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473B1 - 안전벨트용버클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473B1
KR100257473B1 KR1019970016957A KR19970016957A KR100257473B1 KR 100257473 B1 KR100257473 B1 KR 100257473B1 KR 1019970016957 A KR1019970016957 A KR 1019970016957A KR 19970016957 A KR19970016957 A KR 19970016957A KR 100257473 B1 KR100257473 B1 KR 10025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uckle
retaining portion
housing
fix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378A (ko
Inventor
비어 프란쯔
Original Assignee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스 위르겐 코흐
Publication of KR97007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9Cord and rope holders
    • Y10T24/3907Sheathed str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88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 Y10T24/45906Means for mounting projection or cavity portion having component of means permanently deformed during mount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버클(23)은 오목부(33)를 구비하는 하우징(25)과,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하는 케이블(27) 및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구비한다. 케이블은 버클에 가장 근접한 단부를 가지며, 케이블 고정 기구는 리테이닝부(31)를 구비하며, 리테이닝부에 의해 케이블 고정 기구(29)는 케이블(27)의 단부와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 기구는 버클에 부착된다. 케이블의 단부와 리테이닝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33) 속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안전 벨트용 버클{BUCKLE FOR A SAFETY BELT}
본 발명은 리테이닝부(retaining section;保持部)가 있는 부착식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안전 벨트용 버클(buckle)에 관한 것인 데, 이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 고정 기구는 리테이닝부에 의해 버클측에 가장 근접한 케이블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온 버클에 있어서, 버클로부터 대면하고 있지 않는 케이블 고정 기구의 단부는 케이블과 함께 프레스되어 리테이닝부를 형성한다. 케이블 고정 기구의 평판형 연장부는 리테이닝부로부터 버클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며, 이곳에서 케이블 고정 기구는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케이블 고정 기구는 버클의 하우징에 관하여 축방향 전방으로 매우 멀리 연장되므로,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한 공지된 버클의 길이는 매우 길게 되었다. 이는 벨트 인장기(belt tensioner)를 사용할 때 특히 불리하였는데, 그 이유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한 과도하게 긴 버클은 이용 가능한 공간이 적음으로 인해, 가능한 최대 인장 거리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버클에 케이블 고정 기구를 고착시키는 수단을 도시하는, 도 1의 선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케이블 고정 기구가 버클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거나 또는 고착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케이블 고정 기구와 하우징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 3의 선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다소 변형된 케이블 고정 기구를 도시하는,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선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버클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버클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9에 도시한 버클을 일부 변형시킨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3 : 버클
25 ; 하우징
27 : 케이블
29 : 케이블 고정 기구
31 : 리테이닝부
35,37 ; 평탄한 연장부
41 ; 홈
43 ; 스냅식 끼움부
47 : 압출 스프링
51,53 ; 변형 구역
61 ; 스터드
63 ; 지지면
본 발명에서 안출된 버클은 부착식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전체의 축선 방향 길이가 매우 짧으므로 특히, 벨트 인장기를 사용할 때 차량 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벨트 인장기의 인장 거리는 얻어진 전체 축선 방향 길이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버클의 하우징에 오목부가 구비되며, 이 오목부 속으로는 리테이닝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리테이닝부는 버클의 하우징에 관하여 단지 부분적으로만 돌출하게 된다.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리테이닝부를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하고 또 케이블 고정 기구를 고착시키는 부분만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빚어진 공간상의 분리는 더 이상 본 발명에서 안출된 버클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케이블 고정 기구는 리테이닝부와 함께 케이블을 프레스하여 케이블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고착용 수단은 리테이닝부쪽으로의 케이블 방향을 따라, 가령 버클의 폭 또는 높이의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케이블 고정 기구상에 위치된다. 종래의 볼트형 고정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 기구와 버클을, 케이블 고정 기구가 버클에 고착되게 하거나 또는 버클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블 고정 기구로부터 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는 인장력은, 버클측에 가장 근접한 케이블의 단부를 리테이닝부로부터 돌출시키고 또한 돌출된 영역에서 엉클어지게 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케이블의 엉클어진 단부의 단면적(횡단면)은 케이블의 프레스된 영역의 단면적(횡단면)에 비해 증가되므로,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고정 기구의 전방부에 의해 지지된다.
버클이 벨트 인장기와 함께 사용될 경우 케이블 고정 기구에는 변형 구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 변형 구역은 인장 경로의 말단에서 제한용 대응 부분과 충돌하여 소성 변형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 기구가 그 대응 부분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최대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과 같은 특징 및 기타의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유니트(21)는 하우징(25)을 구비한 버클(23) 그리고 케이블 고정 기구(29)에 의해 버클(23)에 연결되는 케이블(27)로 이루어지며, 매우 짧은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케이블 고정 기구(29)는 리테이닝부(31)의 영역에서 케이블과 함께 프레스됨으로써 케이블(27)에 분리될 수 없게 고정된다. 하우징(25)의 후방부에는 슬롯형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오목부(33) 속으로 리테이닝부(31) 및 버클(23)에 근접한 케이블(27)의 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평탄한 연장부(35),(37)가 리테이닝부(31)로부터 측방향(횡방향)으로 돌출하여 하우징(25)의 내부로 연장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35),(37)는 각각 볼트(39)에 의해 하우징에 고착된다. 연장부(35),(37)에는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관통된 통로가 형성된다. 측방에 위치하는 관통 통로들 그리고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버클(23)에 고착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는 볼트(39)로 인해 버클(23)과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전체 축선 방향 길이는 더욱 축소될 수 있다.
볼트(39)로 케이블 고정 기구(29)와 버클(23)을 고착시키는 것에 부가하거나 또는 그에 대신하여, 케이블 고정 기구(29)와 버클(23) 사이의 연결은 스냅 끼움식 기구(snap-in mechanism)가 제공되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고정 기구(29)는 그 표면에 홈(41)을 구비하며(도4 참조), 이 홈(41)은 리테이닝부(31)의 영역에서 케이블의 종방향(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며, 그 홈(41)속으로는 하우징(25)의 브릿지형 스냅식 끼움부(43)가 맞물려져서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버클에 고착시키게 된다. 또한 볼트(39)들은 추가의 고착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냅 끼움식 커넥터를 대신하여,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영역(44)을 스냅식 끼움부(43)가 맞물려지는 후크(hook)로 설계함으로써 케이블 고정 기구(29)와 버클(23) 사이에 후크형 연결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 6에 도시한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하우징(25)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벽두께는 하우징(25)의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에서의 벽두께보다 두껍게 되며, 그 결과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안정성 및 케이블(27)로 전달될 수 있는 최대 인장력이 증가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 기구(29)로부터 케이블로 전달될 수 있는 최대 인장력은 버클측의 케이블(27)의 단부를 리테이닝부(31)에 관하여 돌출시키고 이 부분에서의 케이블의 구조를 엉클어지게 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케이블의 엉클어진 부분은 도 7에서 도면 부호 45로 표시되어 있다. 케이블의 엉클어진 단부는 케이블의 단면적(횡단면)을 증가시키므로 케이블(27)은 리테이닝부(31)의 전방부에 의해 지지된다.
공간 특히, 축선 방향 공간을 더욱 절약하기 위하여 버클측에 가장 근접한 케이블(27)의 단부의 바로 전방에 압출(배출) 스프링(47;ejector spring)이 배치된다. 버튼을 눌렀을 때, 압출 스프링(47)은 버클(23)과 맞물릴 수 있는 래치(도시하지 않음)를 버클(23)로부터 자동으로 밀어내도록 작용한다.
더욱이, 케이블 고정 기구(29)는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중심 축선(A)에 관하여 대칭일 필요는 없지만 비대칭일 수도 있으므로, 이용 가능하지만 아직 사용되지 않은 구조적 공간에 특히 적합해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케이블 중심 축선(A)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수용 공간(49)의 중심 축선(P)에 관하여 편향(offset)되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버클(23)에 대면하지 않는 케이블 고정 기구(29)의 단부에서, 평탄한 변형 구역(51),(53)(도 6 참조)이 연장부(35),(37)에 형성된다. 벨트 인장기가 사용될 때, 변형 구역(51),(53)은 인장 경로(tensioning path)의 말단에서 소성 변형되는 방식으로 그에 대응하는 제한용 정지 부분(limiting stop)과 충돌한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 기구(29)가 제한용 정지 부분(대응 정지 부분)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최대 힘이 줄어들게 된다.
도 8, 9에 의한 버클은 상부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된 U형 하우징(25)을 구비한다. U형 하우징(25)은 도 9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가 있는 레그(legs)를 구비하며, 케이블 고정 기구의 측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며 또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는 2개의 스터드(61;stud)는 상기 오목부에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케이블 고정 기구는 하우징으로 프레스된다. 구속 상태의 경우에, 일측부에 오목부를 한정하는 지지면(63)은 버클(23)에 가해지는 힘을 케이블 고정 기구(29)로 전달한다. 추가로, 하우징(25)과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코킹(caulking)할 수도 있다. 만일 하우징(25)과 케이블 고정 기구(29)를 함께 코킹한다면 및/또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하우징으로 프레스한다면, 볼트(39)는 불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된 부분의 길이(Y)는 비교적 짧고, 케이블 고정 기구는 하우징으로부터 짧은 길이(Z)만큼 돌출한다.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지지면(63)은 상향으로 경사지며 그 일부가 스터드(61) 위로 돌출한다. 버클에 견인 하중(traction load)이 가해질 때 스터드(61)들은 경사진 지지면에 의해 오목부 속으로 더 깊이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체 고착 효과가 실현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버클과 케이블 고정 기구로 구성되는 유니트는 종래의 유니트에 비하여 형태가 매우 콤팩트하고 전체의 축선 방향 길이가 짧다는 특징을 갖는다. 지금까지 사용된 케이블 고정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버클과 비교하여 총 길이가 짧아지므로 차량 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이고 벨트 인장기의 최대 인장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안전벨트용 버클로서,
    오목부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과,
    리테이닝부와, 이 리테이닝부에 일체로 되어 리테이닝부의 두 반대쪽 측부로부터 단지 리테이닝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연장부를 갖는 단일 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버클에 가장 근접한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닝부와 함께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닝부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상기 오목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평탄한 연장부는 상기 리테이닝부로부터 단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상기 하우징 속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테이닝부는 볼트 형태의 고착 수단에 의해 상기 버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트는 상기 리테이닝부의 반대쪽 두 측부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 위치되고 또 상기 평탄한 연장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에 가장 근접한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리테이닝부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영역이 마련되며, 이 단부 영역에서 상기 단부는 엉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중심 축선이 있는 래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의 중심 축선은 상기 래치 수용공간의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하여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5. 안전벨트용 버클로서,
    오목부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과,
    리테이닝부가 있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버클과 가장 근접한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닝부와 함께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닝부와,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목부 내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는 상기 리테이닝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두 반대쪽 측부에서 단지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또 상기 하우징 속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연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볼트 형태의 고착 수단에 의해 상기 버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트는 상기 리테이닝부의 두 반대쪽 측부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 위치되고 또 상기 평탄한 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는 그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가 구비되며, 상기 버클의 상기 하우징은 오목부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 내로 상기 스터드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면이 마련된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부분은 상기 스터드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7. 안전벨트용 버클로서,
    오목부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과,
    리테이닝부가 있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버클에 가장 근접한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닝부와 함께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닝부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속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에는 중심 축선이 있고,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중심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클과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그 표면에 상기 중심 축선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홈으로 연장되는 스냅식 끼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의 벽 두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보다는 외측에서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10. 작동시 인장 경로에 대해 버클을 이동시키는 벨트 인장기에 연결된 안전벨트용 버클로서,
    오목부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과,
    리테이닝부와, 변형 구역이 있는 케이블 고정 기구와,
    상기 버클에 대한 대응 정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버클과 가장 근접한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닝부와 함께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닝부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목부 내로 연장되며, 상기 변형 구역은 상기 인장 경로의 말단에서 상기 대응 정지부와 충돌하여 소성 변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11. 안전벨트용 버클로서,
    오목부가 있는 하우징과,
    상기 버클을 차량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과,
    리테이닝부가 있는 케이블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버클과 가장 근접한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테이닝부와 함께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테이닝부와,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속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는 상기 리테이닝부로부터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두 반대쪽 측부에서 단지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또 상기 하우징 속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연장부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볼트 형태의 고착 수단에 의해 상기 버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트는 상기 리테이닝부의 두 반대쪽 측부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에 위치되고 또 상기 평탄한 연장부를 관통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는 각각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된 단부에 전방부가 있으며 상기 케이블의 상기 단부의 상기 전방부와 상기 케이블 고정 기구의 상기 전방부 중 하나에는 래치 압출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
KR1019970016957A 1996-05-06 1997-05-02 안전벨트용버클 KR100257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08192U DE29608192U1 (de) 1996-05-06 1996-05-06 Gurtschloß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29608192.2 1996-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378A KR970074378A (ko) 1997-12-10
KR100257473B1 true KR100257473B1 (ko) 2000-08-01

Family

ID=802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957A KR100257473B1 (ko) 1996-05-06 1997-05-02 안전벨트용버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16589A (ko)
EP (1) EP0806157B1 (ko)
JP (1) JP2978452B2 (ko)
KR (1) KR100257473B1 (ko)
CN (1) CN1174142A (ko)
BR (1) BR9703072A (ko)
DE (2) DE29608192U1 (ko)
ES (1) ES210990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02416U1 (de) * 2001-02-12 2001-06-28 Breed Automotive Tech Sicherheitsgurtschloss
DE102015000019A1 (de) * 2015-01-07 2016-07-07 Trw Automotive Gmbh Gurtschlossbring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17493A1 (ko) * 1968-09-06 1970-05-22 Seybold Rolf
NL7101503A (ko) * 1970-02-12 1971-08-16
GB1391816A (en) * 1972-11-30 1975-04-23 Wall Ltd Howard Buckles
GB1496342A (en) * 1974-10-01 1977-12-30 Wall Ltd H Buckles
US4071929A (en) * 1975-10-14 1978-02-07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unting for buckle
US4068354A (en) * 1976-03-01 1978-01-17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afety belt buckle
US4069557A (en) * 1976-03-01 1978-01-24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afety belt buckle
SE400461B (sv) * 1976-07-19 1978-04-03 Autoliv Ab Anordning vid fordonssekerhetsselar
US4065836A (en) * 1977-01-24 1978-01-03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afety belt buckle
US4237586A (en) * 1977-10-21 1980-12-09 Nsk-Warner K.K. Buckle device for safety belt
US4177541A (en) * 1978-07-20 1979-12-11 Acro-Fab Industries, Inc. Bicycle cable
JPS5930110B2 (ja) * 1980-02-28 1984-07-25 エヌエスケ−・ワ−ナ−株式会社 シ−トベルトのバック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189195U (ja) * 1982-06-10 1983-12-15 日本精工株式会社 バツクル装置
JPS58189194U (ja) * 1982-06-10 1983-12-15 日本精工株式会社 バツクル装置
JPS58221902A (ja) * 1982-06-20 1983-12-23 日本精工株式会社 バツクルとワイヤ−との加締方法
US4915451A (en) * 1989-03-13 1990-04-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Ltd. Safety belt apparatus
US5377393A (en) * 1993-09-03 1995-01-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buckle
US5671949A (en) * 1995-12-20 1997-09-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pretens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03991D1 (de) 2001-08-16
KR970074378A (ko) 1997-12-10
BR9703072A (pt) 1998-11-10
CN1174142A (zh) 1998-02-25
EP0806157B1 (de) 2001-07-11
EP0806157A1 (de) 1997-11-12
US6016589A (en) 2000-01-25
DE29608192U1 (de) 1996-09-05
JP2978452B2 (ja) 1999-11-15
JPH1044928A (ja) 1998-02-17
ES2109907T1 (es) 1998-02-01
ES2109907T3 (es)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8663B1 (en) Seat belt tension sensor
CA2351970C (en) Car seat tether anchor and system
US5580091A (en) Energy management device for use with safety belt retractors
US6312057B1 (en) Structural component consisting of a belt buckle, attachment hardware and force limiter
JPH0221802B2 (ko)
US7316374B2 (en) Fasteners for attaching pipes to a support
US20100037610A1 (en) Bended pre-tensioner tube
WO2010008982A1 (en) Seatbelt anchor assembly
KR100257473B1 (ko) 안전벨트용버클
KR100254853B1 (ko) 벨트인장기
JP3150704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854657B2 (ja) 二重ケーブル取入れ口を備えるケーブル引締め装置
US6039352A (en) Buckle tensioner
KR101778639B1 (ko) 자동차에서 안전 벨트의 차량 고정 단부를 위한 신속 해제 체결구
KR19990063405A (ko)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US4898402A (en) Structure for fixing anchor base on stationary base of vehicle
US20040105723A1 (en) Attaching device for fuel tank band
KR100549410B1 (ko) 안전벨트용 가이드 앵커
KR100306923B1 (ko) 안전벨트장치및그장치를조립하는방법
JPH0885419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453324Y2 (ko)
US4625371A (en) Seat belt buckle
US4471513A (en) Seat belt buckle mounting device
EP4253769A1 (en) Fastening clip assembly
JPH0627495Y2 (ja) 自動車用リザ−バタンク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