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467B1 -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467B1
KR100257467B1 KR1019930010524A KR930010524A KR100257467B1 KR 100257467 B1 KR100257467 B1 KR 100257467B1 KR 1019930010524 A KR1019930010524 A KR 1019930010524A KR 930010524 A KR930010524 A KR 930010524A KR 100257467 B1 KR100257467 B1 KR 10025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molybdenum
chromium
tit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본 하겐 잉고
멘네 울리크
호프만 울리크
볼겔상 베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마리오 파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0.15~0.30 중량%, 실리콘 0.50~0.80 중량%, 망간 2.05~3.35 중량%, 인 최대 0.03 중량%, 황 최대 0.03 중량%, 크롬 0.50~1.00 중량%, 몰리브덴 최대 0.60 중량%, 알루미늄 최대 0.05 중량%, 티타늄 0.01~0.05 중량%, 붕소 0.0015~0.0035 중량%, 질소 0.002~0.015 중량%를 포함하고, 기계적 강성이 필요한 구조요소, 특별히 자동차 차체의 문짝 보강을 위한 골조파이프 제료를 위한 원소로써, 티타늄(%) : 질소(%)의 비가 3.4 이상이고, 망간(%) + 크롬(%) + 몰리브덴(%) + 실리콘(%) ≥ 3.3을 만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주조하여 공냉시킨 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강한 기계적 특성이 요구되어 지는 구조물, 특히 자동차 차체의 문짝에 사용되어지는 구조용 파이프의 제조를 위한 강(steel)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에 가하여지는 운동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완화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보강재가 자동차 문짝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기에 사용되어지는 강 파이프는 비교적 높은 강성, 연성 및 작업성이 요구되어 진다. 자동차의 기타 안전 장치 및 기계적으로 강도의 특성이 요구되어지는 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되어지는 구조용 파이프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사항들이 또한 적용되어 진다.
상기의 목적에 사용되어지는 구조용 파이프는 통상적으로 최종 압연온도가 900℃ 내지 1080℃ 사이에 있는 압연 공정으로 제조되어 진다. 이에 따라 구조용 파이프에서 필요로 하는 기계적 특성들은 사용되어지는 원소 구성에 따른 강의 품질에 의하여 결정되어 진다. 일례로 0.18%의 탄소, 0.4%의 실리콘, 및 1.14%의 망간(나머지는 철 및 통상적인 첨가물)을 포함하는 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강의 소재는 강 파이프에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처리 공정을 추가해야 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은 한편으로 파이프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문짝 보강 파이프로의 2차적 가공시 부분적으로 행하여지는 열간 가공 또는 용접시 화염에 접촉되는 파이프의 부위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변화되어 처음의 강성에 비하여 열등한 특성을 나타내게 될 수도 있다.
문짝 보강 파이프 제조 용도의 또 다른 두 종류의 강 소재가 독일 특허 DE 37 28 476 C1호 및 독일 특허 DE 39 35 965 C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강의 소재들은 압연 열을 공기 경화시키는 것만으로 필요한 강성을 가지는 화학적 조성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것과 같은 추가적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상기의 강의 소재들로 구조용 파이프의 용도로써 몇 가지 불리한 단점들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한 강의 소재들은 두 단계의 LD-공법에 의해 제조되어 한 단계의 연속 주조 공정을 사용할 수 없다. 상기한 강의 소재들은 합금 원소의 함량이 높은 화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2단계 처리 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소재 생산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하게 초래된다. 상기한 두 종류의 강의 화학 조성은 다음과 같다(단위는 중량%).
독일 특허 DE 37 28 476 C1호
탄소 최대 0.35%
실리콘 최대 0.50%
망간 최대 1.80%
인 최대 0.030%
황 최대 0.030%
니켈 0~1.5%
크롬 1.8~2.2%
몰리브덴 0.4~0.7%
알루미늄 0.025~0.050%
나머지는 철 및 통상적인 불순물임.
독일 특허 DE 37 35 965 C1호
탄소 0.15~0.25%
실리콘 최대 0.60%
망간 3.4~6.1%
인 최대 0.03%
황 최대 0.03%
니켈 0~1.0%
크롬 0~1.0%
몰리브덴 0~1.0%
알루미늄 최대 0.005%
바나듐 0~0.15%
나머지는 철 및 통상적인 불순물임.
독일 특허 DE-37 28 476 C1에 따르는 강의 소재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서는 크롬, 철 및 몰리브덴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소들은 매우 값비싼 황금 소재이므로 비교적 저렴한 합금 원소들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독일 특허 DE 39 35 395 C1에 개시되어 있는 강의 소재의 사용 특성에 있어서 유리한 점은 소둔 저항(resistance to tempering)이 높다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열처리 또는 용접후 강성 특성의 현저한 감소를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강의 소재는 또한, 냉각 변형 특성이 독일 특허 DE 37 28 476 C1의 강의 소재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져, 통상적인 열간 압연 공정에서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확한 파이프의 규격을 상기의 강의 소재로 생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독일 특허 DE-40 32 996 A1호에는 문짝 보강 용재로써 사용가능하고 외부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또 다른 강의 소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강의 소재는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진다.
탄소 0.18~0.25%
실리콘 0.30~0.50%
망간 1.30~2.00%
크롬 0.1~0.5%
몰리브덴 0.1~0.3%
티타늄 0.02~0.07%
붕소 0.002~0.007%
나머지는 철 및 통상적인 불순물임.
상기 강의 소재는 수중 경화(water hardening) 처리됨과 아울러 기계적 특성은 열간 압연(hot-rolling)후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비로소 얻을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추가적 비용 발생이 일어나게 된다. 수중 경화 특성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강으로 제작된 강 파이프는 부식 방지를 위한 갈바나이징(galvanizing) 처리시, 가열에 의하여 최초의 강도가 허용 범위의 밖으로 변성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보강이 요구되어 지는, 특히 자동차 차체, 구조용 파이프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공기 경화(air hardening)된 강의 소재에 관한 것으로, LD-전로에서 한 단계의 주조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고, 열간 압연 단계에서 자기 자신의 우수한 강성 특성이 거의 형성되어 질 수 있는 즉, 열처리를 필수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이를테면 인장 강도, 탄성 한계 및 신율 등의 문짝 보강 파이프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계적 특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강의 소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한 냉간 가공으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이 부가되어진 강의 소재를 제공하려는 목적도 부가적으로 가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 0.15~0.30 중량%
실리콘 0.50~0.80 중량%
망간 2.05~3.35 중량%
인 최대 0.03 중량%
황 최대 0.03 중량%
크롬 0.50~1.00 중량%
몰리브덴 최대 0.60 중량%
알루미늄 최대 0.05 중량%
티타늄 0.01~0.05 중량%
붕소 0.0015~0.0035 중량% 및
질소 0.002~0.015 중량%
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망간, 크롬, 몰리브덴 및 실리콘의 총량이 최소한 3.3% 이상이며, 티타늄과 질소의 함량비(Ti:N)는 최소한 3.4 이상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의 소재를 독일 특허 제DE 39 35 965 C1호에 개시되어 있는 철과 비교하여 보면, 망간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크롬 및 몰리브덴의 최소함량이 설정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공기 경화 특성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더욱 압축 특성의 개선과 강성 증가 효과가 붕소를 과외로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붕소의 함량을 상기의 철 소재로 제조되어진 구조용 파이프의 냉간 가공성 확보를 위하여 최대 0.0035%로 엄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의 실리콘의 함량은 높은 강성 부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끝으로 티타늄과 질소의 성분비(Ti:N)는 최소값이 3.4가 되도록 하고, 질소의 함량은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2% 내지 0.015%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제조된 강을 진정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는 문짝 보강 파이프 제조를 위하여 이미 개시되어진 강의 소재들이 가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유리한 특성들을 모두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강의 단순화된 야금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는 파이프를 냉간에서 성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기 때문에, 냉간에서 정밀강 파이프의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의 소재가 가지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LD-방법으로 단일 주조
- 가격적으로 합리적인 합금 원소
- 공기 경화 가능성
- 고 소둔 저항성
- 고강도
- 높은 에너지 흡수능력
본 발명에 따르는 강의 소재는 문짝 보강 파이프에의 용도 이외에도 지금까지 제작되어온 정밀 강 파이프와 같은 보강재에의 제작에도 매우 적합하다.
상기한 보강재는 비틀림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자동차의 차체 제작에 사용되어 질 목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서는 상기한 보강재는 주어진 비틀림 각도에서의 하중 변화에 따른 비틀림 시험에 있어서 가능한 높은 하중 응력 지수를 견디어야 한다. 본 발명에 다른 강소재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보강재의 제작이 가능하며, 열간 압연 가공 후 냉간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의 또 다른 장점은 가능한 두께를 얇게 하여 무게를 가볍게 해야하는 자전거 프레임 또는 코트 스탠드의 제작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탄소 0.25 중량%
실리콘 0.74 중량%
망간 2.29 중량%
인 0.02 중량%
황 0.02 중량%
크롬 0.66 중량%
몰리브덴 0.25 중량%
알루미늄 0.03 중량%
티타늄 0.046 중량%
붕소 0.0029 중량%
질소 0.008 중량% 및
나머지는 철과 불순물
로 이루어지는 강을 LD-전로에서 단일 주조 방법으로 생산하여 원형봉을 주조하였다.
상기한 원형 주조체의 단면은 롤러에서 25×5mm 크기로 열간 압연하고 마지막 성형 단계 다음에 공기 경화시켰다. 상기한 합금 조성을 가지는 파이프는 이미 열간 압연 단계에서 문짝 보강재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특성을 나타낸다. 도금하지 않은 파이프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최소한의 물성이 필요하다.
Rm= 1400 N/mm2
Rp0.2= 1000 N/mm2,
A5= 9%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Rm= 1610 N/mm2,
Rp0.2= 1040 N/mm2,
A5= 15%
본 발명에 다른 강의 소재는 예를 들면 니켈과 같은 값비싼 원소를 완전히 사용하지 않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는 크롬과 몰리브덴 원소를 비교적 적은 량을 함유한다. 또한 공기 경화의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소재를 별도의 열처리해야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문짝 보강 파이프에 대한 기계적 특성에 대한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 사항들이 높은 정도로 이루어지고, 또한 예를 들면 준-정역학적 굴곡 시험에서의 굴곡 저항이 보강되어 질 때, 적당하게 실행되어진 얇은 냉간 성형에 의한 파이프 가공이 가능하여 진다. 이와 같이 수행되어진 냉간 성형 처리후 파이프의 기계적 특성은 특히 탄성 한도가 냉간 가공 경화에 의하여 개선되어져, 굴곡 저항성의 요구가 충족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어진 파이프의 냉간 가공을 거친 후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Rm= 1650 N/mm2,
Rp0.2= 1208 N/mm2,
A5= 11%
풀림 처리를 통하여서도 상기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성에 따라 특정 화학 조성 및 선택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강의 탄성 한계는 350℃의 온도에서 풀림 처리한 다음 열간 압연한 것과 비교해서 증가한다. 풀림 처리한 파이프의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Rm= 1425 N/mm2,
Rp0.2= 1236 N/mm2,
A5= 15%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는 이미 상기 강의 뛰어난 풀림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기계적 특성은 예를 들면 DE 40 32 996 A1에서 개시된 강에서보다도 덜 감소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강은 부식방지 개선을 위한 고온 갈바나이징(hot galvanizing)에 특히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의 파이프를 450℃로 가열된 아연도금조에 10분 침적시킨 후의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Rm= 1262 N/mm2,
Rp0.2= 1128 N/mm2,
A5= 15%
이에 반하여 독일 특허 제40 32 996 C1에 기술되어 있는 도금 파이프에 대한 최소한의 특성값은 다음과 같다.
Rm= 1100 N/mm2,
Rp0.2= 800 N/mm2,
A5= 8%
파이프 크기 또는 단면 모양 때문에 열간 압연 단계에서 파이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대한 예로는 열간 압연 경로(hot-rolling train)에서 달성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지는 옷걸이 파이프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지 않는 문짝 보강 파이프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품의 생산은 사용되어지는 강을 더욱 냉간 인발(cold drawing) 처리함으로써 가능하여 진다. 이러한 가능성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강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700℃에서 30분간 풀림 처리를 통하여 강의 강도는 아무런 문제없이 냉간 인발이 가능할 정도까지 감소된다. 그러나 독일 특허 제DE-39 35 965 C1에 따른 강에서는 이 강이 연화 풀림된 것임에도 가능하지 않았다. 냉간 인발에 의하여 얻어지는 높은 가공 경화는 풀림에 의하여 감소되어지는 강성을 높이는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어 냉간 인발 가공을 파이프에 응용하기가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적 조성으로 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 33.7×5mm의 크기로 열간 압연된 것으로부터 26×4mm의 크기로 냉간 인발된 경우에 다음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Rm= 1049 N/mm2,
Rp0.2= 982 N/mm2,
A5= 13%
필요한 경우 압연 파이프를 추가적으로 열처리하여 열간 압연 튜브의 초기 값으로 환원될 수도 있다.

Claims (2)

  1. 탄소 0.15~0.30 중량%, 실리콘 0.50~0.80 중량%, 망간 2.05~3.35 중량%, 인최대 0.03 중량%, 황 최대 0.03 중량%, 크롬 0.50~1.00 중량%, 몰리브덴 최대 0.60 중량%, 알루미늄 최대 0.05 중량%, 티타늄 0.01~0.05 중량%, 붕소 0.0015~0.0035 중량%, 질소 0.002~0.015 중량% - 여기서 티타늄(중량%) : 질소(중량%) ≥ 3.4 중량%이고 망간(중량%) + 크롬(중량%) + 몰리브덴(중량%) + 실리콘(중량%) ≥ 3.3 중량%임 - 및 잔부의 철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열간 압연하고 공기 경화시킨 후의, Rm이 최소 1400 N/mm2이상이고, Rp0.2이 최소 1000 N/mm2이상이며, A5이 최소 9% 이상의 수치를 가지는 높은 기계적 하중이 부가되는 구조물로, 특히 자동차의 문짝 강화를 위한 구조용 강.
  2. 탄소 0.15~0.30 중량%, 실리콘 0.50~0.80 중량%, 망간 2.05~3.35 중량%, 인최대 0.03 중량%, 황 최대 0.03 중량%, 크롬 0.50~1.00 중량%, 몰리브덴 최대 0.60 중량%, 알루미늄 최대 0.05 중량%, 티타늄 0.01~0.05 중량%, 붕소 0.0015~0.0035 중량%, 질소 0.002~0.015 중량% - 여기서 티타늄(중량%) : 질소(중량%) ≥ 3.4 중량%이고 Mn(중량%) + 크롬(중량%) + 몰리브덴(중량%) + 실리콘(중량%) ≥ 3.3 중량%임 - 및 잔부의 철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주물로 주조하는 단계; 상기 주물을 구조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물을 공기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을 열간 압연하고 공기 경화시킨 후의 Rm이 최소 1400 N/mm2이상이고, Rp0.2이 최소 1000 N/mm2이상이며, A5이 최소 9% 이상인 높은 기계적 하중이 부가되는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19930010524A 1992-06-10 1993-06-10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57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9336A DE4219336C2 (de) 1992-06-10 1992-06-10 Verwendung eines Stahls zur Herstellung von Konstruktionsrohren
DEP4219336.2 1992-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7467B1 true KR100257467B1 (ko) 2000-06-01

Family

ID=646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524A KR100257467B1 (ko) 1992-06-10 1993-06-10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70751A (ko)
EP (1) EP0576107B1 (ko)
JP (1) JPH0673505A (ko)
KR (1) KR100257467B1 (ko)
DE (2) DE4219336C2 (ko)
ES (1) ES207394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518A1 (de) * 1997-11-27 1999-06-10 Mannesmann Ag Verwendung eines beruhigt vergossenen lufthärtenden stahls als werkstoff zur herstellung von hochfestem schweissbaren halbzeug
DE19838673C1 (de) * 1998-08-20 2000-04-20 Mannesman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fester und hochzäher Stahlprofilrohre und Anlage zu dessen Durchführung
JP4331300B2 (ja) * 1999-02-15 2009-09-16 日本発條株式会社 中空スタビライザの製造方法
SE515624C2 (sv) 1999-11-02 2001-09-10 Ovako Steel Ab Lufthärdande låg- till mediumkolhaltigt stål för förbättrad värmebehandling
CZ296802B6 (cs) * 2000-05-31 2006-06-14 Benteler Ag Kliková náprava s prícnou torzní tycí
JP4608739B2 (ja) * 2000-06-14 2011-0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自動車ドア補強用鋼管の製造方法
US7475478B2 (en) * 2001-06-29 2009-01-13 Kva,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tive structural members
US7926180B2 (en) * 2001-06-29 2011-04-19 Mccrink Edward J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and liquid storage tanks
US7618503B2 (en) * 2001-06-29 2009-11-17 Mccrink Edward J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am-welded joints using post-weld heat treatment
JP2005531414A (ja) * 2001-06-29 2005-10-20 マッククリンク,エドワード,ジェイ. シーム溶接空気焼入れ可能鋼管
US7540402B2 (en) * 2001-06-29 2009-06-02 Kva, Inc. Method for controlling weld metal microstructure using localized controlled cooling of seam-welded joints
US7232053B2 (en) * 2004-12-30 2007-06-19 Kva, Inc. Seam-welded air hardenable steel constructions
DE102004053620A1 (de) * 2004-11-03 2006-05-04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fester, lufthärtender Stahl mit ausgezeichneten Umformeigenschaften
DE102007033950A1 (de) * 2006-07-19 2008-01-3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Werkstück aus einer hochfesten Stahllegierung und dessen Verwendung
DE102007030207A1 (de) * 2007-06-27 2009-01-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wendung einer hochfesten Stahllegierung zur Herstellung von Strahlrohren mit hoher Festigkeit und guter Umformbarkeit
DE102007058222A1 (de) * 2007-12-03 2009-06-04 Salzgitter Flachstahl Gmbh Stahl für hochfeste Bauteile aus Bändern, Blechen oder Rohren mit ausgezeichneter Umformbarkeit und besonderer Eignung für Hochtemperatur-Beschichtungsverfahren
DE102010024664A1 (de) * 2009-06-29 2011-02-17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teils aus einem lufthärtbaren Stahl und ein damit hergestelltes Bauteil
DE102011118491A1 (de) 2010-11-26 2012-05-31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durch Warmumformung von Platinen
DE102013101276A1 (de) * 2013-02-08 2014-08-14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tabilisators
WO2016079565A1 (en) * 2014-11-18 2016-05-26 Arcelormitt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product and steel product thereby obtained
JP2020142293A (ja) * 2019-03-08 2020-09-10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摩擦攪拌接合用ツール及び摩擦攪拌接合方法
DE102019114090A1 (de) 2019-05-27 2020-12-03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chweißten Bauteils aus einem umgeformten hochfesten Stahl und Bauteil hierzu
KR20220149776A (ko) 2020-03-13 2022-11-08 타타 스틸 네덜란드 테크날러지 베.뷔. 강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8211A (en) * 1963-12-05 1967-06-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Method of manufacturing weldable, tough and high strength steel for structure members usable in the ashot-state and steel so made
FR2180192A5 (ko) * 1972-04-12 1973-11-23 Ugine Aciers
US3830669A (en) * 1972-06-13 1974-08-20 Sumitomo Metal I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ld-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JPS52152814A (en) * 1976-06-14 1977-12-19 Nippon Steel Corp Thermo-mechanical treatment of seamless steel pipe
JPS551935A (en) * 1978-06-20 1980-01-09 Kawasaki Steel Corp Front and rear table face table control unit for reversible rolling mills
JPS57104656A (en) * 1980-12-22 1982-06-29 Nippon Kokan Kk <Nkk> Manufacture of high-tensile steel with low galvanizing crack sensitivity
GB2163454B (en) * 1984-07-04 1988-08-24 Nippon Steel Corp Process for manufacturing parts from non-heat refined steel having improved toughness
GB8621903D0 (en) * 1986-09-11 1986-10-15 British Steel Corp Production of steel
DE3728476C1 (en) * 1987-08-26 1989-04-06 Benteler Werke Ag Use of a steel as material for producing pipes for door reinforcement
DE4032996A1 (de) * 1989-10-26 1991-05-02 Mannesman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e hohe verformungsarbeit und einen aeusseren korrosionsschutz aufweisenden stahlprofiles
DE3935965C1 (ko) * 1989-10-26 1991-05-08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19336C2 (de) 1995-10-12
JPH0673505A (ja) 1994-03-15
ES2073946T3 (es) 1995-08-16
US5370751A (en) 1994-12-06
EP0576107B1 (de) 1995-06-14
EP0576107A1 (de) 1993-12-29
DE4219336A1 (de) 1993-12-16
DE59300257D1 (de)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467B1 (ko) 구조용 파이프 제조를 위한 강 및 이의 제조방법
EP1746176B1 (en) Shaped steel article with excellent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tensile strength of 1600 MPa class or more and methods of production of the same
JPH0681078A (ja) 低降伏比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39533A (ko) 열간 프레스 경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열간 프레스 경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강 제품의 용도 및 열간 프레스 경화 부품
US20210189531A1 (en) High performance press-hardened steel
JPH0463242A (ja) 車体補強用鋼管
KR20080106200A (ko)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CN113215481B (zh) 具有高抗氧化性的压制硬化钢
EP0203809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a good deep drawability
CN110832100B (zh) 用于拼焊板的钢材料及使用该钢材制造热冲压部件的方法
KR20220013393A (ko) 열간-스탬프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강철 스트립, 시트 또는 블랭크, 열간-스탬프 부품, 및 블랭크를 부품으로 열간-스탬핑하는 방법
JPH1096031A (ja) 高炭素薄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部品の製造方法
KR100856314B1 (ko) 버링성이 우수한 고망간 고강도 강판
JP7326247B2 (ja) 熱間成形された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鋼ストリップ、シート又はブランク、部品、及びブランクを部品に熱間成形する方法
KR100351483B1 (ko) 내상온시효성과 패널 특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의 제조방법
KR101008820B1 (ko) 저온충격 인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제조방법
US20220356540A1 (en) Press hardening steel with combination of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and ultra-high strength
US5256219A (en) Steel reinforcement tube
KR20100137196A (ko) 내충돌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 가공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고강도 자동차용 구조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4214330B2 (ja) 成形性および焼入れ性にすぐれた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042434B1 (ko) 냉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H04224655A (ja) 車輛用ドアインパクトバー用高強度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40441A (ja) 自動車ドア補強用の鋼管材料
KR101062080B1 (ko) 로워 컨트롤 아암의 제조방법
KR101030912B1 (ko) 스틸휠 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