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693B1 - 선반틀 - Google Patents
선반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7693B1 KR100257693B1 KR1019950009745A KR19950009745A KR100257693B1 KR 100257693 B1 KR100257693 B1 KR 100257693B1 KR 1019950009745 A KR1019950009745 A KR 1019950009745A KR 19950009745 A KR19950009745 A KR 19950009745A KR 100257693 B1 KR100257693 B1 KR 100257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frame
- side frames
- joints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3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선반단의 부분적 변경을 쉽게할 수 있는 선반틀을 제공한다.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네모꼴로 형성된 한쌍의 옆틀(1)을 소요간격으로 연결하고, 양 옆틀의 기둥재(2)에 설치한 걸림부(14)에 콘테이너(21)등을 재치하는 선반받이(19)를 걸어서 되는 선반틀로서, 걸림부가 양 옆틀의 좌우 또는 전후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있어서 기둥재의 피복수지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단면 U자 모양의 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전후 또는 좌우에서 대향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개구된 네모꼴의 다수의 결합부(16)를 소요간격으로 설치하여 되는 한편, 상기 각 선반받이가 상기 걸림부의 홈(15)에 끼워맞추는 두께, 결합부 높이와 같은 정도의 폭과 전후 또는 좌우의 기둥재 간격과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대판상의 수직 끼워맞춤부(17)와 이와 더불어 단면 대략 T자 모양을 한 지지부(18)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선반틀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반틀에 있어서의 기둥재(柱材)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선반틀에 있어서의 선반받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선반틀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선반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1도, 제5도의 선반틀에 사용되는 다른 선반받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1도, 제5도의 선반틀에 사용되는 또다른 선반받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제1도, 제5도의 선반틀에 사용되는 또다른 선반받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옆틀 2 : 기둥재
3 : 틀재 4,5 : 수지 이음매
6 : 캐스터 8 : 슬라이드 이음매
9 : 슬라이드 간(杆) 10,12 : 핀
11 : 힌지 이음매 13 : 연결간
14 : 걸림부 15 : 홈
16 : 결합부 17,26,30 : 끼워맞춤부
18,27,31 : 지지부 19,25,29 : 선반받이
20,22,24,28,32 : 스토퍼 21 : 콘테이너
23 : 보강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선반판 또는 선반판으로서 기능하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경량인 물품의 저장, 수송 혹은 진열 등에 제공되는 선반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선반틀로는 일본실공소 52-10583호 공보, 실공소 54-35676호 공보 기재의 것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반틀은 파이프 외주면의 +자 위치에 조공(條孔)을 설치하여 지주로 하고, 상기 조공과 계탈자재의 갈구리부를 양단에 형성한 선반받이에 의해 입체적인 틀체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또, 후자의 선반틀은 코너조인트, T자 조인트, 센터조인트 및 이들의 각 조인트 사이를 하나의 평면내에서 연결하는 수평연락간(連絡杆)과, 이 수평의 선반단(段)을 다단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락간에 의해 입체적인 틀체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선반틀에서는 재치물품의 변경에 따른 선반단의 부분적 위치변경이 곤란한 결함이 있다.
또, 그 불사용시의 이송이나 보관을 할때에 그대로는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한편, 스페이스를 작게하기 위하여 분해하는데는 다대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폐단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선반단의 부분적 변경을 용이하게 가능케할 수 있는 선반틀을 제공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 불사용시의 이송이나 보관시에 점유공간을 손쉽게 축소할 수 있는 선반틀을 제공함을 더욱 주요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선반틀은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네모꼴로 형성된 1쌍의 옆틀을 소요 간격으로 연결하고, 양 옆틀의 기둥재에 설치한 걸림부에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을 재치하는 다수의 선반받이를 걸어서 이루어지는 선반틀로서 상기 걸림부가 양 옆틀의 좌우 또는 전후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있어서, 기둥재의 피복수지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단면 U자형을 이룸과 동시에 개구부를 전후 또는 좌우에서 대향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개구하는 네모꼴의 다수의 결합부를 소요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각 선반받이가 상기 걸림부의 홈에 끼워맞춤하는 두께, 결합부 높이와 같은 정도의 폭과 전후 또는 좌우 기둥재 간격과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대판상(帶板狀)의 수직의 끼워맞춤부와 이와 어울려 단면 대략 T자모양을 한 지지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선반틀은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네모꼴로 형성된 한쌍의 옆틀을 소요 간격으로 연결하고, 양 옆틀의 기둥재에 설치한 걸림부에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을 재치하는 다수의 선반받이를 걸어서 이루어지는 선반틀로서, 상기 양 옆틀의 연결이 각 상하로 이격한 수평의 2개의 틀재에 미끄럼이동자유로이 끼워 만든 슬라이드 이음매와, 양 상하의 슬라이드 이음매를 틀재와 직각이고 수평인 핀을 통하여 연결하는 슬라이드 간과 중간을 핀으로 원추형 접합한 X자 모양을 띈 양 슬라이드간과 양 옆틀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기둥재를 각각에 회동자재로 끼워만든 힌지 이음매를 통하여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연결간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선반틀은 제2의 것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옆틀 상방의 틀재에 보강간의 한끝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이 다른쪽 옆틀의 상방의 틀재에 계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선반틀은 제1,제2 또는 제3의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받이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끝부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및 제6의 선반틀은 제1,제2,제3 또는 제4의 것에 있어서, 상기 양 옆틀에 있어서의 전후 기둥재 하단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제1의 선반틀에 있어서는 옆틀 등의 분해를 수반하지 않고 소요선반받이의 부착,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제2의 선반틀에 있어서는 어느 한쪽의 슬라이드간을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양 옆틀간의 폭이 축소 또는 확대된다.
제3의 선반틀에 있어서는 제2의 것의 작용 외에 선반틀을 폭이 넓어진 상태로 유지 가능해진다.
제4의 선반틀에 있어서는 제1,제2 또는 제3의 것의 작용 외에 각 선반받이에 재치되는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의 이동이나 낙하가 방지된다.
또, 제5 및 제6의 선반틀에 있어서는 제1,제2,제3 또는 제4의 것의 작용외에 선반틀 이동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선반틀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중 1은 좌우 한쌍의 옆틀로서, 양 옆틀(1)은 외경 28~32mm 정도의 얇은 강관 외주에 AAS 등의 합성수지를 접착 피복한 수지피복 강관으로 되는 전후 2개의 기둥재(2) 및 상하 2개의 틀재(3)를 피복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되는 수지 이음매(4,5)에 의해 구형(矩形)으로 맞붙여 형성되어 있고, 각 기둥재(2)의 하단에는 캐스터(6)가 부착되어 있다.
양 옆틀(1)의 상하 틀재(3)에는 중간에 연결부(7)를 돌설한 슬라이드 이음매(8)가 회동 또한 미끄럼이동자유로이 끼워 만들어져 있고, 양 상하의 슬라이드 이음매(8)는 틀재(3) 등과 같은 수지피복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간(9)에 의해 연결부(7)에 원추형 접합된 틀재(3)와 직각으로 수평의 핀(1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양 슬라이드 이음매(8)와 양 옆틀(1)의 후방 기둥재(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에 회동자재로 끼워만든 힌지 이음매(11)를 통하여 알루미늄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되고, 중간을 핀(12)으로 원추형 접합한 X자 모양을 띈 연결간(13)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양 옆틀(1)의 전후 기둥재(2)에 있어서의 양 옆틀(1)의 서로 대향하는 좌우 내측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U자 모양을 이루는 걸림부(14)가 피복수지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 기둥재(2)에 있어서의 걸림부(14)의 홈(15)의 개구부는 서로 대향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림부(14)에는 내측부를 절결함으로써 내측으로 개구하는 네모꼴의 다수의 걸림부(16)가 축방향으로 소요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양 옆틀(1)의 전후의 기둥재(2)의 걸림부(14)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되고, 걸림부(14)의 홈(15)에 끼워맞춤되는 두께, 결합부(16) 높이와 동일 정도의 폭과 전후 기둥재(2)의 간격과 동일 정도의 길이를 갖는 대판상의 수직의 끼워맞춤부(17)와, 이 끼워맞춤부(17)와 어울려 단면 대략 T자 모양의 수평의 지지부(18)로 되는 선반받이(19)가 양단의 끼워맞춤부(17)의 하반부(17a)를 걸림부(14)의 홈(15)에 끼워맞춤되고, 또한 지지부(18)를 결합부(16) 하연에 맞닿게하여 걸려 있다.
선반받이(19)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17)의 상반부(17b)는 하반부(17a)에서 내측으로 편기(偏奇)시켜 그 외측면이 하반부(17a)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경우, 그 내측면은 결합부(14)의 내측면과 대략 동일면이 된다. 또, 지지부(18)의 전후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스토퍼(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선반틀은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경량의 물품(G)을 수용한 콘테이너(21)를 양 옆틀에 걸린 선반받이(19)의 지지부(18)상에 걸쳐서 재치하고, 물품의 저장, 수송 혹은 진열등에 제공되는 것이며, 불사용시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슬라이드간(9)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 옆틀(1)간의 폭이 축소되고 접혀서 수납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22는 양 옆틀(1)의 닫힘 폭을 필요에 따라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또, 물품(G)이나 콘테이너(21)의 크기에 변경이 생길 경우는 소요 선반받이(19)를 옆틀(1)에서 해체하여 피치변경한다. 선반받이(19)의 해체는 선반받이(19)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끼워맞춤부(17)의 하반부(17a)의 홈(15)과의 결합을 해제한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행해지고, 부착은 상기 수순을 역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선반틀에 의하면 상하의 슬라이드 이음매(8)와 슬라이드간(9)은 틀재(3)와 직각이고 수평인 핀(1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간(9)에 걸리는 조작점의 위치에 관계없고, 역점(力点)이 상기 핀(10)에 고정되므로 슬라이드 이음매(8)에 뒤틀림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한 미끄럼이동이 얻어진다. 따라서, 좌우의 어느 한쪽의 슬라이드간(9)을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양 옆틀(1)간의 폭이 축소 또는 확대되므로 불사용시의 이송이나 보관시에 점유면적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다.
또, 양 옆틀(1)의 폭을 확대시킨 상태로 선반받이(19)의 부착, 해제가 가능해지므로 물품(G)이나 콘테이너(21)의 크기 변화에 따른 선반단의 변경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양 옆틀(1)이 캐스터(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반틀 이동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선반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선반틀은 폭확대시의 강성이나 폭확대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좌측 옆틀(1)에 있어서의 상방 틀재(3)의 전단에 틀재(3) 등과 동일한 수지피복 강관으로 되는 보강간(23)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을 우측의 옆틀(1)에 있어서의 상방의 틀재(3)의 전단에 결합, 이탈(계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 좌측 옆틀(1)에 있어서의 상방의 틀재(3)의 후단에 양 옆틀(1)의 열림폭을 제한하는 스토퍼(24)를 부착한 것이다.
따라서, 보강간(23)의 길이나 스토퍼(24)의 부착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재치하는 콘테이너(21)나 트레이 등의 수평폭의 치수변경에 따른 대응이 쉬워진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도의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의 부재 등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옆틀(1) 간의 폭을 축소 또는 확대 가능케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 옆틀(1)의 기둥재(2)끼리 틀재(3)와 같은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연결하고, 양 옆틀(1)을 소요간격으로 고정한 것도 좋은 한편, 양 옆틀(1)은 구형에 한하지 않고 정방형, 대형(台形)등의 네모꼴이면 좋음과 동시에 상하의 틀재(3) 간에 수평의 틀재를 설치하여 여기에 슬라이드 이음매(8)를 끼워만들어도 좋고, 또한 기둥재 등은 각형(角形)의 수지피복 강관이라도 좋다.
또, 양 옆틀(1)은 캐스터(6)를 갖는 것에 한하지 않고, 선반틀의 이동이 빈번하지 않을 경우에는 캐스터(6)를 갖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X자상 연결간(13)은 상하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라도 좋고, 또한 슬라이드간(9)과 전방의 기둥재(2)를 연결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또, 닫힘폭을 제한하는 스토퍼(22) 및 열림폭을 제한하는 스토퍼(24)는 좌측의 옆틀(1)에 있어서의 상방의 틀재(3)에 부착될 경우에 한하지 않고, 하방의 틀재(3) 혹은 양측의 상하 틀재(3)에 부착하여도 좋다.
한편, 선반받이(19)는 제3도에 도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가령 제6도에 도시하는 선반받이(25)와 같이 하반부(26a)와 상반부(26b)를 수평방향으로 적절히 이격한 수직 끼워맞춤부(26)와, 이 끼워맞춤부(26)와 어울려 단면 대략 T자상을 한 수평 지지부(27)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지지부(27) 전후단에 스토퍼(28)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둥재(2)에 있어서의 걸림부(14)의 결합부(16)의 높이는 끼워맞춤부(26)의 하반부(26a)의 폭과 동일 정도가 되고, 또한 상반부(26b)가 걸림부(14)에서 내측에 위치한다.
또, 제7도에 도시하는 선반받이(29)와 같이 하반부(30a)와 상반부(30b)를 동일면상에 설치하고, 또한 하반부(30a)를 상반부(30b)에서 적절히 소폭으로 설치한 수직 끼워맞춤부(30)와, 이 끼워맞춤부(30)와 어울려 단면 대략 T자 모양을 한 수평 지지부(31)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지지부(31) 전후단에 스토퍼(32)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둥재(2)에 있어서의 걸림부(14)의 결합부(16)의 높이는 끼워맞춤부(30)의 폭 보다 적절히 작게하고, 선반받이(29)의 걸림부(14)에의 걸림은 상반부(30b)를 결합부(16) 상방의 홈(15)에 끼워맞추어 상반부(30b)를 결합부(16)에 결합시킨 후, 선반받이(29)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반부(30a)를 하방의 홈(15)에 끼워맞추어 행하고, 해제는 상기 수순과 역으로 행한다.
그리고, 양 옆틀(1)로 부터의 해제가 불필요할 경우는 제8도에 도시하는 선반받이(33)와 같이 수직 끼워맞춤부(34)와, 이 끼워맞춤부(34)와 더불어 단면 대략 T자 모양을 한 수평의 지지부(35)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지지부(35)의 전후단에 스토퍼(36)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둥재(2)에 있어서의 걸림부(14)의 결합부(16)의 높이는 지지부(35)의 두께와 동일 정도가 되고, 옆틀(1)의 조립에 앞서 걸림부(14)에 걸린다.
그리고 또, 2단째 부터는 선반받이(33)와 같이 끼워맞춤부(34)가 지지부(35) 보다 위가 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끼워맞춤부(34)가 지지부(35) 보다 아래가 되는, 단면 L자 모양의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콘테이너나 트레이 등의 선반받이로 부터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위의 선반받이(33)의 끼워맞춤부(34)를 이용하는 배치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선반받이(19, 25, 29, 33)는 양 옆틀(1)의 좌우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있어서 각 기둥재(2)에 설치한 걸림부(14)에 걸릴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양 옆틀(1)이 소요 간격으로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는 양 옆틀(1) 전후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있어서 각 기둥재(2)에 설치한 걸림부에 걸리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콘테이너(21)등의 인출은 수평방향이 된다.
또, 각 선반받이(19, 25, 29, 33)는 선반틀(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수평으로 걸릴 경우에 한하지 않고, 앞이 내려가도록, 전후방향으로 경사시켜서 걸리게하여도 좋다.
또한, 각 선반받이가 좌우의 선반틀 사이에 있어서 수평의 것인 경우, 전후의 선반받이에 고저차를 설치하고, 재치되는 콘테이너(21)등을 앞이 내려가도록 경사시키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선반받이에 재치되는 것은 콘테이너에 한하지 않고, 트레이등 또는 선반판이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선반틀에 의하면, 옆틀 등의 분해를 수반하지 않고 소요의 선반받이의 부착, 해제가 가능해지므로 물품이나 콘테이너 등의 크기 변화에 따른 선반단의 변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제2의 선반틀에 의하면, 어느 한쪽의 슬라이드간을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양 옆틀간의 폭이 축소 또는 확대되므로 불사용시의 이송이나 보관시의 점유공간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다.
또, 상하의 슬라이드 이음매와 슬라이드간을 틀재와 직각이고 수평인 핀을 통하여 연결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이음매 또는 슬라이드간의 어느 쪽에서 조작하더라도 슬라이드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3의 선반틀에 의하면, 제2의 것의 작용효과 외에 선반틀을 폭을 확대시킨 상태로 유지가능하므로 확폭한 사용시의 강성이나 확폭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의 선반틀에 의하면, 제1, 제2 또는 제3의 것의 작용효과 외에 각 선반받이에 재치된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등의 이동이나 낙하가 방지되므로 물품 재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제5 및 제6의 선반틀에 의하면, 제1, 제2, 제3 또는 제4의 것의 작용효과외에 선반틀 이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선반차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네모꼴로 형성된 한쌍의 옆틀을 소요간격으로 연결하고, 양 옆틀의 기둥재에 설치한 걸림부에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을 재치하는 다수의 선반받이를 걸어서 이루어지는 선반틀로서, 상기 걸림부가 양 옆틀의 좌우 또는 전후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있어서 기둥재의 피복수지와 일체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단면 U자 모양을 함과 동시에, 개구부를 전후 또는 좌우에서 대향시키고, 또한 내측으로 개구하는 네모꼴의 다수의 결합부를 소요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각 선반받이가 상기 걸림부의 홈에 끼워맞추는 두께, 결합부의 높이와 같은 정도의 폭과 전후 또는 좌우의 기둥재 간격과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대판상의 수직 끼워맞춤부와, 이와 더불어 단면 대략 T자 모양을 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 수지피복 강관과 이음매에 의해 네모꼴로 형성된 한쌍의 옆틀을 소요 간격으로 연결하고, 양 옆틀의 기둥재에 설치한 걸림부에 선반판 또는 콘테이너, 트레이 등을 재치하는 다수의 선반받이를 걸어서 이루어지는 선반틀로서, 상기 양 옆틀의 연결이 각각의 상하로 이격한 수평의 2개의 틀재에 미끄럼이동자유로이 끼워 만든 슬라이드 이음매와, 양 상하의 슬라이드 이음매를 틀재와 직각이고 수평인 핀을 통하여 연결하는 슬라이드 간과, 중간을 핀으로 원추형 접합한 X자 모양을 띄고, 양 슬라이드 간과 양 옆틀의 전방 또는 후방의 기둥재를 각각에 회동자유로이 끼워만든 힌지 이음매를 통하여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연결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옆틀의 상방의 틀재에 보강간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이 다른쪽 옆틀의 상방의 틀재에 계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 제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받이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끝부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 제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옆틀에 있어서의 전후 기둥재의 하단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옆틀에 있어서의 전후 기둥재의 하단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9745A KR100257693B1 (ko) | 1995-04-25 | 1995-04-25 | 선반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9745A KR100257693B1 (ko) | 1995-04-25 | 1995-04-25 | 선반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6992A KR960036992A (ko) | 1996-11-19 |
KR100257693B1 true KR100257693B1 (ko) | 2000-06-01 |
Family
ID=1941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9745A KR100257693B1 (ko) | 1995-04-25 | 1995-04-25 | 선반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7693B1 (ko) |
-
1995
- 1995-04-25 KR KR1019950009745A patent/KR1002576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6992A (ko) | 1996-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27420B2 (ja) | 棚 枠 | |
US8016370B2 (en) | Storage system | |
KR910015370A (ko) | 창고용 자동위치 결정기 | |
KR102637389B1 (ko) | 물품 수납 선반, 및 물품 수납 선반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 |
US20130020272A1 (en) | Three-dimensional storage system | |
DE2339808A1 (de) | Behaelter fuer modulsystem | |
US7988245B2 (en) | Clothing and textile system | |
KR100257693B1 (ko) | 선반틀 | |
JP2010105691A (ja) | 折り畳み式ラック | |
GB2045698A (en) | Nestable wheeled container | |
JP4312611B2 (ja) | ラック台車 | |
US3059780A (en) | Tray support | |
JP6680491B2 (ja) | 組立棚 | |
JPH0121902Y2 (ko) | ||
EP0716972B1 (en) | Trolley for transporting containers | |
JPH0572728U (ja) | 搬送台車 | |
JP2003200861A (ja) | 側面開放車の荷台構造 | |
JP3005332U (ja) | 流動棚におけるローラレールとガ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 |
JPH057896Y2 (ko) | ||
JP7243679B2 (ja) | 物品収容棚 | |
JPS6216401Y2 (ko) | ||
JP4289572B2 (ja) | 棚板 | |
CN211495114U (zh) | 一种物流用的置物箱 | |
JP2518707B2 (ja) | 物品搬送具 | |
JPH0227251B2 (ja) | Tanadaishaoryoshitabutsupinyusohoh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