로서, 비디오 타이틀 세트 본체를 구성하는 셀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 등이 기술되어 있다.
VTS_VOBU_ADMAP … 비디오 타이틀 세트 비디오 객체 유닛 어드레스 맵으로, 이 맵에는 타이틀 본체의 비디오 객체 유닛의 개시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체인이 선택되면, 그 프로그램 체인에 의해 셀의 재생 순서가 설정된다. 또한 재생에 있어서는, 비디오 객체 유닛에 포함되는 NV_PCK이 참조된다. NV_PCK은 표시 내용, 표시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나, 데이타 서치를 위한 정보를 갖는다. 따라서, 이 NV_PCK 테이블의 정보에 기초하여 V_PCK의 취출과, 디코드가 행해진다. 또한, 다른 팩의 취출 및 디코드가 행해지지만, 그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하고 있는 언어의 A_PCK, SP_PCK의 취출이 행해진다.
도 8에는 1개의 팩과 패킷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1팩은 팩 헤더, 패킷으로 구성된다. 팩 헤더내에는, 팩 개시 코드, 시스템 클록 기준(SCR) 등이 기술되어 있다. 팩 개시 코드는 팩의 개시를 나타내는 코드이고, 시스템 클록 기준(SCR)은 장치 전체에 대하여 재생 경과 시간에 있어서의 소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1팩의 길이는 2048바이트이며, 광디스크상의 1논리 블록으로서 규정되어 기록되고 있다.
1패킷은 패킷 헤더와 비디오 데이타 또는 오디오 데이타 또는 부화상 데이타 또는 네비게이션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다. 패킷의 패킷 헤더에는, 스태핑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패킷의 데이타부에는 패딩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도 9에는 NV_PCK을 취출하여 나타내고 있다.
NV_PCK은 기본적으로는 표시 화상을 제어하기 위한 화상 제어 정보(PCI) 패킷과, 같은 비디오 객체내에 존재하는 데이타 서치 정보(DSI) 패킷을 갖는다. 각 패킷에는 패킷 헤더와 서브 스트림 ID가 기술되고, 그 후에 각각 데이타가 기술되어 있다. 각 패킷 헤더에는 스트림 ID가 기술되어 NV_PCK인 것을 나타내고, 서브 스트림 ID는 PCI, DSI의 식별을 행하고 있다. 또한, 각 패킷 헤더에는 패킷 개시 코드, 스트림 ID, 패킷 길이가 기술되며, 계속해서 각 데이타가 기술되어 있다.
PCI 패킷은 이 패킷이 속하는 비디오 객체 유닛(VOBU)내의 비디오 데이타의 재생에 동기하여, 표시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타이다.
PCI 패킷에는 일반 정보인 PCI 일반 정보(PCI_GI)와, 난심레스 앵글 정보(NSML_ANGLI)와, 하일라이트 정보(HLI)와, 기록 정보인 레코딩 정보(RECI)가 기술되어 있다.
도 10에는 재생 제어 일반 정보(PCI_GI)를 나타내고 있다.
PCI_GI에는, 이 PCI의 일반적인 정보이고, 이하 같은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 네비게이션 팩의 어드레스인 논리 블록 번호(NV_PCK_LBN), 이 PCI에서 관리되는 비디오 객체 유닛(VOBU)의 속성을 나타내는 비디오 객체 유닛 카테고리(VOBU_CAT), 이 PCI에서 관리되는 비디오 객체 유닛의 표시 기간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 금지 정보인 사용자 오퍼레이션 제어(VOBU_UOP_CTL), 비디오 객체 유닛의 표시의 개시 시간인 (VOBU_S_PTM), 비디오 객체 유닛의 표시의 종료시간인 (VOBU_E_PTM)을 포함한다. VOBU_S_PTM에 의해 지정되는 최초의 영상은 MPEG의 규격에 있어서의 1화상이다. 또한, 비디오 객체 유닛의 최후의 비디오의 표시 시간을 나타내는 비디오 객체 유닛 시퀀스 종료 표시 시간(VOBU_SE_E_PTM)이나, 셀내의 최초의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의 상대 표시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셀 경과 시간(C_ELTM) 등도 기술되어 있다.
또한, PCI내에 기술되어 있는 NSML_ANGLI는 앵글 체인지가 있을 때의 목적지(행선지)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비디오 객체 유닛은 다른 각도에서 촬상(撮像)한 영상도 갖는다. 그리고, 현재 표시하고 있는 앵글과는 다른 앵글의 영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지정이 있을 때에는, 다음에 재생을 행하기 위해 이행하는 VOBU의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HLI는 화면내에서 특정한 영역을 직사각형으로 지정하여, 이 영역의 휘도나 여기에 표시되는 부화상의 컬러 등을 가변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 정보에는 하일라이트 일반 정보(HL_GI), 사용자에게 컬러 선택를 위해 버튼 선택을 행하게 하기 위한 버튼 컬러 정보 테이블(BTN_COLIT), 또한 선택 버튼을 위한 버튼 정보 테이블(BTNIT)이 기술되어 있다.
RECI는 이 비디오 객체 유닛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오디오, 부화상의 정보로서, 각각이 디코드되는 데이타가 동일한 것인지를 기술하고 있다. 예컨대, 그 중에는 국가 코드, 저작권자 코드, 기록 연월일 등이 있다.
DSI 패킷은 비디오 객체 유닛의 서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타이다.
DSI 패킷에는 일반 정보인 DSI 일반 정보(DSI_GI)와, 심레스 플레이백 정보(SML_PBI), 심레스 앵글 정보(SML_AGLI), 비디오 객체 유닛 서치 정보(VOBU_SRI), 동기 정보(SYNCI)가 기술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SI_CI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NV_PCK의 디코드 개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 클록 기준인 NV_PCK_SCR, NV_PCK의 논리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NV_PCK_LBN), 이 NV_PCK가 속하는 비디오 객체 유닛의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VOBU_EA)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최초에 디코드하기 위한 제1 기준 화상(I화상)의 종료 어드레스(VOBU_1STREF_EA), 최초에 디코드하기 위한 제2 기준 화상(P화상)의 종료 어드레스(VOBU_2NDREF_EA), 최초에 디코드하기 위한 제3 기준 화상(p화상)의 종료 어드레스(VOBU_3RDREF_EA)가 기술되어 있다. 또, 이 DSI가 속하는 VOB의 ID 번호(VOBU_VOB_IDN), 또는 이 DSI가 속하는 셀의 ID 번호(VOBU_C_IDN), 셀내의 최초의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의 상대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셀 경과 시간(C_ELTM)도 기술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SMI_PBI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 DSI가 속하는 VOBU는 인터리브된 유닛(ILVU)인지, 비디오 객체의 접속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는 프리 유닛(PREU)인지를 나타내는 비디오 객체 유닛 심레스 카테고리(VOBU_SML_CAT), 인터리브된 유닛의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내는(ILVU_EA), 다음 인터리브된 유닛의 개시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ILVU_SA), 다음 인터리브된 유닛의 크기를 나타내는 (ILVU_SZ), 비디오 객체(VOB)내에서의 비디오 표시 개시 시간을 나타내는 (VOB_V_S_PTM), 비디오 객체(VOB)내에서의 비디오 표시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VOB_V_E_PTM), 비디오 객체(VOB)내에서의 오디오 정지 시간을 나타내는 (VOB_A_STP_PTM), 비디오 객체(VOB)내에서의 오디오 갭 길이를 나타내는 (VOB_A_GAP_LEN) 등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레스 앵글 정보(SML_AGLI)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각 앵글에 있어서의 다음에 이행 목적으로 하는 인터리브된 유닛의 어드레스 및 크기(SML_AGL_Cn_DSTA)(n=1∼9)이다. 앵글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이 정보가 참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BU 서치 정보(VOBU_SRI)로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 정보는 현재의 비디오 객체 유닛(VOBU)의 개시 시간보다도 (0.5×n)초전 및 후의 VOBU의 개시 어드레스를 기술하고 있다. 즉, 상기 DSI를 포함하는 VOBU를 기준으로 하여 그 재생 순서에 따라서 포워드 어드레스(FWDINn)로서 +1에서 +20, +60, +120 및 +240까지의 VOBU의 개시 어드레스 및 그 유닛에 비디오 팩이 존재하는 것의 플래그가 기술되어 있다. 개시 어드레스는 상기 VOBU의 선두의 논리 섹터로부터 상대적인 논리 섹터수로 기술되어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재생하고 싶은 VOBU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정보(SYNC)에는 DSI가 포함되는 VOBU의 비디오 데이타의 재생 개시 시간과 동기하여 재생해야 할 부화상 및 오디오 데이타의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어드레스는 DSI가 포함되는 NV_PCK에서의 상대적인 논리 섹터수로 목적으로 하는 팩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오디오 스트림이 복수(최대 8)있는 경우에는 그 수만큼 동기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부화상이 복수(최대 32)있는 경우에는, 그 수만큼 동기 정보가 기술된다.
상기의 설명은 비디오, 오디오, 네비게이션 데이타, 부화상 등의 팩 구조의 설명이었다.
여기에서, 각 팩의 각각의 집합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비디오 객체 유닛(VOBU)과 이 유닛내의 비디오 팩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VOBU내의 비디오 데이타는 1개 이상의 GOP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엔코드된 비디오 데이타는 예컨대 ISO/IEC13818-2에 준거하고 있다. VOBU의 GOP는 I화상, B화상로 구성되며, 이 데이타의 연속이 분할되어 비디오 팩으로 되어 있다.
도 17에는 오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팩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오디오 스트림으로는 선형 PCM, 돌비 AC-3, MPEG 등의 데이타가 있다.
도 18에는 엔코드(실행 길이 압축)된 부화상의 팩의 논리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8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타에 포함되는 부화상(부영상)의 1팩은 예컨대, 2048바이트(2kB)로 구성된다. 부화상의 1팩은 선두의 팩 헤더 뒤에 1이상의 부화상 패킷(SP_PCK)을 포함하고 있다. 팩 헤더에는 각각 파일 전체의 재생을 통하여 기준이 되는 시간(SCR;System C1ock Reference)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시스템 타이머의 시간과 소정의 관계에 있으며, 또한 같은 시간 정보의 SCR이 부여되어 있는 부화상 정보의 팩내의 부화상 패킷이 후술하는 디코더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부화상 패킷은 그 패킷 헤더 뒤에 후술하는 부화상 유닛 헤더(SPUH)와 함께 실행 길이 압축된 부화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동일하게, 제2 부화상 패킷은 그 패킷 헤더 뒤에 실행 길이 압축된 부화상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부화상 데이타를 실행 길이 압축의 1단위분에 걸쳐 모은 것이 부화상 데이타 유닛(30)이다. 부화상 데이타 유닛(30)에는 부화상 유닛 헤더(31)가 부여되어 있다. 이 부화상 유닛 헤더(31)의 뒤에 1유닛분의 영상 데이타(예컨대, 2차원 표시 화면의 1수평 라인분의 데이타)를 실행 길이 압축한 화소 데이타(32) 및 각 부화상 팩의 표시 제어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33)이 계속된다.
부화상 데이타 유닛(30)은 부화상 표시용의 각종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화상 유닛 헤더(SPUH)(31)와, 실행 길이 부호로 이루어지는 표시 데이타(압축된 화소 데이타; PXD)(32)와,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DCSQT)(33)로 구성되게 된다.
도 19는 도 18에서 예시한 1단위분의 실행 길이 압축 데이타(30)중 부화상 유닛 헤더(31)의 내용의 일부를 예시하고 있다.
부화상 유닛 헤더(SPUH)(31)에는, 화소 데이타(PXD)(32)의 TV 화면상에서의 표시 크기, 즉, 표시 개시 위치 및 표시 범위(폭과 높이)(SPDSZ; 2바이트)와, 부화상 데이타 패킷내의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33)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SP_DCSQT_SA; 2바이트)가 기록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부화상 유닛 헤더(SPUH)(31)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내용을 갖는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다.
(1) 이 표시 데이타의 모니터 화면상에 있어서의 표시 개시 위치 및 표시 범위(폭 및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SPDSZ)와;
(2) 패킷내의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33)의 기록 개시 위치 정보(부화상의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 개시 어드레스(SP_DCSQT_SA)).
도 20은 다시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 구조를 나타낸다.
부화상 유닛은 복수의 부화상 패킷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비디오 데이타에 포함되는 부화상 정보의 1팩은 예컨대 2048바이트(2kB)로 구성되고, 부화상 정보의 1팩은 선두의 팩 헤더 뒤에 1이상의 부화상 패킷을 포함하고 있다. 팩 헤더에는, 각각 파일 전체의 재생을 통해 기준이 되는 시간(SCR; System Clock Reference)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같은 시간 정보의 SCR이 부여되어 있는 부화상 팩내의 패킷이 후술하는 디코더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패킷의 패킷 헤더에는, 재생 시스템이 그 부화상 데이타 유닛의 표시 제어를 개시해야 할 시각이 표시 시간 스탬프(PTS; Presentation Tim e Stamp)로서 기록되어 있다. 단, 이 PTS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화상 데이타 유닛(Y, W)내의 선두 부화상 데이타 패킷의 헤더에만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 PTS는 소정의 재생 시각 SCR을 참조하여 재생되는 복수의 부화상 데이타 유닛에 있어서, 그 통상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값이 각 부화상 데이타 유닛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도 22는 1이상의 부화상 패킷으로 구성되는 부화상 유닛의 직렬 배열 상태(n, n+1)와, 그 중의 부화상 유닛(n+1)의 패킷 헤더에 기술된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부화상 유닛(n+1)의 표시 제어의 경과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즉, PTS의 처리 시점과, 부화상 유닛(n)의 표시 클리어 기간과, 이제부터 표시하는 부화상 유닛(n+1)의 표시 개시 시점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상 유닛 헤더(SPUH)(31)에는 부화상 유닛의 크기(2바이트의 SPU_SZ)와, 패킷내의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33)의 기록 개시 어드레스(2바이트의 SP_DCSQT_SA)가 기록되어 있다.
SPU_SZ는 1개의 부화상 유닛의 크기를 바이트수로 기술하고 있고, 최대 크기는 53248바이트이다. SP_DCSQT_SA는 부화상 유닛의 최초의 바이트로부터의 상대 바이트수에 의해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DCSQT)의 개시 어드레스를 기술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DCSQT)(33)에는 1개 이상의 부화상 표시 시퀀스(SP_DCSQ0, SP_DCSQ1,…SP_DCSQn)가 실행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DCSQT)(33)은 부화상 유닛의 유효 기간중에 부화상의 표시 개시/정지와,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 시퀀스 정보이다.
도 25는 상기의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SO_DCSQ)의 1개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SP_DCSQ의 파라미터로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영상 데이타 표시 제어 실행이 개시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부화상 표시 제어 개시 시간(SP_DCSQ_STM; Sub-Picture Display Control Sequence Start Time)과, 다음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SP_DCSQ)의 기술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SP_NXT_DCSQ_SA; Address of Next SP DCSQ)와, 부화상 데이타의 표시 제어 명령(SP_COMMAND; Sub-Picture Display Control Command)(SP_COMMAND1, SP_COMMAND2, SP_COMMAND3, …)가 기록된다.
여기서, 패킷 헤더(도 20, 도 21 참조)내의 표시 시간 스탬프(PTS)는 예컨대, 화일 선두의 재생 개시 시간과 같은 화일 전체의 재생을 통해 기준이 되는 시간(SCR; System Clock Reference)에서의 상대 시간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SCR은 패킷 헤더의 앞에 부여되어 있는 패킷 헤더내에 기술되어 있는 것은 이전에 설명하였다.
또한, 표시 제어 시퀀스 실행 개시 시간을 설정하고 있는 부화상 표시 제어 타임(SP_DCSQ_STM)은 패킷 헤더에 기술되어 있는 상기 PTS로부터의 상대 시간(상대 PTM)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SP_DCSQ_STM)과 서브타임의 계수치가 비교되어 서브타임의 계수치가 표시 제어 시퀀스 타임 이상인 경우에는,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 표시 상태가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된다.
실제로는 (SP_DCSQ_STM)인 실행 개시 시간이 기술된 후의 최초에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에 대하여, 그 비디오 프레임내에서 표시되는 부화상에 대하여 표시를 위한 제어가 개시된다. 최초에 실행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시간(SP_DCSQ_STM)에는 「0000h」가 기술된다. 이 실행 개시 시간의 값은 부화상 패킷 헤더에 기술되어 있는 PTS 이상이고, 0 또는 정의 정수값이다. 이 표시 제어 개시 시간에 기초하여 1개의 (SP_DCSQ)내의 명령이 실행 처리되면, 다음에 지정되어 있는 (SP_DCSQ)내의 명령이 그 표시 제어 개시 시간이 되었을 때에 실행 처리를 개시한다.
SP_NXT_DCSQ_SA는 최초의 부화상 유닛으로부터 상대 바이스수로 나타내고, 다음의 SP_DCSQ의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SP_DCSQ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SP_DCSQ의 해당 부화상 유닛의 최초의 바이트로부터의 상대 바이트수로, 최초의 SP_DCSQ의 개시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SP_DCCMDn은 1개 이상의 표시 제어 시퀀스를 기술하고 있다.
도 26에는 표시 제어를 행하기 위한 표시 제어 명령(SP_DCCMD)의 1개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제어 명령(SP_DCCMD)의 내용은 화소 데이타의 강제적인 표시 개시 타이밍을 세트하는 명령(FSTA_DSP), 화소 데이타의 표시 개시 타이밍을 세트하는 명령(STA_DSP), 화소 데이타의 표시 종료 타이밍을 세트하는 명령(STP_DSP), 화소 데이타의 컬러 코드를 세트하는 명령(SET_COLOR), 화소 데이타와 주영상간의 콘트라스트를 세트하는 명령(SET_CONTR), 화소 데이타의 표시 영역을 세트하는 명령(SET_DAREA), 화소 데이타의 표시 개시 어드레스를 세트하는 명령(SET_DSPXA), 화소 데이타의 컬러 및 콘트라스트의 변화 제어를 세트하는 명령(CHG_COLON), 표시 제어의 종료 명령(CMD_END)이 있다. 각각의 코드와 확장 필드는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즉, 강제적인 표시 개시 타이밍 명령(FSTA_DSP)의 코드는 00h이고 확장 필드는 0바이트이다. 이 명령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부화상의 표시 상태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이 코드를 갖는 부화상 유닛의 강제적인 표시가 실행된다.
표시 개시 타이밍 명령(STA_DSP)의 코드는 00h이고 확장 필드는 0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부화상 유닛의 표시 개시 명령이다. 이 명령은 부화상의 표시 오프의 조작이 되고 있을 때에는 무시된다.
표시 정지 타이밍 명령(STP_DSP)의 코드는 02h이고, 확장 필드는 0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부화상 유닛의 표시 정지 명령이다. 부화상은 이전의 표시 개시 명령에 따라 재표시할 수 있다.
컬러 코드 설정 명령(SET_COLOR)의 코드는 03h이고 확장 필드는 2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화소 데이타의 각 화소의 색을 정하는 명령으로, 팰릿 코드로 확장 필드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각 화소를 위한 팰릿 코드로서 제2 강조 화소용(4비트), 제1 강조 화소용(4비트), 패턴 화소용(4비트), 배경 화소용(4비트)을 위한 각 팰릿 코드가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명령(SET_COLOR)이 상기 부화상 유닛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전의 최후에 이용된 것이 유지되어 있으며, 이 명령이 이용된다. 이 명령은 각 라인의 최초에 지정된다.
콘트라스트 설정 명령(SET_CONTR)의 코드는 04h이고 확장 필드는 2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화소 데이타와 주영상과의 혼합비를 설정하는 명령이며,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로 확장 필드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화소의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로서는 제2 강조 화소용(4비트), 제1 강조 화소용(4비트), 패턴 화소용(4비트), 배경 화소용(4비트)이 있으므로 각 화소를 위한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 k가 기술되어 있다.
주영상의 콘트라스트가 (16-k)/16으로 규정되는 것으로 하면, 부화상의 콘트라스트는 k/16이 된다. 16은 계조(階調)이다. 값은 "0"인 경우도 있고, 이 때는 부화상은 존재하여도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k는 (값+1)로서 취급된다.
여기에서, 이 명령(SET_CONTR)이 상기 부화상 유닛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전의 최후에 이용된 것이 유지되고 있으며, 이 명령이 이용된다. 이 명령은 각 라인의 최초에 지정된다.
표시 영역 설정 명령(SET_DAREA)의 코드는 05h이고 확장 필드는 6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화면상에 사각형의 화소 데이타의 표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 명령에서는, 화면상의 X축 좌표의 개시 위치(10비트)와 종료 위치(10비트), Y축 좌표의 개시 위치(10비트)와 종료 위치(l0비트)가 기술되어 있다. 6바이트중 나머지 비트나 예약으로 확보되어 있다. X축 좌표의 종료 위치의 값에서 X축 좌표의 개시 위치의 값을 감산하여 +1을 행하면, 1라인상의 표시 화소수와 동일한 것이다. Y축 좌표의 원점은 라인 번호 0이다. 또한 X축 좌표의 원점도 0이다. 화면상에서는 좌측상의 코너에 대응한다. Y축 좌표치는 2∼479(525개/60Hz의 TV의 경우), 또는 2∼574(625개/50Hz의 TV의 경우)이며, 이것에 의해 부화상 라인이 지정되어 X축 좌표치는 0∼719의 값이 기술되고, 이것에 의해 화소 번호가 지정된다.
여기에서, 이 명령(SET_DAREA)가 상기 부화상 유닛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선행하여 보내져 온 최후의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이 그대로 이용된다.
표시 개시 어드레스 설정 명령(SET_DSPXA)의 코드는 06h이고 확장 필드는 4바이트이다. 이 명령은 표시하는 화상 데이타의 최초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명령이다. 부화상 유닛의 선두로부터의 상대 바이트수로 홀수 필드(16비트)와 짝수 필드(16비트)의 최초의 어드레스가 기술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로 표시되는 위치의 제1 화소 데이타는 라인 좌단의 제1 화소를 포함하는 실행 길이 압축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이 명령(SET_DSPXA)가 상기 부화상 유닛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선행하여 보내져 온 최후의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명령이 그대로 이용된다.
컬러 및 콘트라스트 변화 제어 명령(CHG_COLON)의 코드는 07h이고, 확장 필드는 (화소 제어 데이타 크기+2바이트)이다.
여기에서 상기 (화소 제어 데이타(PXCD) 크기+2바이트)의 전체의 바이트수는 제어 내용에 따라 변화하며, 데이타량이 매우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제어 데이타에 관해서는 뒤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CMD_END)의 코드는 FFh이고 확장 바이트는 0바이트이다.
도 27은 상기 (CHC_COLON)의 확장 필드에 기술되는 화소 제어 데이타(PXCD; Pixe1 Contro1 Data)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PXCD는 부화상로서 표시되어 있는 화소의 색이나 콘트라스트를 표시 기간중에 제어하는 데이타이다. PXCD에 기술된 명령은 부화상 표시 제어 개시 시간(SP_DCSQ_STM)이 기술된 후의 제1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각 비디오 프레임으로 실행되며, 다음 새로운 PXCD가 세트될 때까지 실행된다. 새로운 PXCD가 갱신된 시점에서 이전의 PXCD가 취소된다.
도 27에 도시하는 라인 제어 정보(LN_CTLI: Line Control Information)는 부화상의 변화 제어가 행해지는 라인을 지정한다. 동일한 변환 제어가 행해지는 복수의 라인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제어 정보(PX_CTLI; Pixcel Contro1 Information)는 변화 제어가 행해지는 라인상의 지정 위치를 기술하고 있다. 1개 이상의 화소 제어 정보(PX_CTLI)는 변환 제어가 행해지는 라인상에서 복수의 위치 지정이 가능하다.
화소 제어 데이타(PXCD)의 종료 코드로서는 (0FFFFFFFh)가 LN_CTLI로 기술되어 있다. 이 종료 코드만이 존재하는 것 같은 PXCD가 도래할 때는 (CHG_COLON) 명령자체의 종료를 의미한다.
도 28을 참조하여 다시 계속해서 상기 각 명령에 관해서 설명한다.
LN_CTLI는 4바이트로 이루어지고, 부화상의 변화를 개시하는 라인 번호(10비트), 변화수(4비트), 그리고 종료 라인 번호(l0비트)를 기술하고 있다. 변화 개시 라인 번호는 화소 제어 내용의 변화가 개시되는 지점의 라인 번호이고, 이것은 부화상의 라인 번호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 종료 라인 번호는 화소 제어 내용에 의한 제어 상태를 중지하는 지점의 라인 번호이고, 이것도 부화상의 라인 번호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 변화수는 변화 위치의 수이고 그룹내의 화소 제어 정보(PX_CTLI) 수와 동일하게 된다. 이 때의 라인 번호는 당연한 일이지만, 2∼479(텔레비전 시스템은 525개/60Hz일 때), 또는 2∼574(텔레비전 시스템은 625개/50Hz일 때)이다.
다음에, 1개의 화소 제어 정보(PX_CTLI)는 6바이트로 이루어지고, 변화 개시 화소 번호(10비트), 그 화소에 계속되는 각 화소의 색 및 콘트라스트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화소를 위한 팰릿 코드로서 제2 강조 화소용(4비트), 제1 강조 화소용(4비트), 패턴 화소용(4비트), 배경 화소용(4비트)을 위한 각 팰릿 코드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화소를 위한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로서 제2 강조 화소용(4비트), 제1 강조 화소용(4비트), 패턴 화소용(4비트), 배경 화소용(4비트)의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변화 개시 화소 번호는 표시순의 화소 번호로 기술되어 있다. 이것이 0일 때는 SET_COLOR 및 SET_CONTR이 무시된다. 컬러 제어 정보로서는 컬러 팰릿 코드가 기술되며, 콘트라스트 제어 정보로서는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은 콘트라스트 지정 데이타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 각 제어 정보에 있어서 변화가 요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치와 같은 코드가 기술된다. 초기치는, 상기 부화상 유닛에 사용되어야 할 처음부터 지정되어 있는 컬러 코드 및 콘트라스트 제어 데이타인 것이다.
다음에, 이 디스크에서는, 상기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로서 기록(또는 전송)되는 명령은 데이타량이 극히 많아지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제어 시퀀스 명령을 각 부화상 유닛마다 부가하여 기록(또는 전송)한 것으로는, 기록 매체 또는 전송로의 용량을 유효하게 사용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명령의 내용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재생(또는 수신)측에서는 전회에 이용한 명령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기록 매체에 부화상 유닛마다 반복하여 기록(또는 전송)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지금, 부화상 표시 제어 명령(이하 이것을 SP_DCCMD_SAMPLE라고 기재함)의 1개가 준비되어, 이 명령으로서 43바이트인 것이 필요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 명령과 동일한 내용이 복수의 부화상 유닛(SPU)을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최초의 부화상 유닛에 (SP_DCCMD_SAMPLE) 부가하여 전송(또는 기록)하고, 이후의 부화상 유닛에 대해서는 생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 (43바이트×(부화상 유닛수-1))의 데이타량을 생략할 수 있고, 전송로나 기록 매체의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부화상의 압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부화상의 화소 데이터(실행 길이 데이타)가, 작성될 때의 실행 길이 압축 규칙 1∼6을 나타내고 있다. 이 규칙에 의해,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 길이(가변 길이)가 결정된다. 그리고, 결정된 데이타 길이로 엔코드(실행 길이 압축) 및 디코드(실행 길이 신장)가 행해진다.
도 29는 이전의 부화상 화소 데이터(실행 길이 데이타)(32) 부분이 2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엔코드 방법으로 채용되는 실행 길이 압축 규칙 1∼6을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도 30은 부화상 화소 데이터(실행 길이 데이타)(32) 부분이 2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압축 규칙 1∼6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의 1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1에서는, 동일 화소가 1 내지 3개 계속되는 경우, 4비트 데이타로 엔코드(실행 길이 압축) 데이타의 1단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최초의 2비트로 계속 화소수를 표시하고, 계속되는 2비트로 화소 데이타(화소의 색 정보 등)을 표시한다.
예컨대, 도 30의 상부에 도시되는 압축전의 영상 데이타 PXD의 최초의 압축 데이타 단위 CU01은 2개의 2비트 화소 데이타 d0, d1=(0000)b를 포함하고 있다(b는 2진수인 것을 가리킨다). 본 예에서는, 동일한 2비트 화소 데이타 (00)b가 2개 연속(계속)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수 「2」의 2비트 표시 (10)b와 화소 데이타의 내용 (00)b를 연결할 수 있는 d0, d1=(1000)b가,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1*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칙 1에 의해 데이타 단위 CU01의 (0000)b가 데이타 단위 CU01*의 (1000)b로 변환된다. 이 예에서는 실질적인 비트 길이의 압축은 얻을 수 없지만, 예컨대, 동일 화소 (00)b가 3개 연속하는 U01=(000000)b이면, 압축후에는 CU01*=(1100)b가 되며, 2비트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9의 2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2에서는, 동일 화소가 4∼15개 계속되는 경우, 8비트 데이타로 엔코드 데이타의 1단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최초의 2비트로 규칙 2에 기초한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헤더를 표시하고, 계속되는 4비트로 계속 화소수를 표시하며, 그 후의 2비트로 화소 데이타를 표시한다.
예컨대, 도 30의 상부에 도시되는 압축전의 영상 데이타 PXD의 2번째 압축 데이타 단위 CU02는 5개의 2비트 화소 데이타 d2, d3, d4, d5, d6=(0101010101)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2비트 화소 데이타 (01)b가 5개 연속(계속)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헤더 (00)b와, 계속수 「5」의 4비트 표시 (0101)b와 화소 데이타의 내용 (01)b를 연결할 수 있는 d2∼d6=(00010l01)b가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2*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칙 2에 의해서 데이타 단위 CU02의 (0l01010101)b(10비트길이)가 데이타 단위 CU02*의 (00010101)b(8비트 길이)로 변환된다. 이 예에서는 실질적인 비트 길이 압축분은 l0비트에서 8비트로의 2비트밖에 없지만, 계속수가 예컨대, 15(CU02의 01이 15개 연속하는 30비트 길이)의 경우에는, 이것이 8비트의 압축 데이타(CU02*=00111101)가 되고, 30비트에 대하여 22비트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규칙 2에 기초하는 비트 압축 효과는 규칙 1의 것 보다도 크다. 그러나, 해상도가 높은 미세한 화상의 실행 길이 압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규칙 1도 필요해진다.
도 29의 3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3에서는, 동일 화소가 16∼63개 계속되는 경우, 12비트 데이타로 엔코드 데이타의 1단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최초의 4비트로 규칙 3에 기초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헤더를 표시하고, 계속되는 6비트로 계속 화소수를 표시하며, 그 후의 2비트로 화소 데이타를 표시한다.
예컨대, 도 30의 상부에 도시되는 압축전의 영상 데이타 PXD의 3번째 압축 데이타 단위 CU03은 16개의 2비트 화소 데이타 d7∼d22=(101010……1010)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2비트 화소 데이타 (10)b가 16개 연속(계속)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헤더 (0000)b와, 계속수 「16」의 6비트 표시 (010000)b와 화소 데이타의 내용 (10)b를 연결한 d7∼d22=(0000010O0010)b가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3*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칙 3에 의해서 데이타 단위 CU03의 (101010……1010)b(32비트 길이)가 데이타 단위 CU03*의 (000001000010)b(12비트 길이)로 변환된다. 이 예에서는 실질적인 비트 길이 압축분은 32비트에서 12비트로의 20비트이지만, 계속수가 예컨대, 63(CU03의 10이 63개 연속하므로 126비트 길이)의 경우에는, 이것이 12비트의 압축 데이타 (CU03*=0OO011111110)이 되고, 126비트에 대하여 114비트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규칙 3에 기초하는 비트 압축 효과는 규칙 2의 것 보다도 크다.
도 29의 4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4에서는, 동일 화소가 64∼255개 계속되는 경우, 16비트 데이타로 엔코드 데이타의 1단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최초의 6비트로 규칙 4에 기초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헤더를 표시하고, 계속되는 8비트로 계속 화소수를 표시하며, 그 후의 2비트로 화소 데이타를 표시한다.
예컨대, 도 30의 상부에 도시되는 압축전의 영상 데이타 PXD의 4번째 압축 데이타 단위 CU04는 69개의 2비트 화소 데이타 d23∼d91=(111111………1111)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2비트 화소 데이타 (11)b가 69개 연속(계속)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헤더 (000000)b와, 계속수 「69」의 8비트 표시 (00100101)b와 화소 데이타의 내용 (11)b를 연결한 d23∼d91=(00000000l0010111)b가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4*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칙 4에 의해서 데이타 단위 CU04의 (111111……1111)b(138비트 길이)가 데이타 단위 CU04*의 (0000000010010111)b(16비트 길이)로 변환된다. 이 예에서는 실질적인 비트 길이 압축분은 138비트에서 16비트로의 122비트이지만, 계속수가 예컨대, 255(CU01의 11이 255개 연속하므로 510비트 길이)의 경우에는, 이것이 16비트의 압축 데이타 (CU04*=0000001111111111)가 되고, 510비트에 대하여 494비트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규칙 4에 기초하는 비트 압축 효과는 규칙 3의 것 보다도 크다.
도 29의 5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5에서는, 엔코드 데이타 단위의 전환점에서 라인의 끝까지 동일 화소가 계속되는 경우에, 16비트 데이타로 엔코드 데이타의 1단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최초의 14비트로 규칙 5에 기초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헤더를 표시하고, 계속되는 2비트로 화소 데이타를 표시한다.
예컨대, 도 30의 상부에 표시되는 압축전의 영상 데이타 PXD의 5번째 압축 데이타 단위 CU05는 1개 이상의 2비트 화소 데이타 d92∼dn=(000000………0000)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동일한 2비트 화소 데이타 (00)b가 유한개 연속(계속)하고 있지만, 규칙 5에서는 계속 화소수가 1이상 몇개라도 좋다.
이 경우, 도 30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헤더 (00000000000000)b와, 화소 데이타의 내용 (00)b를 연결할 수 있는 d92∼dn=(0000000000000000)b가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5*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칙 5에 의해서 데이타 단위 CU05의 (000000……0000)b(불특정 비트 길이)가 데이타 단위 CU05*의 (0000000000000000)b(16비트 길이)로 변환된다. 규칙 5에서는, 라인 종료까지의 동일 화소 계속수가 16비트 길이 이상 있으면,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9의 6열째에 나타내는 규칙 6에서는, 엔코드 대상 데이타가 늘어선 화소 라인이 1라인 종료한 시점에서, 1라인분의 압축 데이타 PXD의 길이가 8비트의 정수배가 아닌(즉, 바이트 라인이 아닌) 경우에, 4비트의 더미 데이타를 추가하여 1라인분의 압축 데이타 PXD가 바이트 단위가 되도록(즉, 바이트 라인이 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도 30의 하부에 도시되는 압축후의 영상 데이타 PXD의 데이타 단위 CU01*∼CU05*의 합계 비트 길이는, 반드시 4비트의 정수배로는 되어 있지만, 반드시 8비트의 정수배로 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컨대, 데이타 단위 CU01*∼CU05*의 합계 비트 길이가 1020비트이고 바이트 라인으로 하기 위해서 4비트 부족하면, 도 29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비트의 더미 데이타 CU06*=(0000)b를 1020비트의 말미에 부가하여 바이트 라인된 1024비트의 데이타 단위 CU01*∼CU06*를 출력한다.
또, 1단위의 최후에 배치되는 2비트 화소 데이타는 반드시 4종류의 화소색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화소 데이타 (00)b가 부화상의 배경 화소를 의미하고, 화소 데이타 (01)b가 부화상의 패턴 화소를 의미하며, 화소 데이타 (10)b가 부화상의 제1 강조 화소를 의미하고, 화소 데이타 (11)b가 부화상의 제2 강조 화소를 의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2비트의 화소 데이타의 내용에 의해 실행 길이되어 있는 데이타가 배경 화소, 부화상의 패턴 화소, 부화상의 제1 강조 화소, 부화상의 제2 강조 화소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소 데이타의 구성 비트수가 더욱 많으면, 보다 다른 종류의 부화상 화소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 데이타가 3비트의 (000)b∼(111)b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실행 길이 엔코드/디코드되는 부화상 데이타에 있어서, 최대 8종류의 화소색+화소 종류(강조 효과)를 지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 정보를 판독 처리하는 재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에 있어서, 광학식 디스크(DVD)(100)는 턴테이블(도시 생략)상에 장착되어 클램퍼에 의해 클램프되고, 모터(10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지금, 재생 모드이다고 하면, 광학식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는 픽업부(102)에 의해 픽업된다. 픽업부(102)는 서보부(103)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 제어, 포커스 제어, 트래킹 제어되고 있다. 또한 서보부(103)는 디스크 모터 구동부(104)에도 제어 신호를 보내고, 모터(101)의 회전(즉, 광학식 디스크(100))의 회전 제어를 행하고 있다.
픽업부(102)의 출력은 복조/에러 정정부(105)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여기에서 복조된 복조 데이타는 버퍼(106)를 통해 디멀티 플렉서(107)에 입력된다. 또한, 복조 데이타는 입력 버퍼(108)를 통해 DSI 디코더(109)에 입력된다. DSI 디코더(109)에는 버퍼(110)가 접속되어 있다. 디코드한 DSI(데이타 서치 정보)는 시스템 제어부(200)에 보내어진다. 또한 복조 데이타는 시스템 버퍼(111)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200)에 보내어진다. 이 시스템 버퍼(111)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200)에 취입되는 데이타로서는 예컨대, 관리 정보 등이 있다.
디멀티플렉서(107)에서는, 각 팩의 분리 처리가 행해진다.
디멀티플렉서(107)로부터 취출된 비디오 팩(V_PCK)은 버퍼(121)를 통해 비디오 디코더(123)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비디오 디코더(123)에는 버퍼(124)가 접속되어 있다. 비디오 디코더(123)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합성기(125)에 입력된다.
또한, 디멀티 플렉서(107)로부터 취출된 부화상 팩(SP_PCK)은 버퍼(126)를 통해 부화상 디코더(127)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부화상 디코더(127)에는 버퍼(128)가 접속되어 있다. 부화상 디코더(127)로부터 출력된 부화상은 합성기(125)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합성기(125)로부터는 주영상 신호에 부화상이 중첩된 신호가 수득되어 디스플레이에 공급된다.
또한, 디멀티 플렉서(107)로부터 취출된 오디오 팩(A_PCK)은 버퍼(129)를 통해 오디오 디코더(130)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오디오 디코더(130)에는 버퍼(131)가 접속되어 있다. 오디오 디코더(130)의 출력은 스피커에 공급된다.
또한, 디멀티 플렉서(107)로부터 취출된 PCI 팩은 버퍼(132)를 통해 PCI 디코더(133)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PCI 디코더(133)에는 버퍼(134)가 접속되어 있다. PCI 디코더(133)의 출력은 하일라이트 정보(HLI) 처리부(135)에 입력된다.
디멀티플렉서(107)에 있어서는, 주영상 정보, 부화상(자막 및 문자) 정보, 음성 정보, 제어 정보 등을 분리하여 도출하게 된다. 즉, 광학식 디스크(100)에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부화상(자막 및 문자) 정보, 음성 정보, 관리 정보,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부화상 정보인 자막 및 문자 정보나, 음성 정보로서는 각종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이것은 시스템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서 선택된다. 시스템 제어부(200)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이 조작부(201)를 통해 부여된다.
따라서, 주영상 정보를 디코드하는 비디오 디코더(123)에서는 표시 장치의 방식에 대응한 디코드 처리가 실시된다. 예컨대, 주영상 정보는 NTSC, PAL, SECAM, 와이드 화면 등으로 변환 처리된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1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스트림의 오디오 정보가 입력되어 디코드되게 된다. 또한, 부화상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스트림의 부화상 데이타가 부화상 디코더(127)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다음에, 상기 재생 장치의 통상 재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에는 재생 동작을 개시할 때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원이 투입되면, 시스템 제어부(200)는 미리 구비되어 있는 ROM의 프로그램을 상승시켜 모터(101)를 구동하고, 데이타의 판독을 개시한다(단계 S1). 최초에 ISO-9660 등에 준거하여 볼륨 및 파일 구조부(도 2에 도시)의 데이타가 독출된다. 이 독출된 데이타는 시스템 제어부(200)의 메모리에 일단 격납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200)는 광디스크상의 데이타의 종류나 기록 위치 등을 파악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200)는 픽업부(102) 등을 제어하여 비디오 관리자(VMG) 및 그 관리자 정보(VMGI)를 취득한다. VMGI에는 비디오 관리자 관리 테이블(VMGI_MAT) 등의 기록 신호에 관한 각종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크에 어떠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메뉴 형식으로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단계 S2, S3).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지정을 기다리게 된다(단계 S4). 이 지정은 예컨대,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지정이다.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 지정이 있으면, 지정된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재생이 개시된다(단계 S5).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로부터의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에, 미리 정해져 있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재생이 행해진다(단계 S6). 그리고 재생이 종료하면 종료 단계로 이행한다(단계 S7, S8).
도 33에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지정될 때의 동작을 흐름도로 다시 나타내고 있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지정되면, 그 타이틀 세트의 제어 데이타(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가 판독된다(단계 S11). 이 중에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체인(PGC)에 관한 정보 및 프로그램 체인 선택을 위한 메뉴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200)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제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단계 S12). 사용자는 메뉴 화면을 보고, 프로그램 체인을 선택한다(단계 S13). 이 경우, 메뉴 화면 없이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체인이 정해져도 좋다. 프로그램 체인이 선택에 의해 결정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체인에 따라서 셀의 재생 순서가 정해지고, 재생이 실행된다(단계 S14). 자동적으로 프로그램 체인이 정해졌을 경우 또는 소정 시간내에 프로그램 체인의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한 셀의 재생 순서로 재생이 행해진다(단계 Sl5).
다음에, 빨리감기 재생(패스트 포워드; FF) 모드가 설정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1GOP는 약 0.5초로 재생된다. 10배속을 얻기 위해서는 1GOP 분리된 위치의 비디오 데이타를 0.5초간씩 차례차례로 재생하면 실현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객체 유닛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의 비디오 객체의 어드레스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이를 위해서는 VOBU의 서치 정보(VOBU_SRI)가 활용된다. 즉, 현재의 VOBU에 포함되어 있는 PCI 패킷으로부터 다음에 재생해야 할 VOBU의 개시 어드레스을 판독하여 그 어드레스로 점프한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빨리감기 재생이 실현된다. 이 처리에 의해 셀에서 다른 셀로의 이행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체인의 관리 상황도 갱신되게 된다.
도 34는 예컨대, 10배속의 FF 모드시의 흐름도이다.
우선, 취입해 둔 FIFO 메모리로부터 현재의 VOBU_SRI를 참조하여 FWD10의 VOBU의 어드레스를 파악하고, 이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신VOBU를 서치한다(단계 A11∼A14). 그리고, 목적하는 신VOBU가 판독되면, 이 VOBU에 포함되는 새로운 VOBU_SRI가 FIFO에 새롭게 취입된다. 또한, 동시에 새롭게 취입한 VOBU의 I화상의 디코드 및 표시가 행해진다(단계 A15, A16). 다음에, FF의 정지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 또는 VOB가 종료 시점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A17). FF 정지 조작이 없고, 또한 VOB가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FIFO 메모리내의 최후에 취입한 VOBU_SRI를 참조하여 FWD10의 어드레스 정보를 얻는다. 즉, 단계 Al3으로 되돌아간다.
FF 정지 조작이 있는 경우 또는 VOB가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최후의 영상의 스틸 재생으로 이행하여 다음 조작 모드의 설정을 기다리게 된다.
상기 흐름도는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먼저 설명한 프로그램 체인이 존재하므로, 프로그램 체인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셀간을 걸친 고속 재생이 실행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체인의 셀 관리 상태도 갱신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흐름도는 고속 감기 재생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고속 역전송 재생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로 실현된다. 고속 역전송 재생에서는, BWDI가 참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는 단독의 스틸 재생 기능이나 저속 재생 기능이 설치된다. 스틸 재생은 여기에서는 스틸 재생 조작이 행해진 시점에서, 재생중인 영상이 프레임 메모리에 격납되어 그대로 반복 독출되어 표시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디코드 처리는 현재의 VOBU의 디코드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지거나 또는 다음 VOBU의 디코드 처리가 행해진다. 광디스크에 대한 판독은 진행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도 35에는 스틸 재생시의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내고 있다. 스틸 재생의 지정이 있으면, 재생중의 영상 데이타가 프레임 메모리에 격납되어(단계 B11, B12) 반복하여 표시된다(단계 B13). 스틸 재생의 해제가 있으면 통상 재생으로 이행한다(단계 Bl4, B15).
도 36에는 화면 구분 전송 재생시의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내고 있다.
화면 구분 전송 재생의 경우에는, 스틸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지고, 상기 스틸 재생이 행해진 후에, 다음 VOBU가 디코드된다(단계 C11, C12, C13). 그리고, 이 VOBU의 1화상이 잠깐 동안 스틸 재생되어 다음 VOBU의 디코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스틸 재생, 다음 VOBU의 디코드라는 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화면 구분 전송 재생이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통상 재생으로 이행한다(단계 C14, C15). 화면 구분 전송 재생은 자동적인 화면 구분 전송 재생 모드와, 사용자의 조작마다 화면 구분 전송이 실행되는 모드가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면 구분 전송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단계 C14에 있어서, 화면 구분 전송 속행인지 아닌지의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도 37에는 저속 재생시의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내고 있다.
저속 재생은 재생중인 VOBU의 디코드가 반복하여 행해지고, 그 동안에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가 차례차례로 프레임 메모리에 보내어진다(단계 D11, D12). 그러나 이 경우, 프레임 메모리에서는, 통상의 축적 기간의 여러배의 기간 화상 데이타가 축적되어 반복 표시된다(단계 D13, D14, D15). 다음에 일정 시간(저속 속도에 알맞는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상 데이타는 VOBU의 최후의 것(최후의 GOP)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D16). 최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타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 화상 데이타가 지정되어(단계 D17), 프레임 메모리로의 취입이 행해진다. 최후의 화상 데이타였을 경우에는, 다음 VOBU의 지정이 행해지며, 다음 VOBU의 디코드가 실행된다. 저속 재생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통상 재생으로 이행하게 된다.
영화 등에 따라서는, 고속 재생, 고속 역전송, 스틸 재생, 저속 재생 등을 금지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러한 영화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체인 정보(PGCI)내에, 프로그램 체인 일반 정보(PGCI_GI)라는 것이 있고, 이 정보중에 사용자의 조작을 허가 또는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술 영역이 있으며, 이 영역에 특정 럭(rug) "1b"가 기술되어 있다. 이 정보는 프로그램 체인 사용자 오퍼레이션 제어(PGC_UOP_CTL)라고 칭해진다. 또한, 동일한 목적의 영역이 재생 제어 정보(PCI)에 포함되는 재생 제어 일반 정보(PCI_GI) 중에도 확보되어 있고, 여기에 특정한 플래그가 기술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영역의 정보는 비디오 객체 유닛 사용자 오퍼레이션 제어(VOBU_UOP_CTL)라고 칭해진다.
도 38을 참조하여 부화상 디코더(127)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재생하는 비디오 타이틀이 선택되면, 그 프로그램 체인이 결정되거나 또는 선택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비디오 객체의 재생이 실행되기 전에, 시스템 제어부(200)에서 각 디코더의 메인 타이머(221)의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메인 타이머(221)는 이 초기 설정 후,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의 계수를 개시한다.
메인 타이머는 재생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예컨대 90KHz)를 카운트한다. 디코더는 이 메인 타이머의 카운트치를 기준 시간으로서 동작하고 있다. 즉, 디코더는 각 패킷의 시스템 클록 기준(SCR)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소정의 관계에 있을 때에 패킷의 취입이나, 디코드의 타이밍을 수득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 관리가 행해지고 있는 중에 특수 재생을 행하면, 당연히 기준 시간의 보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틸 재생, 저속 재생일 때에는 메인 타이머를 온/오프 제어하는 방법을 취한다. 예컨대, 스틸 재생을 행할 때에는 메인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정지하고, 저속 재생일 때에는 메인 카운터의 카운트 동작의 정지, 속행을 반복하는 제어이다. 이 때문에, 특히 메인 카운터의 카운트 동작의 정지, 속행이 반복되면 카운트치에 이상이 생길 경우가 있다.
이 카운트치에 이상이 생기면, 통상 재생으로 전환했을 때에 정상적인 재생이 수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광디스크 재생 장치에는, 고속 순차 전송 재생 기능, 고속 역전송 재생 기능이 요구된다. 이 기능은 광디스크의 데이타를 띄엄띄엄 픽업하여 디코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순서로 데이타를 디코드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이 고속 순차 전송이나 역전송 재생 기능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메인 타이머의 기준 시간은 이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통상 재생 동작으로 전환했을 때에 메인 타이머의 기준 시간이 다시 설정되게 된다.
한편, 부화상의 시간 관리에 대해서는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치가 이용된다. 부화상은 이전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의해 표시 타이밍이 제어된다. 이 경우의 기준 참조 시간은 서브 타이머(222)의 시각이 참조된다.
서브 타이머(222)는 부화상의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낸다.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는 데이타 유닛내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시간과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치가 표시 제어 시퀀스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데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표시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디멀티플렉서(107)로부터 취출된 부화상 팩(SP_PCK)은 버퍼(126)를 통해 부화상 디코더(127)에 입력되어 디코드된다. 팩의 식별은 패킷 헤더에 기술되어 있는 스트림 ID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지정 스트림 ID(서브 스트림 ID)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는 시스템 제어(200),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입력되고, 레지스터(212)에 격납되어 있다. 버퍼(126)에 취입된 패킷 중, 지정 스트림 ID와 입력한 서브 스트림 ID가 일치하고 있는 곳의 패킷이 일단 메모리(213)에 보내져서 격납된다.
상기 처리에 의해 메모리(213)에는 1개 이상의 부화상 유닛(도 18∼도 20 참조)이 축적되게 된다. 이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는 부화상 유닛 헤더(SPUH)가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해 참조되어 크기나 어드레스가 인식된다. 이것에 의해, 실행 길이 압축된 데이타(PXD)는 실행 길이 디코더(214)로 보내지고,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DCSQT)은 시퀀스 제어부(216)로 보내진다.
그리고, 실행 길이 데이타(PXD)는 실행 길이 디코더(214)에 의해 디코드된다. 이 디코드 처리는 이전에 설명한 규칙(도 28)에 의해 실행된다. 디코드된 화소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215)에 축적되어 출력 타이밍을 기다리게 된다.
한편,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SCQT)은 시퀀스 제어부(216)에 입력되어 해석된다.
시퀀스 제어부(216)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제어 명령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 레지스터(217)를 갖는다. 시퀀스 제어부(216)에서는, 명령 레지스터(217)의 명령에 따라서 다음에 출력되는 화소에 대하여 어떠한 색 및/또는 콘트라스트를 설정할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 신호는 출력 제어부(218)에 부여된다. 또한, 시퀀스 제어부(216)는 버퍼 메모리(215)에 유지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의 독출 타이밍 신호 및 어드레스도 부여된다.
출력 제어부(218)에서는, 버퍼 메모리(215)로부터의 화소 데이타에 대하여, 시퀀스 제어부(216)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컬러 코드 및/또는 콘트라스트 데이타를 부가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출력된 부화상은 주영상에 중첩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화상 디코더(127)는 차례로 전송되어 오는 부화상 유닛에 표시 제어 명령(SP_DCCMD)이 포함되어 있는 않은 경우가 있어도, 전회의 표시 제어 명령을 명령 레지스터(217)에 유지하고 있어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게 한 경우, 부화상 데이타 전체의 기록 용량이나 전송 용량을 대폭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시 제어에 관해서 다시 설명한다.
표시 제어에 있어서는, 명령 SET_DAREA에 의해 부화상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영역이 설정되고, 명령 SET_COLOR에 의해 부화상의 표시색이 설정되며, 명령 SET_CONTR에 의해 주영상에 대한 부화상의 콘트라스트가 기본적으로 설정된다. 이들은 기본 명령이다.
그리고, 표시 개시 타이밍 명령 STA_DSP를 실행하고나서 별도의 표시 제어 시퀀스 DCSQ로 표시 종료 타이밍 명령 STP_DSP가 실행될 때까지 표시 중에는 컬러 및 콘트라스트 전환 명령CHG_COLCON에 준거한 표시 제어를 행하면서 실행 길이 압축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PXD의 디코드가 행해진다.
메인 타이머(221)와 서브 타이머(222)가 설치되어 있어서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 STCCLK를 카운트하고 있다. 메인 타이머(221)는 재생시에 비디오 객체의 최초의 패킷이 디코드될 때에 초기화되어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을 계수하고 있는 기준 시간이다.
초기치가 설정될 때나 오프셋이 있을 때에는, 메인 타이머(221)에 기준 시간의 초기치가 세트된다. 이 초기치가 세트된 후에는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90KHz)을 계수하여 기준 시간의 계측을 행한다.
메인 타이머(221)의 기준 시간의 계수치는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부여되어 버퍼(126)에 취입한 패킷의 시스템 클록 기준(SCR)과 비교된다. 그리고,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와 SCR과의 값을 비교하여 동일 SCR을 갖는 패킷이 부화상 유닛 구축을 위해 메모리(213)에 격납된다.
메모리(213)에 부화상 유닛이 구축되면,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TS에 기초한 디코드 처리가 관리된다. 즉,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가 비교되어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가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가 행해진다. 그리고, 디코드된 데이타는 시퀀스 제어부(216)의 제어를 기초로 버퍼 메모리(215), 출력 제어부(218)를 통해 출력되어 표시된다.
여기에서, 서브 타이머(222)는 부화상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부화상 데이타 제어부(211)로부터의 리셋 펄스로 리셋되고, 타이머 카운터용 클록을 계수하고 있다. 즉, 이 서브 타이머(222)는 단일의 부화상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고 있다. 이 서브 타이머(222)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정보는 시퀀스 제어부(216)로 참조되어 있다. 시퀀스 제어부(216)는 명령 SET_DAREA에 의해 부화상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영역을 설정하고, 명령 SET_COLOR에 의해 부화상의 표시색을 설정하며, 명령 SET_CONTR에 의해 주영상에 대한 부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기본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개시 타이밍 명령 STA_DSP를 실행하고나서 별도의 표시 제어 시퀀스 DCSQ로 표시 종료 타이밍 명령 STP_DSP가 실행될 때까지 표시 중에는 컬러 및 콘트라스트 절환 명령 CHG_COLCON에 준거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도 39에는 상기 부화상 디코더(127)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버퍼(126)로부터 보내져 온 부화상 패킷은 고속 기록 독출 메모리(213)에 격납된다(단계E1,E2,E3,E4,E5). 최저라도 부화상 유닛 헤더(SPUH)가 구축되었는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냅E6). 1개 이상의 부화상 유닛이 메모리(213)에 구축되면 대기 상태가 된다.
한편, 표시 제어 시퀀스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메모리(213)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타의 분리 처리가 행해진다. 부화상 유닛 헤더(SPUH)가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해 참조되어 데이타의 분리가 행해지며, 실행 길이 데이타는 실행 길이 디코더(214)에 전송된다(단계 El1,E12).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SP_DCSQT)의 데이타는 시퀀스 제어부(216)에 전송된다.
다음에, 부화상 유닛의 선두 패킷으로 보내져 온 PTS와 메인 타이머(221) 값의 비교가 행해지고, 표시 제어를 개시할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일치되어 표시 제어 개시 타이밍인 것이 결정되면(단계 E14), 구체적인 표시 제어 처리(단계 E16)가 실행되게 된다. 이 때, 각 제어로 이행하고나서 세밀한 제어 타이밍은 각 SP_DCSQ에 포함되는 SP_DCSQ_STM에 의해 관리된다. 이 때의 시간 관리는 서브 타이머(222)의 카운트치로 실현된다.
단계El4에 있어서, 패킷으로 보내져 온 PTS와, 메인 타이머의 카운터치가 불일치인 경우에는 단계 E15에서 데이타의 분리 절출(切出)이 완료되었는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지고, 완료된 경우에는 표시 제어 개시 시각이 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되고, 데이타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E12로 되돌아가서 데이타 취입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E16에서의 표시 제어 기간중에 있어서, 예컨대,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다음의 새로운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가 도래하고 있는지 어떤지의 체크가 행해진다. 도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E16에 의한 표시 제어가 행해진다. 도래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E18에 있어서, 새로운 부화상 유닛에 부수한 새로운 SP_DCSQT가 도래하고 있는지 어떤지의 체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새로운 SP_DCSQT가 도래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소 데이타만이 변한 것이기 때문에, 단계 El2로 되돌아가서 메모리로부터 새로운 PXD의 절출을 행하게 된다. 만약, 단계 El8에서 새로운 SP_DCSQT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 판명되면, 이것은 부화상 유닛 전체가 갱신된 것이므로, 단계 E19에서 표시 제어 개시 타이밍인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도 예컨대, 수직 기간에 행해지고, 해당 부화상 유닛의 선두 패킷으로 보내져 온 PTS와, 내부 카운터치가 일치하는지 어떤지의 판정이다.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번의 표시 제어가 속행되고, 일치할 경우에는 단계 El2로 되돌아가서 새로운 부화상 유닛의 처리로 이행하는 전환이 행해진다.
시퀀스 제어부(216)의 더욱 세밀한 처리 순서에 관해서 설명을 부가한다.
(1) 우선,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 SP_DCSQT의 최초의 SP_DCSQ0에 기록되어 있는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SP_DCSQ_STM)이 부화상 디코더의 서브 타이머의 카운트치와 비교된다.
(2) 상기의 비교 결과, 서브 타이머의 카운트치가 표시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SP_DCSQ_STM) 이상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내의 모든 표시 제어 명령 SP_COMMAND가 실행되고, 표시 제어 종료 명령 CMD_END가 나타날 때까지 실행된다. 표시 제어 종료 명령 CMD_END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표시 제어가 반복하여 행해지게 된다.
(3) 표시 제어가 개시된 후에는, 일정 시간 마다(예컨대, 수직 귀선소거 기간마다) 다음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 DCSQT에 기록되어 있는 부화상 표시 제어 시간 SP_DCSQ_STM과 내부 카운트치(서브 타이머)를 비교함으로써, 다음 DCSQT에 갱신할지, 즉, DCSQT 지시기를 다음 DCSQT로 옮길지 어떨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내의 표시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SP_DCSQ_STM)은 PTS가 갱신되고 나서(즉, 부화상 데이타 유닛이 갱신되고 나서)의 상대 시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화상 데이타를 복수의 다른 시각으로 전회와 동일하게 표시 제어할 경우라도 완전히 동일한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 SP_DCSQT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 스퀀스 테이블을 재배치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코드 처리에 있어서, 표시 제어 종료 명령 CMD_END가 실행되면 부화상 버퍼 메모리내의 부화상 데이타의 디코드 처리가 종료한다. 이 디코드 처리는 종료 명령 CMD_END가 실행되지 않는 한 반복해서 계속된다.
다음에, 부화상 데이타 유닛과, 특수 재생과, 타이머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40에는 부화상의 데이타 구성을 다시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부화상 패킷을 실행 길이 압축의 1단위분에 걸쳐서 모은 것이 부화상 데이타 유닛이다.
부화상 데이타 유닛에는 부화상 유닛 헤더가 부여되어 있다. 이 부화상 유닛 헤더 뒤에, 영상 데이타(예컨대, 2차원 표시 화면의 1수평 라인분의 데이타)를 실행 길이 압축한 화소 데이타 및 각 부화상 팩의 표시 제어 시퀀스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계속된다.
부화상 데이타 유닛은 부화상 표시용의 각종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화상 유닛 헤더(SPUH)와, 실행 길이 부호로 이루어진 표시 데이타(압축된 화소 데이타;PXD)와,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DCSQT)로 구성되게 된다.
이들 데이타 유닛을 구축하기 위한 시간 관리는 메인 타이머(221)의 카운트치가 기준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화소 데이타를 디코드하여 실제로 표시부에 표시 제어하기 위한 시간 관리는 서브 타이머(222)의 카운트치가 기준이 된다.
도 41에는, 화면 구분 전송 재생이 실행된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 구분 전송에 관해서는 도 36에 있어서도 설명하였지만, 도 41에는 상기의 메인 타이머(221)가 제어되는 단계를 추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화면 구분 전송 재생이 지정되면, 스틸 재생이 반복해서 행해지고, 상기 스틸 재생이 행하여진 후에 다음의 VOBU가 디코드된다(단계 C11,C12,C13). 그리고 이 VOBU의 I화상이 잠깐 동안 스틸 재생되어 다음의 VOBU의 디코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스틸 재생, 다음의 VOBU의 디코드라는 동작이 반복해서 행해진다. 여기에서, 스틸 재생중에는 메인 타이머(221)의 클록이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200)에 의해 오프(단계 C12b)되고, 다음의 VOBU가 독해될 때에 온(단계 C12d)된다. 이것에 의해, VOBU의 SCR과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와의 비교가 행해져서 패킷의 취입 및 디코드가 실현된다. 또,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도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는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본 동작이 반복하여 몇회나 행해지면, 메인 타이머(221)에서 클록의 상승이나 하강의 위치에 클록의 온오프가 합치된 경우,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에 이상이 생긴다. 그래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단계 Cl4에서 현재 취입하고 있는 최신의 팩의 SCR값을 초기치로서 메인 타이머(221)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설정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200)가 행하여도 좋으며, 또한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가 행하여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상 재생으로 전환했을 때에 원활한 통상 재생 처리가 수득되게 된다. 또한,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안정하게 부화상의 시퀀스 제어가 실행된다.
도 42에는 저속 재생이 실행된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저속 재생에 관해서는 도 37에서도 설명하였지만, 도 42에는 상기의 메인 타이머(221)가 제어되는 단계를 추가하여 나타내고 있다.
저속 재생은 재생중의 VOBU의 디코드가 반복하여 행해지고, 그 동안에 수득되는 화상 데이타가 차례로 프레임 메모리에 보내진다(단계 D11,D12). 그러나, 이 경우, 프레임 메모리에서는 통상의 축적 기간의 수배의 기간, 화상 데이타가 축적되어 있고, 이것이 반복하여 표시된다(단계 D13,D14,D15). 다음에 일정 시간(저속 속도에 알맞은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표시하고 있는 화상 데이타는 VOBU의 최후의 것(최후의 GOP)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D16). 최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타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의 화상 데이타가 지정되고(단계 D17), 프레임 메모리로의 취입이 행해진다. 최후의 화상 데이타인 경우에는 다음의 VOBU의 지정이 행해지고, 다음의 VOBU의 디코드가 실행된다. 저속 재생이 해제된 경우에는 통상 재생으로 이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저속 재생이 지정되면 우선, 메인 타이머(221)의 클록이 오프된다 (단계 D11a). 그리고, 다음의 VOBU를 독출할 때에 메인 타이머(221)의 클록이 온된다(단계 D18a). 이것에 의해 VOBU의 SCR과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와의 비교가 행해져서 패킷의 취입 및 디코드가 실현된다. 또,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도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는 지속되고 있다.
상기의 동작에 있어서, 저속 재생이 장시간 행해지면, 클록의 상승이나 하강의 위치에 클록의 온오프가 합치된 경우, 메인 타이머(221)의 계수치에 이상이 생긴다. 그래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단계 D19a에서 현재 취입하고 있는 최신의 팩의 SCR값을 초기치로서 메인 타이머(221)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설정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200)가 행하여도 좋으며, 또한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가 행하여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상 재생으로 전환했을 때에 원활한 통상 재생 처리가 수득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서브 타이머(222)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안정하게 부화상의 시퀀스 제어가 실행된다.
도 43은 고속 감기(FF 모드)가 행해졌을 때의 부화상의 제어 동작을 흐름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 동작은 예컨대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의 제어를 기초로 실행된다.
FF 모드에서의 주영상의 재생 처리를 도 34에 나타낸다. 주영상의 고속 재생중에서는 메인 타이머(221)의 내용은 참조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 재생 처리가 종료한 최종 단계에서 메인 타이머(221)의 값이 설정된다. 이 설정은 이미 설정한 프로그램 체인에 의한 설정이라도 좋으며, 내부의 시스템 제어부(200)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
주영상의 고속 감기에 평행하여 부화상에 관해서도 디코드 표시 또는 디코드 표시없음을 설정할 수 있다. 부화상을 디코드할지 아닐지는 예컨대, 조작부(201)로부터 그 선택을 행할 수 있다.
FF 모드가 지정되면, 부화상을 디코드 표시할지 어떨지의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F1,F2). 부화상을 디코드할 경우에는 메인 타이머(221)에서의 값이 강제적으로 예컨대, 「111…1」로 설정된다(단계 F3). 반대로, 부화상을 디코드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인 타이머(221)에서의 값이 강제적으로 예컨대, 「000…0」으로 설정된다(단계 F4). 디코드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퀀스 제어부(216)를 통하여 출력 제어부(218)의 출력이 금지된다(단계 F5).
부화상의 디코드가 실행될 경우에는 단계 F6에 있어서, 도 39에서 나타낸 처리가 실행되어 부화상의 디코드 및 표시가 실현되게 된다.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는 취입한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 SP_DCSQT의 최초의 SP_DCSQ0으로 기록되어 있는 부화상 표시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SP_DCSQ_STM)이 부화상 디코더의 서브 타이머(222)의 카운트치와 비교된다. 서브 타이머(222)는 그 계수가 계속되어 있고, 부화상 유닛이 갱신될 때마다 리셋된다. 비교 결과, 서브 타이머(222)의 카운트치가 표시 제어 시퀀스 개시 시간(SP_DCSQ_STM) 이상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 시퀀스 테이블내의 모든 표시 제어 명령 SP_COMMAND가 실행되고, 표시 제어 종료 명령 CMD_END가 나타날 때까지 실행된다. 표시 제어 종료 명령 CMD_END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표시 제어가 반복하여 행해지게 된다.
FF 모드에 있어서도, 비디오 객체 유닛(VOBU)이 취입되기 때문에, 부화상의 디코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능하다. VOBU내에는 1∼12매정도의 부화상 화면이 압축되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FF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메인 타이머(221)에 최신의 팩의 헤더에 포함되는 SCR이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200)로부터 세트된다(단계 F7,F8).
상기한 바와 같이, 특수 재생시에 타이머의 카운트치에 오차가 생겨도 통상 재생으로 전환했을 때에는 정확한 카운트치로 복귀한다. 또, 서브 타이머는 데이타 유닛 갱신시에 클리어되기 때문에, 메인 타이머가 정확하면 데이타 유닛의 전환도 정확해지고 서브 타이머도 정확해진다. 또한,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수 재생에서 통상 재생으로 전환한 경우라도 안정하게 부화상의 시퀀스 제어가 실행된다.
또, PTS와 타이머와의 관계가 정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도, 부화상을 디코드할지, 마스크할지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통상 재생 또는 고속 순차(또는 역) 전송 재생 중이어도 부화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통상 재생 또는 고속 순차(또는 역) 전송 재생의 도중이라도 부화상의 표시를 금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사고 방식은 포즈 동작에 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부화상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또한 개선이 가해진다.
도 43의 단계 F3에 있어서, 강제적으로 메인 타이머의 값을 큰 값으로 설정하여 강제적으로 부화상의 디코드 및 표시를 행하면, 부화상 유닛의 버퍼 메모리로의 취입 취득 상황에 의해서는 표시 이미지가 단속적으로 될 경우가 있다.
이하, 이러한 상태가 생기는 이유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에는, 고속 순차 전송 재생 또는 고속 역전송 재생이 행해질 경우의 부화상 유닛의 독해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고속 순차 전송 재생 또는 고속 역전송 재생이 행해질 경우에는, 주영상에 관해서는 도 16에서 나타낸 I화상이 취입되어 재생되고, 이 I화상은 다음 I화상이 취입될 때까지 재생된다는 수법이 취해지고 있다. 한편, 부화상에 관해서는 I화상의 부근에 위치하는 부화상 패킷이 취입되어 버퍼(126)(도 38)에 보내진다. 이 결과,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완전한 부화상 유닛도 취입되는 경우가 있다.
즉, 도 44의 예이면 부화상 유닛 N은 그 도중에서 취입되고, 부화상 유닛 (N+1),(N+2)은 정상으로 취입되며, 부화상 유닛(N+3)은 그 도중까지가 취입된다.
이러한 부화상 유닛열이 취입된 경우, 메모리(231)에는 PTS가 존재하는 부화상 유닛 (N+1),(N+2)과, 부화상 유닛 (N+3)의 도중까지가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디코드가 행해지지만, 부화상 유닛(N+1),(N+2)까지는 정상으로 디코드되어 표시되지만, 부화상 유닛 (N+3)의 디코드로 옮기면, 데이타가 최후까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가 금지되게 된다. 즉, 도 38에서 나타낸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는 데이타 절출이 정상으로 수득되지 않기 때문에, 출력 제어부(218)를 제어하여 출력을 금지한다.
이러한 부화상의 표시 제어가 행해진 경우, 부화상 유닛 (N+2)의 표시가 행해지는 필드까지는 정상이지만, 다음 필드에서는 부화상의 표시가 행해지지 않는다. 이 상태, 즉 화면상의 부화상의 비표시는 픽업의 점프가 있으며, 다시, 다음 I화상 부근의 부화상 패킷이 독해되고, 도 44에 나타내는 부화상 유닛의 축적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부화상의 표시 이미지가 단속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이 설치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재생시나 고속 역전송 재생시에는,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강제적으로 큰 값으로 된다(단계 F3). 그리고, 이 다음에 메모리(213)내의 부화상 유닛이 소정의 구성으로 완결되었는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진다(단계 F11). 즉, 도 44에 나타낸 부화상 유닛의 예라면, 부화상 유닛 (N+1),(N+2),(N+3)의 상태가 판정된다. 부화상 유닛이 완결된 경우에는 그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가 행해진다(단계 F12). 그러나, 다음 부화상 유닛이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디코드하여 표시하고 있는 부화상 유닛이 다시 이용되고 디코드되어 표시된다(단계 Fl3). 이 처리에 의해, 부화상 유닛 (N+1),(N+2)이 디코드되고, 표시된 다음은 부화상 유닛 (N+3)은 도중까지밖에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화상 유닛 (N+3)의 디코드 및 표시가 중지되고, 대신에 직전의 부화상 유닛 (N+2)의 표시가 유지된다.
부화상 유닛이 완결되었는지 어떤지의 판단은 그 부화상 유닛에 PTS가 존재하고, 또한 SP_DCSQ가 존재하는지 어떤지에 의해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단계 F12,F13의 내부는 도 39에서 설명한 단계 E12 내지 E16과 거의 같다.
도 46에는, 도 45의 처리 순서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부화상 유닛이 완결된 경우에는 그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는 헤더, DCSQ, PXD의 분리 처리가 행해지고, 디코드된 화소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215)로 표시 타이밍을 기다리게 된다. 표시 개시 시간이 되면, 출력 제어부(2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공급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 명령에 의한 표시 위치, 색, 휘도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종료 명령이 실행되면, 메모리(213)에 다음의 새로운 I화상 및 부화상 유닛이 취입되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새로운 부화상 유닛이 취입된 경우에는 다음에 처리하여야 할 부화상 유닛을 정하고 단계 F11로 되돌아간다. 새로운 부화상 유닛이 취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F11로 되돌아간다. 단계 F11에서 다음의 부화상 유닛이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직전의 부화상 유닛의 독출 어드레스를 유지하여 상기 직전의 부화상 유닛의 표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부화상 유닛이 완결되어 있으면 완결하고 있는 모든 부화상 유닛을 표시하도록 동작시켰다. 그러나, 고속 순차 전송 재생, 고속 역전송 재생에서는 I화상만이 띄엄띄엄 재생되기 때문에, 각 I화상에 대응하는 예컨대, I필드분(부화상 유닛의 1개분)의 부화상을 재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47에는, 광디스크가 고속 재생되었기 때문에, 부화상이 띄엄띄엄 취득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부화상 유닛 SPU(N), SPU(N+1), SPU(N+2), SPU(N+3)은 I화상 I(N)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SPU(M), SPU(M+1), SPU(M+2), SPU(M+3)은 I화상 I(M)에 대응하고, SPU(L), SPU(L+1), SPU(L+2), SPU(L+3)은 I화상 I(L)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부화상의 재생 대상은 도 4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I화상에 대응하는 부화상 유닛 중 완결된 최초의 부화상 유닛 SPU(N+1), SPU(M+1), SPU(L+1)만을 디코드 및 표시의 대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다음의 새로운 I화상 및 부화상 유닛이 취득될 때까지는, 이전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처리하면, 고속 재생 중에서 부화상의 표시가 중단하는 일없이 원활한 표시 상태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8에는 또 픽업이 고속 재생등의 특수 재생을 위해 점프하여 다음의 부화상 유닛의 취입을 시작했을 때에, 그것까지의 부화상 유닛을 버퍼(126)나 메모리(213)로 클리어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의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 종단을 지시기로서 일시 격납하여 이 지시기에 연속시켜서 다음의 PTS를 갖는 부화상 유닛을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다음 부화상 유닛에 대응하는 주영상의 디코드가 완료할 때까지는 이전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를 행하고, 화면이 전환되었을 때에 다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48에는 트랙 점프 등이 행해진 경우에 취득되는 부화상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화상 유닛 SPU(N),SPU(N+1),SPU(N+2),SPU(N+3)은 트랙(TN)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SPU(M),SPU(M+1),SPU(M+2),SPU(M+3)은 트랙(TM)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재생이 행해진 경우에, 그것까지의 부화상 유닛을 버퍼(126)나 메모리(213)로 클리어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의 부화상 유닛의 데이타 종단을 지시기로서 일시 격납하고, 이 지시기의 어드레스에 연속시켜서 다음의 트랙으로부터 취득한 PTS를 갖는 부화상 유닛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부화상 유닛에 대응하는 주영상의 디코드가 완료될 때까지는 이전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를 행하여 화면이 전환되었을 때에, 전번의 지시기를 참조하여 다음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예컨대, 트랙 점프에 시간이 걸렸다고 하여도 부화상의 표시를 연속시킬 수 있다. 또, 주영상의 표시 형태로서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트랙 점프의 기간은 예컨대, 직전의 필드의 영상을 프리즈(frieze) 재생하는, 또는 전혀 다른 영상(예컨대 FF, REW 서치 중이라는 표시가 수득되는 영상이나 메세지의 영상)을 삽입하여 표시하는 등이다.
또, DVD 시스템에 있어서는, 심레스 재생 모드라는 독특한 재생 형태가 있다. 심레스 재생일 때에는 메인 카운터는 계수를 유지시키고, 그 카운터의 재설정을 행할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데이터 등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이 심레스 재생은 예컨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기록 트랙에 인터리브 블록이 존재할 경우, 재생 장치로서는 장면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조작이 행해지면,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비디오 객체와는 다른 비디오 객체의 셀의 재생을 실행하게 된다. 즉, 다른 앵글의 화상 재생 상태가 된다.
한편, 부화상 데이타는 차례로 메모리(213)에 전송되고 있으며, 앵글 전환 조작이 있으면, 곧 해당 앵글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인터리브 유닛의 데이타가 취입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부화상의 PTS가 시스템 타이머의 계수치 이상의 관계로 될 경우가 있으며, 이전의 앵글의 주영상의 표시가 완결되지 않을 때에, 다음의 전환 후의 앵글의 주영상을 위한 부화상이 선행하여 디코드 및 표시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대책이 도모되고 있다.
도 49를 참조하여, 우선, 현재의 시스템은 앵글 전환에 따른 심레스 재생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가 판단하는 수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9에 있어서, 동일 도면(A)에는 시간 경과 t1,t2,t3,…을 나타내고, 동일 도면 (b)에는 전환전의 앵글의 영상의 표시하여야 할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즉, (TN)은 전환전의 앵글의 최후의 부화상 유닛의 PTS이고, (TD)는 이 PTS에 대하여 해당 부화상 유닛에 포함되는 최후의 SP_DCSQ의 SP_DCSQ_STM(표시 제어 시퀀스의 개시 시각)를 가산한 시간에 상당한다. SP_DCSQ_STM은 이전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명령의 실행 개시 시각을 PTS에서의 상대 시간으로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최후의 표시 제어 명령의 실행이 종료하는 동안에는, 예컨대, 시간 (t6)까지가 필요하다. 이 시간은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또, 도 49의 (c),(d),(e),(f),(g)에는, 각각 앵글 전환 후에 독해된 최초의 부화상 유닛의 PTS가 나타내는 시간(TS1,TS2,TS3,TS4,TS5)을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49의 (c),(d),(e),(f)에 나타내는 시간 TS1,TS2,TS3,TS4는 어느 것이나 (TD) 이하의 값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는 지금 취입한 부화상 유닛은 앵글 전환에 따른 심레스 재생을 위한 부화상 유닛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t6)까지는 전환전의 부화상의 표시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해당 부화상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사이에는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도 유지된다. 이들 판정은 예컨대,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실행된다. 그리고, 시간 (t6)과 동시에,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한 지령이 출력되고, 새롭게 취입한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도 43의 단계 F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타이머에 관해서는 최신의 SCR이 설정되게 된다. 이 후에는 다음의 앵글 전환이 행해지는 동안에서는 통상 재생과 동일하다.
도 50에는, 상기의 처리를 알기 쉽게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즉, PTS+SP_DCSQ의 SP_DCSQ_STM이 다음의 앵글로 표시되어야 되는 부화상 유닛의 PTS 이상의 경우에는 현재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유지하고,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로부터 심레스 재생 전환 지령이 있을 때까지는 이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유지한다.
상기한 처리를 행하여도, 비교적 안정하게 부화상의 스무스한 전환이 행해지지만, 때로는 조금 일찍 부화상이 전환될 경우도 있다.
이것은 도 49의 (g)에 나타내는 관계가 생길 때이다. 즉, 앵글 전환 조작이 행해지고 부화상 유닛이 취입되었을 때에, (TS5)와 같이 전환 후에 표시하여야 할 부화상 유닛의 PTS의 값이 TD보다 큰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심레스 재생으로는 판정하지 않고, 즉시,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가 개시되기 때문에, 시점 (t6) 이전, 즉 전환전의 영상의 표시가 완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환후에 표시되어야 되는 부화상의 표시가 개시되어 버린다.
이러한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5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상 디코더의 메모리(213)의 전단에 버퍼 메모리(213A)를 설치한다. 이 버퍼 메모리(213A)는 메모리(213)의 용량이 충분하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메모리(213)에는 이 버퍼 메모리(213A)에서 절출된 1개 또는 복수의 부화상 유닛이 전송된다. 여기에서, 앵글 절환 조작이 행해지면, 다음의 앵글을 위한 인터리브된 유닛으로부터 부화상 패킷이 독해되며, 부화상 유닛의 구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5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앵글을 위한 부화상 유닛과, 다음의 앵글을 위한 부화상 유닛과의 구별을 행하기 위해서, 그 경계선에 지시기를 설정하고, 여기에 플래그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이 플래그의 위치를 여기에서는 확장 비트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앵글 절환에 의해 생긴 다음의 재생을 위한 부화상 유닛과의 경계에 삽입된 데이타를 예컨대, 액티브 "1"로 하고, 통상의 연속 재생시의 경계에 삽입되어 있는 데이타를 난액티브 "0"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하여, 앵글 절환이 있어도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는 이전에 설명한 시간 (t6)이 될 때까지는, 절환전의 최후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를 반복하도록 하고 있다. 그 동안은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도 유지된다. 그리고, 시간(t6)과 동시에,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한 지령이 출력되고, 새롭게 취입한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메인 타이머에 관해서는 최신의 SCR이 설정되게 된다. 이 후에는 다음의 앵글 절환이 행해지는 동안에서는, 통상 재생과 동일하다. 또, 시간 (t6)과 같은 정보는 새로운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개시했을 때에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가 PTS(표시 개시 시간)와 SP_DCSQ_STM(표시 개시로부터의 상대 시간)과의 가산을 행하여 파악되고 있다.
도 52는 상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확장 비트가 액티브하면, 시스템 클록(STC)이 불연속으로 판정(이 판정은 예컨대,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행해진다)하여, PTS와 STC의 비교 결과를 무시하고, 현재의 부화상 유닛과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유지한다. 그 동안에는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도 유지된다. 다음에, 시간 t6이 경과하여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로부터 심레스 전환 지령이 있는지 어떤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시간 (t6)과 동시에, 부화상 디코더 제어부(211)에 의한 지령이 출력되고, 다음의 확장 비트 이후의 부화상 유닛의 디코드 및 표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메인 타이머에 관해서는 최신의 SCR이 설정되게 된다. 이 후에는 다음의 앵글 절환이 행해지는 동안에서는 통상 재생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0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현재의 PTS와 SP_DCSQ의 SP_DCSQ_STM과의 가산치와, 다음의 PTS와의 비교을 행하였지만, 엄밀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PTS와 다음의 유닛의 PTS와의 비교를 행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독립한 패킷에 각각 다른 압축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제1 및 제2 영상 데이타, 예컨대, 주영상 데이타와 부화상 데이타를 재생할 때 서로의 표시 동기를 안정하게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수 재생 도중에 있어서, 제1 영상 데이타 예컨대, 주영상 데이타가 재생 상태에 있는데 대하여, 제2 영상 데이타 예컨대, 부화상 데이타를 임의로 재생 또는 마스크할 수 있다.

Claims (21)

  1.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고,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수단에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스틸 또는 간헐 표시 등의 특수 재생 동작 모드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해질 때에는,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로 입력하는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오프 제어하는 기간을 가지며, 통상 재생 동작 모드로 이행할 경우에는, 상기 메인 타이머를 최신으로 취입한 팩의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하는 타이머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타 유닛내에 포함되는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와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하는 표시 시퀀스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머 제어 수단은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스틸 또는 간헐 표시 등의 특수 재생 동작 모드에 의한 화상 표시가 행해질 때에는,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로 입력하는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오프하는 기간을 가지며, 통상 재생 동작 모드로 이행한 경우에는, 상기 메인 타이머를, 최신으로 취입한 팩의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타 유닛내에 포함되는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와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퀀스 시간 스탬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시퀀스 제어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하는 표시 시퀀스 제어 수단을 이용하고 있고,
    상기 타이머 제어 수단은, 상기 시스템 클록 기준(SCR)에 의해 재설정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서브 타이머의 계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내장 시스템 클록을 계수하여,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팩의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측정하여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고, 상기 메인 타이머의 계수치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정지하는 디코드 처리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강제적으로 소정의 값으로 하여,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의 디코드를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강제 디코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에 취입되는 상기 패킷이, 고속 순차 전송(또는 역전송) 동작일 때에 기록 매체로부터 취입되어 있는 패킷일 때,
    상기 강제 디코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강제적으로 최소한으로 하여,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이 디코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유닛 생성 수단에 취입되는 상기 패킷이, 고속 순차 전송(또는 고속 역전송) 동작일 때에 기록 매체로부터 취입되어 있는 패킷일 때,
    상기 제어 디코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강제적으로 푀소한으로 하여,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이 디코드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한 계수치에 의해,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STC)으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STC)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패킷의 선두에 부가된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복수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기준 시간(STC)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RC)이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와,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상기 서브 타이머의 시간 정보와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타이밍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장치가 고속 재생 등의 특수 재생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STC와 PTS와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轉送)되어 온 신데이타 유닛이 소정의 구성으로 완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완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송되어 온 신데이타 유닛을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공급하고, 완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이전에 디코드하고 있던 데이타 유닛의 표시를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9.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한 계수치에 의해,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STC)으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STC)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패킷의 선두에 부가된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복수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기준 시간(STC)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TC)이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와,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상기 서브 타이머의 시간 정보와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타이밍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장치가 고속 재생 등의 특수 재생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STC와 PTS와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있어서의 전송되어 온 복수의 신데이타 유닛중 완결된 최초의 데이타 유닛을 판정하여, 이 최초의 데이타 유닛을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공급하고, 다음의 복수의 신데이타 유닛이 전송될 때까지 상기 최초의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0.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한 계수치에 의해,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STC)으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STC)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패킷의 선두에 부가된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복수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기준 시간(STC)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TC)이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와,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상기 서브 타이머의 시간 정보와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타이밍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장치가 특수 재생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전송되어 온 신데이타 유닛의 PTS가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PTS 이상이면, 상기 STC와 PTS와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1.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한 계수치에 의해,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STC)으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STC)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패킷의 선두에 부가된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복수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기준 시간(STC)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TC)이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와,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상기 서브 타이머의 시간 정보와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타이밍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장치가 특수 재생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전송되어 온 신데이타 유닛의 PTS가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PTS와 상기 데이타 유닛의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어 시간 정보와의 가산치 이상이면, 상기 STC와 PTS와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2. 내장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한 계수치에 의해, 장치 전체의 기준 시간(STC)으로 나타내는 메인 타이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타이머의 상기 기준 시간(STC)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데이타 패킷의 선두에 부가된 팩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클록 기준(SCR)을 비교함으로써, 소정의 관계에 있는 패킷을 판정하여 복수 취입하고, 데이타 유닛을 버퍼 메모리에 생성하는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시간 스탬프(PTS)와 상기 기준 시간(STC)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TC)이 상기 표시 시간 스탬프(PTS)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는 디코드 수단과,
    상기 데이타 유닛이 전환될 때마다 리셋되어 상기 타이머 카운트용 클록을 계수하고, 단일인 상기 데이타 유닛의 처리 경과 시간을 계수치로 나타내는 서브 타이머와,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으로 디코드된 데이타의 표시 상태를 상기 서브 타이머의 시간 정보와 상기 데이타 유닛에 포함되는 표시 제어 시퀀스 데이타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타이밍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장치가 특수 재생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상기 데이타 유닛 생성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버퍼 메모리를 클리어하는 일 없이, 이미 전송되어 있는 데이타 유닛의 완결된 것의 다음에 지시기를 설정하여, 다음에 전송되어 온 완결된 신데이타 유닛을 격납시키는 수단과,
    상기 디코드 처리 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건의 기초로는 현재 디코드중인 상기 전송되고 있는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 처리를 유지시켜, 상기 다음 신데이타 유닛의 재생 명령이 발생했을 때에는 상기 지시기 이후의 상기 신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실행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장치가 고속 재생 또는 점프 재생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이고, 또한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에 대응하는 주영상이 상기 장치로 표시되어 있을 때이며, 소정의 조건의 해제는 다음의 신데이타 유닛에 대응하는 주영상의 표시로 장치의 표시가 전환되었을 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패킷을 수집하여 소정 포맷의 데이타 유닛을 차례차례로 구성하고, 이들 데이타 유닛을 순차적으로 디코드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얻는 디코드에 있어서,
    연속하는 상기 디코드 유닛중, 다음에 디코드하는 데이타 유닛이 소정의 구성으로 완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고, 완결된 경우에는 상기 다음에 디코드하는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화상 재생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과 다음에 디코드하는 데이타 유닛 사이에는 확장 비트를 설정하고, 상기 확장 비트의 상태에 따라, 통상 재생 상태인지 특수 재생 상태인지를 판정하여, 특수 재생 상태일 때에는, 다음에 디코드하는 데이타 유닛이 소정의 구성으로 완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디코드중인 데이타 유닛을 디코드하고, 완결된 경우에는 상기 다음에 디코드하는 데이타 유닛의 디코드를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특수 재생 모드시에, 부화상을 표시시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부화상을 표시시킨다고 판정했을 때, 장치의 내장 클록이 발생하는 시스템 클록 기준에 기초하여 얻어진 기준 시간(STC)의 값과 디스크에 수록된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STC)의 값을 강제적으로 상기 PTS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는 제1 기준 시간치 갱신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부화상을 표시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때, 장치의 재부 시계가 발생하는 시스템 클록 기준에 기초하여 얻어진 기준 시간(STC)의 값과 디스크에 수록된 표시 시간 스탬프(PTS)를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의 값을 강제적으로 상기 PTS 미만의 값으로 설정하는 제2 기준 시간치 갱신 수단과,
    제1 기준 시간치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기준 시간의 값에 기초하여, 부화상 데이타를 디코드하여 표시시키는 부화상 표시 수단과,
    제2 기준 시간치 갱신 수단에 의해 갱신된 기준 시간의 값에 기초하여, 부화상 데이타의 표시를 금지하는 부화상 표시 금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특수 재생 모드가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특수 재생 모드 판정 수단과,
    특수 재생 모드 판정 수단에 의해, 특수 재생 모드가 해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기준 시간(STC)의 값을 최신의 시스템 클록 기준의 값에 기초하여 갱신하고, 통상 모드 재생으로 이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타이머와,
    기록 매체에 소정의 포맷에 따라 패킷화되어 기록된 부화상 데이타를 디코드하는 수단과,
    상기 부화상 데이타와 함께 그 시간적 속성을 나타낼 목적으로 상기 부화상 패킷에 삽입된 시간 스탬프를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상기 시간 스탬프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발생된 상기 기준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부화상 디코드 수단에 의한 상기 부화상 데이타의 디코드 및 표시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소정의 포맷에 따라 패킷화되어 기록된 주영상 데이타를 디코드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영상 디코드 수단에 의해 디코드된 주영상의 특수 재생시에 상기 디코드된 부화상을 상기 주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기준 시간을 발생하는 단계와,
    기록 매체에 소정의 포맷에 따라 패킷화되어 기록된 부화상 데이타를 디코드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부화상 데이타와 함께 그 시간적 속성을 나타낼 목적으로 상기 부화상 패킷에 삽입된 시간 스탬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상기 시간 스탬프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발생된 상기 기준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디코드 수단에 의한 상기 부화상 데이타의 디코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의 부화상 재생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소정의 포맷에 따라 패킷화되어 기록된 주영상 데이타를 디코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다시, 상기 주영상 디코드 단계에서 디코드된 주영상의 특수 재생시에 상기 디코드된 부화상을 상기 주영상에 중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63764A 1996-11-28 1997-11-28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64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17773 1996-11-28
JP31777396 1996-11-28
JP13530097 1997-05-26
JP97-135300 199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76A KR19980042876A (ko) 1998-08-17
KR100264315B1 true KR100264315B1 (ko) 2000-08-16

Family

ID=2646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764A KR100264315B1 (ko) 1996-11-28 1997-11-28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64315B1 (ko)
CN (1) CN1150520C (ko)
TW (1) TW367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437B1 (ko) * 1999-07-30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CN100378861C (zh) * 2004-05-21 2008-04-02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包含二计时器的dvd无接缝播放系统
KR100547162B1 (ko) * 2004-06-1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한 av 스트림을 기록한정보저장매체, 재생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76A (ko) 1998-08-17
CN1192564A (zh) 1998-09-09
CN1150520C (zh) 2004-05-19
TW367494B (en) 199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195B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recording method used therefor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72406B1 (ko) 기록 매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데이타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0265316B1 (ko) 기록체, 이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US7574119B2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US20040163116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US7424210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EP1513154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JP3702275B2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媒体
JPH11252459A (ja) 画像合成装置
JPH11149717A (ja) デコード処理方法及び装置
JP2857119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方法
KR100264315B1 (ko) 부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168702A (ja) 複数映像の表示位置制御能付き映像信号処理装置
JP3663017B2 (ja) 再生装置と再生方法
JP2857130B2 (ja) 情報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3875379B2 (ja) サブピクチャー再生制御装置及び方法
JP3844872B2 (ja) 副映像のデータ構造及び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2857123B2 (ja) 情報記録媒体
JP3805886B2 (ja) 映像データの入力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録媒体
JP2857129B2 (ja) 情報記録方法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857135B2 (ja) 情報記録媒体
JP285712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857134B2 (ja) 情報記録媒体
JP2856721B2 (ja) 再生方法と再生装置
JP2857131B2 (ja) 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