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987B1 - 카풀러장치 - Google Patents

카풀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987B1
KR100263987B1 KR1019980016152A KR19980016152A KR100263987B1 KR 100263987 B1 KR100263987 B1 KR 100263987B1 KR 1019980016152 A KR1019980016152 A KR 1019980016152A KR 19980016152 A KR19980016152 A KR 19980016152A KR 100263987 B1 KR100263987 B1 KR 10026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plunger
fastening
carp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422A (ko
Inventor
김재필
김이수
최형호
이종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9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tap or c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풀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P)의 일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카풀러장치는 체결손잡이(40)에 의해 연동관(50)이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연동관의 이동에 의해 플런저(30)가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었으므로, 파이프(P)에의 체결작업시에 상기 체결손잡이(40)를 누르면 상기 플런저(30)가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어, 체결손잡이(40)가 놓아짐에 의해 파이프(P)가 어느 정도 관통공(22)으로부터 빠지더라도 파이프(P)와 플런저(30)의 디스크패킹(31)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의 용접부위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카풀러장치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풀러장치
본 발명은 카풀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일단부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카풀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풀러장치는 유체가 유동되는 파이프의 말단부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는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의 일단부를 막아 누설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험대상의 예로서 압축기를 구성하는 쉘에 있는 흡입파이프와 프로세스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풀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카풀러몸체(1)의 내부에는 관통공(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 내부 일측에는 스톱퍼리브(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2)의 후단부 내경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캡(17)을 장착하기 위한 나사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풀러몸체(1)의 선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손잡이(7)가 위치되도록 하는 절결부(5,5′)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풀러몸체(1)의 선단부에는 체결손잡이(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손잡이(7)는 상기 카풀러몸체(1)에 힌지(1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손잡이(7)에는 상기 관통공(2)과 대응되게 파이프(P)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손잡이(7)에는 상기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는 수직되게 누름부(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손잡이(7)는 상기 스톱퍼리브(3)의 일측에 지지된 지지스프링(11)에 의해 상기 관통공(2)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손잡이(7)는 카풀러몸체(1)와 연결되는 힌지(10)가 구비된 부분이 상기 절결부(5)의 일측에 걸려져 일정 이상 관통공(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카풀러몸체(1) 내부의 관통공(2)에는 상기 스톱퍼리브(3)에 전면이 닿게 플런저(1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2)에는 그 전면에 상기 스톱퍼리브(3)에 맞닿아 누설을 방지하는 디스크패킹(1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2)의 중간 일측 외주면 둘레에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4)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런저(12)는 카풀러몸체(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2)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캡(17)의 사이에는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풀러몸체(1)의 관통공(2)의 후단부 내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4)에는 너트캡(17)의 나사부(19)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너트캡(17)은 상기 카풀러몸체(1)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15)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너트캡(17)에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8)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풀러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압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압축기의 쉘에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흡입파이프, 토출파이프 및 프로세스파이프가 있다. 따라서, 기밀이 유지되어야 하는 압축기 쉘의 기밀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시험을 수행한다.
즉, 토출파이프를 막고 흡입파이프나 프로세서파이프중에 하나를 카풀러로 막은 상태에서 물속에 쉘을 위치시켜 막지 않은 파이프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서 누설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풀러장치를 사용하여 흡입파이프나 프로세서파이프(이하에서는 ‘파이프’로 설명한다)(P)를 막는 것을 설명한다.
일단, 상기 체결손잡이(7)의 누름부(9)를 손으로 눌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체결손잡이(7)의 관통공(8)과 카풀러몸체(1)의 관통공(2)이 일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파이프(P)를 상기 관통공(8,2)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가 상기 플런저(12)의 디스크패킹(13)의 전면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P)가 상기 디스크패킹(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카풀러몸체(1)를 파이프(P)쪽으로 밀어주면서 상기 체결손잡이(7)를 놓게 되면, 상기 체결손잡이(7)가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10)를 중심으로 복원되어 상기 체결손잡이(7)의 관통공(8)의 내경면이 파이프(P)의 외면 일축 상하부를 눌러주어, 파이프(P)에 카풀러장치가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풀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파이프(P)에 상기 카풀러몸체(1)를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2)의 디스크패킹(13)에 파이프(P)를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카풀러몸체(1)에 삽입된 파이프(P)를 플런저(12)에 대고 카풀러몸체(1)를 파이프(P)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12)에 의해 상기 파이프(P)에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P)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이프(P)의 용접부위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카풀러몸체(1)를 파이프(P) 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체결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가 상기 플런저(12)의 디스크패킹(13)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게 된다. 이는 파이프(P)를 상기 관통공(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손잡이(7)를 놓게 되면, 상기 체결손잡이(7)가 힌지(10)를 중심으로 약간 회전되면서 관통공(2)의 외부로 그만큼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이프(P)가 함께 밀려나오기 때문이다.(물론 상기 파이프(P)가 밀려나오는 것이 아니고 상기 카풀러몸체(1)가 파이프(P)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려 빠져나오는 것임)
따라서, 종래의 카풀러장치에서는 상기 파이프(P)의 외부와의 연통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필연적으로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와 플런저(12) 사이를 통해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와 디스크패킹(13)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P)에 설치된 카풀러몸체(1)의 너트캡(17)부분에 타격을 가하여 강제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너트캡(17)에 타격을 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타격을 가함에 의해 충격이 파이프(P)로 전달되어 파이프(P)의 용접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에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면서도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카풀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풀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풀러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풀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풀러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카풀러몸체 22 : 관통공
23 : 스톱퍼리브 24 : 나사부
25,25′ : 절결부 30 : 플런저
31 : 디스크패킹 32 : 패킹
33 : 스프링 35 : 너트캡
36 : 패킹 37 : 나사부
40 : 체결손잡이 41 : 관통공
42 : 누름부 45 : 힌지
50 : 연동관 52 : 통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풀러몸체와, 상기 카풀러몸체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체결되는 파이프의 선단부와 밀착되어 파이프를 밀봉하는 밀봉수단과 상기 카풀러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풀러몸체 내로 삽입된 파이프를 카풀러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밀봉수단을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체결수단과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밀봉수단과 접촉되며, 그 내부를 통해 상기 카풀러몸체 내로 삽입된 파이프가 통과하여 상기 밀봉수단과 접촉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과 연동수단의 접촉은 상기 체결수단의 회전중심과 가장 가까운 상기 연동수단의 일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풀러장치에 의하면 카풀러장치를 파이프에 설치하여 파이프의 일측을 폐쇄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카풀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카풀러몸체(20)의 내부에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2)의 후단부 내경 면에는 너트캡(35)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풀러몸체(20)의 선단부에는 체결손잡이(3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절결부(25,25′)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22)에는 스토퍼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리브(23)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런저(30)의 위치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에는 파이프(P)를 밀봉하여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관통공(22)의 내부에는 플런저(3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플런저(30)의 선단면에는 디스크패킹(31)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패킹(31)은 파이프(P)의 선단면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0)의 중간 외주면을 둘러서도 패킹(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플런저(30)는 그 후단이 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플런저(30)를 상기 스톱퍼리브(2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너트캡(35)이 상기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 후단에 체결된다. 즉, 상기 관통공(22) 후단 내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4)에 나사부(37)가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너트캡(35)은 상기 스프링(33)의 일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너트캡(35)에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36)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풀러몸체(20)의 선단부의 절결부(25,25′)에는 체결손잡이(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손잡이(40)는 상기 카풀러몸체(20)에 힌지(45)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체결손잡이(40)는 스프링(43)에 의해 도면에서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프링(43)의 타단부는 상기 스톱퍼리브(23)에 지지된다. 한편, 평상시(파이프(P)에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5)가 구비된 부분이 상기 카풀러몸체(20)에 형성된 절결부(25)의 일측에 걸려 일정 이상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손잡이(40)에는 상기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과 대응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1)은 파이프(P)가 통과하여 위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손잡이(4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관통공(22)과 함께 파이프(P)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는 수직되게 누름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누름부(42)는 사용자가 상기 체결손잡이(40)를 상기 스프링(4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때, 힘을 가할 수 있게 된 부분이다.
한편, 관통공(22)의 상기 스토퍼리브(23) 부분에는 연동관(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동관(50)은 그 내부에 파이프(P)가 위치되는 통공(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관(50)의 일단은 상기 플런저(30)의 디스크패킹(31)과 맞닿아 있고, 타단은 상기 체결손잡이(40)의 일측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손잡이(40)가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원됨에 따라, 상기 연동관(50)은 상기 관통공(22) 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플런저(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동관(50)의 일단부, 즉 상기 체결손잡이(40)와 접촉하는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선단이 상기 체결손잡이(40)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손잡이(40)와 연동관(50)이 맞닿는 부분은 상기 힌지(45)로부터 최대한 가까운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손잡이(40)의 회전을 최대로 증폭하여 연동관(50)의 이동을 만들어 내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체결손잡이(40)의 회전에 따른 연동관(50)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상기 연동관(50)과 체결손잡이(40)가 접촉하는 부분을 경사지지 않게 일직선으로 형성하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카풀러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제4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단, 상기 체결손잡이(40)의 누름부(42)를 사용자가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손잡이(40)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카풀러몸체(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손잡이(40)에 의해 상기 연동관(50)이 플런저(30)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동관(50)이 이동되면, 상기 플런저(30) 역시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너트캡(35)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30)가 상기 연동관(50)에 의해 상기 스토퍼리브(23)로부터 이격되어 너트캡(35)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한 후에,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체결손잡이(40)의 관통공(41)과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체결손잡이(40)를 놓으면 상기 체결손잡이(40)가 힌지(4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원되면서 상기 파이프(P)의 외면을 눌러 카풀러몸체(20)와 파이프(P)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손잡이(40)가 회전되는 것은 상기 파이프(P)의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손잡이(40)의 관통공(22)의 내면 일측이 맞닿을 때 까지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P)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3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다음과 같이 전달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체결손잡이(40)를 눌러줌에 의해 상기 연동관(50)이 이동되고, 상기 연동관(50)이 이동됨에 의해 상기 플런저(30)가 스프링(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런저(30)가 상기 파이프(P)에 힘을 가함이 없이, 다시 말해 손상을 주지않고, 단지 상기 체결손잡이(40)를 작업자가 누름에 의해 도면 상의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P)의 선단부가 상기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 내부로 최대한 들어 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체결손잡이(4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즉, 상기 체결손잡이(40)가 회전되어 복원되면서 상기 파이프(P)가 관통공(22)에서 일정 길이 빠져나 오더라도 상기 파이프(P)가 충분히 관통공(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었으므로 스톱퍼리브(23)의 플런저(30) 접촉면보다 파이프(P)의 선단부가 우측에 있게 되어 상기 플런저(30)와 파이프(P)의 선단부는 충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단지 체결손잡이(40)를 누른 상태로, 상기 카풀러몸체(20)의 관통공(22)에 파이프(P)를 삽입하고, 체결손잡이(40)의 누름을 해제함에 의해서 카풀러장치의 체결이 완성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풀러장치는 파이프의 선단부와 밀착되는 플런저의 이동을 체결손잡이의 동작에 연동되게 구성하였으므로 파이프에 카풀러장치를 체결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체결에 의한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체결 후에 밀봉을 위한 타격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따라서 카풀러장치의 체결작업에 의한 파이프의 용접부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카풀러몸체와, 상기 카풀러몸체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체결되는 파이프의 선단부와 밀착되어 파이프를 밀봉하는 밀봉수단과, 상기 카풀러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풀러몸체 내로 삽입된 파이프를 카풀러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밀봉수단을 이동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체결수단과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밀봉수단과 접촉되며, 그 내부를 통해 상기 카풀러몸체 내로 삽입된 파이프가 통과하여 상기 밀봉수단과 접촉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과 연동수단의 접촉은 상기 체결수단의 회전중심과 가장 가까운 상기 연동수단의 일측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풀러장치.
KR1019980016152A 1998-05-06 1998-05-06 카풀러장치 KR10026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52A KR100263987B1 (ko) 1998-05-06 1998-05-06 카풀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152A KR100263987B1 (ko) 1998-05-06 1998-05-06 카풀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422A KR19990084422A (ko) 1999-12-06
KR100263987B1 true KR100263987B1 (ko) 2000-08-16

Family

ID=1953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152A KR100263987B1 (ko) 1998-05-06 1998-05-06 카풀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327A2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고산 에바코어 압력테스트용 파이프 연결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327A2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고산 에바코어 압력테스트용 파이프 연결밸브
WO2011087327A3 (ko) * 2010-01-15 2011-12-01 주식회사 고산 에바코어 압력테스트용 파이프 연결밸브
KR101178900B1 (ko) 2010-01-15 2012-08-31 주식회사 고산 에바코어 압력테스트용 파이프 연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422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528B1 (en) Fluid pressure device pipe joint
US6260572B1 (en) Valve-coupling device for an inflation device
US6772989B2 (en) Maintenance-easy two-port valve
KR100263987B1 (ko) 카풀러장치
JP2510816B2 (ja) チュ―ブテスト用コネクタ
KR960006182B1 (ko) 튜브연결장치
US6382268B1 (en) Inflation device
US6409150B2 (en) Pin valve with removable valve body cover
KR19980051759A (ko) 반도체 가스실린더 교체용 공구
JP3198723B2 (ja) カップリング構造
JPH02108786A (ja) ラム穿孔機
JPH1128677A (ja) ピン脱着装置
ITMI990475A1 (it) Supporto per lance con testa di serraggio multifunzionale
JPH10180652A (ja) 相異なるタイプの複数の空気動工具と共に使用される装置、空気動工具用絞り弁空気入口および空気入口ブッシュ
KR200442111Y1 (ko) 페인트 스프레이건
KR19980028769U (ko) 박판재 고정 장치
JPH09144971A (ja) 高圧エアーホース接続具
JP4142756B2 (ja) Vパッキン付きピストン型減圧装置の安全構造
KR200265040Y1 (ko) 에어건
US6470914B1 (en) Switch device for gas burner
JP2773856B2 (ja) エアーブラシ用エアーボンベ接続具
KR930006019Y1 (ko) 에어호스용 연결구
KR100244532B1 (ko) 유압보상장치
KR100327936B1 (ko) 진공밸브용 연결구 및 그의 제작방법
JPH0989182A (ja) バルブ交換用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