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036A -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036A
KR20040110036A KR1020030040415A KR20030040415A KR20040110036A KR 20040110036 A KR20040110036 A KR 20040110036A KR 1020030040415 A KR1020030040415 A KR 1020030040415A KR 20030040415 A KR20030040415 A KR 20030040415A KR 20040110036 A KR20040110036 A KR 20040110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unit
customer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나라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임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나라 filed Critical 임나라
Priority to KR102003004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036A/ko
Priority to JP2003326652A priority patent/JP2005012744A/ja
Publication of KR2004011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사우나, 수영장 또는 보안이 유지되는 장소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가 불가능한 특정한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가 오는 경우 고객에게 미리 지급한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HORT-DISTANCE CALL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사우나, 수영장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가 불가능한 특정한 장소 또는 보안 등의 이유로 휴대폰 휴대가 금지된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이 되는 경우 고객에게 미리 지급한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우나 또는 수영장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가 불가능한 장소를 방문하는 경우 방문 시간 동안에는 긴급한 전화가 걸려와도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 때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밀폐할 수 있는 투명비닐봉지에 넣어 밀봉한 후 목에 거는 방안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밀봉이 불완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물이 들어가 고장이 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완전한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최근 사진촬영이나 동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발달되어 보안 등의 이유로 입장시 휴대폰의 휴대를 금지하는 장소에 방문하는 경우에도 긴급한 전화를 받지 못하게 되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고객이 직접 소지할 수 없는 장소를 방문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호출장치를 지급하고 고객에게 호출신호를 전송하여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가 왔음을 알릴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의 호출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착신장치 20 - 중앙통제장치
30 - 호출장치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근거리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서 서비스이용을 신청한 고객이 제공한 고객의 이름,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호출제한시간 등 고객정보를 저장하여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서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고객정보를 저장하여 이용가능한 고유번호를 고객에게 부여하는 서비스개시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된 감지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 감지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송출하는 착신신호송출단계와 상기 중앙통제장치에서 상기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검색하고 고객의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호출신호송출단계 및 상기 호출장치의 호출신호수신부에서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알림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장치의 알림부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고객에 착신사실을 알리는 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착신신호송출단계는 상기 착신장치의 감지부에서 연결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 감지하여 상기 고객의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장치의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장치의 착신신호송출부에서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호출신호송출단계는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착신신호부에서 상기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고유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상기 고객정보테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신호송출부에 호출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는 고객의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에서 고객정보로 호출제한시간을 추가로 입력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단계에서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착신신호가 수신된 시간이 고객이 설정한 호출제한시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호출제한시간이 종료된 후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을 위한 시스템은 거치대와 연결단자와 감지부 및 착신신호송출부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고객과 이통통신단말기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신호송출부에서 상기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착신장치와 착신신호수신부와 호출정보관리부와 호출신호송출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신호수신부는 상기 착신장치에서 송출하는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호출신호송출부에 상기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는 상기 고유번호를 호출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중앙통제장치 및 호출신호수신부와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신호수신부는 상기 중앙통제장치에서 송출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를 상기 알림부에 전송하고 상기 알림부는 신호를 발생하여 고객에게 착신사실을 알리는 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결단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연결포트를 형성하여 각 연결포트는 고객의 고유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고, 연결단자를 통하여 착신을 감지하면 해당 연결포트의 번호를 인식하여고객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고객의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호출장치의 알림부는 진동을 발생시켜 고객에게 착신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절차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시스템의 호출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절차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방법은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S10), 서비스개시단계(S20), 착신신호송출단계(S30), 호출신호송출단계(S40), 호출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S10)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객의 이름, 이동통신단말기(15)의 전화번호 등 고객정보를 근거리호출서비스를 위하여 구성된 중앙통제장치(20)의 호출정보관리부(22)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객정보에는 고객의 이름 및 이동통신단말기(15)의 전화번호 외에도 본 서비스의 이용시간, 호출제한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개시단계(S20)는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S10)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고객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에서 이용가능한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고객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고유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는 착신장치(10)에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5)를 연결하여 근거리 호출 서비스가 개시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는 고객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직 이용되지 않는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고객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고유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된 호출장치(30)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고객의 고유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착신장치(10)의 거치대(11)에 연결되어 근거리 호출서비스는 개시되게 된다.
상기 착신신호송출단계(S30)는 이동통신단말기(15)에 전화가 오면 착신장치(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중앙통제장치(20)에 착신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장치(10)에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가 오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착신장치(10)의 연결단자(12)를 통하여 상기 착신장치(10)의 감지부(13)에서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3)에서는 착신된 이동통신단말기(15)에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12)와 연결포트의 번호로부터 고객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장치(10)의 착신신호송출부(14)로 전송하게 되고 착신신호송출부(14)는 고유번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착신신호를 중앙통제장치(20)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호출신호송출단계(S40)는 상기 착신장치(10)로부터 착신신호를 수신한 중앙통제장치(20)가 호출장치(30)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이다.
즉 중앙통제장치(20)의 착신신호수신부(21)가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고유번호로 변환하여 호출정보관리부(22)에 전송하게 된다. 호출정보관리부(22)는 해당 고유번호가 부여된 고객의 입력사항과 고유번호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호출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와 호출제한시간을 고려하여 호출가능여부를 판단한다. 호출이 가능하면 호출정보관리부(22)는 고객의 고유번호를 중앙통제장치(20)의 호출신호송출부(2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호출신호송출부(23)는 고유번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호출신호로 송출하게 된다. 고객의 호출제한시간이 설정된 경우에는 호출제한시간이 종료된 뒤에 고객의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호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호출제한시간이 종료된 뒤에도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5)에 착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호출단계(S50)는 상기 중앙통제장치(20)가 송출한 호출신호를 호출장치(30)가 수신하여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되었음을 고객에게 알리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호출장치(30)의 호출신호수신부(31)가 상기 중앙통제장치(20)에서 송출한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알림부(32)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알림부(32)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알림신호를 발생시켜 고객에서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15)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알림신호는 진동 또는 음향신호로 할 수 있다.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는 상기 알림신호를 진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출신호를 받은 고객은 중앙통제장치(20)가 있는 곳으로 와서 고객의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전화를 받거나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와 중앙통제장치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호출장치(30)에 문자표시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문자신호를 알림신호로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번호확인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호출장치에 수신번호를 송출하여 고객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바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은 도 2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 및 호출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신장치(10)는 거치대(11)와 연결단자(12)와 감지부(13) 및 착신신호송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에 착신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착신신호를 중앙통제장치(20)에 송출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1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 한 대를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다수 형성된 테이블 또는 서랍장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 1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여러 대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가 수용될 수 있고 각각의 거치대(11)에는 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11)는 이동통신단말기(15)의 착신신호가 외부에서 들리지 않토록 방음장치를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12)는 상기 감지부(13)로부터 거치대(11)의 내부로 연장된 신호선에 의하여 상기 감지부(13)와 연결되고 연결단자(12)는 거치대(11)의 이동통신단말기(15)의 이어폰 포트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단자(12)는 거치대(11)의 수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거치대(11)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된다.
상기 감지부(13)는 외면에 다수의 연결포트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연결단자(12)와 연결포트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감지부(13)의 연결포트에는 연결되는 연결단자(12)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감지부(13)는 연결포트의 번호를 인식하여 전화가 온 이동통신단말기(15)의 고객 고유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에 전화가 오면 상기 연결단자(12)와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의 이어폰 포트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착신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3)는 상기 연결단자(12)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의 착신을 감지하면서 동시에 착신신호가 전송되는 연결포트의 번호를 통하여 연결단자(12)의 번호와 고객의 고유번호를 인식하며,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신호송출부(14)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착신신호송출부(14)는 상기 감지부(13)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3)에서 전송되는 상기 고유번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착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무선신호로는 FM, AM 신호 등이 포함된다.
상기 거치대(11)와 연결단자(12)와 연결포트 및 고객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객에게 지급되는 호출장치(30)의 고유번호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통제장치(20)는 착신신호수신부(21)와 호출정보관리부(22)와 호출신호송출부(23) 및 표시부(도면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착신장치(10)에서 송출하는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출장치(30)로 호출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착신신호수신부(21)는 상기 착신장치(10)에서 송신되는 착신신호를 무선송신하여 고유번호로 전환하여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를 위하여 개발된 호출정보관리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착신신호수신부(21)와 호출신호송출부(23)와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이름과 이동통신단말기(15)의 전화번호 등 고객정보와 고객의 고유번호가 기록된다. 고객의 고유번호는 거치대(11)와 호출장치(30)의 번호와 동일하게 부여되고 관리된다.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의 호출정보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착신신호수신부(21)에서 고유번호를 송신하면 고유번호에 해당되는 고객의 고유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고객의 입력사항과 고유번호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고객의 고유번호에 호출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와 호출제한시간을 고려하여 호출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호출이 가능하면 상기 호출신호송출부(23)에 고유번호를 전송하게 된다. 고객의 호출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출제한시간이 종료된 후에 고유번호를 전송하여 고객에게 호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호출신호송출부(23)는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와 연결되어 있으며 호출정보관리부(22)에서 송신한 고유번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호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호출장치(30)는 호출신호수신부(31)와 알림부(32) 및 전원부(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로 구성되고 호출장치(30)의 외부에는 번호가 표시된다. 상기 호출장치(30)는 고객에게 지급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객의 손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출신호수신부(31)는 상기 중앙통제장치(20)의 호출신호송출부(23)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알림부(32)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알림부(32)는 상기 호출신호수신부(31)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호출장치(30)를 장착한 고객은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5)에 착신신호가 온 것을 알게 된다.
상기 알림부(32)는 알림신호로 진동 또는 음향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림부(32)에 진동장치를 장착하면 상기 호출신호수신부(31)에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음향발생장치를 장착하면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부는 호출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출장치(30)는 도 3에 도시한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착신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를 무선으로 연결하였으나 착신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가 근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착신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착신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가 하나의 장비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은 연결단자(12)가 이동통신단말기(15)의 이어폰 포트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다른 구성으로 이동통신단말기(15)의 시리얼포트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스템의 착신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15)의 시리얼포트로부터 문자정보수신이 가능한 연결단자와 감지부를 구성하여 감지부에서 시리얼포트로부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된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착신신호송출부에서 중앙통제장치에 문자정보를 송출하고, 중앙통제장치에서 상기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정보를 고객의 호출장치로 송출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착신장치와 중앙통제장치에 문자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고객의 호출장치에도 문자신호를 수신하는 기능과 문자표시부를 부가하여 구성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호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소를 방문한 고객이 제공한 고객의 이름, 이동통신단말기(15)의 전화번호 등 고객정보를 상기 중앙통제장치(20)의 호출정보관리부(22)에 입력하면 호출정보관리부(22)는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용가능한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부여한다. 상기 고유번호와 호출장치(30)를 제공받고 같은 번호가 부여된 착신장치(10)의 연결단자(12)와 이동통신단말기(15)의 이어폰 포트를 결합하여 착신장치(10)와 이동통신단말기(15)를 연결하면 근거리 호출서비스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5)에 착신이 되면 상기 연결단자(12)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13)가 착신을 감지하여 고객의 고유번호를 착신신호송출부(14)에 전송한다. 상기 착신신호송출부(14)는 상기 고유번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착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중앙통제장치(20)의 착신신호수신부(21)는 상기 착신신호송출부(14)에서 송출한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다시 고유번호로 변환한 뒤 호출정보관리부(22)로 전송한다.
상기 호출정보관리부(22)는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 입력사항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호출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및 호출제한시간 등을 고려하여 호출이 가능하면 고유번호를 중앙통제장치(20)의 호출신호송출부(2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호출신호송출부(23)는 상기 고객의 고유번호를 전송받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호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호출장치(30)의 호출신호수신부(31)는 상기 중앙통제장치(20)에서 송출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진동부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호출장치(30)가 진동하도록 진동을 발생하여 고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착신이 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는 것이 불가능한 장소를 방문할 때 직접 이동통신단말기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 착신여부를 확인하여 긴급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호출장치를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할 수 있으므로 진동을 직접 느끼게 되므로 착신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안유지가 중요한 장소에서는 방문고객의 휴대폰 휴대를 금지하는 대신에 고객의 중요한 전화 또는 긴급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수단을 제공하여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고객은 중요한 전화 또는 긴급상황발생에 대한 염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서 서비스이용을 신청한 고객이 제공한 고객의 이름,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등 고객정보를 저장하여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서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가능한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고객에게 부여하는 서비스개시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된 착신장치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 감지하고 상기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송출하는 착신신호송출단계;
    상기 중앙통제장치에서 상기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검색하고 고객의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호출신호송출단계; 및
    상기 호출장치의 호출신호수신부에서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알림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장치의 알림부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고객에게 착신사실을 알리는 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신호송출단계는 상기 착신장치의 감지부에서 연결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 감지하여 상기 고객의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장치의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장치의 착신신호송출부에서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송출단계는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착신신호부에서 상기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고유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정보관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상기 고객정보테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중앙통제장치의 호출신호송출부에 호출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는 고객의 호출장치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에서 고객정보로 호출제한시간을 추가로 입력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단계에서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착신신호가 수신된 시간이 고객이 설정한 호출제한시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호출제한시간이 종료된 후에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5. 거치대와 연결단자와 감지부 및 착신신호송출부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을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고객과 이통통신단말기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신호송출부에서 상기 고유번호를 착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착신장치;
    착신신호수신부와 호출정보관리부와 호출신호송출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신호수신부는 상기 착신장치에서 송출하는 착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정보관리부는 상기 고객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번호와 고객정보를 검색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호출신호송출부에 상기 고유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는 상기 고유번호를 호출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중앙통제장치; 및
    호출신호수신부와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신호수신부는 상기 중앙통제장치에서 송출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를 상기 알림부에 전송하고 상기 알림부는 신호를 발생하여 고객에게 착신사실을 알리는 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결단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연결포트를 형성하여 각 연결포트는 고객의 고유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고, 연결단자를 통하여 착신을 감지하면 해당 연결포트의 번호를 인식하여 고객의 고유번호를 인식하고, 고객의 고유번호를 상기 착신신호송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장치의 알림부는 진동을 발생시켜 고객에게 착신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호출 서비스 시스템.
KR1020030040415A 2003-06-20 2003-06-20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10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415A KR20040110036A (ko) 2003-06-20 2003-06-20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3326652A JP2005012744A (ja) 2003-06-20 2003-09-18 近距離呼出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415A KR20040110036A (ko) 2003-06-20 2003-06-20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36A true KR20040110036A (ko) 2004-12-29

Family

ID=3410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415A KR20040110036A (ko) 2003-06-20 2003-06-20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12744A (ko)
KR (1) KR200401100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97B1 (ko) * 2006-02-27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페이징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994A (ja) * 2011-03-30 2012-11-01 Fujitsu Ltd 受信通知装置及び受信通知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97B1 (ko) * 2006-02-27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페이징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879672B1 (ko) * 2007-07-24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12744A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060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報知動作制御方法
KR20060102724A (ko)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10057592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JP2006246469A (ja) 着信電話呼標識
KR200300056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캐릭터 이미지 송수신 방법
JP2003217058A (ja) 緊急情報伝達装置
KR20040110036A (ko) 근거리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8028721A (ja) 無線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722861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報知動作制御方法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JP2004215047A (ja) 電話交換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JPH11187084A (ja) 呼出音登録方法、受信装置、及び呼出音登録装置
KR200352454Y1 (ko) 휴대전화기의 원격지 착신 및 송수신시스템
KR100688180B1 (ko) 수신 메시지 구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229057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1135540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63768B1 (ko) 무선휴대전화기의 원격통화장치
JP3748329B2 (ja) 無線通信機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100652683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JP2008022126A (ja) 無線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029536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9002791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JP2000078270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