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83B1 -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83B1
KR100652683B1 KR1020040080561A KR20040080561A KR100652683B1 KR 100652683 B1 KR100652683 B1 KR 100652683B1 KR 1020040080561 A KR1020040080561 A KR 1020040080561A KR 20040080561 A KR20040080561 A KR 20040080561A KR 100652683 B1 KR100652683 B1 KR 10065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ignal
voice
unit
ea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504A (ko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확인하여 광고성 메시지를 구분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급 통신신호를 적외선 방식으로 외부와 무선 송수신하는 블루투스부; 블루투스부와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블루투스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접속하고 메시지 수신 신호와 피호출 신호로부터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발신자 번호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변환부; 제어부에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시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 상기 이어마이크가 접속되면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음성변환하고,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변환과정; 상기 음성 변환된 발신자 번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이어마이크에 전송 출력하고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이어마이크 과정; 상기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시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NFIRMATION MESSAGE ON BLUETOOTH EAR-MIC FOR MOBILE PHONE}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메시지부 140 : 멀미부 150 : 음성변환부
160 : 발신자번호부 170 : 블루투스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착신된 메시지를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특히, 착신된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음성으로 안내하고, 확인이 필요한 메시지와 광고성 메시지를 분리하여 확인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 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통신에 직접 사용되는 시간이 비교적 매우 작고,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항상 휴대하고 이동하므로, 활용도가 적으며,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동성 확보를 위하여 크기를 작게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지만, 활용성 확보와 관련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부가기능 및 부가서비스가 계속 추가되므로, 크기와 무게를 작게하는 것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부가되는 기능 및 서비스는, 일 예로, 계산기 기능, 메모장 기능, 라디오 기능, 게임기능, 카메라 기능, 폰북 기능, 무선인터넷 서비스, 온라인 게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등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에서도, 초기 1 세대(1G)에서는 아날로그(ANALOG) 신호에 의한 음성급(VOICE) 통신방식이었고, 2 세대(2G)에서는 디지털(DIGITAL) 신호에 의한 것으로 기호 문자 숫자 등을 이용하는 문자통신 방식으로 발전하고, 현재의 3 세대(3G)에서는 음성과 문자와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 미디어급(MULTIMEDIA)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른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양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음성급 통신하는 이어마이크(EARMIC: EARPHONE + MIC)를 이용하며, 상기 이어마이크는 휴대단말기와 일정한 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보관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빛으로 데이터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연결 방식이 있다.
상기 이어마이크는 음성급 통신신호만을 전송하므로, 문자신호와 영상신호 등은 확인하지 못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채널을 실시간 점유하는 통신방식과 비실시간 점유하는 통신방식이 있으며, 상기 비실시간 통신방식은 일정한 크기의 음성메시지와 문자메시지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신한다.
상기 비실시간 통신방식인 메시지 통신방식은,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이 비교적 복잡하지만, 통신비용이 비교적 많이 저렴하고, 통신내용이 간단하지만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등의 장점에 의하여 이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한다는 등의 장점을 이용하여 상업적인 영리 목적의 메시지를 무단으로 방송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를 피곤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업적인 메시지를 선별하는 기술, 특히, 운전 등의 다른 업무를 하면서 블루투스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상업적인 메시지를 선별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10)는 기지국(RAN)(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에서 상기 기지국(20)과 무선접속하고,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하여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호접속된 상대방과 무선통신한다.
상기 기지국(20)은, 휴대단말기(10)가 송신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이동교환국(MSC)(30)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 처리로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상대방이 다른 통신망에 가입된 경우는 공중망(50)을 통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공중망(50)은, 다른 사업자의 이동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망과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30) 및 공중망(50)이 설정한 통신경로에 접속된 상대방과 무선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호접속된 상대방과 통신하는 방식은, 채널을 실시간 점유하여 통신하는 방식과 비실시간으로 채널을 점유하여 통신하는 방식이 있고, 또한, 각각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과 문자를 이용하는 방식과 영상신호가 포 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 방식이 있다.
상기 비실시간 통신방식은, 음성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음성메시지(VMS), 문자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문자메시지(SMS), 영상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멀티미디어메시지(MMS) 통신이라고 하며, 상기 각각의 메시지(MESSAGE)를 기록저장하고 비실시간 전송처리하는 서버(SERVER)(40)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서 조금의 차이는 있으나, 음성,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표시와 송신자 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고, 데이터의 크기가 큰 음성 메시지(VMS)와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는 상기 서버(40)에 접속하여 확인하여야 하며,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문자메시지(SMS)는, 휴대단말기가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나중에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 선택된 메시지 내용을 검색하여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항상 휴대하고, 특히, 작업 또는 운전 등의 경우에도 긴급한 통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 또는 운전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이어마이크는, 휴대단말기(MS)에 일정한 길이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전선에 의하여 작업 또는 운전 등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이 블루투스로 무선연결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이어마이크를 연결 사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진행중인 작업 또는 운전을 잠시 중단하고, 휴대단말기의 해당 키버튼 입력으로 조작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와, 운전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에 이어마이크(EARMIC)를 접속 사용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휴대단말기를 통신대기 상태로 운용하면서 작업 또는 운전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한다(S20).
상기와 같이 이어마이크를 접속한 휴대단말기(MS)로 호출 또는 피호출에 의한 음성급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S30), 이어마이크를 구동하여 음성급 신호를 입출력하므로 진행중인 작업 또는 운전 등을 계속하면서 통신을 진행한다(S40).
상기 이어마이크를 접속한 휴대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S50), 설정된 벨소리 또는 진동 또는 빛의 발생으로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며, 진행중인 작업 또는 운전을 멈추고, 휴대단말기를 직접 제어하여 해당 표시부에 표시된 메시지 종류와 발신자 번호를 확인하고, 문자메시지의 경우는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출력하여 확인하며, 음성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경우는 서버에 접속하고 다운로드 등을 통하여 내용을 확인한다(S60).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MS)의 메시지 확인 방식은, 이어마이크(EARMIC)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고 확인하여 발신자와 메시지의 종류 및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문자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발신자 번호를 분리검출하고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이어마이크에 전송하며, 사용자가 작업 또는 운전을 계속하면서 안전하게 메시지의 발신자를 확인하므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메시지 인지 또는 상업적으로 발송되는 메시지 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급 통신신호를 적외선 방식으로 외부와 무선 송수신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와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블루투스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메시지 수신 신호와 피호출 신호로부터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발신자 번호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시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면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음성변환하고,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변환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 변환된 발신자 번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이어마이크에 전송 출력하고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이어마이크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시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실시간 통신신호와 비실시간 통신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100)와 접속하고 무선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블루투스부에 출력하는 것으로, 비실시간의 메시지 신호가 수신 입력되면, 발신자번호부(160)를 제어하여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발신자 번호를 음성변환부(150)에 인가하여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음성급 신호를 블루투스부(170)에 인가하여 적외선 신호로 변환 송신 하고, 상기 메시지 신호와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는 메시지부(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며, 통신신호는 블루투스부(170)를 통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시지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상태와 해당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문자메시지는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에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메시지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와 문자신호와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는 멀미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숫자 신호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변환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메시지 수신 신호와 피호출 신호로부터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부(100)가 수신한 음성,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부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발신자 번호부(16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급 통신신호를 적외선(IRDA) 방식으 로 외부와 무선 송수신하는 것으로, 음성급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무선송신하고, 무선수신되는 적외선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블루투스부(1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의 제어부(110)는, 동작전원이 해당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면, 상기 메모리부(120)로부터 휴대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드(LOAD)하여 설치하므로 운용 대기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무선부(100)를 통하여 무선접속된 기지국(RAN)으로부터 음성, 문자, 멀티미디어급 메시지를 무선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발신자 번호부(160)에 인가하여 발신자 번호(CID: CALLER ID) 데이터 신호를 분리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발신자 번호부(160)로부터 분리된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 데이터 신호에는 메시지 수신 시각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변환부(150)에 인가되어 음성급 신호로 변환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메시지부(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되고 출력된다.
상기 메시지부(130)에 기록저장되는 발신자 번호 신호는, 해당 메시지가 음성급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이면, 그 데이터 량이 크므로,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메시지를 다운로드(DOWNLOAD) 받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를 함께 기록저장하고, 상기 메시지가 문자메시지 이면, 상기 문자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해당 발신자 번호와 함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 신호가 문자급 메시지 인지, 음성급 메시지 인지, 멀티미디어급 메시지 인지를 구분하는 해당 표시와,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 정보와, 발신자 정보 등을 상기 멀미부(140)에 구성되는 해당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착신신호를, 해당 설정된 벨신호 또는 진동신호 또는 빛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음성변환부(150)에 의하여 음성급 신호로 변환된 것으로, 수신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발신자 번호를 블루투스부(170)에 인가하고, 상기 블루투스부(170)는,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외선 방식으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고, 상기와 같이 적외선의 블루투스 신호로 무선송신되는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마이크(EAR-MIC)에 의하여 수신되며, 상기 이어마이크에 의하여 적외선으로 출력되는 음성급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부(170)에서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제어부(110)에 인가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고,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로 접속되는 이어마이크에 전송하므로, 사용자가 즉시 확인을 필요로 하는 정보 인지 또는 아닌지를 판단하게 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 블루투스 이어마이크를 접속하고, 작업 또는 운전 등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이 누구 인지를 음성급 신호로 확인하고, 즉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진행중인 작업을 안전하게 중단하고, 휴대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이어마이크(EAR-MIC)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MS)가 기지국(RAN)으로부터 메시지 방식의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면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여 음성변환하고, 해당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가 휴대단말기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무선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메시지의 수신 시각정보가 포함되는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고 상기 분리검출된 발신자 번호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와 메시지 수신상태와 발신자 번호를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변환과정과,
상기 변환과정에서 음성 변환된 발신자 번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이어마이크에 전송 출력하고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변환과정에서 음성급 신호로 변환된 발신자 번호 신호를 블루투스로 접속된 이어마이크에 전송하여 음성급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출력되는 음성급 신호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를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이어마이크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 해당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시지 과정(S160)과,
상기 시작과정(S110)에서 이어마이크(EAR-MIC)를 접속하지 않은 경우는, 멀미부에 구비되는 해당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수신정보를 출력 표시하는 과정(S170)과,
상기 과정(S170)에서 메시지 수신상태를 착신벨, 진동, 빛 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출력하여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과정(S160)으로 진행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로 비실시간(NON-REALTIME)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즉, 음성급 신호에 의한 메시지이거나 또는, 문자급 신호에 의한 메시지 이거나 또는, 영상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급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100),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블루투스부(170)를 통하여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된 경우에 수신된 메시지를 발신자 번호부(160)에 인가하여, 발신자 번호를 분리검출하고, 상기와 같이 분리검출된 발신자 번호를 음성변환부(150)에 인가하여 음성급 신호로 변환한다(S120).
상기 발신자 번호부(160)가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정보도 함께 분리하여 검출하고, 상기 음성변환 부(150)에서도 시각정보를 함께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수신된 메시지가 음성급 인지 문자급 인지 또는 멀티미디어급 인지의 종류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정보와 해당 수신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발신자 번호 정보를 멀미부의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 표시한다(S130).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음성변환부(150)가 음성급 신호로 변환한 메시지 수신시각 정보와 발신자 번호 정보를, 상기 블루투스부(170)를 통하여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므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마이크에 의하여 음성급 신호로 출력된다(S140).
상기 이어마이크는 작업 또는 운전 등을 하는 상태에서도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 또는 운전 등을 진행중인 상태에서 음성급 신호로 확인된 발신자 번호가 긴급하게 확인할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인지 판단한다(S150).
상기 판단(S150)에서 발신자 번호를 음성급 신호로 확인하고,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단말기(MS)의 멀미부에 구비되는 해당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다(S160).
상기 시작과정(S110)에서 휴대단말기(MS)에 이어마이크(EAR-MIC)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는,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분리검출된 발신자 번호 정보와 수신시각 정보와 메시지의 종류 정보를 멀미부(140)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 표시하고(S170), 사전에 지정 설정된 착신벨, 진동, 빛 등을 발생하므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S180).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블루투스로 접속되는 이어마이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자의 번호를 음성급 신호로 확인하고,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휴대단말기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확인하므로, 불필요한 광고성 메시지를 선별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접속된 이어마이크를 통하여 메시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음성급 신호로 확인하고, 불필요한 광고성 메시지를 구별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 등과 같이 집중하여야 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에서도, 음성신호로 발신자를 구별하고, 메시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휴대단말기를 직접 제어하여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휴대단말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급 통신신호를 적외선 방식으로 외부와 무선 송수신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부와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메시지의 용량 및 종류에 따라 음성신호를 달리하여 상기 블루투스부에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메시지 수신 신호와 피호출 신호로부터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발신자 번호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시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실시간 통신신호와 비실시간 통신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음성신호와 문자신호와 멀티미디어 신호를 입출력하 는 멀미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무선송신하고, 무선수신되는 적외선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번호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부가 수신한 음성,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 신호로부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분리검출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숫자 신호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되는 음성메시지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상태와 해당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문자메시지는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에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실시간 메시지 신호가 수신 입력되면, 발신자번호부를 제어하여 발신자 번호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발신자 번호를 음성변환부에 인가하여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음성급 신호를 블루투스부에 인가하여 적외선 신호로 변환 송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 신호와 발신자 번호와 수신시각 정보는 메시지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출력하며, 통신신호는 블루투스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8.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가 접속되면 발신자 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메시지의 용량 및 종류에 따라 음성신호를 달리하여 변환하고 ,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수신상태를 표시하는 변환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 변환된 발신자 번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이어마이크에 전송 출력하고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이어마이크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에 표시부를 직접 제어하여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시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를 접속하지 않은 경우는, 표시부에 발신자 번호와 메시지 종류를 포함하는 수신정보를 출력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 수신상태를 착신벨, 진동, 빛 신호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휴대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방식의 통신신호를 무선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이어마이크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과정은,
    상기 시작과정에서 이어마이크가 휴대단말기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무선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발신자 번호 데이터를 분리검출하고 상기 분리검출된 발신자 번호를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와 메시지 수신상태와 발신자 번호를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검출되고 음성급 신호로 변환되며 표시부에 출력 표시되는 신호에는 메시지 신호를 수신한 시각 정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 과정은,
    상기 변환과정에서 음성급 신호로 변환된 발신자 번호 신호를 블루투스로 접속된 이어마이크에 전송하여 음성급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출력되는 음성급 신호에 의하여 발신자 번호를 확인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방법.
KR1020040080561A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KR10065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1A KR100652683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1A KR100652683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04A KR20060031504A (ko) 2006-04-12
KR100652683B1 true KR100652683B1 (ko) 2006-12-07

Family

ID=3714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61A KR100652683B1 (ko) 2004-10-08 2004-10-08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04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19062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KR20050020910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KR101128200B1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KR100652683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JP2008258999A (ja) メール応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JP2007096486A (ja) 移動通信方式選択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移動通信端末装置
JP4306140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3354614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878354B1 (ko) 영상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KR100851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처리방법
KR100762222B1 (ko) 부재신호 자동발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JP2002171338A (ja) 無線通信端末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JP2000101735A (ja) 文字情報送受信機能付き電話機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100556929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원격 확인장치 및 방법
EP1642394A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lectable voice message transmission
JP2543604B2 (ja) コ―ドレス電話機の子機間転送装置
JP2001177637A (ja) 電話装置
JP2003087397A (ja) 録音装置及び携帯型無線通信装置の制御システム
KR100575937B1 (ko) 휴대단말기의 착신통화 서비스 방법
KR100270697B1 (ko) 무선인터폰 기능이 내장된 휴대장치를 갖는 무선팩시밀리에서 페이저 호출방법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JP2011087062A (ja) 親子電話機及び親子電話機の子機並びに電話機
KR200700718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자동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