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129B1 -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129B1
KR100258129B1 KR1019980008976A KR19980008976A KR100258129B1 KR 100258129 B1 KR100258129 B1 KR 100258129B1 KR 1019980008976 A KR1019980008976 A KR 1019980008976A KR 19980008976 A KR19980008976 A KR 19980008976A KR 100258129 B1 KR100258129 B1 KR 10025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ata
tone
dtmf
a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018A (ko
Inventor
이태재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0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129B1/ko
Priority to US09/270,045 priority patent/US6219350B1/en
Priority to JP7110099A priority patent/JP3244665B2/ja
Priority to CN99103359A priority patent/CN1118991C/zh
Publication of KR1999007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4User Network Interface
    • H04L2012/5618Bridges, gateways [GW] or interworking units [IW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 H04L2012/5674Synchronisation, timing recovery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 H04L2012/5675Timeslot assignment, e.g. 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셀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의 ATM 셀 변환 장치에서 해당 교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톤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생성하여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교환망 측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톤과 DTMF 발생 기능을 포함한 ATM 셀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TM 셀 변환 장치에는 교환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톤과 DTMF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해당 톤과 DTMF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각 라인의 채널로 스위칭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교환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ATM 셀 변환 장치에 톤과 DTMF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ATM 셀 변환 장치에서 해당 교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톤과 DTMF를 생성하여 TDM 방식의 교환망 측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TM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본 발명은 ATM 셀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의 ATM 셀 변환 장치에서 해당 교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톤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생성하여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교환망 측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톤과 DTMF 발생 기능을 포함한 ATM 셀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TM 셀 변환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FO(11 ; First In First Out)와, 셀 전송 제어부(12)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와, 메모리부(14)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15)와,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와, 데이터 변환부(17)와,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 및 직/병렬 변환부(1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는 CP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클럭펄스(CLK), 동기펄스신호(Sync_Pulse) 및 조건신호를 인가받아 동기신호, 클럭펄스, 상태신호, 트렁크 라인번호, 타임슬롯 번호(채널번호)를 생성하는데, 셀 전송 제어부(12)와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와 직/병렬 변환부(19) 측에 동기신호를 공급하고, 데이터 변환부(17) 측에 상태신호와 트렁크 라인번호 및 타임슬롯 번호를 공급하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 측에 클럭펄스를 공급한다.
FIFO(11)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망과 접속된 ATM 전송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ATM 셀을 일시 저장한다.
셀 전송 제어부(12)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데, FIFO(11)에 저장된 ATM 셀을 셀 헤더 영역에 있는 가상 연결 정보에 의거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를 경유해서 메모리부(14) 측에 전송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는 셀 전송 제어부(12)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15) 및 데이터 변환부(17)를 메모리부(14)에 정합하는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따라 가동되어 메모리부(14)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중재하고, 중재결과를 셀 전송 제어부(12)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15) 및 데이터 변환부(17) 측에 통보한다.
메모리부(14)는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를 구비한다.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15)는 CPU를 정합하여 해당 CPU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정합하여 준다.
데이터 변환부(17)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 상태 천이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를 경유해서 메모리부(14)를 액세스하여 기록 포인터를 읽어들임으로써 해당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4)의 셀 버퍼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 측에 출력한다.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는 데이터 변환부(17)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각 타임슬롯 구간 내에서 시분할 복다중화하여 직/병렬 변환부(19) 측에 출력한다.
직/병렬 변환부(19)는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로부터 인가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TDM 방식 트렁크의 각 트렁크 라인에 출력한다.
한편, 메모리부(14)에 구비되어 있는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렁크 라인번호의 타임슬롯 별로 대응되게 할당되어 배치되는데, 해당 링크 테이블은 임의의 트렁크 라인의 타임슬롯 데이터들과 셀 버퍼를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링크 테이블의 각 항목의 주소는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일대일 대응되고, 각 항목의 내용은 셀 버퍼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셀 버퍼 제어 테이블은 각 셀 버퍼를 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며, 해당 셀 헤더 테이블은 각 ATM 셀의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해당 셀 버퍼는 트렁크 라인 상의 한 타임슬롯 데이터를 1바이트씩 순서대로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며, 해당 완성 셀 버퍼의 큐는 48바이트의 셀 페이로드가 완성된 셀 버퍼의 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ATM 셀 변환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ATM 교환망과 접속된 ATM 전송라인으로부터 ATM 셀이 인가되는 경우, 셀 전송 제어부(12)가 해당 ATM 셀의 셀 헤더 영역에 있는 가상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3)를 경유해서 메모리부(14)에 해당 ATM 셀을 저장하면, 데이터 변환부(17)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동기되어 해당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따른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4)의 셀 버퍼에 1바이트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 측에 출력한다. 그후,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는 데이터 변환부(17)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16)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시분할 복다중화하여 직렬/병렬 변환부(19) 측에 전송하면, 직렬/병렬 변환부(19)는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18)로부터 병렬 전송되는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TDM 방식의 교환망에 접속된 각 트렁크 라인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ATM 셀 변환 장치는 TDM 방식의 교환망으로부터 트렁크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ATM 셀 형태로 결합하여 ATM 셀 전송라인을 통해 ATM 교환망 측에 출력하고, ATM 교환망으로부터 ATM 셀 전송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분해하여 해당 트렁크 라인을 통해 TDM 방식의 교환망에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교환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톤(Tone)과 DTMF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해당 톤과 DTMF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각 라인의 채널로 스위칭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교환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교환 시스템의 ATM 셀 변환 장치에 톤과 DTMF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ATM 셀 변환 장치에서 해당 교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톤과 DTMF를 생성하여 TDM 방식의 교환망 측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TM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CP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클럭펄스, 동기펄스신호 및 조건신호를 인가받아 동기신호, 클럭펄스, 상태신호, 트렁크 라인번호, 타임슬롯 번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와; ATM 교환망과 접속된 ATM 전송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ATM 셀을 일시 저장하는 FIFO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FIFO에 저장된 ATM 셀을 셀 헤더 영역에 있는 가상 연결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하는 셀 전송 제어부와; 상기 CPU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정합하여 주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각 타임슬롯 구간 내에서 시분할 복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와;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로부터 인가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TDM 방식의 각 트렁크 라인에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부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따라 가동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중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ATM 셀 변환 장치에 있어서,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 톤과 DTMF 소스 버퍼,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케이던스 단위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운터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 상태 천이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해서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기록 포인터와 FT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FT가 'NS'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의 셀 버퍼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 측에 출력하고, 상기 FT가 'T&D'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의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톤과 DTMF 레지스터 고유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해서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 측에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ATM 셀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부의 메모리 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톤과 DTMF 소스 버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변환부의 동작에 따른 상태 천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FIFO 12, 22 : 셀 전송 제어부
13, 23 :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14, 24 : 메모리부
15, 25 :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 16, 27 :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
17, 28 : 데이터 변환부 18, 29 :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
19, 30 : 직/병렬 변환부 26 : 카운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변환 장치는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FO(21)와, 셀 전송 제어부(22)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3)와, 메모리부(24)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25)와, 카운터(26)와,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27)와, 데이터 변환부(28)와,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및 직/병렬 변환부(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FIFO(21)와, 셀 전송 제어부(22)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3)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25)와,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27)와,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및 직/병렬 변환부(3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해당 메모리부(24)는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 톤과 DTMF 소스 버퍼, 케이던스(Cadence)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레지스터를 구비한다.
해당 카운터(26)는 CPU의 제어에 따라 케이던스 시간의 단위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매 프레임마다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키면서 CPU가 세팅(Setting)해 놓은 특정 값과 카운트 값이 일치되는 경우, 케이던스 단위시간을 만들기 위해 카운트하여 발생시킨 플래그인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는 '1'로 세팅되며 카운트 값은 초기화된다. 그리고, 다음 프레임에서 CPU가 세팅해 놓은 특정 값과 카운트 값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는 다시 '0'으로 세팅된다. 결국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는 CPU가 세팅해 놓은 특정 값 즉, 특정 프레임 주기시간을 한 주기로 해서 1 프레임 주기시간 동안 '1'로 세팅된다. 그리고 실제로 CPU가 세팅해 놓은 특정 값 즉, 특정 프레임 주기시간은 케이던스 시간의 단위시간을 의미한다.
해당 데이터 변환부(28)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27)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 상태 천이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27)로부터의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3)를 경유해서 메모리부(24)를 액세스하여 기록 포인터와 FT(Function Type) 정보를 읽어들인다. 이때, 해당 FT가 'NS(Normal Service)'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메모리부(24)의 셀 버퍼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측에 출력하고, 해당 FT가 'T&D(톤과 DTMF Service)'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부(24)의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톤과 DTMF 레지스터 고유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3)를 경유해서 메모리부(24)를 액세스하여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읽어들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측에 출력한다.
한편, 메모리부(24)에 구비되어 있는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 톤과 DTMF 소스 버퍼,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레지스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링크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셀 버퍼 제어 테이블은 각 셀 버퍼를 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 변환부(23)에서 수행할 기능을 표시하는 FT 정보와 톤과 DTMF 레지스터의 고유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며, 톤과 DTMF 소스 버퍼는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특정 주파수 대의 신호들이 하나로 합쳐진 신호의 PCM 코드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실제 요구되는 톤이나 DTMF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와 해당 톤과 DTMF 소스에 할당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며, 톤과 DTMF 레지스터는 실제 생성된 톤과 DTMF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변환 장치에서 데이터 변환부(28)의 동작에 따른 상태 천이 과정을 첨부한 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변환부(28)는 리셋신호(Sys_rst)가 인가되면 무조건 초기 상태(ST11)로 천이하고, 해당 ATM 셀 변환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초기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초기화 종료신호(End_init)가 인가되면 CPU 액세스 상태(ST12)로 천이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부(28)는 해당 CPU 액세스 상태(ST12)에서 TDM 방식의 트렁크 라인 상의 1 타임슬롯을 주기로 하는 자체의 구동에 필요한 동기펄스신호(Sync_Pulse)가 입력되기 전까지 해당 상태를 유지하는데, CPU가 메모리부(24)를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블록에 의한 메모리부(24) 액세스를 금지하고 있다가 동기펄스신호(Sync_Pulse)가 입력되면 링크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3)로 천이하고, 해당 링크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3)에서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27)로부터 인가받은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와 타임슬롯 번호에 의거하여 각 트렁크 라인의 채널별로 연결된 셀 버퍼 제어 테이블의 고유번호와 그 채널에 대한 호 설정 여부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24)의 링크 테이블을 액세스 한다.
이때, 호 설정 비트(Apv)가 '0'으로 세팅되어 있으면 해당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를 '1' 증가시키면서 링크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3)를 반복 수행하다가 만약 해당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가 마지막 트렁크 라인번호(Last_Ln)와 일치하면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9)로 천이한다. 한편, 호 설정 비트(Apv)가 '1'로 세팅되어 있으면서 해당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가 마지막 트렁크 라인번호(Last_Ln)와 일치하지 않으면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4)로 천이한다.
만약, 데이터 변환부(28)가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4)로 천이한 경우, 해당 데이터 변환부(28)는 메모리부(24)의 셀 버퍼 제어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셀 버퍼의 고유번호 정보와 셀 버퍼 내의 기록 포인터와 셀 페이로드 길이 정보 및 FT 정보를 읽어들인다. 이때, 해당 FT가 'NS'로 세팅되어 있으면 셀 버퍼 액세스 상태(ST15)로 천이하고, 해당 FT가 'T&D'로 세팅되어 있으면 톤과 DTMF 레지스터 액세스 상태(ST17)로 천이하는데, 해당 FT가 'T&D'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셀 버퍼 내의 기록 포인터나 셀 페이로드 길이 정보 등은 무의미해지고, 액세스 할 셀 버퍼의 고유번호 정보는 액세스 할 톤과 DTMF 레지스터의 고유번호 정보로 그 의미가 변경된다.
그런데,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4)에서 FT가 'NS'로 세팅되어 셀 버퍼 액세스 상태(ST15)로 천이한 경우, 데이터 변환부(28)는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셀 버퍼 고유번호에 대응되는 메모리부(24)의 셀 버퍼를 찾아 해당 셀 버퍼 내의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로 출력할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수정 상태(ST16)로 천이하고, 해당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수정 상태(ST16)에서 셀 버퍼 내의 기록 포인터를 '1' 증가시키며, 만약 현재의 기록 포인터가 셀 페이로드의 마지막 데이터를 가리킨다면 셀 버퍼 내의 기록 포인터를 '0'으로 초기화하여 셀 버퍼 제어 테이블 값을 수정하고 라인 데이터 저장부 액세스 상태(ST18)로 천이한다.
한편, 해당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4)에서 FT가 'T&D'로 세팅되어 톤과 DTMF 레지스터 액세스 상태(ST17)로 천이한 경우, 데이터 변환부(28)는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셀 버퍼의 고유번호 즉, 톤과 DTMF 레지스터 고유번호에 따라 메모리부(24)의 톤과 DTMF 레지스터로부터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라인 데이터 저장부 액세스 상태(ST18)로 천이한다.
이후, 해당 라인 데이터 저장부 액세스 상태(ST18)에서 데이터 변환부(28)는 셀 버퍼 액세스 상태(ST15)에서 읽어들인 데이터를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의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 현재 처리하고 있는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가 마지막 트렁크 라인번호(Last_Ln)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를 '1' 증가시킨 후 해당 링크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3)로 천이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만약 해당 채널의 트렁크 라인번호(Prsnt_Ln)가 마지막 트렁크 라인번호(Last_Ln)와 일치하면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9)로 천이한다.
이에 따라, 해당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9)에서 데이터 변환부(28)는 타임슬롯 번호와 일치하는 혹은, 카운터(26)를 이용하여 얻어진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고유번호에 따라 메모리부(24)의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로부터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정보의 유효여부 정보(Apv)와 현재 처리해야 할 요소의 요소번호(PEN) 정보와 해당 요소에 대해 앞으로 남아 있는 유효시간(Remain_Time) 정보, 그리고 마지막 요소번호(LEN) 정보를 읽어들이고 소스 버퍼 액세스 상태(ST20)로 천이하며, 해당 소스 버퍼 액세스 상태(ST20)에서는 해당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9)에서 읽어들인 요소번호(PEN)를 이용하여 해당 요소로부터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SB_id) 정보를 읽어들이고, 해당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SB_id)를 이용하여 톤과 DTMF 소스 버퍼로부터 톤과 DTMF 소스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톤과 DTMF 레지스터 수정 상태(ST21)로 천이한다.
이후, 해당 톤과 DTMF 레지스터 수정 상태(ST21)에서 데이터 변환부(28)는 소스 버퍼 액세스 상태(ST20)에서 읽어들인 톤과 DTMF 소스 데이터를 해당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과 연계되어 있는 메모리부(24)의 톤과 DTMF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수정 상태(ST22)로 천이하며, 해당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수정 상태(ST22)에서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상태에 따라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한다. 즉,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가 '1'이면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에 대해 앞으로 남아 있는 유효시간(Remain_Time)을 '1' 감소시킨 값으로 수정을 하고,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가 '0'이면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던스 단위시간 플래그가 '1'이면서 동시에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에 대해 앞으로 남아 있는 유효시간(Remain_Time)이 '0'인 경우에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번호(PEN)를 '1' 증가시키고, '1' 증가된 요소번호에 대응되는 요소에 대한 유효시간(Remain_Time) 정보를 읽어와서 메모리부(24)의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요소번호(PEN) 정보와 유효시간(Remain_Time) 정보를 수정한다.
그런데, 만약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번호(PEN)가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액세스 상태(ST19)에서 읽어들인 마지막 요소번호(LEN)와 같다면 해당 요소번호(PEN)를 '0'으로 초기화하고, 초기화된 요소번호에 따라 해당 요소의 유효시간(Remain_Time) 정보를 읽어와서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요소번호(PEN) 정보와 유효시간(Remain_Time) 정보를 수정한다.
이때, 데이터 변환부(28)는 FIFO(21)의 ATM 셀 저장여부에 따라 상태 천이하는데, 해당 FIFO(21)에 ATM 셀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즉, 엠프티(Empty) 상태이면 CPU 액세스 상태(ST12)로 천이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FIFO(21)에 ATM 셀이 저장되어 있으면 즉, 엠프티 상태가 아니면(Not Empty) 셀 수신 상태(ST23)로 천이한다.
그리고, 해당 셀 수신 상태(ST23)에서 데이터 변환부(28)는 FIFO(21)로부터 하나의 ATM 셀을 수신하여 셀 헤더의 정보에 따라 해당 ATM 셀을 메모리부(24)의 셀 버퍼에 저장하며, 해당 ATM 셀의 수신을 종료하였음을 알리는 셀 종료신호(Cell_end)가 수신되면 CPU 액세스 상태(ST12)로 천이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변환부(28)의 상태 천이 과정은 매 타임슬롯 주기마다 실제 톤과 DTMF를 생성하는 동작이 1회씩 발생되므로, 생성할 수 있는 톤과 DTMF의 총 가짓수는 1 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수와 일치한다. 또한, 생성되는 톤과 DTMF별로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이 존재해야 하므로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수도 1 프레임 내의 타임슬롯 수와 일치한다.
또한, 실제 생성되어야 할 톤과 DTMF는 톤과 DTMF 소스를 가지고 각각 개별적인 케이던스에 맞춰 조합, 반복되어진 것이므로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내용은 실제 요구되는 톤이나 DTMF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와 해당 톤과 DTMF 소스에 할당된 시간을 하나의 항목으로 하여 구성되며, 각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의 항목 수는 필요한 만큼만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변환부(28)가 메모리부(24)의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를 액세스하여 ATM 교환망으로부터 인가되어 셀 버퍼에 저장된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셀 버퍼 고유번호에 따라 메모리부(24)의 셀 버퍼 내에 기록된 기록 포인터를 읽어들인 후, 해당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셀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측에 출력하고, 메모리부(24)의 셀 버퍼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소스 버퍼,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레지스터를 액세스하여 톤이나 DTMF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에 의거하여 메모리부(24)에 구비된 톤과 DTMF 레지스터를 액세스해서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읽어들여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 측에 출력한다. 그리고,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29)는 해당 데이터 또는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직/병렬 변환부(30)를 및 트렁크 라인을 통해 TDM 방식의 교환망 측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변환 장치에서는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므로 ATM 교환 시스템에서 별도로 톤이나 DTMF 생성 및 출력을 위한 장치나 스위치를 구현할 필요가 없어 해당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의 ATM 셀 변환 장치에 톤과 DTMF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ATM 셀 변환 장치에서 해당 교환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톤과 DTMF를 생성하여 TDM 방식의 교환망 측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TM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CPU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클럭펄스, 동기펄스신호 및 조건신호를 인가받아 동기신호, 클럭펄스, 상태신호, 트렁크 라인번호, 타임슬롯 번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와; ATM 교환망과 접속된 ATM 전송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ATM 셀을 일시 저장하는 FIFO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FIFO에 저장된 ATM 셀을 셀 헤더 영역에 있는 가상 연결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하는 셀 전송 제어부와; 상기 CPU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정합하여 주는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와;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각 타임슬롯 구간 내에서 시분할 복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와;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로부터 인가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TDM 방식의 각 트렁크 라인에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부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클럭펄스에 따라 가동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중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ATM 셀 변환 장치에 있어서,
    링크 테이블, 셀 버퍼 제어 테이블, 셀 헤더 테이블, 셀 버퍼, 완성 셀 버퍼의 큐, 톤과 DTMF 소스 버퍼,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 톤과 DTMF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케이던스 단위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운터와;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 상태 천이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상태/타이밍 신호발생부로부터의 트렁크 라인번호와 타임슬롯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해서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기록 포인터와 FT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FT가 'NS'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기록 포인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의 셀 버퍼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 측에 출력하고, 상기 FT가 'T&D'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의 셀 버퍼 제어 테이블로부터 읽어들인 톤과 DTMF 레지스터 고유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해서 상기 메모리부를 액세스하여 톤이나 DTMF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라인 데이터 다중화부 측에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과 DTMF 발생 기능을 포함한 ATM 셀 변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 버퍼 제어 테이블은 상기 셀 버퍼를 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에서 수행할 기능을 표시하는 FT 정보와 상기 톤과 DTMF 레지스터의 고유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고, 상기 톤과 DTMF 소스 버퍼는 특정 주파수 대의 신호들이 하나로 합쳐진 신호의 PCM 코드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며, 상기 케이던스 제어 테이블은 실제 요구되는 톤이나 DTMF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톤과 DTMF 소스 고유번호와 톤과 DTMF 소스에 할당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고, 상기 톤과 DTMF 레지스터는 실제 생성된 톤과 DTMF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영역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과 DTMF 발생 기능을 포함한 ATM 셀 변환 장치.
KR1019980008976A 1998-03-17 1998-03-17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KR10025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76A KR100258129B1 (ko) 1998-03-17 1998-03-17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US09/270,045 US6219350B1 (en) 1998-03-17 1999-03-16 ATM cell converting apparatus which includes tone and DTMF generating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JP7110099A JP3244665B2 (ja) 1998-03-17 1999-03-16 Tone及びDTMF発生機能を備えたATMセル変換装置及びその方法
CN99103359A CN1118991C (zh) 1998-03-17 1999-03-17 异步传输模式信元转换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76A KR100258129B1 (ko) 1998-03-17 1998-03-17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18A KR19990075018A (ko) 1999-10-05
KR100258129B1 true KR100258129B1 (ko) 2000-06-01

Family

ID=1953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76A KR100258129B1 (ko) 1998-03-17 1998-03-17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9350B1 (ko)
JP (1) JP3244665B2 (ko)
KR (1) KR100258129B1 (ko)
CN (1) CN111899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9678B2 (en) * 2000-12-21 2004-11-16 Nortel Networks Limited Interworking of dissimilar packet networks for telephony communications
GB0102743D0 (en) * 2001-02-03 2001-03-21 Power X Ltd A data switch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ta switch
KR100391553B1 (ko) * 2001-07-20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서 디티엠에프 신호 전달방법
GB2378622A (en) * 2001-08-11 2003-02-12 Zarlink Semiconductor Ltd Updating a lookup table used in mapping between TDM channels and packets
JP2003078499A (ja) * 2001-08-31 2003-03-14 Nec Corp xDSL用トーンオーダリング回路及びトーンオーダリング方法
HK1050811A2 (en) 2002-05-09 2003-06-13 Environmentalcare Ltd A fluid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1745A (ja) * 1988-06-10 1989-12-15 Fujitsu Ltd ダイヤル信号送出装置
US5327492A (en) * 1992-04-30 1994-07-05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ropagation of dual-tone multi-frequency signal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457684A (en) * 1993-12-21 1995-10-10 At&T Ipm Corp. Delay-less signal processing arrangement for use in an ATM network
US5457690A (en) * 1994-01-03 1995-10-10 Integrated Network Corporation DTMF Signaling on four-wire switched 56 Kbps Lines
US6023474A (en) * 1996-11-22 2000-02-08 Sprint Communications C.O.L.P. Broadband telecommunications system interface
US5483527A (en) * 1994-12-21 1996-01-09 At&T Corp. Terminal adapter for interfacing an ATM network with a STM network
EP0734185A2 (en) * 1995-03-23 1996-09-25 Hughes Electronics DTMF tone transmission in a voice communication system
EP0742677A3 (en) * 1995-05-08 1999-09-15 Fujitsu Limited Header converting method
US5698805A (en) * 1995-06-30 1997-12-16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Tone signal generator for producing multioperator tone signals
US5764645A (en) * 1996-06-12 1998-06-09 Microsoft Corporation IP/ATM network adap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018A (ko) 1999-10-05
US6219350B1 (en) 2001-04-17
CN1232333A (zh) 1999-10-20
CN1118991C (zh) 2003-08-20
JP3244665B2 (ja) 2002-01-07
JP2000032575A (ja) 200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619A (en) Common memory switch for routing data signals comprising ATM and STM cells
EP0363053B1 (en) Asynchronous time division switching arrange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KR940017455A (ko) Atm 다중화 처리 장치
JPH0728314B2 (ja) ハイブリッドパケット交換方法および装置
US5805590A (en) Switching device for digital data networks and asynchronous transfer mode
EP0338558B1 (en) Packet switch suitable for integrated circuit implementation
KR100258129B1 (ko) 톤과 디티엠에프 발생 기능을 포함한 에이티엠 셀 변환 장치
EP0504710A1 (en) Cross-point type switch using common memories
JP3184964B2 (ja) 交換システムのatmセル変換方法
US5910953A (en) ATM interface apparatus for time-division multiplex highways
KR100246534B1 (ko) 교환시스템의 에이티엠셀 변환장치
KR100211024B1 (ko) 비동기전달모드 스위치에서의 다중화 장치
JPH0758753A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JPH10135971A (ja) 速度変換回路
KR100282406B1 (ko) 에이티엠 셀 변환 시스템에서 톤과 디티엠에프스위칭 장치 및방법
KR100272568B1 (ko) 사설 교환기의 셀 스위칭 장치 및 방법
KR100333736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셀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
KR960016386B1 (ko) 교환시스템간 접속장치
JPH02280439A (ja) 先き入れ先だしメモリを用いた時分割方式よりパケット方式へのデータ変換回路
KR970056358A (ko) 비동기 전달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JPH09162888A (ja) セル組立方法およびセル分解方法ならびにclad装置
JPH0771085B2 (ja) セル多重装置およびセル分離装置
JPH01146441A (ja) 時分割多重信号変換回路
JPS5977793A (ja) 時分割スイツチ
JPH06232893A (ja) セル分解多重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