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479B1 - 직류콘버터장치 - Google Patents

직류콘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479B1
KR100262479B1 KR1019960002523A KR19960002523A KR100262479B1 KR 100262479 B1 KR100262479 B1 KR 100262479B1 KR 1019960002523 A KR1019960002523 A KR 1019960002523A KR 19960002523 A KR19960002523 A KR 19960002523A KR 100262479 B1 KR100262479 B1 KR 10026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hoke coil
circuit
series
rec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861A (ko
Inventor
히로시 우스이
Original Assignee
고타니 고이치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타니 고이치,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타니 고이치
Publication of KR96003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series, e.g. for multiplication of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7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by adding an auxiliary output voltage in series to the in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MOS-FET(5)의 온·오프동작에 의하여 단속된 전류가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흘러서 제 2의 권선(10b)에 전압이 유기되고, 다이오드브리지(2)의 정류출력전압과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유기전압과의 합의 전압이 평활콘덴서(3)에 인가된다. 이에 의하여 교류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의 권선(10a, 10b)을 가지는 쵸크코일(10)을 추가한 정도의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입력 역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쵸크코일(10)의 고주파로 사용하므로, 인덕턴스가 작고, 소형이며 또한 경량인 것도 좋다. 따라서 직류콘버터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직류콘버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전기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의 교류입력전압 VIN및 교류입력전압 IIN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3도는 제1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4도는 제1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다른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5도는 제3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전기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2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전기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3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전기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4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전기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1도는 제9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다른 변경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를 하프브리지형 콘버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를 센터탭형 콘버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를 공진형 콘버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5도는 제3도의 회로와 동일한 변경을 한 공진형 콘버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6도는 제15도의 회로의 교류입력전압 VIN및 교류입력전류 IIN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17도는 제9도의 회로와 동일한 변경을 한 공진형 콘버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8도는 제1도의 회로의 다이오드브리지를 고속다이오드브리지로 변경한 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19도는 제3도의 회로의 제 1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20도는 제3도의 회로의 제 2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21도는 제3도의 회로의 제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22도는 직류콘버터장치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전기회로도.
제23도는 제22도의 회로의 교류입력전압 VIN및 교류입력전류 IIN을 도시하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 : 교류전원 1 : 필터회로
2 : 다이오드브리지(정류회로) 3 : 평활콘덴서
4 : 트랜스 4a : 1차권선
4b : 2차권선 5 : MOS-FET(스위칭소자)
6 : 정류다이오드 7 : 출력콘덴서
8, 9 : 출력단자 10 : 쵸크코일
10a : 제 1의 권선 10b : 제 2의 권선
10c : 제 3의 권선 11, 13 : 다이오드(정류소자)
12 : 콘덴서 14 : 다이오드
15 : 평활리엑터 16, 17 : 다이오드(타정류소자)
18 : 전환스위치(전환수단)
19, 20 : 제 1, 제 2의 MOS-FET(제 1, 제 2 스위칭 소자)
21, 22 : 제 1,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
23 : 제 1의 쵸크코일 23a : 제 1의 권선
23b : 제 2의 권선 24 : 제 2의 쵸크코일
25, 26 : 다이오드
31, 32 : 제 1, 제 2의 전압 공진용 콘덴서
33 : 전류 공진용 콘덴서
본 발명은, 직류콘버터장치, 특히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교류입력의 역율을 개선한 직류콘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 교류전원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콘버터장치는, 종래부터 전자기기 및 전기기기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2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직류콘버터장치는, 상용 교류전원(0)과, 상용교류전원(0)에 필터회로(1)를 통해서 접속된 정류회로로서의 다이오드브리지(2)와,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3)와, 제 1 및 제 2의 권선(4a, 4b)을 가지는 트랜스(4)와, 평활콘덴서(3)의 양단에 접속된 트랜스(4)의 1차 권선(4a) 및 스위칭 소자로서의 MOS-FET(5)와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있다. 제22도의 직류콘버터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용교류전원(0)으로부터의 교류입력은, 필터회로(1)를 통해서 다이오드브리지(2)에 의하여 전파정류된다. 다이오드브리지(2)로부터의 전파정류출력은 평활콘덴서(3)에 의하여 평활하게 되고, 리플성분을 포함하는 대략 직류인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은 트랜스(4)의 1차 권선(4a) 및 MOS-FET(5)로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에 인가된다. 이때, MOS-FET(5)의 게이트단자에 제어신호 VG를 부여하여 MOS-FET(5)를 온·오프시키므로써,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이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단속적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2차권선(4b)에 유기된다. 트랜스(4)의 2차권선(4b)에 유기된 전압은, 정류다이오드(6) 및 출력콘덴서(7)로서 이루어지는 정류평활회로에 의하여 정류 평활화 되고, 출력단자(8, 9)사이에 전류출력이 발생한다.
그런데, 제22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용교류전원(0), 필터회로(1), 다이오드브리지(2) 및 평활콘덴서(3)에 의하여 형성되는 콘버터 입력부가, 이른바 콘덴서입력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2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류입력전류 IIN이 제23a도에 도시하는 교류입력전압 VIN의 최대치 부근에서 밖에서 흐르지 않고, 펄스 형상의 교류입력 전류파형이 된다. 따라서, 교류입력의 역율이 0.5∼0.6 정도로 낮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교류입력의 역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정류회로에 충분히 인덕턴스가 큰 쵸크코일을 삽입하면 되나, 쵸크코일이 대형이며 또한 중량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또, 최근에는 역율 개선용의 전치 콘버터를 설치하여 전자적으로 역율을 개선하는 액티브 콘버터 방식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방식은 부품개수도 많고, 대형화, 고가격화, 상호간섭등의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소한 회로 구성으로 교류입력의 역율을 개선가능함과 동시에, 소형이며 또한 경량인 직류콘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정류소자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다른 정류소자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과,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를 갖추고, 직렬로 접속된 상기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콘덴서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청구의 범위 제8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과,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정류소자를 갖추며, 직렬로 접속된 상기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9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며,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과 상기 정류평활회로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질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교류전원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전환수단과,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양단에 직렬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 및 스위칭소자와, 제 1 ∼ 제 3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상기 제 1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상기 제 2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3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4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5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6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전환수단과의 사이에 제 1의 콘덴서가 접속되고, 상기 전환수단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2의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17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그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 권선을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 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하여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2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18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19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제 1의 1차 권선 및 제 1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제 2의 1차권선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제 1의 1차권선 및 상기 제 1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제 2의 1차권선 및 상기 제 2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0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1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그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전류공진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공진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전압 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과, 제 1의 방향의 전류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제 1의 정류소자와, 제 2의 방향의 전류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제 2의 정류소자를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가,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2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23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 및 전류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4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2의 스위칭소자의 각각과 병렬로 제 1 및 제 2의 전압공진용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5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 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6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제27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교류전원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전환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 및 전류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서 상기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 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하여 직류출력을 꺼낸다. 이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제 1 ∼ 제 3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상기 제 1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상기 제 2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8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 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각각과 병렬로 제 1 및 제 2의 전압공진용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29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청구의 범위 제30항에 관한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에서는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동작에 의하여 단속된 전류가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에 흐름과 동시에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에 전압이 유기된다. 이 때에 평활콘덴서에 인가되는 전압은, 정류회로의 정류출력전압에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중첩시킨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정류회로의 정류출력전압이 평활콘덴서의 전압보다도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에 유기된 전압에 의하여 평활콘덴서에 충전전류가 흐르므로 교류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를 충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교류입력 전류파형이 정현파에 가까운 형상이 되므로,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추가한 정도의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직류콘버터장치의 교류입력 역율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쵸크코일은 교류전원의 주파수 보다 매우 높은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로 사용하므로 인덕턴스가 작은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소형이며 또한 경량인 쵸크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콘버터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류콘버터장치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 설명한다. 단, 이들 도면에서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하는 곳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직류콘버터 장치는 제1도와 같이 제 1의 권선(10a) 및 제 2의 권선(10b)을 가지는 쵸크코일(10)과,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을 가지는 쵸크코일(10)가,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와, 직렬로 접속되는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11)를 제18도의 직류콘버터 장치에 추가한 것이다.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은 평활콘덴서(3)와, 트랜스(4) 1차 권선(4a)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은 다이오드브리지(2)의 플러스측의 출력라인, 즉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다이오드(11)의 애노드전극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18도의 직류콘버터장치와 동일하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용 교류전원 0으로 부터의 교류입력은 필터회로(1)를 통해서 다이오드브리지(2)에 의하여 전파(全波)정류된다.
다이오드브리지(2)로 부터의 전파정류출력은,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에 인가되고, 평활콘덴서(3)가 충전된다. MOS-FET(5)의 게이트 단자에 제어신호 VG를 부여하여 MOS-FET(5)를 온·오프 동작시키면,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이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 및 트랜스(4)의 일차권선(4a)에 단속적으로 인가되고, MOS-FET(5)가 온 상태로 부터 오프상태로 될 때에 2차권선(4b)에 전압이 유기된다. 트랜스(4)의 2차 권선(4b)의 유기전압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류는, 정류다이오드(6) 및 출력콘덴서(7)로 이루어지는 정류평활회로에 의하여 정류평활화되고, 출력단자(8, 9) 사이에 직류출력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단속적으로 전류가 흘러서 제 2의 권선(10b)에 교류전압이 유기된다. 쵸크코일(10)의 권선(10b)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11)에 의하여 정류되어서 평활콘덴서(3)에 인가되고, 평활콘덴서(3)가 충전된다. 따라서, 이 때에 평활콘덴서(3)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 출력전압에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된 전압을 중첩시킨 것이 된다. 여기에서, MOS-FET(5)의 제어신호 VG의 주파수는 상용 교류전원(0)의 상용주파수(50∼60Hz)보다 매우 높으므로(100k∼200kHz),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되는 전압은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으로부터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출력전압을 뺀 전압보다도 커진다. 이 때문에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 출력전압이 평활콘덴서(3) 양단의 전압보다도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하여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하여, 상용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를 충전할 수가 있다. 이 때의 교류 입력전압 VIN및 교류입력전류 IIN의 각 파형을 제2a도 및 제2b도에 각각 도시한다.
제1도의 직류콘버터 장치에서는, 제2b도와 같이 교류입력전류 IIN의 파형이 제2a도에 도시하는 교류입력전압(VIN)의 정현파형에 가까워지므로,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또, 쵸크코일(10)은, 100k∼200kHz정도의 고주파로 사용하므로, 인덕턴스가 작은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소형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쵸크코일을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소형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직류콘버터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직류콘버터장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에는, 제1도의 회로에서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의 접속점과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 및 평활콘덴서(3)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1b)를 접속한 것이다. 제1도의 회로에서는, MOS-FET(5)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되는 전압이 평활콘덴서(3)의 전압에 중첩되어서 다이오드(11)에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다이오드(11)에는 큰 내압(耐壓)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제3도의 회로에서는 MOS-FET(5)가 온 상태로 될 때에 다이오드(11)에 인가되는 역방향의 써지전압을 다이오드(16)에 의하여 바이패스시킬 수가 있어, 다이오드(11)에 내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4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는, 제1도의 회로에서 다이오드(11) 및 평활콘덴서(3)의 접속점과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한쪽 및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로서의 다이오드(17)를 접속한 것이다. 제1도의 회로에서는, 상용교류전원(0)의 투입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매우 큰 전압이 유기된다. 이 때문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의 유기전압에 기인하는 평활콘덴서(3)에 대한 돌입전류가 MOS-FET(5)에 내장된 다이오드에 흘러서 MOS-FET(5)가 파괴될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4도의 회로에서는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출력 전압에 의한 전류도 다이오드(17)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에 흐르므로, 돌입전류에 의한 MOS-FET(5)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5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버터 장치는, 제3도의 회로에서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한쪽 및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접속점과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 및 다이오드(16)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34)를 접속한 것이다. 여기에서, 평활콘덴서(3)의 양단전압을 VC1, 트랜스(4)의 1차 및 2차 권선(4a, 4b)의 각각의 감는 수를 P1, S1, 쵸크코일(10)의 제 1 및 제 2의 권선(10a, 10b)의 각각의 감는 수를 N1, N2, 출력단자(8, 9) 사이의 직류출력전압을 VOUT로 하면, 제3도의 회로에서의 MOS-FET(5)의 드레인 소스단자 사이의 전압 VDS의 최대치는 (1)식에 표시하는 값이 된다.
이에 대하여, 제5도의 회로에서의 콘덴서(34)의 양단전압 VC2의 최소치는,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의 인덕턴스를 LN1, 트랜스(4)의 1차권선(4a)의 인덕턴스를 LP1으로하면, (2)식에 도시하는 값이 된다.
고로, 제5도의 회로에서의 MOS-FET(5)의 드레인소스 단자간의 전압 VDS의 최대치는(3)시가에 도시하는 값이 된다.
따라서, 제5도의 회로에서는 MOS-FET(5)의 드레인 소스단자간의 전압 VDS의 최대치가 (3)식과 같이 (N1/N2)·VC2분만큼 경감되므로, 제3도의 회로에 비하여 내압이 낮은 MOS-FET(5)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도에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의 제 1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제1도 실시예의 회로에 있어서,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이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제6도의 실시예의 회로에서는 직렬로 접속된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 및 콘덴서(12)를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제6도의 회로의 동작은, MOS-FET(5)가 온상태일 때,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전류가 흐름과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통해서 콘덴서(12)가 충전된다. 그 후, MOS-FET(5)가 오프상태로 되면, 콘덴서(12)가 방전하여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전류가 흐르고, 제 2의 권선(10b)에 전압이 유기되어서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가 흐름다. 이에 의하여, 다이오드브리지(2)로부터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로 흐르는 충전전류의 급격한 증가가 콘덴서(12)의 방전에 의하여 억제되므로, 평활콘덴서(3)로의 충전전류가 서서히 흐른다. 따라서, 제6도의 회로에 있어서도 제1도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상용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를 충전할 수가 있으므로,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또, 제6도의 회로에서 콘덴서(12)의 전압은 평활콘덴서(3)의 충전전류에 좌우되므로, 입력전압의 변화에 대하여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의 인가전압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제6도의 회로에서는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유기전압을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제7도에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의 제2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제6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회로는, 제5도의 회로에서의 콘덴서(12)를 다이오드(13)로 대치한 것이다. 제7도의 회로의 동작은, MOS-FET(5)가 온 상태일 때,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전류가 흐름과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 및 다이오드(13)에 전류가 흐른다. 그 후, MOS-FET(5)가 오프상태로 되면,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흐르고 있던 전류가 차단되어서 제 2의 권선(10b)에 전압이 유기되고,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하여,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출력전압이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보다도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하여 평활콘덴서(3)에 충전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제7도의 회로에 있어서도, 제1도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상공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를 충전할 수가 있으므로,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제8도에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의 제 3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제8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회로는 제1도의 회로에서, 트랜스(4)의 2차권선(4b)의 감는 방향을 반대로 하고, 정류다이오드(6) 및 출력콘덴서(7)로 구성된 정류평활회로에 다이오드(14) 및 평활리액터(15)를 추가해서 플라이백형으로부터 포워드형의 콘버터로 변경하여,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의 접속위치를 트랜스(4)의 2차권선(4b)과 정류다이오드(6)와의 사이로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제8도의 회로동작은 MOS-FET(5)가 온 상태로 되면,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전류가 흘러서 2차권선(4b)에 전압이 유기되고,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전류가 흐른다. 이와 동시에, 트랜스(4)의 2차권선(4b)의 유기전압은,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거쳐 정류다이오드(6)에 의하여 정류되고, 평활리액터(15) 및 출력콘덴서(7)에 의하여 평활화 되어서 출력단자(8, 9)사이에 직류출력이 발생한다. 또, 다이오드(14)는 평활리액터(15)에 축적된 에너지를 방출시킨다. 그후, MOS-FET(5)가 오프상태로되면,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됨과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서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통해서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하여,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출력전압이 평활콘덴서(3)의 양단의 전압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용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를 흘릴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제8도에 도시하는 포워드형의 콘버터에 있어서도 제1도에 도시하는 플라이백 형의 콘버터와 마찬가지로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제9도에 본 발명의 직류콘버터장치의 제 4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제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회로는,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의 평활콘덴서(3)를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로 분할하고,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의 접속점과 다이오드브리지(2)의 입력단자와의 사이에 전환수단으로서의 전환스위치(18)를 접속하고,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를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제 1의 평활콘덴서(3a)와의 사이에 접속하며, 쵸크코일(10)의 제 1 및 제 2의 권선(10a, 10b)에 전자결합된 제 3의 권선(10c)을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제 2의 평활콘덴서(3b)와의 사이에 접속하고,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와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로서의 제 1의 다이오드(11a)를 접속하며, 쵸크코일(10)의 제 3의 권선(10c)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로서의 제 2의 다이오드(11b)를 접속하고,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제 1의 다이오드(11a)의 접속점과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3의 정류소자로서의 제 3의 다이오드(16a)를 접속하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의 접속점과 쵸크코일(10)의 제 3의 권선(10c) 및 제 2의 다이오드(11b)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4의 정류소자로서의 제 4의 다이오드(16b)를 접속한 것이다. 제9도의 회로에서는, 예를 들어 상용교류전원(0)의 전합이 100V계일 때에 전환스위치(18)를 폐쇄회로상태로 하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제 1 과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가 배전압 정류회로로서 동작하며, 상용교류전원(0)의 전압이 200V계일 때에 전환스위치(18)를 개방회로 상태로 하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제 1 과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가 통상적으로 콘덴서 입력형 브리지정류회로로서 동작 한다.
기타의 동작은 제1도의 동작과 대략 같다. 이 때문에, MOS-FET(5)가 오프상태로 될 때에, 쵸크코일(10)의 제 2 및 제 3의 권선(10b, 10c)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용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에 충전전류를 흘릴 수가 있다. 따라서, 제9도의 회로에 있어서도 제1도의 회로와 같이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또한, 제9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덴서장치는 전환스위치(18)의 전환에 의하여, 100V계 입력 및 200계 입력중 어느것으로도 동작시킬 수가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0도와 같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접속점과 다이오드브리지(2) 및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34)를 접속한 경우는, 제5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내압이 낮은 MOS-FET(5)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11도와 같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의 접속점과 전환스위치(18)와의 사이에 제 1의 콘덴서(34a)를 접속하고, 전환스위치(18)와 다이오드브리지(2) 및 쵸크코일(10)의 제 3의 권선(10c)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2의 콘덴서(34b)를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10도의 경우와 대략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은 하프브리지형, 센터탭형 및 공진형등의 다른 직류콘버터장치에도 적용된다. 제12∼제14도는, 본 발명을 각각 하프브리지형, 센터탭형 및 공진형의 콘버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2∼제14도에 있어서, 6a, 6b는 정류다이오드, 19, 20은 제 1, 제 2의 스위칭소자로서의 제 1, 제 2의 MOS-FET, 21, 22는 제 1,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 23, 24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 23a, 23b는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 제 2의 권선, 24a, 24b는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 제 2의 권선, 25∼28은 다이오드, 29, 30은 제 1, 제 2의 전류공진용 콘덴서, 31, 32는 제 1, 제 2의 전압 공진용 콘덴서를 도시하며, 제13도에서, 4a, 4c는 제 1, 제 2의 1차권선을 도시한다.
또, 평활콘덴서(3)의 양단에 직렬로 제 1 및 제 2의 MOS-FET(19, 20)를 접속하고, 제 1 및 제 2의 MSO-FET(19, 20)의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트랜스(4)의 1차권선(4a) 및 전류공진용 콘덴서(33)를 접속하고, 제 1 및 제 2의 MSO-FET(19, 20)의 각각과 병렬로 제 1 및 제 2의 전압공진용 콘덴서(31, 32)를 접속하며, 트랜스(4)의 2차권선(4b)에 정류다이오드(6a, 6b) 및 출력콘덴서(7)로서 이루어지는 정류평활회로를 접속하여 구성된 공진형 콘버터에 대하여 제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대략 같은 변경을 행한 경우의 실시예를 제15도에 도시한다.
제15도의 회로의 동작은, 제 1 및 제 2의 MSO-FET(19, 20)를 교대로 온·오프동작시키면, 트랜스(4)내의 누설 인덕턴스와 전류 공진용 콘덴서(33)와의 공진작용에 의하여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정현파형상의 공진전류가 흐른다. 제 1 및 제 2의 MSO-FET(19, 20)의 턴오프시에는,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 제 1 및 제 2의 전압 공진용 콘덴서(31, 32)가 전압공진하여, 제 1 및 제 2의 MOS-FET(19, 20)의 양단에 정현파형상의 공진전압이 발생한다. 트랜스(4)의 1차권선(4a)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2차권선(4b)에 전압이 유기되고, 이 유기전압은 정류다이오드(6a, 6b) 및 출력콘덴서(7)로서 이루어지는 정류평활화회로에 의하여 정류 평활화되어서 출력(10)의 제 1의 권선(10a)에 단속적으로 전류가 흘러서 제 2의 권선(10b)에 교류전압이 유기된다.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된 교류전압은 다이오드(11)에 의하여 정류되어서 평활콘덴서(3)에 인가되고, 평활콘덴서(3)가 충전된다.
따라서, 이 때에, 평활콘덴서(3)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이오드브리지(2)의 전파정류출력전압에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에 유기된 전압을 중첩시킨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제15도의 회로에 있어서도 사용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평활콘덴서(3)에 충전전류를 흘릴 수가 있고, 제16b도와 같이 교류 입력 전류 IIN의 파형이 제16a도에 나타낸 교류입력전압 VIN의 정현파형에 가까우므로, 제1도의 회로와 같이 교류입력의 역률이 개선된다. 또, 제 1의 MOS-FET(19)가 온 상태로 될 때에 다이오드(11)에 인가되는 역 방향의 서지전압이 다이오드(16)에 의하여 바이패스되므로, 제3도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다이오드(11)에 내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5도의 회로에 있어서 제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대략 같은 변경을 한 경우의 실시예를 제17도에 도시한다. 제17도의 회로에서는 제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가령 상용교류전원(0)의 전압이 100V계 일 때에 전환스위치(18)를 폐쇄회로상태로 하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제 1과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가 배전압 정류회로로서 동작하며, 상용교류전원(0)의 전압이 200V계 일때에 전환스위치(18)를 개방회로상태로 하면, 다이오드브리지(2) 및 제 1과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가 통상적인 콘덴서 입력형 브리지정류회로로서 동작한다. 그외의 동작은 제15도의 회로의 동작과 대략 같다. 이 때문에, 쵸크코일(10)의 제 2 및 제 3의 권선(10b, 10c)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용 주파수의 1주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3a, 3b)에 충전전류를 흘릴수가 있다. 따라서, 제17도의 회로에 있어서도 제15도의 회로와 같은 교류입력의 역율이 개선된다. 또한, 제17도에 도시하는 직류콘버터장치는 제9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환스위치(18)를 상용교류전원(0)의 전압에 따라서 전환하므로서, 100V계 입력 및 200계 입력중의 어느것으로도 동작시킬수가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제6도∼제17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10, 23, 24)을 추가한 정도의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교류입력의 역율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제6∼제17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의 쵸크코일(10, 23, 24)은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인덕턴스가 작아도 좋으므로, 소형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쵸크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소형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직류콘버터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상기의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도, 제6도∼제9도, 제12도∼제15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오드브리지(2)를 고속 다이오드로 구성한 경우에는 다이오드(11, 11a, 11b, 25, 26)를 생략할 수가 있다. 제9도, 제15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다이오드(16, 16a, 16b)도 생략할 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브리지(2)를 고속다이오드로 구성하여 다이오드(11)를 생략한 예를 제18도에 도시한다. 또, 제6도∼제8도 및 제12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 제3도 또는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다이오드 16 또는 다이오드 17을 추가하여 제3도 또는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제1도, 제3도∼제5도, 제9도∼제11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평활콘덴서(3)와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MOS-FET(5)와 평활콘덴서(3)와의 사이 또는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 MOS-FET(5)와의 사이에 직렬로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 제15도 및 제17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평활콘덴서(3)와 제 1의 MOS-FET(19)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 1의 MOS-FET(19)와 제 2의 MOS-FET(20)와의 사이 또는 제 2의 MOS-FET(20)과 평활콘덴서(3)와의 사이에 직렬로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접속하여도 좋다.
또, 제1도, 제3도∼제8도, 제15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브리지(2)의 마이너스축의 출력라인, 즉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평활콘덴서(3)와의 사이에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을 접속하여도 좋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2도∼제14도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서 다이오드브리지(2)의 마이너스측의 출력라인, 즉 다이오드브리지(2)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평활콘덴서(3)와의 사이에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23, 24)의 각각 제 2의 권선(23b, 24b)을 접속하여도 좋다.
제19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다이오드브리지(2)의 마이너스측의 출력라인에 접속한 예를 나타내며, 제20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다이오드브리지(2)의 마이너스측의 출력라인에 접속함과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을 MOS-FET(5)와 평활콘덴서(3)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한 예를 도시하며 제21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쵸크코일(10)의 제 2의 권선(10b) 및 다이오드(11)를 다이오드브리지(2)의 마이너스측의 출력라인에 접속함과 동시에 쵸크코일(10)의 제 1의 권선(10a)를 트랜스(4)의 1차권선(4a)과 MOS-FET(5)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한 예를 도시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MOS-FET(5)의 게이트단자에 부여하는 제어신호 VG의 제어방식은 주파수가 일정한 PWM(펄스폭변조)제어, 주파수 가변의 PFM(펄스 주파수 변조)제어 또는 기타의 제어방식 중 어느것도 가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쵸크코일 10(23, 24)은 빈틈을 가지는 자심(磁心)에 복수의 권선이 감긴 트랜스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위칭소자로서 MOS-FET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바이폴라형 트랜지스터 복합형 FET(J-FET), SCR(역저지 3 단자 사이리스터)등 다른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추가한 정도의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교류입력의 역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역율개선용의 전치 콘버터는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회로구성이 간소하고 부품수가 적으며, 소형, 경량이고 값이 싼 직류 콘버터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역율 개선용의 전치 콘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스위칭 소자 및 전치 콘버터간의 상호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 소형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쵸크코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쵸크코일을 소형 경량화해서 직류 컨버터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저 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0)

  1.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 회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콘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이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 콘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 콘버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 콘버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다른 정류소자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가 접속된 직류 콘버터장치.
  6.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과,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를 갖추고, 직렬로 접속된 상기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콘덴서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장치.
  8.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과,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정류소자를 갖추며, 직렬로 접속된 상기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0.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와의 직렬 회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며,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과 상기 정류평활회로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2.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교류전원의 한끝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전환수단과,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양단에 직렬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 권선 및 스위칭소자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스와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하여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제 3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상기 제 1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다른 한쪽과 상기 제 2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콘덴서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의 접속점과 상기 전환수단과의 사이에 제 1의 콘덴서가 접속되고, 상기 전환수단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2의 콘덴서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7.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그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하프브리지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 권선을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 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하여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2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19.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제 1의 1차 권선 및 제 1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제 2의 1차권선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을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제 1의 1차권선 및 상기 제 1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트랜스의 제 2의 1차권선 및 상기 제 2의 스위칭소자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21.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그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전류공진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류 공진용 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전압 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권선의 각각을 가지는 제 1 및 제 2의 쵸크코일과, 제 1의 방향의 전류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제 1의 정류소자와, 제 2의 방향의 전류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제 2의 정류소자를 갖추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가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과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가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직렬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의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 콘버터장치.
  23.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평활콘덴서와 그 평활콘덴서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 및 전류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써 상기 트랜스의 2차권선으로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해서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장치에 있어서, 제 1의 권선 및 제 2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평활콘덴서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각각과 병렬로 제 1 및 제 2의 전압공진용 콘덴서가 콘덴서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정류회로 및 상기 평활콘덴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다른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27. 교류전원과, 그 교류전원에 접속된 정류회로와, 그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교류전원의 한끝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전환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트랜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 각각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상기 트랜스의 1차권선 및 전류공진용 콘덴서를 갖추고,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동작시키므로서 상기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 부터 정류평활회로를 통하여 직류출력을 꺼내는 직류콘버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제 3의 권선을 가지는 쵸크코일을 갖추고, 그 쵸크코일의 제 1의 권선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직렬회로중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한쪽과 상기 제 1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이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의 다른쪽과 상기 제 2의 평활콘덴서와의 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콘버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스위칭소자의 각각과 병렬로 제 1 및 제 2의 전압공진용 콘덴서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과 직렬로 제 1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과 직렬로 제 2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코일의 제 2의 권선 및 상기 제 1의 정류소자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3의 정류소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평활콘덴서의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상기 쵸크코일의 제 3의 권선 및 상기 제 2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제 4의 정류소자가 접속된 직류콘버터 장치.
KR1019960002523A 1995-02-02 1996-02-02 직류콘버터장치 KR100262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8895 1995-02-02
JP95-15788 1995-02-02
JP95-118615 1995-05-17
JP11861595 1995-05-17
JP7156437A JP2799410B2 (ja) 1995-02-02 1995-06-22 直流コンバータ装置
JP95-156437 199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61A KR960032861A (ko) 1996-09-17
KR100262479B1 true KR100262479B1 (ko) 2000-08-01

Family

ID=2728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523A KR100262479B1 (ko) 1995-02-02 1996-02-02 직류콘버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25475B1 (ko)
JP (1) JP2799410B2 (ko)
KR (1) KR100262479B1 (ko)
DE (1) DE696321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4728B1 (en) * 1996-11-25 200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rward converter
JP3341832B2 (ja) 1999-12-27 2002-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平滑方法
GB2378573B (en) 2001-06-20 2003-09-10 Polatis Ltd A piezoelectric actuator
DE10135599A1 (de) * 2001-07-20 2003-02-13 Thomson Brandt Gmbh Schaltnetzteil mit Powerfaktorkorrektur, sowie Spule für eine diesbezügliche Korrekturschaltung
JP3659240B2 (ja) * 2001-11-16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EP1744440A3 (en) * 2005-06-30 2009-04-15 Sony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5230182B2 (ja) * 2006-12-13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2606393B (zh) * 2011-01-25 2014-02-26 陈建华 加强系统功率设置的装置
TWI491155B (zh) * 2013-04-02 2015-07-01 Phihong Technology Co Ltd 具功因修正與低輸出漣波之單端控制整合性轉換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5627B (en) * 1982-02-20 1986-04-30 Transtar Limited Power supplies
US5113337A (en) * 1991-02-08 1992-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ower factor power supply
US5119283A (en) * 1991-06-10 1992-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ower factor, voltage-doubler rectifier
JPH0837778A (ja) * 1994-07-26 1996-02-06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8126323A (ja) * 1994-10-27 1996-05-17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2163D1 (de) 2004-05-19
JPH0937555A (ja) 1997-02-07
DE69632163T2 (de) 2005-04-14
EP0725475B1 (en) 2004-04-14
JP2799410B2 (ja) 1998-09-17
EP0725475A1 (en) 1996-08-07
KR960032861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838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86187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24259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20030052989A (ko) 스위칭 전원장치
US709562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20000035380A (ko) 스위칭 전원 회로
US6191965B1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00262479B1 (ko) 직류콘버터장치
US5640318A (en) Forward converter for off-line applications
JP340236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20060176034A1 (en) Multi-resonant dc-dc converter
US5327334A (en) Zero current switching DC-DC converter incorporating a tapped resonant inductor
JP2917857B2 (ja) 共振型コンバータ装置
WO2005053140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60101808A (ko) 풀브리지 dc-dc 컨버터
JP432945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707909B2 (ja) 一体構造化トランス、及びそのトランスを用いた電源
JP430593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S58127565A (ja) 定電圧電源装置
JPH06225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10767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7142179A (ja) 放電灯点灯装置
JPS6236467B2 (ko)
JPH08294281A (ja) 電流共振形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921532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