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390B1 -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 Google Patents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390B1
KR100263390B1 KR1019980013411A KR19980013411A KR100263390B1 KR 100263390 B1 KR100263390 B1 KR 100263390B1 KR 1019980013411 A KR1019980013411 A KR 1019980013411A KR 19980013411 A KR19980013411 A KR 19980013411A KR 100263390 B1 KR100263390 B1 KR 10026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clock signal
output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280A (ko
Inventor
안일성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1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3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5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using bi-stable regenerative trigger circuits
    • H03K23/54Ring counters, i.e. feedback shift register coun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8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 신호처리부, 제 1 4K 클럭추출부, 제 2 4K 클럭추출부, 클럭신호결합부, 및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로 이루어진다.
이 때,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는 64K 콤포지트 클럭생성기로부터 생성되는 클럭신호 중 양(+)펄스에 대한 정 클럭신호와 음(-)펄스에 대한 부 클럭신호를 안정화시키며, 신호처리부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고레벨(High Level)로 되고 정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저레벨(Low Level)로 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킨 다음, 이 디지털 신호의 2/3 주기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한다.
또한 제 1 4K 클럭추출부는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하나의 4K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며, 제 2 4K 클럭추출부는 또 하나의 4K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데, 이 두 개의 4K 클럭신호는 클럭신호결합부에서 합쳐진다. 그리고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는 클럭신호결합부의 출력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64K 콤포지트 클럭신호로부터 안정된 8K 클럭신호를 추출 할 수 있으므로, 해당 8K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통신장치등이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64K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A clock abstraction unit of abstracting 8Kbps clock from 64Kbps composite clock)
본 발명은 8K 클럭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64k 콤포지트(composite) 클럭생성기로부터 생성되는 64K 콤포지트 클럭신호로부터 안정된 8K 클럭신호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8K 클럭신호 공급장치에 관한 연결도이다. 물론 8K 클럭신호는 8K 클럭을 발생시키는 독립적인 클럭발생기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있다. 그러나 광가입자 망과 같은 통신장치에 있어서는, 클럭공급기 또는 클럭공급보드에서 전송장치로 공급되는 64K 클럭으로부터 다중/역다중화 과정에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8K 클럭을 추출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8K 클럭 추출장치(200)는 64K 클럭 생성장치(100)로부터 생성되는 64K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8K 클럭신호를 추출하고, 이것을 해당 8K 클럭소요장치(300)로 공급하게 된다.
보통 64K 클럭생성장치(100)로부터 8K 클럭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Texas Instrument 사의 SN75107 칩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상용칩을 사용하여, 해당 64K 클럭신호의 정(+)부분과 부(-)부분을 각각 먼저 추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8K 클럭을 추출한다. 그러나 이 때, SN75107 칩으로 입력되는 64K 클럭의 상태, 칩의 상태, 혹은 외부적 요인에 의한 영향등으로 이 신호들은 아주 조금씩이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앞 또는 뒤로 흔들릴 수가 있다.
이런 경우, 그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해당 시스템의 전원을 ON-OFF시키거나, 해당 보드를 실/탈장하는 경우, 혹은 클럭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등과 같은 상태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찾지 못하여 에러가 많이 발생하거나 경로(Path)가 깨지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64K 클럭 생성장치로부터 안정된 상태의 8K 클럭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는 64K 콤포지트(composite) 클럭생성기로부터 생성되는 클럭신호(CK64)가 양(+)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정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CK64)가 음(-)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부 클럭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고레벨(High Level)로 되며, 정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저레벨(Low Level)로 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킨 다음, 이 디지털 신호의 2/3 주기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제 1 4Kbps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4K 클럭추출부; 상기 신호처리부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 1 4Kbps 클럭신호와 동일하고, 그 주기만 제 1 4Kbps 클럭신호의 반주기만큼 지연된 제 2 4Kbps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2 4K 클럭추출부; 상기 제 1 4Kbps 클럭신호와 제 2 4Kbps 클럭신호를 합하여 출력시키는 4K 클럭신호결합부; 및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4K 클럭신호결합부의 출력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는 상기 정 클럭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1 D 플립플롭; 상기 부 클럭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2 D 플립플롭; 상기 제 1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 1 버퍼; 및 상기 제 2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 2 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신호 중 정 클럭신호를 J단 입력신호로 받고, 부 클럭신호를 K단 입력신호로 받으며,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J/K 플립플롭;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NOR 게이트 소자; 및 상기 J/K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NOR 게이트 소자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3 D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4K 클럭추출부는 상기 제 3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 1 버퍼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4 D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4K 클럭추출부는 상기 제 3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 2 버퍼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5 D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럭결합부는 상기 제 4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와 상기 제 5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OR 게이트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는 상기 OR 게이트소자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6 D 플립플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8K 클럭신호 공급장치에 관한 연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 추출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 추출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 추출장치에 대한 각 단에서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64K 클럭 생성장치 200: 8K 클럭 추출장치
300: 8K 클럭 소요장치 210: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
211,212,223,231,241,261: D 플립플롭
211,213,214: 버퍼 220: 신호처리부
221: J-K 플립플롭 222: NOR 게이트 소자
230: 제 1 4K 클럭추출부 240: 제 2 4K 클럭추출부
250: 클럭신호결합부 260: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
270: 기준클럭생성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200:이하 8K 클럭추출장치라 한다.)에 대한 블록도로서,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 신호처리부(220), 제 1 4K 클럭추출부(230), 제 2 4K 클럭추출부(240), 클럭결합부(250), 및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는 8K 클럭추출장치(200)의 각 단에서의 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8K 클럭추출장치(200)의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는 2개의 입력신호를 가지는데,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이다. 이 때, 정 클럭신호는 64K 콤포지트 클럭생성장치(100)로부터 생성되는 클럭신호가 양(+)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클럭신호로 정의하고, 부 클럭신호는 64K 콤포지트 클럭생성장치(100)로부터 생성되는 클럭신호가 음(-)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클럭신호로 정의한다.
즉 64K 클럭생성장치(100)로부터 위의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가 추출되어 8K 클럭 추출장치(200)로 입력된다. 이 때,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의 파형은 각각 도 4의 4-a와 4-b에 나타낸 파형과 같다.
그러면,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는 위의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입력받은 후, 이 신호들에 발생한 떨림현상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로 입력되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는,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해당 칩(SN75107)으로 입력되는 64K 클럭의 상태, 이 칩의 상태, 혹은 외부적 요인에 의한 영향등으로 조금씩이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앞 또는 뒤로 흔들릴 수가 있는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는 이런 떨림현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신호처리부(220)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입력받은 후, 해당 클럭을 추출하기 용이하도록 이 신호들을 변환한다.
먼저 신호처리부(220)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고레벨(High Level)로 되고, 정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저레벨(Low Level)로 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파형은 도 4의 4-f에 나타낸 파형과 같다. 그리고 이 디지털 신호를 자신의 주기의 2/3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데, 이 신호의 파형은 도 4의 4-h에 나타낸 파형과 같다.
제 1 4K 클럭추출부(230)는 신호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4K 클럭신호(제 1 4K 클럭신호)를 생성시킨다. 또한 제 2 4K 클럭추출부(240)는 제 1 4K 클럭추출부(230)에서 생성시킨 4K 클럭신호와 동일하나, 그 주기만 반 주기만큼 어긋나 있는 또하나의 4K 클럭신호(제 2 4K 클럭신호)를 생성시킨다. 이 때 제 1 4K 클럭신호와 제 1 4K 클럭신호의 파형은 각각 도 4의 4-i와 4-j에 나타낸 파형과 같다.
그리고 클럭신호결합부(250)에서 제 1 4K 클럭추출부(230)에서 생성된 제 1 4K 클럭신호와 제 2 4K 클럭추출부(240)에서 생성된 제 2 4K 클럭신호를 합하여 8K 클럭신호를 만들게 된다. 이 8K 클럭신호의 파형은 도 4의 4-k에 보인 파형과 같다.
이렇게 생성된 8K 클럭신호는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로 입력되어 안정화된 신호로 바뀌게 된다. 즉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의 기능은 입력단 신호안정화부(210)의 기능과 같이 최종 출력될 8K 클럭신호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최종 출력되는 8K 클럭신호의 파형은 도 4의 4-l에 보인 파형돠 같다.
기준클럭생성기(270)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 신호처리부(220), 및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에서 사용될 기준클럭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기준클럭으로는 클럭신호의 안정을 위하여 64Kbps 보다는 빠른 속도를 갖는 클럭신호를 사용해야 하는데, 2Mbps 의 기준클럭신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추출장치(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추출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력단 신호안정화부(210)는 제 1 D 플립플롭(211), 제 2 D 플립플롭(212), 제 1 버퍼(213), 및 제 2 버퍼(214)로 구성된다.
제 1 D 플립플롭(211)은 정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기준클럭생성부(27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2M의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데, 2M의 기준클럭신호는 버퍼(271)를 통해 인가된다. 이 때, 프리세트(Preset)단과 클리어(Clear)단은 논리값 1에 해당하는 전압(Vc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입력신호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제 2 D 플립플롭(212)은 부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기준클럭생성부(27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2M의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데, 제 1 D 플립플롭(211)의 경우와 같이 2M의 기준클럭신호는 버퍼(271)를 통해 인가된다. 이 때, 프리세트(Preset)단과 클리어(Clear)단은 논리값 1에 해당하는 전압(Vc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입력신호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D 플립플롭은 클럭입력단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서 D단에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클럭신호의 다음 주기에서 출력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것은 클럭신호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안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아주 조금씩 앞이나 뒤로 떨리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가 2M의 기준클럭신호에 의하여 안정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2M 클럭신호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해당 D 플립플롭을 거침으로서 나타나는 지연요소를 줄일 수있다. 이 때, 제 1 D 플립플롭(211)의 Q단에서의 출력파형을 도 4의 4-d에 보였고, 제 2 D 플립플롭(212)의 Q단에서의 출력파형을 도 4의 4-e에 보였다.
또한 입력단 신호안정화부(210)의 제 1 버퍼(213)는 제 1 D 플립플롭(211)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제 2 버퍼(214)는 제 2 D 플립플롭(212)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제 1 버퍼(213)와 제 2 버퍼(214)는 팬-아웃(Fan-Out)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신호처리부(220)는 J-K 플립플롭(221), NOR 게이트 소자(222), 및 제 3 D 플립플롭(223)으로 구성된다.
J-K 플립플롭(221)은 J 입력단이 제 1 버퍼(213)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K 입력단은 제 2 버퍼(214)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준클럭생성기(27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2M의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다. J-K 플립플롭(221)은 다음의 표 1과 같은 입출력동작을 수행하므로, Q'단 출력신호로 도 4의 4-f와 같은 파형의 신호를 출력시킨다.
J K Q' Q'n+1
0 0 q q
1 0 * 0
0 1 * 1
1 1 q q'
위의 표 1에서 q는 Q'단에서의 현재 출력값, Q'n+1은 다음 클럭주기에 나타나는 Q'값, *는 임의의 값, q'는 q의 반대값을 의미한다.
제 3 D 플립플롭(223)은 J-K 플립플롭(221)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클럭입력단에는 제 1 버퍼(213)와 제 2 버퍼(214)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NOR 동작을 수행한 결과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NOR 동작은 NOR 게이트 소자(222)가 수행하며, NOR 게이트 소자(222)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신호의 파형은 도 4의 4-g에 나타낸 파형과 같다.
이 때, 프리세트(Preset)단과 클리어(Clear)단은 논리값 1에 해당하는 전압(Vc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입력신호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제 3 D 플립플롭(223)의 Q단 출력신호에 대한 파형은 도 4의 4-h에 보인 파형과 같다.
제 1 4K 클럭추출부(230)는 제 4 D 플립플롭(231)으로 구성되는데, 제 3 D 플립플롭(223)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제 1 버퍼(213)의 출력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다. 그러므로 제 4 D 플립플롭(231)의 Q'단 출력신호는 도 4의 4-i에 보인 파형과 같다. 즉 이 때, 하나의 4K 클럭신호(제 1 4K 클럭신호)가 제 1 4K 클럭추출부(230)의 Q' 출력단에서 나타남을 알 수있다.
제 2 4K 클럭추출부(240)는 제 5 D 플립플롭(241)으로 구성되는데, 제 3 D 플립플롭(223)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제 2 버퍼(214)의 출력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다. 그러므로 제 5 D 플립플롭(241)의 Q단 출력신호는 도 4의 4-j에 보인 파형과 같다. 즉 이 때, 제 4 D 플립플롭(231)의 출력신호와 동일하고 주기만 반주기만큼 어긋난 또 하나의 4K 클럭신호(제 2 4K 클럭신호)가 제 5 D 플립플롭(241)의 Q 출력단에서 나타남을 알 수있다.
클럭신호결합부(250)는 제 1 4K 클럭신호와 제 2 4K 클럭신호를 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하나의 OR 게이트 소자(251)가 사용될 수있다. 즉 이 클럭신호결합부(250)의 출력단에는 두 개의 4K 클럭신호가 서로 합해져서 8K 클럭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이 파형은 도 4의 4-k에 보인 파형과 같다.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는 하나의 D 플립플롭(제 6 D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있다. 제 6 D 플립플롭(261)은 OR 게이트 소자(25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클럭입력단에는 기준클럭생성기(27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2M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입력단에 받는다. 이 때, 프리세트(Preset)단과 클리어(Clear)단은 논리값 1에 해당하는 전압(Vcc)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입력신호에 대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제 6 D 플립플롭(261)의 Q단 출력신호는 도 4의 4-l에 보인 파형과 같다. 즉 4-l 파형에서 보는바와 같이 8K 클럭추출부(200)에 입력된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가 안정화된 8K 클럭신호로 변환됨을 알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8K 클럭추출장치를 사용하면, 64K 클럭신호로부터 안정된 8K 클럭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해당 8K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통신장치등이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64K 콤포지트(composite) 클럭생성기(100)로부터 생성되는 클럭신호(CK64)가양(+)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정 클럭신호, 및 상기 클럭신호(CK64)가 음(-)의 논리값을 가질 때에만 양의 논리값을 가지며, 그외에는 논리값 0의 상태를 유지하는 부 클럭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에서 출력되는 부 클럭신호의 상승에지(Rising Edge)에서 고레벨(High Level)로 되며, 정 클럭신호의 상승에지에서 저레벨(Low Level)로 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킨 다음, 이 디지털 신호의 2/3 주기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20);
    상기 신호처리부(220)의 출력신호로부터 제 1 4Kbps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1 4K 클럭추출부(230);
    상기 신호처리부(220)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 1 4Kbps 클럭신호와 동일하고, 그 주기만 제 1 4Kbps 클럭신호의 반주기만큼 지연된 제 2 4Kbps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제 2 4K 클럭추출부(240);
    상기 제 1 4Kbps 클럭신호와 제 2 4Kbps 클럭신호를 합하여 출력시키는 4K 클럭신호결합부(250); 및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4K 클럭신호결합부(250)의 출력신호를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는 상기 정 클럭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1 D 플립플롭(211);
    상기 부 클럭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2 D 플립플롭(212);
    상기 제 1 D 플립플롭(211)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1버퍼(213); 및
    상기 제 2 D 플립플롭(212)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2버퍼(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220)는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신호 중 정 클럭신호를 J단 입력신호로 받고, 부 클럭신호를 K단 입력신호로 받으며,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J/K 플립플롭(221);
    상기 입력단 신호 안정화부(210)로부터 안정화되어 출력되는 정 클럭신호와 부 클럭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NOR 게이트 소자(222); 및
    상기 J/K 플립플롭(221)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NOR 게이트 소자(222)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3 D 플립플롭(2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4K 클럭추출부(230)는 상기 제 3 D 플립플롭(223)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 1 버퍼(213)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4 D 플립플롭(2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4K 클럭추출부(240)는 상기 제 3 D 플립플롭(223)의 Q단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 2 버퍼(214)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5 D 플립플롭(2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결합부(250)는 상기 제 4 D 플립플롭의 Q'단 출력신호와 상기 제 5 D 플립플롭(240)의 Q단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는 OR 게이트 소자(2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 신호 안정화부(260)는 상기 OR 게이트소자 (250)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클럭신호로 받는 제 6 D 플립플롭(2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KR1019980013411A 1998-04-15 1998-04-15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KR10026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411A KR100263390B1 (ko) 1998-04-15 1998-04-15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411A KR100263390B1 (ko) 1998-04-15 1998-04-15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80A KR19990080280A (ko) 1999-11-05
KR100263390B1 true KR100263390B1 (ko) 2000-08-01

Family

ID=1953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411A KR100263390B1 (ko) 1998-04-15 1998-04-15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3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28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683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hase of input/output circuitry
JP2008011173A (ja) Cdr回路
KR930009054A (ko) 전자장치
KR100263390B1 (ko) 64k 콤포지트 클럭으로부터의 8k 클럭추출장치
KR100351987B1 (ko) 클럭신호 스위치 회로
KR200178748Y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클럭 발생/분배 장치
JP3876646B2 (ja) 光受信器
JP2501187B2 (ja) ス−パ−インポ−ズ装置
KR100293939B1 (ko) 다중선로로구성된시스템의클록공급장치
KR100259913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의가변클럭제공회로및방법
KR100357026B1 (ko) 타이밍 클럭 공급장치
KR100286223B1 (ko) 시간/주파수 발생시스템의 시간 클럭 일치방법
KR100235603B1 (ko) Atm 셀 지연 회로
KR100293941B1 (ko) 데이타전송장치에서의프레임정렬데이타출력회로
SE9501176D0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en integrerad krets
KR200205011Y1 (ko) 에스에스엠 비트 지원회로
KR950022074A (ko) 이중화 클럭절체시 과도현상 제거회로 및 불필요한 절체방지회로
KR0134253Y1 (ko) 외부 동기 클럭원 수신 장치
KR200319358Y1 (ko) 클럭신호발생장치
KR200212537Y1 (ko) 프레임 펄스와 클럭신호의 동기화 장치
KR0144281B1 (ko) 클럭 발생 장치
KR960007581B1 (ko) 광수신부에서의 클럭 이중화 회로장치
KR19990032642A (ko) 신호지연 및 발생회로
KR950022373A (ko) 전송 장비간의 동작타이밍을 위한 쓰루 타이밍 장치
JP2000183729A (ja) クロック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