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126B1 -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126B1
KR100263126B1 KR1019960071817A KR19960071817A KR100263126B1 KR 100263126 B1 KR100263126 B1 KR 100263126B1 KR 1019960071817 A KR1019960071817 A KR 1019960071817A KR 19960071817 A KR19960071817 A KR 19960071817A KR 100263126 B1 KR100263126 B1 KR 10026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eat frame
arm res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792A (ko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1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1Seat suspension devices actively controlled suspension, e.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등과 같이 무게 중심이 높은 승합 차량이 선회 주행할 때에 발생되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의 신체 중심 변화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제공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은, 시트에 설치된 레벨링 센서가 차량의 쏠림 방향을 인식하는 전기 신호를 발하면 전자 제어장치가 이를 입력 받아 상기 시트의 밑면 소정 개소로 배치된 록커를 해제시켜서 상기 시트가 수평 유지바의 중간부를 힌지점으로 수평 요동될 수 있게 하고, 이어서 상기 수평 유지바의 양단에 배치된 균형수단이 상기 수평 유지바를 자력으로 흡착 연동시켜 상기 시트의 수평을 조절하여 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 제어장치가 시트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승강 아마추어를 통전 여자 시켜서 차체 쏠림방향에 배치된 아암 레스트가 상승되게 하여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이 신체 중심 변화로 시트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본 발명은 버스등과 같이 무게 중심이 높은 승합차량이 선회 주행할 때에 발생되는 원심력의 영향으로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의 신체 중심 변화를 방지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회 주행시에 발생되는 차체의 쏠림 현상을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시트의 수평을 바로 잡아 줌과 동시에 아암 레스트 등을 돌출시켜 상기 시트에 앉아 있는 승객의 신체 중심을 바로 잡아 주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선회 주행하게 될 때에 원심력이 차체에 발생하고, 이 영향으로 내부의 승차자는 신체 중심이 외측방으로 편중되어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선회 주행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오래전 부터 경주되어 왔으나, 대부분은 현가장치의 자동제어를 통해 차체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게 하려는 데에 주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가장 간단한 것은 스테빌라이저이며, 이것은 양 차륜의 높낮이가 언밸런스를 이루었을 때에 반사적 탄성력을 일으켜서 차체가 평형을 이루게 하는 장치이다. 그렇지만 이 장치는 차체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여 주지는 못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수단으로 가장 진보된 것은 전자 현가시스템이며, 이것은 차량의 주행 조건을 전자 제어장치가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선회 주행이라고 판단되면, 차체가 낮아지는 쪽의 현가력을 증대시켜 차체 쏠림을 상쇄시키는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은 차체의 무게 중심 이탈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신체 중심 이탈 문제까지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고, 게다가 시스템의 설비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버스 등과 같은 승합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다.
상기 버스는 차체의 무게 중심이 높으므로 선회 주행시에 받게 되는 원심력의 영향이 비교적 심하게 나타난다. 그 결과로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객도 그 신체 중심이 한쪽으로 몰려 승차감이 나빠짐은 물론 더 나아가 안전성도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버스등 대형 차량에서 겪을 수 있는 선회 주행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시트의 수평 조절과 아암 레스트를 보호 가드로 활용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의 저면도.
도 3은 도 2에 묘사된 록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부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아암 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시트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전자 제어장치의 제어부 블록도.
상기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은, 다리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 보상수단을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아암 레스트; 중앙부가 지주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를 균형있게 지지하는 시트 수평 유지바; 상기 수평 유지바 상방에 일체로 고정되는 시트; 차량의 쏠림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레벨링 센서 및 리드 스위치; 상기 수평 유지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아암이 상하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균형수단; 그리고, 시트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록커; 상기 레벨링 센서 양측에 각기 배치되는 리드 스위치의 접점방향에 따라 상기 균형수단 및 아암 레스트 높이 보상수단을 각기 제어하게 되는 전자 제어장치; 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시트의 하측방을 지지하여 주는 수평 유지바는 그 양단부에 수직 아암을 갖추고 있고, 이 수직 아암은 탄성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하측의 균형 솔레노이드와 대치하는 구성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암 레스트는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절곡된 가이더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가이더는 시트 프레임 내측에 고정되는 승강 아마추어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아암 레스트의 높이를 보상하게 되는 상기 높이 보상수단은 시트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승강 솔레노이드로서 이 솔레노이드를 관통하는 가이더의 선단에 피스톤을 탄설하여 상기 승강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아암 레스트가 상승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레벨링 센서는 원호상의 통로를 가진 용기체 내부에 금속제 볼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용기체의 양단에는 한쌍의 리드 스위치를 배치하여 상기 볼의 접근에 의해 스위칭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균형수단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수직 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관체와, 시트 하측방을 지지하는 수평 유지바의 양단부와 연결된체 관체의 수직 홈부를 따라 끼워지는 수직 아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아암의 상하부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상하측의 균형 솔레노이드와 대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록커는 또한 외부로 돌출된 록킹 로드와, 그 내측단에 탄지되는 스프링, 그리고 외주에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록킹 로드를 흡착되게 하는 아마추어로 구성하여 스프링으로 탄지된 록킹 로드가 아마추어의 자력에 의해 전후 연동되도록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아암 레스트는 파일러트 밸브의 전환 작동에 의해 엔진의 부압을 인가받는 복동식 실린더의 피스톤과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엔진의 부압에 의해 상승 돌출되는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파일러트 밸브는 밸브체의 일단부가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전후 연동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골조를 보유하고, 이 골조의 하측방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이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을 시트의 내측방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변화시켜 주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차체의 무게 중심이 높게 위치하는 버스 등의 승합 차량에서 선회 주행 시에 야기되는 승객의 균형 안전도 손실을 시트의 매커니즘으로 방지하여 안전도를 향상시켜 주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 시스템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관련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로서, 4개의 다리(1)를 밑면에 갖춘 시트 프레임(2)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아암 레스트(3)를 배치시켜 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시트 프레임(2)의 사이에는 수평 유지바(4)가 가로 걸쳐져 그 중간부를 지주(5)의 상단에 힌지시켜 놓고 있으며, 또 상기 수평 유지바(4)의 양단부에는 수직 아암(6)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이 수직 아암(6)은 균형수단(7)과 조립 연계된다. 즉, 상기 균형수단(7)은 시트 프레임(2)에 고정 부착되는 관체(8)와, 상기 수직 아암(6)의 상 하측으로 각각 삽설되는 탄성 스프링(9a)(9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8)는 대향하는 외주면에 수직 홈부(10)를 열어 놓고 있으므로 수평 유지바(4)의 끝부분은 이곳을 통해 수직 아암(6)의 외주면 중간부로 연결되어서 상기 양 탄성스프링(9a)(9b)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현가된다.
상기 균형수단(7)의 관체(8)는 그 상하측부에 각각 균형 솔레노이드(11a) (11b)(11c)(11d)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중의 어느 것이 여자되면 해당 방향의 수직 아암(6)은 상하로 흡착 이동되고 , 이에 따라 수평 유지바(4)는 지주(5)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요동된다.
상기 수평 유지바(4)의 상방에는 통상의 시트(12)가 놓여져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시트(12)는 밑면의 소정 개소에 록커(13)를 갖추고 있음과 동시에 그 내부 일측에는 레벨링 센서(14)가, 그리고 그 양측에는 상개형 리드 스위치(15a) (15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레벨링 센서(14)는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원호상의 관 형태로 된 용기 내부에 볼(16)이 수용된 것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볼(16)은 차체의 기울기가 발생하면 중력의 작용으로 굴러서 어느 한쪽 리드 스위치(15a)(15b)로 근접하여 이를 스위칭 시키게 된다.
상기 록커(13)는 평상시에 4개의 다리(1)마다 형성된 구멍(17)을 관통하여 상기 시트(12)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준다. 도 2는 상기 록커(13)에 의해 시트(12)가 4개의 다리(1)와 연결된 상태를 저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소정 개소에 배치된 록커(13)는 각각 대응하는 다리(1)를 관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시트(12)는 이 상태에서 전혀 요동됨이 없이 안정되게 고정된다. 또 상기 록커(13)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록킹 로드(18)가 그 내측단이 스프링(19)으로 탄지되어 있고, 또 그 외주에는 아마추어(20)가 배치되어서 자력으로 상기 록킹 로드(18)를 흡착시켜 퇴입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든 록커(13)의 아마추어(20)가 통전되면 록킹 로드(18)가 대응하는 다리(1)의 구멍(17)으로 부터 이탈되어서 상기 시트(12)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단지 수평 유지바(4)에만 의지된 채로 지주(5)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시트 프레임(2)의 상단에 놓여진 아암 레스트(3)는 그 시트 프레임(2)을 관통하여 연장된 가이더(21)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가이더(21)는 각각 시트 프레임(2)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좌측 승강 아마추어(22a)와 우측 승강 아마추어(22b)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블록도에 따라 제어된다. 차량이 선회 주행을 시작하여 레벨링 센서(14)의 볼(16)이 어느 한쪽 끝으로 굴러 위치 이동하게 되면, 양 리드 스위치(15a)(15b) 중에서 상기 볼(16)과 조우하게 되는 것이 통전되어 신호를 전자 제어장치(ECU)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즉시로, 제 1 스위칭 소자(SW1)를 턴-온 시켜서 모든 록커(13)를 작동시킨다. 록커(13)의 작동은 아마추어(20)의 통전을 의미하고, 이것에 의해 록킹 로드(18)는 자력의 영향으로 스프링(19)에 저항하면서 퇴입되고, 그 결과로 모든 록커(13)가 해제되어 상기 시트(12)는 지주(5)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곧이어 제 2 스위칭 소자(SW2a-2d) 중의 하나를 턴-온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a-2d)는 실제에 있어서 양 시트 프레임(2)의 내측에 설치된 균형 솔레노이드(11a)(11b)(11c)(11d)에 하나씩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a-2d)는 전자 제어장치(ECU)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2개의 리드 스위치(15a)(15b)에 각각 쌍을 이루어 배속되고, 쌍을 이루어 작동된다. 즉, 상기 리드 스위치(15a)가 통전되었을 때 차체는 도 1의 좌측방으로 쏠린 상태이므로 제 2 스위칭 소자(SW2b)(SW2c)가 각각 통전되어 균형 솔레노이드(11b)(11c)의 여자를 초래하고, 반대로 리드 스위치(15b)가 통전되었을때는 차체가 도 1의 우측방으로 쏠린 상태이므로 제 2 스위칭 소자(SW2a)(SW2d)가 각각 통전되어 균형 솔레노이드(11a)(11d)의 여자를 초래하여 시트(12)에서 차체가 쏠리는 방향의 측변을 상향시킴과 동시에 반대측변은 하향시켜서 상기 시트(12)는 차체의 쏠림에 관계없이 거의 그대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나타나는 즉시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다시 제 3 스위칭 소자(SW3a) (SW3b) 중의 하나를 턴-온 시키게 되는데, 여기서도 2개의 제 3 스위칭 소자(SW3a) (SW3b)는 각각 좌측 승강 아마추어(22a)와 우측 승강 아마추어(22b)를 통전 여자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차체가 쏠리는 방향, 즉 상기의 경우에는 좌측 승강 아마추어(22a)를 통전 여자시켜서 해당 아암 레스트(3)는 해당 가이더(21)의 상승 이동에 수반하여 해당 시트 프레임(2)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암 레스트(3)의 상승은 시트(12)에 착석한 승객의 무게 중심이 흩어져 넘어지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자 제어장치(ECU)의 제어 흐름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차적으로 제어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작용은 통상의 타이머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차량의 기울기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 리드 스위치(15a)(15b)는 모두 로우 신호를 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 제어장치(ECU)는 균형 솔레노이드(11a) (11b)(11c)(11d)와 승강 솔레노이드(22a)(22b), 그리고 아마추어(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주게 되고, 그 결과로 상기 수직아암(6)의 양단부에 상하로 배치된 탄성 스프링(9a)(9b)이 바로 균형을 이루게 작용하여 시트(12)의 록커(13)는 다시 각 다리(1)의 구멍(17)에 일치하고, 스프링(19)의 작용으로 재차 록킹이 이루어져 원래의 상태로 환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가 더 부가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예로서, 시트 프레임(12)을 차체 쏠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여서 승객의 보호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게 할 수 있고, 또 아암 레스트(3)의 승강도 다른 매커니즘에 의존하여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상기와 같이 변형 가능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양 시트 프레임(2)은 그 하측 양단이 다리(1)의 상방을 가로질러 설치된 받침대(23)에 축(24)을 개재하여 힌지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 프레임(2)의 윤곽을 따라 각각 골조(25a)(2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골조(25a)(25b)는 하측방을 가로질러 연장될 때 마주치는 균형 수단(7)을 우회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그 도중에는 각각 모터(26a)(26b)로 구동되는 피니언(27a)(27b)이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프레임(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아암 레스트(3)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더(21) 중의 하나는 양 시트 프레임(2)에 각각 설치된 실린더(28a)(28b)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그 끝부분에는 피스톤(29a)(29b)이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가이더(21)는 단순히 시트 프레임(2)의 내부에 설치된 중공관체(30)를 관통하여 자유로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28a)(28b)는 실제에 있어서 복동 실린더로 작용한다. 즉, 양단에 공압 라인(31a)(31b)(31c)(31d)이 각각 접속 연통되어 있고, 이 공압라인(31a)(31b)(31c)(31d)에는 엔진의 서지 탱크(32)에서 발생되는 부압이 파일러트 밸브(33a)(33b)를 경유하여 인가된다. 상기 파일러트 밸브(33a)(33b)는 3개의 포트(P1)(P2)(P3)중 인접한 2개의 포트만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체(34a)(34b)에 이격된 2개의 피스톤 부재를 형성하여 주어, 상기 밸브체(34a)(34b)가 솔레노이드(35a)(35b)의 자력에 의해 전후로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미케니컬 밸브이다.
또, 상기 서지 탱크(32)로부터 발생되는 부압이 안정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포트(P2)로 접속되는 공압 라인(36a)(36b)의 도중에는 체크 밸브(37a)(37b)를 개재하여 진공 탱크(38)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도 7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균형 수단(7)의 균형 솔레노이드(11a)(11b) (11c)(11d)는 각각 수직 아암(6)의 상 하단에 탄성 스프링(9a)(9b)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한 블록도와 같이 제어된다. 차량이 선회 주행을 시작하여 레벨링 센서(14)의 볼(16)이 어느 한쪽 끝으로 굴러 위치 이동하게 되면, 양 리드 스위치(15a)(15b) 중에서 상기 볼(16)과 조우하게 되는 것이 통전되어 신호를 전자 제어장치(ECU)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즉시로, 제 1 스위칭 소자(SW1)를 턴-온 시켜서 모든 록커(13)를 작동하여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시트(12)는 지주(5)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곧이어 제 2 스위칭 소자(SW2a-2d) 중의 하나를 턴-온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a-2d)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양 시트 프레임(2)의 내측에 설치된 균형 솔레노이드(11a)(11b)(11c)(11d)에 하나씩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SW2a-2d)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2개의 리드 스위치(15a)(15b)에 각각 쌍을 이루어 배속되고, 쌍을 이루어 작동된다.
따라서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상기 시트(12)의 수평 조절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작용이 나타나는 즉시로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다시 제 3 스위칭 소자(SW3a)(SW3b) 중의 하나를 턴-온 시키게 되는데, 이 제 3 스위칭 소자(SW3a)(SW3b)는 각각 모터(26a)(26b)를 구동시키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차체가 쏠리는 방향, 즉 상기의 경우에는 좌측 모터(26a)를 작동시켜서 해당 시트 프레임(2)이 차체의 쏠림 방향에 반대로 약간 경사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 제어장치(ECU)는 제 4 스위칭소자(SW4)를 턴-온 시켜서 파일러트 밸브(33a)(33b)를 선택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지 탱크(32) 혹은 진공 탱크(38)의 부압이 공압 라인(31a)((31b)(31c)(31d)을 통해 상기 시트 프레임(2)의 내측 실린더(28a)(28b), 상기의 경우에는 실린더(28a)로 인가되어 피스톤(29a)이 상승되게 작용한다. 그 결과로 해당 아암 레스트(3)는 해당 피스톤(29a)의 상승 이동에 수반하여 해당 시트 프레임(2)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아암 레스트(3)의 상승을 엔진의 부압으로 신속하게 촉발함과 동시에 시트 프레임(2)도 차체의 쏠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경사 위치하는 작용을 행한다.
그리고 차량의 기울기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든 작동 구성부가 원래의 위치로 환원되며, 이때 모터(26a)(26b) 중에서 회전 구동된 것은 동일한 횟수로 역방향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26a)(26b)의 회전은 펄스 제너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ECU)가 계수하고, 이를 토대로 설정된 횟수만큼 회전되게 제어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무게 중심이 높게 위치하는 버스 등의 승합차량이 선회 주행할 때에 나타나는 원심력의 현상으로 승객의 안전도가 저하되는 것을 시트의 자동 수평 조절과 아암 레스트의 상승, 그리고 더 나아가 시트 프레임의 경사 작동으로 승객이 신체 중심을 잃지 않게 방지하여 주는 것이므로 승객 우선의 안전도 향상 문제를 해결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9)

  1. 다리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높이 보상수단을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아암 레스트;
    중앙부가 지주에 의해 힌지 고정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를 균형있게 지지하는 시트 수평 유지바;
    상기 수평 유지바 상방에 일체로 고정되는 시트;
    차량의 쏠림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레벨링 센서 및 리드 스위치;
    상기 수평 유지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아암이 상하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균형수단; 그리고,
    시트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의 좌우 양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록커;
    상기 레벨링 센서 양측에 각기 배치되는 리드 스위치의 접점방향에 따라 상기 균형수단 및 아암 레스트 높이 보상수단을 각기 제어하게 되는 전자 제어장치; 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레스트는, 시트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절곡된 가이더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가이더는 시트 프레임 내측에 고정되는 승강 아마추어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아암 레스트의 높이를 보상하게 되는 상기 높이 보상수단이, 시트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승강 솔레노이드로서, 솔레노이드를 관통하는 가이더의 선단에 피스톤을 탄설하여 상기 승강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아암 레스트가 상승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센서는, 원호상의 통로를 가진 용기체 내부에 금속제 볼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용기체의 양단에는 한쌍의 리드 스위치를 배치하여 상기 볼의 접근에 의해 스위칭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수단은, 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수직 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관체와, 시트 하측방을 지지하는 수평 유지바의 양단부와 연결된체 관체의 수직 홈부를 따라 끼워지는 수직 아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아암의 상하부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상하측의 균형 솔레노이드와 대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외부로 돌출된 록킹 로드와, 그 내측단에 탄지되는 스프링, 그리고 외주에 배치되어 자력으로 상기 록킹 로드를 흡착되게 하는 아마추어로 구성하여 스프링으로 탄지된 록킹 로드가 아마추어의 자력에 의해 전후 연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7. 제 1항, 2항, 3항, 또는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윤곽을 따라 연장되는 골조를 보유하며 상기 골조의 하측방에 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이 시트의 내측방으로 일정각 경사지게 변화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레스트는, 파일러트 밸브 구동에 의해 엔진 부압을 인가 받게 되는 복동식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절곡된 가이더로 구성되며, 엔진 부압에 의해 피스톤을 상승시켜 아암 레스트가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러트 밸브는, 3개의 포트중 인접한 2개의 포트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체에 이격된 2개의 피스톤 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체가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해 전후로 연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KR1019960071817A 1996-12-24 1996-12-24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KR100263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17A KR100263126B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17A KR100263126B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792A KR19980052792A (ko) 1998-09-25
KR100263126B1 true KR100263126B1 (ko) 2000-08-01

Family

ID=1949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817A KR100263126B1 (ko) 1996-12-24 1996-12-24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1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47A (ko) * 2001-11-06 2003-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균형유지 시스템
KR100494614B1 (ko) * 2002-11-16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좌석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78A (ko) * 2001-03-31 2002-10-11 현진환 자동차의 코너링시 원심력에 의한 인체쏠림 방지장치
CN108528291B (zh) * 2018-04-25 2021-05-18 榫卯科技服务(温州)有限公司 一种汽车用儿童保护装置
CN109131611A (zh) * 2018-07-13 2019-01-04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一种自平衡行走装置及平衡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47A (ko) * 2001-11-06 2003-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균형유지 시스템
KR100494614B1 (ko) * 2002-11-16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좌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792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32B1 (ko) 공기식 현가시스템의 차체높이 다중 조절장치
SE459077B (sv) Fordonssaete med ett lutningsstaellbart ryggstoed
EP0366364A2 (en) Seat positioning mechanism
KR100263126B1 (ko)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US5791860A (en) Hydraulic platform lift for a truck tailgate
KR101969843B1 (ko)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KR20020009241A (ko) 중량물의 정비를 위한 작업대
SE510638C2 (sv) Luftfjädring
KR100273801B1 (ko)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JPH08208200A (ja) 昇降ブリッジ
KR100273800B1 (ko) 차량용 시트 균형 유지 시스템
JPH09202164A (ja) 自動車用シートの状態調節装置
US5992933A (en) Tiltable seat mount insert assembly
US20020136624A1 (en) Lift device with variable speed actuation
JP2021133812A (ja) 車両用シート
JPH0531139A (ja) 救急自動車におけるストレツチヤーの防振装置
JP3062365B2 (ja) 作業車
JP2002241087A (ja) 昇降装置
KR100199489B1 (ko) 시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JP4696425B2 (ja) 作業車の穀粒貯留排出装置
JP2007045192A (ja) 貨物搬送車
JP3362950B2 (ja) 車両用キャブ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S6327014Y2 (ko)
KR19980060311A (ko) 홈을 이용한 시트 균형 장치
JPH07108147B2 (ja) コンバイン等の車体水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