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768B1 -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768B1
KR100263768B1 KR1019980014316A KR19980014316A KR100263768B1 KR 100263768 B1 KR100263768 B1 KR 100263768B1 KR 1019980014316 A KR1019980014316 A KR 1019980014316A KR 19980014316 A KR19980014316 A KR 19980014316A KR 100263768 B1 KR100263768 B1 KR 10026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ll
transmitter
receiv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806A (ko
Inventor
이상문
이동률
Original Assignee
손상호
주식회사네비콤
이동률
주식회사세니온
이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호, 주식회사네비콤, 이동률, 주식회사세니온, 이상문 filed Critical 손상호
Priority to KR101998001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7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휴대전화기를 충전하고 있거나 가방 등에 보관하고 있어 소지하지 못한 경우에 걸려오는 전화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원격지에서 간단하게 수신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휴대전화기(1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부(20)와, 접속부(20)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보내기 위해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무선휴대전화기(10)로 보내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30)와, 변환부(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송신하거나 각종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40)와, 제1송수신부(40)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송수신부(50)와,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하기 위한 입출력부(70)와,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와 수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와, 전화가 걸려올 경우 수신하기 위한 응답스위치(90)와, 제2송수신부(50)와 입출력부(70)와 표시부(80)와 응답스위치(90)를 제어하여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로 이루어져 일정한 지역 내에서는 무선휴대전화기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본 발명은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휴대전화기를 충전중이거나 가방 등에 보관되어 소지하지 못했을 때 걸려오는 전화를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원격지에서 간단하게 수신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의 정보통신은 전화와 팩시밀리만이 아니라 기업의 본사와 지사간의 신속한 업무연락과 정보교환, 사내문서의 송수신 등을 컴퓨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E-MAIL(Electronic Mail ; 전자우편),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전자 데이터 교환) 등 데이터통신으로 무한경쟁시대에서 급변하는 지구촌의 상황과 수많은 정보들의 신속한 처리가 요구된다.
그리고 경영에 활용하려는 인터넷, 하이텔과 같은 정보검색, 전국 도처에 산재해 있는 도소매처의 상품판매, 수주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재고 및 재산관리에 활용하려는 EOS, POS 등의 물류유통 네트워크, 현지 출장에 따른 경비와 시간을 절약하면서 정보와 의사교환이 가능한 화상회의, 기타 재택근무, 홈쇼핑/뱅킹, 정보통신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텔레마케팅, 원격 안전관리/의료/교육/영농 등의 원격통신, 이 모든 분야가 바로 정보통신의 형태로 부각된다.
또한, 현대는 위와 같은 유선 정보통신분야 뿐만 아니라 무선분야에서도 많은 발전을 가져와 반도체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소형집적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저가의 소형상품들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무선호출기나 무선휴대전화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영업활동을 하는 경영인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통신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무선호출기의 경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몸에 소지하는 경우가 많지만, 무선휴대전화기의 경우는 무선호출기보다 부피가 커서 몸에 소지하기보다는 가방이나 수첩 등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충전을 위해 충전기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무선휴대전화기의 경우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첫번째 방법으로, 전화가 걸려올 때 진동을 주어 조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리게 되며, 두번째 방법으로, 전화가 걸려올 때 멜로디나 알람을 울리게 하여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리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알람이나 진동으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알릴 때 사용자가 무선휴대전화기를 몸에 소지하지 않고 수첩이나 가방, 또는 충전을 위해 충전기에 놓았거나, 주위가 산만하고 시끄러울 경우 전화가 걸려 오고 있음을 바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가 걸려옴을 인식하였다고 하더라도 무선휴대전화기가 사용자의 활동인접지역에 가까이 위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화를 받기 위해 전화가 있는 곳으로 가서 전화를 받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금 늦을 경우에는 전화가 끊길 수 있다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소형으로 언제라도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 무선휴대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올 경우 이를 통지받아 사용자의 응답여부에 따라 즉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수신감도측정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휴대전화기 20 : 접속부
30 : 변환부 40 : 제1송수신부
50 : 제2송수신부 60 : 제어부
70 : 입출력부 80 : 표시부
90 : 응답스위치 100 : 전원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휴대전화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부와, 접속부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보내기 위해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무선휴대전화기로 보내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송신하거나 각종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와, 제1송수신부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송수신부와, 무선휴대전화기와 통화하기 위한 입출력부와, 무선휴대전화기의 상태와 수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전화가 걸려올 경우 수신하기 위한 응답스위치와, 제2송수신부와 입출력부와 표시부와 응답스위치를 제어하여 무선휴대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접속부, 변환부 및 제1송수신부를 무선휴대전화기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력부는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송화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듣기 위한 수화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부는 무선휴대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림부와,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간의 수신감도 및 무선휴대전화기의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과,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간의 수신감도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고하는 경고부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휴대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이 신호를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은 변환부에서 무선 송신을 위한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제1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제2송수신부에서 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에서 이 신호값을 변환하여 표시부에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린다.
이때 이를 감지한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응답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에서 이 신호를 입력받아 무선휴대전화기를 통해 전화를 받기 위한 착신신호를 제2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제1송수신부에서 이 착신신호를 입력받아 변환부에 의해 변환시켜 접속부를 통해 무선휴대전화기로 입력하면 착신된다. 그러면 이후 입출력부의 송화기와 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어부와 변환부에서 변환하여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를 통해 무선휴대전화기와 원격지에서 통화가 이루어진다.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간에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수신의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감도를 표시창에 표시하고, 이 값이 일정한 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무선휴대전화기와 원격통화를 할 수 없다는 경고를 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는, 무선휴대전화기(10)에 부착시키고 사용하는 고정장치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장치로 분리구성된다.
먼저, 고정장치에는 무선휴대전화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휴대전화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휴대전화기(10)에 접속되는 접속부(20)와, 접속부(20)를 통해 무선휴대전화기(10)와 송수신되는 신호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간에 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30)와, 변환부(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원격지와 통신하기 위한 제1송수신부(40)가 포함된다.
다음, 휴대장치는 제1송수신부(40)와 서로 무선 데이터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부(50)와,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를 위한 입출력부(70)와,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와 수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와, 전화가 걸려올 경우 수신하기 위한 응답스위치(90)와, 제2송수신부(50)와 입출력부(70)와 표시부(80)와 응답스위치(90)를 제어하여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로 이루어진다.
위의 입출력부(70)는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송화기(72)로서 마이크를 사용하고, 수신되는 음성을 듣기 위한 수화기(74)로서는 이어폰을 사용한다.
그리고, 표시부(80)서는 무선휴대전화기(10)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82)와, 제1송수신부(40)와 제2송수신부(50)간의 수신감도 등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84)과, 제1송수신부(40)와 제2송수신부(50)간의 수신감도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통화가 불가능함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86)로 이루어진다.
알림부(8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82a)와, 멜로디 등을 발생시키는 벨발생부(82a),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82c)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표시창(84)은 액정표시장치인 LCD로 하여 수신감도 및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등 현재설정값 및 측정값 등을 표시한다.
한편, 응답스위치(90)는 전화가 걸려옴을 느끼고 전화를 받기 위한 스위치로서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하거나, 안테나를 뽑을 때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어폰이나 마이크를 꼽을 때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를 뽑을 때 작동되도록 구성하였다.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휴대전화기(10)에 부착된 고정장치(4)와, 원격지에서 통화하기 위한 휴대장치(2)가 있으며, 휴대장치(2)에는 휴대장치 본체가 있으며, 본체에는 표시창(84) 및 이어폰(74')과 마이크(72')를 꼽을 수 있는 잭(75)과, 안테나(42,52)와, 전원스위치(102), 발광부(82c), 벨발생부(82b)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3은 무선휴대전화기와 원격통신을 위한 작동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4는 수신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작동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무선휴대전화기와 원격통신을 위한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의 켜짐상태를 확인한다(S10). 이때 전원이 꺼져있으면 종료되고 전원이 켜져있으면 전화가 걸려 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1송수신부(40)와 제2송수신부(50)간에 통신을 행한다(S20). 그래서 무선휴대전화기(10)에 전화가 걸려왔는지 판단하게 된다(S30). 만약 전화가 걸려오지 않았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전화가 걸려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로 리턴되어 제1,2송수신부(40)(50)간에 통신을 행한다. 그런데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에는 전화가 걸려 오고 있음을 알림부를 통해 알린다(S40). 미리 설정되어 있는대로 진동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진동부(82a)를 작동시켜 진동하게 하고 멜로디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벨발생부(82b)를 작동시켜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한다. 또한,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발광부(82c)를 통해 램프를 점멸시켜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린다. 이때 사용자가 전화가 걸려오는 신호에 응답했는지 응답스위치(90)의 상태를 확인한다(S50). 응답스위치(90)의 작동이 없을 때 즉,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에 사용자가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로 리턴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안테나(52)를 뽑을 경우 즉, 응답스위치(90)가 작동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60)에서 응답신호를 제2송수신부(50)를 통해 송신하여 무선휴대전화기(10)를 통해 전화를 받도록 한다. 그런 다음 송화기(72)와 수화기(74)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1,2송수신부(40,50)를 통해 무선휴대전화기(10)와 원격통신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S60). 이때 전화통화 중 전화를 끊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응답스위치(90)의 작동상태를 다시 확인한다(S70). 계속해서 응답스위치(90)가 작동상태일 경우에는 계속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70)로 리턴된다. 그러나 응답스위치(90)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면 통화종료신호를 송신하여 전화를 끊고 전원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로 리턴된다(S90).
위의 작동을 간략하게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원격통화장치의 휴대장치(2)에 전화벨이 울리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마이크(72')와 이어폰(74')을 꼽고 안테나(52)를 뽑아 통화를 하면 된다. 통화가 종료되면 안테나(52)를 삽입하면 응답스위치(90)가 오프되어 전화통화는 종료된다.
도4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위와 같이 작동되는 도중에도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일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경고를 하도록 작동된다.
즉, 제1,2송수신부(40)(50)간의 통신시 수신감도를 측정한다(S100). 그리고 이 측정된 값을 표시창(84)에 표시한다(S110). 그 다음 측정된 수신감도값과 기준 수신감도값을 비교한다(S120). 비교한 결과 측정값이 클 경우에는 리턴되고,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경고부(86)를 작동시켜 통화지역 내로 들어가도록 경고한 후 리턴된다(S130).
위의 수신감도 측정을 위한 루틴은 원격통화장치의 모든 작동시 항상 측정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화중이나 대기 중 모두의 상태에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작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소형으로 언제라도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휴대전화기를 소지하지 않고 충전중이거나 가방 등에 있을 경우에도 일정한 거리 내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휴대전화기(1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부(20)와;
    상기 접속부(20)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보내기 위해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휴대전화기(10)로 보내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30)와;
    상기 변환부(30)에서 변환된 신호를 송신하거나 각종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40)와;
    상기 제1송수신부(40)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2송수신부(50)와;
    상기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하기 위한 입출력부(70)와;
    상기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와 교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0)와;
    전화가 걸려올 경우 수신하기 위한 응답스위치(90)와;
    상기 제2송수신부(50)와 상기 입출력부(70)와 상기 표시부(80)와 상기 응답스위치(90)를 제어하여 무선휴대전화기(10)와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를 구비하는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0), 변환부(30) 및 제1송수신부(40)를 상기 무선휴대전화기(10)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70)는: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송화기(72)와;
    수신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듣기 위한 수화기(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80)는:
    무선휴대전화기(10)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알림부(82)와;
    제1송수신부(40)와 제2송수신부(50)간의 수신감도 및 무선휴대전화기(10)의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84)과;
    제1송수신부(40)와 제2송수신부(50)간의 수신감도가 일정값 이하로 떨어질경우 경고하는 경고부(8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82)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82a)와;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벨발생부(82a)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82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KR1019980014316A 1998-04-22 1998-04-22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KR10026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316A KR100263768B1 (ko) 1998-04-22 1998-04-22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316A KR100263768B1 (ko) 1998-04-22 1998-04-22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06A KR19990080806A (ko) 1999-11-15
KR100263768B1 true KR100263768B1 (ko) 2000-08-16

Family

ID=1953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316A KR100263768B1 (ko) 1998-04-22 1998-04-22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2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2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06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5883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AU735609B2 (en) System for alert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er of incoming call
US6463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n integral computer and telephone system
US20010012761A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call signal arrival indicating function and a response function without any trouble to circumstance
EP071331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263768B1 (ko)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US20100109870A1 (en)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ti-theft method thereof
KR100290296B1 (ko) 휴대용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알람장치
JP3779643B2 (ja) 携帯通信装置
JPH03117225A (ja) 捜査方法及び捜査装置
JP2008236337A (ja) 携帯端末の着信音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の着信音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40110036A (ko)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56445A (ko) 약속메시지의 송·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JP2005252616A (ja) 通信携帯端末
JP2004260687A (ja) 携帯端末用着信モニタ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受信装置
JP2977038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0295321A (ja) 着信報知呼出装置
JP2000078270A (ja) 通信装置
JPH06121025A (ja) 留守番機能を有する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9990001092A (ko)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호출 방법
KR20000039245A (ko) 휴대폰에서 잠시 휴식기능 구현방법
JP2001086224A (ja) 無線通信装置
KR200600943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 장치 및 방법
JPH0678073A (ja) Fax機能付セルラー電話
JP2002058064A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送信装置並びに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