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635A - 고흡수성 수지입자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635A
KR20010101635A KR1020017009222A KR20017009222A KR20010101635A KR 20010101635 A KR20010101635 A KR 20010101635A KR 1020017009222 A KR1020017009222 A KR 1020017009222A KR 20017009222 A KR20017009222 A KR 20017009222A KR 20010101635 A KR20010101635 A KR 2001010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polymer
acrylate
glycidyl
superabsorb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따마나부
다께모리신이찌
우에야마히로유끼
오니시가즈아끼
야베요우꼬
이시까와노리히꼬
Original Assignee
하나다 쇼오지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다 쇼오지,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나다 쇼오지
Publication of KR2001010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C08J5/128Adhesives without dil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1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only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08L101/1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0.5 ∼ 5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수지입자의 표면에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부착시켜 이루어진 고흡수성 수지입자에 관한 것이다. 이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종이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재료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입자 {HIGHLY WATER-ABSORBING RESIN PARTICLE}
고흡수성 수지는 자체 무게의 수십배 ∼ 1000 배 정도의 물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을 갖는 기능성 수지로서, 그 특성에 의해 종이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재료 관계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래, 고흡수성 수지는 통상 접착력이 매우 작은 분말상이기 때문에, 이 고흡수성 수지를 상기 용도에 응용할 때에는, 부직포, 펄프 등의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등의 섬유질 기재와 복합화시켜 흡수성 재료로 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 흡수성 재료는, 고흡수성 수지와 섬유의 얽힘에 의해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 재료내에서의 이동, 편재, 섬유로부터의 탈락 등의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위생재료 관계 등의 분야에서는, 흡수성 재료의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상기한 종래의 흡수성 재료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흡수성 재료의 경량화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섬유질 기재의소량화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질 기재를 소량화시킨 경우, 섬유질 기재와의 얽힘만으로는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성 재료내에서의 이동 및 편재 그리고 섬유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융착 또는 고착하여 복합화시킨 고흡수성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20523 호).
그러나, 상기 고흡수성 수지조성물을 100 ∼ 150 ℃ 정도의 실용적인 열처리조건으로 섬유질 기재에 열융착시킨 경우에는, 흡수한 후의 고흡수성 수지조성물과 섬유질 기재의 접착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 펄프, 합성섬유,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열접착시켜 흡수시킨 후에도, 상기 섬유질 기재에서 탈락하는 일이 거의 없고, 섬유질 기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0.5 ∼ 5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수지입자의 표면에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부착시켜 이루어진 고흡수성 수지입자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의 표면에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부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메타)아크릴레이트」는「아크릴레이트」또는「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흡수능력이 자체 무게의 수십배 ∼ 1000 배 정도인 친수성 고분자화합물의 가교물로서, 그 구성단위에 카르복실산기, 카르복실산염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수산기, 에틸렌옥사이드기 등의 친수성 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의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통상 종이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재료 관계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코올-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코올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에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은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의 평균입경은,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인 것이 좋고, 또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섬유질 기재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흡수성을 균일하게 하는 관점에서, 10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의 표면에,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부착되어 있는 점에 하나의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의 표면에 부착시킨 경우에는, 얻어지는 고흡수성 수지입자와 섬유질 기재의 접착이 매우 강고해진다는 우수한 효과가 발현된다. 이와 같이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는 이유는 현재로서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아마 미시적으로 관찰한 경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갖는 갖는 글리시딜기와 고흡수성 수지의 친수성 기가 공유결합, 수소결합 또는 반데르 발스력 등에 의해 강고하게 결합하고, 한편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갖는 에틸렌기가 섬유질 기재와 강고하게 접착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섬유질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인 것이 좋고, 또한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와의 결합을 강고하게 하는 관점에서, 99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하인 것이 좋다.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이 없다.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융점 (시차열분석장치에 의해 측정) 은,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보존중이나 사용중에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인 것이 좋고,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고흡수성 수지입자와 섬유질 기재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1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190 ℃, 2160 gf 에 있어서의 용융유속은,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와 가열하에서 혼합하였을 때에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1 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 g/10분 이상인 것이 좋고, 또한 상기 수지입자의 표면을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덮음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는 관점에서, 400 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g/10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g/10분 이하인 것이 좋다.
그리고,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병용할 수 있다.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이 없다. 이러한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미분말상, 분상, 입상, 과립상, 페이스트상, 펠릿상, 괴상 등을 들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 100 중량부에 대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양은, 얻어지는 고흡수성 수지입자에 섬유질 기재에 대한 접착성을 충분히 부여하는 관점에서, 0.5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상인 것이 좋고, 또한 상기 수지입자의 표면을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덮음으로써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는 관점에서, 5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제조법으로서는, 예컨대 (A)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와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단지 혼합해서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공중합체를 부착시키는 방법, (B)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와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혼합한 후 또는 혼합과 동시에,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승온하여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용융시켜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의 표면에 융착시키는 방법, (C)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키고, 이것과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를 혼합하고, 교반한 후, 가온하면서 용매를 증발시켜 수지입자의 표면에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부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와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가열혼합시키는 장치로서는, 가열이 가능한 혼합장치라면 특별히 한정이 없다. 그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니더, 압출기, 나우터믹서, 헨쉘믹서, 밴베리믹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각종 섬유질 기재에 적용할 수 있다.
섬유질 기재로서는, 예컨대 직포, 부직포, 펄프 등의 천연섬유, 합성섬유, 종이, 연질 폴리우레탄 폼 등의 수지발포체 시트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섬유질 기재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부직포, 펄프, 종이 등의 섬유질 기재에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산포하는 방법, 복수의 섬유질 기재 사이에 고흡수성 수지입자층을 끼우고, 이것을 50 ∼ 170 ℃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가열에 의해 용융시켜 섬유질 기재와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고흡수성 수지입자가 부착된 섬유질 기재는, 고흡수성 수지입자가 흡수하여 형성된 흡수 겔이 섬유질 기재에서 탈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현한다.
본 발명은 고흡수성(高吸水性) 수지입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기저귀, 생리용품 등의 위생재료 관계, 농원예재료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흡수성 수지입자에 관한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 (스미토모세이카(주) 제조, 상품명 : 애쿼키프 UG-310P,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평균입경 400 ㎛) 100 중량부를 150 ℃ 로 가온한 탁상형 니더 ((주)이리에쇼카이 제조, 형번 : PBV-03 형) 에 넣는다. 이어서, 교반하에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미토모가가쿠고교(주) 제조, 상품명 : 본드퍼스트 7B, 융점 95 ℃, 용융유속 7 g/10분, 에틸렌 함량 83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12 중량%, 아세트산비닐 함량 5 중량%) 10 중량부를 상기 탁상형 니더에 첨가하고, 10 분간 교반하여 혼합한다. 그 후, 교반하에서 실온까지 냉각시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양을 2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양을 3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실시예 4
실시예 2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 중량부 대신에,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미토모카가쿠고교(주) 제조, 상품명 : 본드퍼스트 E, 융점 103 ℃, 용융유속 3 g/10 분, 에틸렌 함량 88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 12 중량%)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비교예 1
실시예 2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 중량부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스미토모세이카(주) 제조, 상품명 : 플로센 A1003N, 융점 110 ℃, 용융유속 75 g/10분)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비교예 2
실시예 2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 중량부 대신에,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다우 케미컬닛폰(주) 제조, 상품명 : 프리마콜 5980, 융점 80 ℃, 용융유속 300 g/10분, 에틸렌 함량 80 중량%, 아크릴산 함량 20 중량%)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양을 6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얻는다.
이어서,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 에서 얻은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물성으로서, 접착성, 흡수속도 및 흡수량을 다음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접착성
A. 흡수전의 접착성 (탈락률)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진 건식부직포 (10 ㎝ ×10 ㎝ ×0.2 ㎝) 에 고흡수성 수지입자 0.5 g 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열풍건조기로 130 ℃ ×7 분간 열처리를 실시하여 부직포 샘플을 제작한다. 그 후, 이 부직포 샘플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융착되어 있지 않은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흔들어 떨어뜨리고, 떨어진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전의 접착성 (탈락률) 은, 식 :
[흡수전의 탈락률 (%)] = [흔들어 떨어진 고흡수성 수지의 중량 (g)]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사용량 (0.5 g)] ×100
에 따라 구한다.
B. 흡수후의 접착성 (탈락률)
500 ㎖ 용량의 비이커에 0.9 % 식염수 300 ㎖ 를 넣고, 그 안에 상기「A. 흡수전의 접착성 (탈락률)」에서 흡수전의 접착성 (탈락률) 을 측정한 후의 부직포 샘플을 5 ㎝ ×5 ㎝ 로 재단하고, 고흡수성 수지입자 산포면을 아래로 하여 침지시킨다.
10 분간 침지후, 교반기에서 6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추가로 2 분간 침지시킨다.
이어서, 부직포 샘플을 수중에서 끌어올려 흡인여과에 의해 잉여수를 제거한 후, 흡수후의 부직포 샘플 중량 (중량 A) 을 측정한다. 그리고, 비이커에 남아 있는 겔에서 흡인여과에 의해 잉여수를 제거한 후, 잔존하는 겔의 중량 (겔 중량 B) 을 측정한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융착하고 있지 않은 부직포만을 0.9 % 식염수에 침지시키고,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흡인여과에 의해 잉여수를 제거한 후, 그 부직포의 중량 (중량 C) 을 측정한다.
흡수후의 접착성 (탈락률) 은, 식 :
[흡수후의 탈락률 (%)] = [겔 중량 B] ÷[중량 A + 겔 중량 B - 중량 C] ×100
에 따라 구한다.
(2) 흡수속도
100 ㎖ 용량의 비이커에 0.9 % 식염수 50 ㎖ 를 넣고, 교반기에서 6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고흡수성 수지입자 2 g 을 투입한다. 투입시를 시점, 교반에 의한 소용돌이가 사라진 시점을 종점으로 하고, 시점에서 종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흡수속도로 한다.
(3) 흡수량
고흡수성 수지입자 2 g 을 0.9 % 식염수 500 ㎖ 에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1 시간 교반 침지시킨 후, 200 메시의 체로 쳐서 30 분간 물기를 빼고 흡수후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량은, 식 :
[흡수량] = [흡수후의 중량 (g)]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사용량 (2g)] × 100
에 따라 구한다.
실시예 번호 고흡수성 수지입자의 물성
탈락률 (%) 흡수속도(초) 흡수량(g/g)
흡수전 흡수후
1 0 51 5 52
2 0 23 22 34
3 0 6 45 26
4 0 24 24 28
비교예1 15 78 24 26
2 13 74 43 23
3 100 0 4 60
4 0 0 >3600 5
표 1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4 에서 얻어진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부직포 등의 섬유질 기재에 열접착시켜 흡수시킨 후에도, 상기 섬유질 기재에서 거의 탈락하지 않고, 섬유질 기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열융착시키는 것만으로 고흡수성 수지입자가 섬유질 기재에 강력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흡수한 후에도 고흡수성 수지입자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섬유질 기재 등이 소량화된 경우에도, 고흡수성 수지입자가 흡수성 재료내에서 이동하거나 편재하거나 또는 섬유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흡수성 수지입자는, 종이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재료를 비롯하여 농원예재료 등 그 외의 산업자재의 흡수성 재료 등의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0.5 ∼ 5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수지입자의 표면에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부착시켜 이루어진 고흡수성 수지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50 ∼ 99 중량% 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융점이 50 ∼ 150 ℃ 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의 190 ℃, 2160 gf 에 있어서의 용융유속이 1 ∼ 400 g/10분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가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코올-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코올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및 에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입자의 평균입경이 5 ∼ 1000 ㎛ 인 고흡수성 수지입자.
KR1020017009222A 1999-01-25 2000-01-21 고흡수성 수지입자 KR20010101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16000 1999-01-25
JP11016000A JP2000212458A (ja) 1999-01-25 1999-01-25 高吸水性樹脂粒子
PCT/JP2000/000271 WO2000043441A1 (fr) 1999-01-25 2000-01-21 Particule de resine a grande capacite d'absorption de l'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635A true KR20010101635A (ko) 2001-11-14

Family

ID=1190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222A KR20010101635A (ko) 1999-01-25 2000-01-21 고흡수성 수지입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62226A4 (ko)
JP (1) JP2000212458A (ko)
KR (1) KR20010101635A (ko)
CN (1) CN1337977A (ko)
CA (1) CA2360523A1 (ko)
WO (1) WO2000043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0330B2 (ja) * 1999-08-06 2004-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吸水性構造物
CN101220171B (zh) * 2008-01-30 2010-06-23 济南大学 处理高分子吸水膨胀树脂的方法
WO2015178481A1 (ja) * 2014-05-23 2015-11-26 Sdpグローバル株式会社 吸水性樹脂粒子、これを含む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5719078B1 (ja) * 2014-07-11 2015-05-1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CN104974307B (zh) * 2015-06-01 2017-12-05 浙江工业大学 无机硅‑马来酸酐接枝聚乙烯醇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18166887A (ja) *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WO2022014557A1 (ja) * 2020-07-14 2022-01-20 住友精化株式会社 樹脂水性分散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9232A (en) * 1980-05-12 1981-12-08 Kuraray Co Ltd Powdery high water-absorption resin for surface coating
JPS61266427A (ja) * 1985-05-20 1986-11-2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吸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S61293228A (ja) * 1985-06-21 1986-12-24 Arakawa Chem Ind Co Ltd 吸水性樹脂の製法
EP0530231A1 (en) * 1990-05-19 1993-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Water-absorbent resin particles for absorbent structures
JP3323232B2 (ja) * 1992-05-23 2002-09-09 住友精化株式会社 高吸水性樹脂粒子の複合化組成物
JP2807126B2 (ja) * 1992-06-30 1998-10-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接着性吸水性樹脂粒子
JPH07179613A (ja) * 1993-12-24 1995-07-18 Kao Corp 改質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2226A1 (en) 2001-12-12
CN1337977A (zh) 2002-02-27
JP2000212458A (ja) 2000-08-02
CA2360523A1 (en) 2000-07-27
WO2000043441A1 (fr) 2000-07-27
EP1162226A4 (en)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994B1 (ko)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JP4955146B2 (ja) 熱可塑性成分および超吸収性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AU2003216093B2 (en) Super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 including same
KR0138239B1 (ko) 흡수재료
US6087550A (en) Non-woven application for water dispersable copolyester
US6124391A (en) Superabsorbent polymers having anti-caking characteristics
CZ290872B6 (cs) Vrstvovitý absorpční prostředek pro vodu a vodné roztoky, způsob jeho výroby a jeho pouľití
JP2002517276A (ja) 発泡超吸収体ポリマーで被覆された吸収体構造
CA2345436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surfactant
JP3720118B2 (ja) 乾燥状態および湿潤状態における改善された構造的安定性を有する吸収性材料およびその製法
KR20010101635A (ko) 고흡수성 수지입자
EP1829563B1 (en) Thermoplastic absorbent material having increased absorption and retention capacity for proteinaceous or serous body fluid
JP2652316B2 (ja) 吸水材
US20070207309A1 (en) Thermoplastic absorbent material having increased absorption and retention capacity for proteinaceous or serous body fluids
CN111662672A (zh) 一种亲水性胶粘剂及其合成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