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465B1 - 물류 배송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배송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465B1
KR100259465B1 KR1019970047345A KR19970047345A KR100259465B1 KR 100259465 B1 KR100259465 B1 KR 100259465B1 KR 1019970047345 A KR1019970047345 A KR 1019970047345A KR 19970047345 A KR19970047345 A KR 19970047345A KR 100259465 B1 KR100259465 B1 KR 10025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tore
time
articles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643A (ko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강말길
주식회사엘지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말길, 주식회사엘지유통 filed Critical 강말길
Priority to KR101997004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4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물류 배송 관리에서 각 점포 및 체인점 등의 발주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상품을 배송함에 있어 발주 요구한 점포 및 체인점 등의 좌표화한 지역별 위치를 경도로 분할하여 섹터로 구분하며, 배송되는 물동량의 체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유통되는 상품의 적재량, 배송 시간대, 이동시간 및 하역시간등이 반영된 최적의 배송루트를 설정하여 배송의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센터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하여 체적화하여 시스템 단말기에 저장하며, 배송에 투입되는 차량의 대수와 차량별 적재율, 도로망에 대한 정보, 점포 관련정보 등을 기초 자료로 설정하는 과정과, 기초 자료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점포에서 요구되어지는 발주량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수신 분석한 다음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간별 물동량의 평준화를 실행하는 과정과, 평준화후 센터별 점포수와 배송 차량의 대수 및 배송 차량의 적재율, 점착시간 등을 고려하여 배송군을 설정한 다음 도로망을 고려한 경도를 기준으로 배송군의 배송 섹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배송 섹터 설정이 완료되면 위도와 경도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를 통해 점간 거리와 시간대별 주행시간, 점간 이동시간, 하역시간 등을 고려한 배송시간을 설정하여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과정과, 배송 루트의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루트로 해당 차량을 운송시켜 발주를 요구한 상품의 배송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 배송 관리방법
본 발명은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각 점포 및 체인점 등의 발주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상품을 배송함에 있어 발주 요구한 점포 및 체인점 등의 지역별 위치를 경도로 분할하여 섹터로 구분하며, 배송되는 물동량의 체적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유통되는 상품의 적재량, 배송 시간대, 이동시간 및 하역시간등이 반영된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여 배송의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한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서는 배송기사 자신에게 할당된 임의의 지역에 위치된 점포 및 체인점 등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을 배송하기 위하여 물류센터에서 취급하는 전체의 상품 중에서 주류나 과자 등의 식품류 및 음류 등 일일 배송에 필요한 상품의 량을 품목별로 가상 예측한 다음 자신의 차량에 적재하여 배송기사에게 할당된 지역을 경험을 통해 설정한 운행 계획에 따라 해당 지역의 점포나 체인점을 방문하여 배송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실행하고 있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품의 크기나 중량 등에 대하여 기준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배송을 위한 상품의 차량 적재에 있어 과중한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거나 각각의 점포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상품의 적재가 이루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점포나 체인점 별 배송을 위한 루트가 배송을 담당하는 운전자의 경험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어 상품의 배송을 원하는 임의의 점포에 정상적인 시간에 해당 상품을 배송하지 못하게 되어 배송 관리에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포나 체인점에 따라 물동량에 대한 지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센터에서 지역별 위치에 따라 구분한 임의의 섹터 내에서 필요로 하는 차량의 수요를 산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센터에서 취급하는 각각의 상품에 대하여 체적화 한 다음 데이터 베이스로 설정하고, 각 점포나 체인점의 위치를 도로망과 연관하여 점간거리, 주행거리 등을 경도를 기준으로 섹터로 구분하여 배송 루트를 설정하며, 요일병 물동량의 평준화와 당일 수주 상품의 체적화로 당일 필요로 하는 차량의 대수를 산정하여 물류 배송에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배송 관리에 효율성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차량의 운행을 배제시켜 배송 관리에 사용되는 경비를 절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점포 및 체인점 등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영업관리 본부에 설치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물류센터에 설치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운용하는 시스템 단말기로 물류를 배송하고 관리하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단말기는 각 점포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주 요구 신호를 호스트 컴퓨터와 서버를 통해서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발주 요구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배송에 투입되는 차량의 대수와 차량별 적재율, 도로망에 대한 정보, 점포 관련 정보를 기초 자료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기초 자료로 각 점포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구되어 발주량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분석한 후 다음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간별 물동량을 평준화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실행된 물동량 평준화로 물류센터별 점포수와 배송 차량의 대수 및 적재율, 점착시간을 고려한 배송군 설정 및 도로망을 경도 기준으로 하여 배송 섹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배송 섹터로 점간거리와 시간대별 주행시간, 점간 이동시간, 하역 시간을 고려한 배송 시간 및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배송 루트로 발주한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물류 배송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계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 물류 배송 관리를 실행하는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 배송 루트 설정에 따라 배송 섹터 설정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배송 관리 시스템은, 각 점포 및 체인점 등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영업관리 본부에 설치되는 호스트 컴퓨터(20), 물류센터에 설치되는 서버(30) 및 물류센터의 서버(30)를 운용하는 시스템 단말기(40)로 이루어지는데, 점포나 체인점 등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전용선 또는 공통선을 통해 영업관리 본부에 설치되는 호스트 컴퓨터(20)와 온라인 접속되어 매장의 재고 상품 상황과 판매 물동량에 대한 지표 및 재고량에 따른 구매 발주를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
호스트 컴퓨터(20)는 각 매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검출 분석하여 일간, 주간, 월간, 년간 품목별 판매량의 지표와 물동량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과잉 수요되는 상품과 수요가 빈번하지 않은 상품의 품목 등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후의 물동량의 확보 및 조정을 위한 동작과 매장 관리 및 판매 이익금의 정산 등 물류 유동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조정 실행한다.
물류센터에 구비되는 서버(30)는 전용선 또는 공통선을 통해 영업관리 본부의 호스트 컴퓨터(20)와 연결되며, 센터에 적재되는 각 상품에 대한 체적화된 데이터와 현재의 재고량 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전용선 또는 공통선을 통해 수신되는 영업관리 본부 호스트 컴퓨터(20)의 발주 명령에 따라 재고량의 정보와 체적화된 상품의 정보 등을 시스템 단말기(40)측에 인가한다.
시스템 단말기(40)는 수신되는 발주 명령에 따라 설정된 각 점포 및 체인점별 섹터 정보와 점간 이동시간의 정보, 배송 루트, 각 상품별 체적의 정보 등을 종합 분석하여 필요로 하는 차량별 적재율과 차량의 대수, 배송시간, 하역시간 출하시간 등을 감안하여 해당하는 상품의 배송을 위한 배차 명령을 지시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단말기(40)에 상품 운송에 배차된 차량의 대수와 차량별 적재 용량, 상품에 대한 체적화된 정보, 도로망, 점포나 체인점별 관련 정보등 물류 배송 루트를 설정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초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점포나 체인점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발주 요구에 대한 신호가 전용선 또는 공통선을 통해 영업 관리 본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스트 컴퓨터(20)에 수신되면, 호스트 컴퓨터(20)는 전용선 또는 공통선을 통해 인가되는 각각의 발주 요구에 대한 정보를 분석 처리한 다음 실시간으로 물류센터에 구비되어 있는 서버(30)측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30)에서는 수신되는 각 지역별 점포의 발주 요구에 대한 신호를 실시간적으로 시스템 단말기(40)측에 인가하는데, 이때 시스템 단말기(40)는 수신되는 각 지역별 점포나 체인점별 발주 요구를 분석한 다음 수주 상품의 체적화를 통해 요일별 물동량의 분포와 차량별 적재율의 분포 및 소요 차량의 대수, 당일 배송에 필요한 물품량 및 차량의 대수 등을 파악하여 물동량을 평준화한다.
이후, 센터별 점포수와 배송 차량의 적재율 및 운행 시간과 도로 사정을 감안한 점착시간대 등을 고려하여 배송군을 구분한 다음 점포나 체인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도로망을 감안하여 첨부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도 5′(8.2Km) 단위로 구분한 배송군 섹터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배송군과 배송군 섹터의 설정이 완료되면 A, B 점포간의 위도 및 경도차의 좌표를 기준으로 전 점포의 좌표상 위치를 파악하여 점간거리를 산출하고, 시간대별 차량의 평균 주행시간을 감안하여 점간 운행 시간을 설정한 다음 센터로부터 점간 간의 이동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해당 점포에 도착하여 물류 하역을 위한 장소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정차 시간과 배송된 물류의 하역시간 및 포장 박스의 회수시간 등을 고려한 고정 시간과 점포에서 발주한 물동량에 따른 변동 시간을 계산하여 하역시간을 설정한 다음 상기 이동시간과 감안하여 배송시간을 설정한다.
이후, 발주 단위별 상품 아이템(Item)의 체적으로 조사한 다음 점포별 발주량을 체적화된 데이터로 관리하여 차량의 적재 능력을 체적화하여 적재율을 산출한 후, 상기에서 설정된 섹터 내 기준 점포로부터 가장 가까운 점포순으로 하나의 배송 라인을 설정하여 배송 루트를 확정한다.
상기와 같이 배송 루트와 차량의 적재율 등의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차량을 해당 지역 배송군의 섹터에 운송시켜 각각의 점포나 체인점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의 배송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배송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신규 점포의 출점이 발생되면 상기와 같이 도로망과 위도 경도의 섹터를 감안하여 최적을 배송 루트를 설정한 다음 점착 가능 시간을 사업부를 통해 시스템 단말기(40)에 설정하여 팔로우 업(Follow Up)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물류 배송 관리의 실행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시스템 단말기(40)는 발주 요구에 따른 상품의 배송에 소요되는 차량의 대수와 적재량, 주행 도로망의 변화, 배송군 섹터, 주행 실적 등의 데이터를 누적 관리하여 최적의 상품 배송이 설정되도록 피드백 관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 배송 관리시 센터에서 취급하는 각각의 상품에 대하여 체적화하여 데이터로 설정하며, 각 점포간의 거리와 위치를 도로망과 점간거리를 감안하여 경도로 분할하여 배송군 및 배송 섹터를 구분하고, 물동량을 일별, 주간별, 월별로 평준화하여 차량 대수별로 최적의 적재량이 유지되도록 하며, 적재량과 배송 시간대 및 이동시간, 하역시간 등을 감안한 배송 루트의 설정으로 상품의 배송에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Claims (2)

  1. 각 점포 및 체인점 등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영업관리 본부에 설치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물류센터에 설치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를 운용하는 시스템 단말기로 물류를 배송하고 관리하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단말기는 각 점포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주 요구를 호스트 컴퓨터와 서버를 통해서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발주 요구를 기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배송에 투입되는 차량의 대수와 차량별 적재율, 도로망에 대한 정보, 점포 관련 정보를 기초 자료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기초 자료로 각 점포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구되어 발주량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분석하고 일별, 요일별, 주간별, 월간별 물동량을 평준화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실행된 물동량 평준화를 물류센터별 점포수와 배송 차량의 대수 및 적재율, 점착시간을 고려한 배송군 설정 및 도로망을 경도 기준으로 배송 섹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배송 섹터로 점간거리와 시간대별 주행시간, 점간 이동시간, 하역시간을 고려한 배송시간 및 배송루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배송 루트로 발주한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섹터 설정은 한 섹터의 구분을 경도 5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배송 관리 방법.
KR1019970047345A 1997-09-13 1997-09-13 물류 배송 관리방법 KR10025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345A KR100259465B1 (ko) 1997-09-13 1997-09-13 물류 배송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345A KR100259465B1 (ko) 1997-09-13 1997-09-13 물류 배송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43A KR19990025643A (ko) 1999-04-06
KR100259465B1 true KR100259465B1 (ko) 2000-07-01

Family

ID=1952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345A KR100259465B1 (ko) 1997-09-13 1997-09-13 물류 배송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212B1 (ko) * 2000-01-21 2002-02-16 강승일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활용방법
US10565543B1 (en) * 2019-03-01 2020-02-18 Coupang, Corp.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efficient route planning for e-commerce fulfillment
CN113095751A (zh) * 2021-03-31 2021-07-09 牧星机器人(江苏)有限公司 一种多供货商的运载供货优化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220A (ja) * 1993-03-15 1994-09-20 Kao Corp 配送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
JPH06290185A (ja) * 1993-02-05 1994-10-18 Tadashi Yamamoto ダイナミック型自動配車装置
JPH0781722A (ja) * 1993-06-30 1995-03-28 Toshiba Corp 配送ルート作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185A (ja) * 1993-02-05 1994-10-18 Tadashi Yamamoto ダイナミック型自動配車装置
JPH06263220A (ja) * 1993-03-15 1994-09-20 Kao Corp 配送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
JPH0781722A (ja) * 1993-06-30 1995-03-28 Toshiba Corp 配送ルート作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43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6090B2 (en) Transport vehicle capacity maximizatio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of same
US10380534B2 (en) Autonomous supply and distribution chain
CN113077211B (zh) 基于大数据和智慧物联网的运输金融资产监管系统和监管方法
CN106203923A (zh) 供应链信息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5184525A (zh) 一种绿色物流服务系统
CN111815231B (zh) 一种物流平台智能拼车方法及系统
US202301962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hipment of products from a distribution center
CN108764754A (zh) 一种基于地理区域分组的烟草配送车辆调度系统
WO2021015663A1 (en) Delivery route plan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generating delivery route plans
WO20180720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McKinnon A logistical perspective on the fuel efficiency of road freight transport
JP2001357106A (ja) ガス納入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ガス容器の管理方法
CN115619066A (zh) 一种高效公路运输车货匹配调度管理系统
KR100259465B1 (ko) 물류 배송 관리방법
Pourakbar et al. The floating stock policy in fast moving consumer goods supply chains
JP2003171020A (ja) 商品等の物品の物流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0028602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ast mile delivery of goods
KR100324212B1 (ko)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활용방법
JP4263496B2 (ja) 出荷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20050109213A (ko) 알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배송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445184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物流运输监管系统
JP2002324160A (ja) 店舗売上予測システム
JP2021156684A (ja) 配送最適化装置
Robusté et al. Modelling e-Logistics for urban B2C in Europe
Liatsos et al. The capacitated hybrid truck platooning network design probl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