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994B1 -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994B1
KR100259994B1 KR1019940704204A KR19940704204A KR100259994B1 KR 100259994 B1 KR100259994 B1 KR 100259994B1 KR 1019940704204 A KR1019940704204 A KR 1019940704204A KR 19940704204 A KR19940704204 A KR 19940704204A KR 100259994 B1 KR100259994 B1 KR 10025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absorbent polymer
thermoplastic resin
superabsorbent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665A (ko
Inventor
나가따마나부
야마모또다꾸시
다께모리신이찌
하시모또나오유끼
이시까와히로끼
야마다요조
Original Assignee
하나다 쇼오지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다 쇼오지,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나다 쇼오지
Publication of KR95070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89Microcapsule with solid core [includes liposo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거나 직접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시킨 고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그의 조성은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고흡수성 수지를 섬유질 기재에 강력하게 접착시킬 수 있고, 흡수후에도 고흡수성 수지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흡수성 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질 기재 등의 기재에 고흡수성 수지를 종래보다 많은 양으로 보유시킬 수 있고, 종이 기저귀 및 생리대 등의 위생 재료 및 농원예, 식품용 등의 기타 산업자재의 흡수 재료와 같은 각종 용도에 적합한 흡수성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성이 강화된 것이며, 예컨대 각종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접착시켜서 사용한 경우, 고흡수성 수지가 흡수한 후에도 이 섬유질 기재로 부터 탈리하는 일이 없는 고흡수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배경기술]
고흡수성 수지는 자체 중량의 수십배 ~ 1,000 배의 물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을 갖는 기능성 수지이며, 그의 특성에 따라 종이 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 재료 관계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고흡수성 수지는 통상, 접착력이 없는 분말상의 것이며, 상기한 용도에 사용하는데는 이 수지를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산포하여 샌드위치 상으로 하여서 흡수성 재료를 얻고 있다. 이때, 고흡수성 수지를 기재에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수분무에 의해 이 수지를 약간 팽윤시킨 후 롤에 의한 엠보스 가공이나 프레스 건조시키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흡수성 수지의 고착방법에서는 이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점이 있다. 즉, 섬유질기재에 고흡수성 수지를 수분무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방법에서는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흡수시에 겔의 탈리가 생겨,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첨가량이 제한된다. 또 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그후 수분 제거를 위한 건조공정이 필요케 되는 동시에 제품의 촉감에도 영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을 갖고 있지 않는 고흡수성 수지에 접착성을 부여하고,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열접착 등 시켜 사용한 경우, 고흡수성 수지가 흡수한 후에도 상기 섬유질 기재로 부터 탈리되지 않는, 기재와의 접착성이 강화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직접, 또는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시킴으로써,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1)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시킨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이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 접착성 바인더 고형분 1 ~ 75 중량부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2)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시킨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이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3)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착성 바인더가 우레탄계 접착제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4)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고흡수성 수지가 평균 입경 5 ~ 1000 ㎛ 의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가 평균 입경 1 ~ 800 ㎛ 의 입상물 또는 평균지름 1 ~ 400 ㎛, 평균길이 2 ~ 1000 ㎛ 의 섬유상물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5)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5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6)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4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종이 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 재료 관계 등에 사용되는 흡수능력이 자체 중량의 수십배 ~ 1000 배인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사용가능하다. 그의 구체예를 들면,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콜 - 아크릴산염 공중합체의 가교물, 무수말레산그래프트폴리비닐알콜 가교물, 아크릴산염 - 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의 가교물, 아크릴산메틸 -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감화물의 가교물, 전분 - 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가교물, 전분 - 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감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가교물, 이소부틸렌 - 무수말레산염 공중합체의 가교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고흡수성 수지는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의 평균 입경은 통상 5 ~ 1000 ㎛, 바람직하기는 20 ~ 800 ㎛ 의 것이 사용된다. 5 ㎛ 보다 작은 미분의 것에서는 취급이 곤란하거나, 1000 ㎛ 보다 큰 입경의 것에서는 수득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섬유질 기재에 산포하는 경우,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흡수후의 균일한 팽창체를 얻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입상물 혹은 섬유상물이 사용되고, 입상물인 경우, 평균입경이 통상 1 ~ 800 ㎛, 바람직하기는 5 ~ 500 ㎛, 섬유상물인 경우, 평균지름이 통상 1 ~ 400 ㎛, 바람직하기는 5 ~ 200 ㎛, 평균길이가 통상 2 ~ 1000 ㎛, 바람직하기는 10 ~ 800 ㎛이다. 또 융점이 통상 50 ~ 200 ℃, 바람직하기는 50 ~ 170℃의 것, 혹은 연화점이 통상 40 ~ 200℃, 바람직하기는 40 ~ 170 ℃의 것이 사용된다. 융점이 50 ℃ 보다 낮은 것에서는 취급에 주의를 요하고, 또 200 ℃ 보다 높은 것에서는 후의 섬유질 기재와의 접착에 있어 보다 고온의 처리를 필요로 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지 않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 연화점이 상기한 범위외이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에틸렌 -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 -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 - 아크릴산 에스테르 - 무수 말레산 삼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 에틸렌 왁스, 폴리 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외에 점착성 부여수지(타키파이어) 로서 알려져 있는 로진계 수지, 석유수지, 테르펜수지 또는 이것들의 변성품의 단독 또는 혼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에틸렌 -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에틸렌 -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호트멜트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들의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의 태양은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이 고흡수성 수지 본래의 성능인 흡수성능, 흡수속도 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의 소량의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이다.
이와같은 제 1 의 태양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이 없고, 예컨대
① 고흡수성 수지와 접착성 바인더를 교반 혼합한 후,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을 하고, 그후 가온하면서 접착성 바인더 중의 용제를 증류 제거시킨 후,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접착성 바인더의 연화점 또는 융점 가까이의 온도까지 승온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연화시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융착시켜서 복합화시키는 방법.
② 고흡수성 수지와 접착성 바인더를 교반 혼합한 후,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다시 교반 혼합을 하고, 그후 가온하면서 접착성 바인더 중의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를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고착시켜서 복합화시키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시킨다는 것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접착성 바인더에 열을 가하여 연화 용융시켜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또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고착시킨다는 것은 상기 이외의 방법에 의해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배합비는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5 ~ 75 중량부가 적량이다. 1 중량부 보다 적은 양에서는 고흡수성 수지에 접착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가 없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접착성에는 그것에 걸맞는 효과는 없고, 오히려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능이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고흡수성 수지의 코팅에 사용되는 접착성 바인더 고형분의 비율은,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75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2 ~ 50 중량부가 적량이다. 1 중량부 보다 적은양으로는 접착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75 중량부 보다 많이를 사용해서는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능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사용하는 접착성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 우레탄 -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접착제,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접착제 등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염화 비닐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 및 합성고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접착제,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접착제, 폴리에테르 우레탄 - 에폭시계 접착제 등의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좋은 결과가 얻어지는 일이 많다. 이것들의 접착성 바인더는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의 태양은 상기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이 고흡수성 수지 본래의 성능인 흡수성능, 흡수속도 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열가소성 수지를 직접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이다. 이 경우, 제 1 의 태양과 달라서, 접착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일 없이 직접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시켜 복합화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접착성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제 2 의 태양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이 없고, 예컨대
① 고흡수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 교반시키면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또는 융점 가까이의 온도까지 승온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연화시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융착시켜서 복합화시키는 방법 및,
②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과정, 예컨대 단량체의 중합시 또는 중합 종료후에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고착시켜서 복합화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여기서, 고흡수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와의 배합비는 상기 제 1 의 태양의 경우와 동일하게,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5 ~ 75 중량부가 적량이다. 1 중량부 보다 적은 양으로는 고흡수성 수지에 접착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가 없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접착성에는 그것에 걸맞는 효과가 없고, 오히려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능이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각종의 기재에 적용하여 고흡수성 재료를 얻을 수가 있다. 기재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 등을 들 수 있고, 시이트상 등으로 가공한 것에 적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산포하거나, 혹은 더욱 적당한 기재와 샌드위치 상으로 하고 50 ~ 200 ℃ 에서 열접착시킨다. 이로써, 고흡수성 수지 표면에 융착 또는 고착된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용융하고, 섬유질 기재와 강력히 접착하기 때문에 흡수시에도 흡수겔이 기재로 부터 탈리하는 일이 없는 우수한 흡수성 재료가 용이하게 수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의 태양과 제 2 의 태양에 표시되는 바와같이 2 종류의 태양이 있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구분 사용된다. 어느 것이나 섬유질 기재 등의 기재에 대하여 강력한 접착성을 나타내지만 높은 접착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접착성 바인더를 사용하는 제 1 의 태양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흡수성 수지 (상품명 : 아쿠아키이프 SA-60, 폴리아크릴산염계, 평균입경 450 ㎛, 스미또모세이까 (주) 제) 100 중량부를 내용적 1ℓ의 탁상형 니이더 (PNV-IH 형 : 이리에 제작소 제) 에 투입하여 교반하에 표 1 기재의 접착성 바인더 (a) 를 고형분 환산으로 10 중량부 첨가하고, 실온에서 5 분간 교반 혼합한 후, 분말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 플로센 A-1003, 평균입경 300 ㎛, 융점 106 ℃, 스미또모세이까 (주) 제) 를 20 중량부 첨가 혼합하였다.
다시 교반 혼합을 5 분간하고, 그후 100 ℃ 로 가온하여, 접착성 바인더 중의 용제를 증류 제거시키고, 열가소성 수지가 고흡수성 수지의 주위로 고착, 복합화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5]
표 2 기재의 고흡수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표 1 기재의 접착성 바인더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가소성 수지가 고흡수성 수지의 주위로 융착 또는 고착하여 복합화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고흡수성 수지 (상품명 : 아쿠아키이프 10SH-NF, 폴리아크릴산염계, 평균입경 60 ㎛, 스미또모세이까 (주) 제) 100 중량부와 진구상 에틸렌 - 아크릴산 공중합체 (상품명 : 플로비이즈 EA-209, 평균입경 10 ㎛, 융점 약 90 ℃, 스미또모세이까 (주) 제) 10 중량부를 내용적 500 ml 의 유리제 분별가능한 플래스크에 투입하여 교반하에 100 ℃ 까지 승온하고, 100 ℃ 에서 15 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교반하에서 빙냉하고, 열가소성 수지가 고흡수성 수지의 주위로 융착, 복합화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역상 현탁 중합시켜서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할때에,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열가소성 수지가 고흡수성 수지의 주위로 고착,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즉,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가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을 부착한 1ℓ용 4 개구 원통형 저면이 둥근 플래스크에 n - 헵탄 550 ml 을 담고, HLB 13.1 의 헥사글리세릴모노베헤니레이트 (상품명 : 노니온 GV-106, 닛뽕유시 (주) 제) 1.38 g 을 첨가 분산시키고, 50 ℃ 까지 승온시켜,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후, 30 ℃ 까지 냉각시켰다. 따로 500 ml 의 3 각 플래스크 속에 80 중량 % 의 아크릴산 수용액 92 g 을 담고, 외부 로부터 빙냉하면서 20.1 중량 %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2.6 g 을 적가하여 75 몰 % 의 중화를 시킨후, 과황산칼륨 0.11 g 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아크릴산 부분 중화수용액을 4 개구 플래스크에 가하여 분산시키고, 계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승온을 하고 욕온을 70 ℃ 로 유지하여 1 단째의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그후 중합 슬러리액을 20 ℃ 로 냉각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상품명 : 플로센 UF-80, 중위 입경 25 ㎛, 융점 106 ℃, 스미또모세이까 (주) 제) 를 29.4 g 계 내에 투입하고, 물 및 n - 헵탄을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가 고흡수성 수지의 주위로 고착,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127.4 g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5 ~ 6 mm 의 괴상이었기 때문에 300 ~ 500 ㎛ 로 분쇄하였다.
[제조예 1]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펄프시이트 (상품명 : 리드쿠킹페이퍼, 혼슈제지 (주) 제, 100 × 100 mm, 평량 : 42 g/m2) 에 100 g/m2산포하였다. 그위에서도 또 한장의 펄프시이트로 씌우고, 샌드위치후, 히트실테스터 (테스터산교 TP-701) 을 사용하고, 온도 130 ℃, 압력 1 kg/m2으로 전면을 5 초간 가압접착시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실시예 2 에서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펄프 시이트 (상품명 : 리드 쿠킹 페이퍼, 혼슈제지 (주) 제, 100 × 100 mm, 평량 : 42 g/m2)의 편면에 100 g/m2을 산포하였다.
그후, 열풍 건조기로 150 ℃ 에서 1 분간 열처리하고, 펄프시이트에 접착시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실시예 3에서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펄프시이트 (상품명 : 리드 쿠킹 페이퍼, 혼슈제지 (주) 제, 100 × 100 mm, 평량 : 42 g/m2)에 300 g/m2을 산포한 것 이외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펄프 시이트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4 ~ 8]
실시예 4 ~ 7 및 비교예 1 에서 수득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펄프시이트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제조예 1 ~ 8 에서 수득된 펄프시이트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이 재료의 접착강도, 흡수량을 측정하고 흡수시에 있어서의 겔의 탈리상태를 관찰하였다.
(1) 접착강도의 측정방법
제조예에 있어서 가압접착하는 부분을 단부의 25 mm 폭 (접착부 25 × 100 mm)으로 바꾼 것 이외는 동일한 방법으로 단부만이 접착한 시험용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수득하였다. 이것을 접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25 mm 폭으로 절단하고, 25 × 100 mm 의 시험편을 얻었다. 접착부 (25 × 25 mm) 의 접착강도를 오토그래프 (AG-500 형, 시마쓰제작소제) 로 측정하였다 (180 도 박리, 박리속도 : 50 mm/분).
(2) 흡수량의 측정방법
200 메시 표준체 위에 제조예에서 수득된 흡수성 재료 (시이트) 를 올려놓고, 0.9 % 생리 식염수에 10 분간 침지시킨 후, 체와 함께 꺼내서, 잉여수를 제거한 후, 중량 측정하여 흡수량을 구하였다.
흡수량 (g/m2) = [침지후의 중량 (g) - 침지전의 중량 (g)] /0.01
(3) 겔의 탈리율
상기한 흡수량 측정후, 체내의 흡수 시이트를 꺼내서 중량 측정하고 (A), 체 위에 잔류된 흡수겔의 중량 (B), 펄프시이트만으로 흡수시킨 후의 흡수후의 중량 (C) 으로 부터 시이트로 부터 탈리된 흡수겔량을 구하였다.
흡수겔 탈리율 (%) = {B / [(A - C) + B]} × 100
이것들의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 7 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흡수성 재료는 어느 것도 흡수량을 크게 손상시킴이 없고, 접착강도가 높고, 겔 탈리율도 극히 작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흡수성 재료는 흡수량은 높으나 접착강도를 갖지 않으며, 겔이 시이트로 부터 모두 탈리하였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열접착하는 것 만으로 고흡수성 수지를 섬유질 기재에 강력하게 접착할 수 있고, 흡수후도 고흡수성 수지를 안정하게 유지한 흡수성 재료를 수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섬유질 기재 등의 기재에 고흡수성 수지를 종래보다 다량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 위생재료를 비롯하여 농원예, 식품용 등 기타 산업자재의 흡수성 재료로서 각종의 용도에 적합한 흡수성 복합체를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성 바인더를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하여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의 조성이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 접착성 바인더 고형분 1 ~ 75 중량부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2.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하여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이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이고 고흡수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교반하면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또는 융점 부근의 온도까지 승온시키고, 열가소성 수지를 연화시키고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융착시켜 복합화하는 방법으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접착성 바인더가 우레탄계 접착제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가 평균 입경 5 ~ 1000 ㎛ 의 것이고, 열가소성 수지가 평균 입경 1 ~ 800 ㎛ 의 입상물 또는 평균지름 1 ~ 400 ㎛, 평균길이 2 ~ 1000 ㎛ 의 섬유상물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5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4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가 평균 입경 5 ~ 1000 ㎛ 의 것이고, 열가소성 수지가 평균 입경 1 ~ 800 ㎛ 의 입상물 또는 평균지름 1 ~ 400 ㎛, 평균길이 2 ~ 1000 ㎛ 의 섬유상물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5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이 40 ~ 200 ℃ 인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10.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하여 복합화한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조성이 고흡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1 ~ 100 중량부이고,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과정에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가열건조시킴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고착시켜 복합화하는 방법으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KR1019940704204A 1992-05-23 1993-05-10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KR100259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55654 1992-05-23
JP15565492A JP3323232B2 (ja) 1992-05-23 1992-05-23 高吸水性樹脂粒子の複合化組成物
PCT/JP1993/000612 WO1993024575A1 (en) 1992-05-23 1993-05-10 Highly water-absorbing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665A KR950701665A (ko) 1995-04-28
KR100259994B1 true KR100259994B1 (ko) 2000-06-15

Family

ID=1561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204A KR100259994B1 (ko) 1992-05-23 1993-05-10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67744A (ko)
EP (1) EP0641835B1 (ko)
JP (1) JP3323232B2 (ko)
KR (1) KR100259994B1 (ko)
CN (1) CN1091615C (ko)
CA (1) CA2136420A1 (ko)
DE (1) DE69332690T2 (ko)
TW (1) TW239097B (ko)
WO (1) WO19930245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526B1 (ko) * 2005-12-21 2006-11-15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출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232111B1 (ko) * 2012-09-14 2013-02-12 김중기 단열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6008A1 (de) * 1994-07-22 1996-01-25 Cassella Ag Hydrophile, hochquellfähige Hydrogele
IL118372A0 (en) * 1995-05-23 1996-09-12 Kobe Steel Ltd Water-blocking composite and its preparation
US6534572B1 (en) * 1998-05-07 2003-03-18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 thermoplastic component and superabsorbent polymer
JP2000212458A (ja) * 1999-01-25 2000-08-02 Sumitomo Seika Chem Co Ltd 高吸水性樹脂粒子
DE19909653A1 (de) * 1999-03-05 2000-09-07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vernetzte, wässrige Flüssigkeiten sowie Blut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030040729A1 (en) * 2000-03-02 2003-02-27 Malowaniec Krzysztof D. Absorbent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259207B2 (de) * 2000-03-02 2011-01-12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EP1311620A2 (en) * 2000-07-24 2003-05-2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Thermoplastic superabsorbent polymer blend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US20030065296A1 (en) * 2001-02-26 2003-04-03 Kaiser Thomas A. Absorbent material of water absorbent polymer, thermoplastic polymer, and wa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579940B1 (ko) * 2001-04-16 2006-05-15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고분자량체 함유 점성액의 흡수에 적합한 흡수성 수지, 및그것을 이용한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
US20030119406A1 (en) 2001-12-20 2003-06-26 Abuto Francis Paul Targeted on-line stabilized absorbent structures
US6846448B2 (en) 2001-12-20 2005-0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on-line stabilized absorbent materials
US20030118814A1 (en) * 2001-12-20 2003-06-26 Workman Jerome James Absorbent structures having low melting fibers
US6849672B2 (en) * 2002-01-15 2005-02-01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Super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 including same
EP1402862B1 (en) * 2002-09-24 2007-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bsorbent element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EP1402905A1 (en) * 2002-09-24 2004-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superabsorbent material particles of substantially anglelacking shape
US7169843B2 (en) 2003-04-25 2007-01-30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DE10334286B4 (de) * 2003-07-25 2006-01-05 Stockhausen Gmbh Pulverförmige,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mittels thermoplastischen Klebstoffen gebundenen Feinteilch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beinhaltende chemische Produkte und Verbunde
US7173086B2 (en) * 2003-10-31 2007-02-0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EP1579831A1 (en) 2004-03-23 2005-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US20060173434A1 (en) * 2005-02-02 2006-08-03 Zoromski Paula K Ultra thi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hot melt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US7812082B2 (en) * 2005-12-12 2010-10-12 Evonik Stockhausen, Llc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US8148598B2 (en) 2006-02-22 2012-04-03 Dsg Technology Holdings Limite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8329292B2 (en) * 2006-08-24 2012-12-11 H.B. Fuller Company Absorbent article for absorbing moisture on a structure
US7815050B2 (en) * 2006-10-12 2010-10-19 Mckee Foods Kingman, Inc. Flexible snack package with finger wiping feature
DE102006060156A1 (de) * 2006-12-18 2008-06-19 Evonik Stockhausen Gmbh Wasserabsorbierende Polymergebilde, welche unter Einsatz von Polymerdispersionen hergestellt wurden
US8613834B2 (en) 2008-04-03 2013-12-24 Basf Se Paper coating or bind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5469096B2 (ja) * 2009-01-19 2014-04-09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組成物
EP2524679B1 (en) * 2010-01-13 2015-04-08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able sheet structure
KR101720372B1 (ko) * 2010-01-13 2017-03-27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흡수 시트 구성체
PL2524676T3 (pl) * 2010-01-13 2015-11-30 Sumitomo Seika Chemicals Struktura warstwowa wchłaniająca wodę
DK2524680T3 (en) 2010-01-13 2015-06-15 Sumitomo Seika Chemicals Water-absorbent sheet structure
JP6277583B2 (ja) * 2013-01-18 2018-0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機器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SG10201800994RA (en) 2013-07-03 2018-03-28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n absorbent composite, methods for making the absorbent composite, and a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same
KR102459581B1 (ko) * 2017-01-10 2022-10-27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시 수지 조성물
CN111359307A (zh) * 2020-03-31 2020-07-03 青岛澳波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油品处理用吸水过滤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858A (ja) * 1989-03-16 1990-09-27 Sanyo Chem Ind Ltd 吸水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2780C3 (de) * 1972-05-10 1975-05-07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8500 Nuernberg Verfahren zum Festlegen von feinteiligen in Hygiene-Artikeln zu verwendenden hydrokolloiden Quellstoffen auf Unterlagen
JPS54130686A (en) * 1978-03-31 1979-10-11 Sanyo Chem Ind Ltd Water-absorbing material and its preparation
JPS54153886A (en) * 1978-05-25 1979-12-04 Meeteru Kk Waterrabsorbing sheet
JPS555939A (en) * 1978-06-27 1980-01-17 Yayoi Kagaku Kogyo Kk Adhesive composition
JPS57178746A (en) * 1981-04-24 1982-11-04 Henkel Nippon Kk Method of fixing water absorbing polymer
JPS63145485A (ja) * 1986-12-05 1988-06-17 旭化成株式会社 吸水性繊維及び該吸水性繊維を含有する水膨潤性組成物
DE8712723U1 (ko) * 1986-12-08 1987-12-17 Hanfspinnerei Steen & Co Gmbh, 2000 Hamburg, De
JPH069913B2 (ja) * 1987-01-12 1994-02-09 凸版印刷株式会社 合成樹脂積層体
JPH0717733B2 (ja) * 1987-01-12 1995-03-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半導体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
DE3741157A1 (de) * 1987-12-04 1989-06-15 Stockhausen Chem Fab Gmbh Verfahren zur agglomerierung wasserquellbarer polymerer durch schmelz (sinter-)granulation mit pulverfoermigen substanzen und verwendung der granulate
JP2831648B2 (ja) * 1988-03-31 1998-12-02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保水材
JPH02172739A (ja) * 1988-12-26 1990-07-04 Sumitomo Seika Chem Co Ltd 吸水性シート
EP0530231A1 (en) * 1990-05-19 1993-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Water-absorbent resin particles for absorbent structures
GB2246373A (en) * 1990-07-12 1992-01-29 Arco Chem Tech Nonwoven fabric
US5368918A (en) * 1990-08-30 1994-11-29 Nippon Shokubai Co., Ltd. Absorbent material comprising absorbent polymeric particulate material coated with synthetic pul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2858A (ja) * 1989-03-16 1990-09-27 Sanyo Chem Ind Ltd 吸水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526B1 (ko) * 2005-12-21 2006-11-15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를출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232111B1 (ko) * 2012-09-14 2013-02-12 김중기 단열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24575A1 (en) 1993-12-09
CN1091615C (zh) 2002-10-02
KR950701665A (ko) 1995-04-28
CA2136420A1 (en) 1993-12-09
EP0641835A4 (en) 1995-12-27
JPH05320523A (ja) 1993-12-03
EP0641835A1 (en) 1995-03-08
US5567744A (en) 1996-10-22
TW239097B (ko) 1995-01-21
JP3323232B2 (ja) 2002-09-09
CN1082429A (zh) 1994-02-23
EP0641835B1 (en) 2003-02-12
DE69332690T2 (de) 2003-09-18
DE69332690D1 (de) 200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994B1 (ko)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US6124391A (en) Superabsorbent polymers having anti-caking characteristics
US6458877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thermoplastic component and superabsorbent polymer
EP2390298B1 (en)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includes vegetable wax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4512310B2 (ja) 水分散性コポリエステル組成物からなる使い捨て用品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6243034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CA2292834C (en) Absorbent hot melt adhesive
JP2003533551A (ja) 半結晶質可撓性ポリオレフィンに基づく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H06248187A (ja) 吸水剤
EP1265571A1 (en) Process of making absorbent structures comprising 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with a permeability maintenance agent
KR20010101635A (ko) 고흡수성 수지입자
JP2652316B2 (ja) 吸水材
JP3555969B2 (ja) 吸水性材料および吸水性物品
EP4294886A1 (en) Hydrophilic hot melt adhesive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