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200A -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6200A KR20080106200A KR1020087020686A KR20087020686A KR20080106200A KR 20080106200 A KR20080106200 A KR 20080106200A KR 1020087020686 A KR1020087020686 A KR 1020087020686A KR 20087020686 A KR20087020686 A KR 20087020686A KR 20080106200 A KR20080106200 A KR 20080106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inless steel
- steel sheet
- structural members
- strength
- sta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7% by weight of 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용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량%로, C: 0.005% 내지 0.05%, N: 0.01% 내지 0.30%, Si: 0.1% 내지 2%, Mn: 0.1% 내지 15%, Ni: 0.5% 내지 8%, Cu: 0.1% 내지 5%, Cr: 11% 내지 20%, Al: 0.01% 내지 0.5%,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A)식에서 주어지는 Md30값이 0 내지 100℃,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가 5OOM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강도나 충격 흡수 성능이 필요한 구조용 부재로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버스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 필라, 범퍼 등의 충격 흡수 부재 및 언더바디 부재, 철도 차량의 차체, 자전거의 림 등의 구조 부재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의 관점에서, 자동차, 이륜차, 버스, 철도 차량 등의 수송 기기의 연비 향상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 해결 수단의 하나로서, 차체의 경량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차체의 경량화는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의 경량화, 구체적으로는, 소재 판 두께의 박판화에 의한 것이 많지만, 소재 판 두께를 얇게 할 경우 강성이나 충돌 안전 성능이 저하된다. 충돌 안전성 향상의 대책으로서는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고강도화가 유효한데, 보통강 고강도 강판이 자동차의 충격 흡수 부재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통강은 내식 성능이 낮기 때문에 중도장(재도장)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 도장하지 않거나 또는 경도장하는 부재에는 적용할 수 없고, 중도장으로 인하여 비용도 많이 든다. 또한, 보통강에 있어서는 고용 강화, 석출 강화, 복상 조직화, 가공 유기 변태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강도화를 달성하고 있지만, 어느 방법이나 고강도화에 따라서 연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연성이 저하하면, 구조 부재로의 가공이 곤란하게 되어, 구조의 자유도가 크게 저하된다.
한편, 크롬(Cr)을 함유하는 스테인리스강은 보통강에 비하여 내식성이 큰 폭으로 우위에 있기 때문에, 녹 감안 두께(녹에 의한 두께 저하를 감안하여 추가한 두께)의 저감에 의한 경량화와 도장의 생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강도-연성 밸런스가 우수하여, 화학 성분의 조정에 의하여 고강도-고연성이 기대된다. 또한, 충돌 안전성 향상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을 상정할 경우, 차량 프레임에 높은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진 재료를 적용하면, 부재가 압괴 변형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내의 사람에게 주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차체 경량화에 의한 연비 향상, 도장 간략화, 안전성의 향상 등의 이점이 커진다.
예를 들면, 철도 차량의 구조 부재로서는, 내식성이 우수한 SUS301L이나 SUS304 등의 연성이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843호에는 주로 철도 차량 및 일반 차량의 구조 부재나 보강재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높은 변형 속도에서의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니켈을 6% 내지 8% 함유하고, 오스테나이트계 철강 조직을 갖는 소재에 있어서, 변형 시에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상을 생성함으로써 고속 변형에 있어서 고강도화하는 것으로, 동적 인장 변형시와 정적 인장 변형시의 변형 강도, 최대 강도, 가공 경화 지 수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충격을 받을 때, 안전 면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충격 흡수 에너지에 관한 점에서는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동적 변형 강도와 정적 변형 강도의 차가 커서, 정적 변형 강도가 낮은 경우에는 충돌 성능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정동비로서 최대 동적 강도와 최대 정적 강도의 비율을 규정하고 있으나, 비교적 낮은 변형 영역의 강도, 예를 들면 내력이 충돌시의 충격 흡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대 강도의 비율에서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충돌시의 큰 변형을 받는 경우에는 강도뿐만 아니라 소재 연성이 기여하는 경우가 있고, 흡수 에너지 특성으로서 파괴에 이르는 것과 같은 큰 변형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였다. 즉,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0843호는 차량 충돌시의 안전 성능 즉, 충격 흡수 특성에 관하여서는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비교적 니켈을 다량으로 함유하기 위하여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자동차, 이륜차 및 버스 등의 일반 수송 차량에 적용하기는 곤란하였다.
또한, 담금질에 의하여 고강도화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예를 들면 SUS420)은 연성이 현저하게 낮고, 용접부 인성이 현저하게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자동차, 버스, 철도 차량은 용접 구조가 많기 때문에, 용접부 인성이 낮은 경우에, 구조물로서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예를 들면 SUS430)은 강도가 낮기 때문에 강도가 요구되는 부재에는 부적합하고, 부재가 고속으로 변형될 때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서, 충돌 안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판의 성형성을 확보하면서, 차량 구조 부재로서의 충돌 안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고속 변형시의 충격 흡수 에너지를 향상시키는 기술은 전무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고강도이고 고속 변형시의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속 변형을 받았을 때의 변형 메커니즘에 관한 금속 조직적 연구를 한 결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우수한 가공성을 확보하면서 고속 변형시의 충격 흡수 에너지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밝혀내었다. 구체적으로는, 변형 속도 103/sec의 초고속 변형시의 변형 저항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가공 유기 변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가공 경화 성능을 증대시키고, 부재가 충돌하였을 때의 강도와 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충격 흡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차체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고, 한편 차체 붕괴를 최소한으로 하여 승무원의 안전성을 현격히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로, C: 0.005% 내지 0.05%, N: 0.01% 내지 0.30%, Si: 0.1% 내지 2%, Mn: 0.1% 내지 15%, Ni: 0.5% 내지 8%, Cu: 0.1% 내지 5%, Cr: 11% 내지 20%, Al: 0.01% 내지 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A)식에서 주어지는 Md30값이 0 내지 100℃,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가 5OOM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2) 내력의 정동비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3)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4) 질량%로, C: 0.005% 내지 0.05%, N: 0.01% 내지 0.30%, Si: 0.1% 내지 2%, Mn: 0.1% 내지 15%, Ni: 0.5% 내지 8%, Cu: 0.1% 내지 5%, Cr: 11% 내지 20%, Al: 0.01% 내지 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A)식에서 주어지는 Md30값이 0 내지 100℃,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5OM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5) 내력의 정동비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6)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7)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700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또한,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전체 흡수 에너지는, 차량 충돌시의 변형 속도에 대응하는 103/sec로 고속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파단될 때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로 하고,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는 상기 고속 인장 시험에 있어서, 10% 변형 영역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이다. 또한, 정적 인장 시험은 통상의 인장 속도(변형 속도 10-3∼-2/sec)로 실시하는 인장 시험이다.
도 1은 Md30값과 고속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Md30값과 고속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
이하에 본 발명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속으로 충격을 받을 때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포인트이다. 차량 충돌시의 충격은 구조 부재에 가하여지기 때문에, 부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충격 흡수 성능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높은 변형 속도에서의 충격 흡수 에너 지를 고려한 스테인리스 강을 제공하려는 시도는 없었고, 또한 차량 설계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차량용 구조 부재는 모자(hat) 형태 성형품으로 대표되는 각형 단면이 대부분이다. 충격을 흡수하는 변형 영역은 구성 부재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충돌에 의하여 붕괴 현상이 일어나는 부위에서는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를 지표로 한다.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는 고속 변형시의 강도와 연성이 모두 높은 것이 좋지만, 종래의 고강도 강판은 강도가 높고 파단 연성이 낮기 때문에, 전체 흡수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연성이 높고, 변형 중의 고가공 경화 특성을 활용하여, 전체 흡수 에너지를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충돌 안전 성능을 소재의 관점에서 극한까지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낮은 변형 영역인 10% 변형 영역까지 충격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부위도 있기 때문에, 10% 변형 영역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도 지표로 한다. 이것은 부재 형상에 의존하지만, 「자동차 재료의 고속 변형에 관한 연구회 성과 보고서」(일본 철강 협회편, p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 등의 부위에서 적용되는 것이다.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내력과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내력의 비는 클수록 충돌 흡수 구조체로서 좋다. 또한, 차량 구조 부재로 성형하려면 재료의 연성이 높은 것이 좋고, 일반적인 재질 지표로서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 연신율을 지표로 하였다.
상기 재료 지표에 기초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우수한 충격 흡수 특성을 가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가공 유기 변태에 의한 가공 경화를 활용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최적인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여러 가지 성분 조정에 의하여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제어함으로써, 고속 변형시의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적당히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고속 변형시의 충격 흡수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지표가 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안정도는 아래와 같은 Md30값(스테인리스협회편 스테인리스강 편람 기재)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이것은 진변형 0.3의 인장 변형을 부여하였을 때에, 마르텐사이트가 50% 생성되는 온도를 의미하는데, 이 값을 이용하여 충격 흡수 에너지를 평가하였더니, 본 발명이 규정하는 우수한 충격 흡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18.5Mo-68Nb
또한, 상기 Md30는 Mo, Nb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아래와 같이 (A) 식이 된다.
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먼저, 강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C는 고강도화를 위하여 0.005%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량으로 첨가하면 성형성이나 용접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O5% 이하로 한다. 정련 비용 및 입계 부식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0.02%로 하는 것이 좋다.
N도 C와 마찬가지로, 고강도화에 유효하고 충격 흡수 에너지의 향상에 유익 하게 작용하므로, 0.01% 이상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량 첨가하면 성형성이나 용접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0.30% 이하로 한다. 정련 비용, 제조성 및 입계 부식 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0.015% 내지 0.25%로 하는 것이 좋다.
Si는 탈산 원소인 동시에, 고용 강화 원소로 고강도화에 유효한 원소이며, 0.1% 이상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량 첨가하면 성형성이 열화하고, 정동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2% 이하로 하였다. 제조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0.2% 내지 1%로 하는 것이 좋다.
Mn는 탈산 원소이며, 고용강화 원소로 고강도화에 유효한 원소인 동시에, 고속 변형시에 오스테나이트상의 가공 경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0.1% 이상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량 첨가하면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않게 되거나, 수용성 개재물인 MnS를 생성하여 내식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15% 이하로 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산세성 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로 하는 것이 좋다.
Ni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인 동시에, 오스테나이트계상 생성을 위하여 0.5% 이상 필요하다. 한편, 다량 첨가하면 원료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않게 되므로, 8% 이하로 한다. 제조성, 응력 부식 균열, 시효 균열 등을 고려하면, 더 바림직하기로는 1.5% 내지 7.5%로 하는 것이 좋다.
Cu는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정동비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0.1% 이상 첨가한다. 이것은 성분 조정 공정에 있어서 스크랩 등으로부터 혼입되는 경우도 유효하 다. 그러나, 5%를 초과하여 첨가함으로써,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5% 이하로 한다. 제조시의 산세성 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4%로 하는 것이 좋다.
Cr는 주요 원소로서, 내식성의 관점에서 11%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과도한 첨가는 조직 조정을 위하여 다른 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기기 때문에, 상한을 20%로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14% 내지 18%로 하는 것이 좋다.
Al는 탈산 원소로서 첨가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황화물을 무해화하고, 부품 가공에 있어서의 구멍 확장성 등의 가공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들 특성은 0.01% 이상부터 발현되기 때문에, 하한을 0.01%로 하였다. 0.5%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표면 결함이나 제조성 열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한을 0.5%로 하였다. 비용 등을 고려하면, 더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5%로 하는 것이 좋다.
재료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오스테나이트상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변태하는 가공 유기 변태를 발현시키고, 변형 중에 가공 경화가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변형시에 마르텐사이트상이 효율적으로 생성되면 고강도화하는 동시에, 네킹을 방지하여 연성 향상에 기여한다. 마르텐사이트 변태는 변형과 온도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고속 변형시에는 가공 발열에 의하여 마르텐사이트 생성은 억제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적 변형시에 비하여 동적 변형시가 변형 초기 단계에 마르텐사이트 생성이 촉진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것은 성분에 의존한 변태의 변형 속도 의존성에 따른 것으로, 이 효과에 의하여 고속 변형시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여러 가지 스테인리스 강판(판 두께 1.5mm)에 대하여, 103/sec의 변형 속도로 동적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 및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에 미치는 Md30값의 영향에 대하여, 각각 도 1과 도 2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에 있어서는,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 모두 우수한 값을 나타낸다. Md30값이 과도하게 높으면, 변형 중에 발생하는 마르텐사이트상이 너무 많아서 오스테나이트상과 마르텐사이트상의 계면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종래의 지견(예를 들면, CAMP-ISIJ, Vol9 (1996), p1101, 도 4, 「자동차 재료 심포지움」(사) 일본 철강 협회, 1997년, p71.)에서는 고강도 강의 고속 변형시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는 40OMJ/㎥ 미만 정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고강도 강에 비하여 극히 높은 충격 흡수 특성을 가진 강으로서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를 5OOMJ/㎥ 이상으로 하고, 도 1과 도 2로부터 Md30의 범위를 O 내지 100℃로 하였다. 본 발명의 Md30값의 범위에서,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에 대하여서는 50MJ/㎥ 이상이 얻어진다. 여러 가지 검토의 결과, 5OMJ/㎥의 충격 흡수 에너지를 얻으면, 비교적 낮은 변형 영역에서의 충격 흡수 특성으로서 충분하기 때문에,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에 대하여는 50MJ/㎥ 이상으로 하였다. 또한, 충격 흡수 에너지의 상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한값은 정하지 않는다.
정동비는 가공 경화의 변형 속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내력과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내력의 비율, 즉, 여기에서는 (103/sec의 변형 속도로 동적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의 내력)/(10-2/sec의 변형 속도로 정적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의 내력)으로 하였다. 정동비는 자동차의 충돌과 같은 고속으로 변형하였을 때에 어느 정도 경화하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 값은 클수록 충격 흡수 구조용 부재로서 좋다. 예를 들면,「자동차 재료의 고속 변형에 관한 연구회 성과 보고서」(일본 철강 협회편, 2001년, p12, 도 6)에 종래강의 정동비가 기재되어 있으나, 60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경우, 정동비는 1.3 이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정동비에 대하여 1.4 이상으로 규정하고, 종래강에서는 도달할 수 없었던 고강도-고정동비를 갖는 강을 제공한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정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한값은 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은 구조 부재로서 가공되기 때문에, 그 성형성이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재 형상으로서는, 모자(hat) 형태 성형품으로 대표되는 각형 단면이 대부분이며, 굽힘이나 드로잉 성형되기 때문에, 재료의 연성이 필요하다. 충격 흡수 부재의 가공 양식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재료를 정적 인장 시험하였을 때의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에 대하여, 파단 연신율이 4O% 이상이면 충분히 성형 가능하다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 연신율을 40% 이상으로 하였다.
부품에 따라서는 700MPa 이상의 고강도가 요구되는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고강도재에 대하여서는 냉연·어닐링 후에 조질 압연을 실시하여 강도 조정을 실시한다. 또한, 재질상의 상한은 특히 필요 없지만, 제조상 및 실용상, 상한은 1600MPa가 된다. 조질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의 압하율에 대하여는 필요 강도 레벨에 따라서 설정하면 되지만, 제조성 등을 고려하면, 1% 내지 70% 정도가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강판은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 연신율이 저감되지만, 전술한 인장 강도 레벨의 강판에 있어서 5% 이상은 필요하게 되므로, 5% 이상으로 하였다. 더 좋기로는 1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는 특히 규정하지 않지만, 제품 판 두께는 요구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열연 조건이나 열연 판 두께, 열연 판 및 냉연 판 어닐링 온도, 분위기 등은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냉연에 있어서의 패스 스케줄이나 냉연율, 롤 지름에 대하여도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 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조질 압연시의 윤활 유무나 패스 수 등에 대하여도 특히 규정하지 않는다. 또한, 냉연·어닐링 후 또는 조질 압연 후에 텐션 레벨러를 부여하여 형상 교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품 조직은 기본적으로는 오스테나이트상이 주체가 되지만, 페라이트상이나 마르텐사이트상 등의 제2상이 생성되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의 강을 용제하여 슬라브로 주조하고, 슬라브를 열간 압연한 후, 어닐링·산세를 실시하고, 1.5mm 두께까지 냉간 압연하고, 어닐링·산세를 실시한 후, 조 질 압연을 실시하여 제품 판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제품 판에 대하여, 상기 정적 인장 시험과 동적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1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은 비교강에 비하여 파괴까지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 10% 변형까지의 낮은 변형 영역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모두 높고,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하다. 이것은 비교적 큰 변형을 받는 충격 흡수 부재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 연신율이 높고, 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체로 성형하기에도 좋다.
표 2에 청구항 7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조질 압연의 압하율의 조정에 의하여 인장 강도 700MPa 이상, 파단 연신율 5% 이상으로 한 본 발명예는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50MJ/㎥ 이상으로 높고, 정동비도 1.4 이상이며, 낮은 변형 영역에서 충격을 흡수할 필요가 있는 고강도 부재에 적합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고가의 합금 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지 않고도, 고강도로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데, 특히 자동차, 버스, 철도 등의 운수에 관련되는 구조 부재에 적용함으로써, 경량화에 의한 환경 대책, 충돌 안전성 향상 등 산업상 유용한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 질량%로,C: 0.005% 내지 0.05%,N: 0.01% 내지 0.30%,Si: 0.1% 내지 2%,Mn: 0.1% 내지 15%,Ni: 0.5% 내지 8%,Cu: 0.1% 내지 5%,Cr: 11% 내지 20%,Al: 0.01% 내지 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A)식에서 주어지는 Md30값이 0 내지 100℃,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전체 충격 흡수 에너지가 5OOM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 제1항에 있어서,내력의 정동비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질량%로,C: 0.005% 내지 0.05%,N: 0.01% 내지 0.30%,Si: 0.1% 내지 2%,Mn: 0.1% 내지 15%,Ni: 0.5% 내지 8%,Cu: 0.1% 내지 5%,Cr: 11% 내지 20%,Al: 0.01% 내지 0.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A)식에서 주어지는 Md30값이 0 내지 100℃, 동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10% 변형까지의 충격 흡수 에너지가 5OM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Md30=551-462(C+N)-9.2Si-8.1Mn-13.7Cr-29(Ni+Cu)··· (A)
- 제4항에 있어서,내력의 정동비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정적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700 MPa 이상, 파단 연신율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350722A JP5165236B2 (ja) | 2006-12-27 | 2006-12-27 |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
JPJP-P-2006-00350722 | 2006-12-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6200A true KR20080106200A (ko) | 2008-12-04 |
Family
ID=3956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0686A KR20080106200A (ko) | 2006-12-27 | 2007-10-30 |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스테인리스 강판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33015A1 (ko) |
EP (1) | EP2060646B1 (ko) |
JP (1) | JP5165236B2 (ko) |
KR (1) | KR20080106200A (ko) |
CN (1) | CN101410543B (ko) |
WO (1) | WO200807845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9660A1 (ko) * | 2017-09-25 | 2019-03-28 | 주식회사 포스코 |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215630A1 (ko) * | 2020-04-22 | 2021-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강도, 고성형의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39742B (zh) * | 2009-11-18 | 2016-03-30 | 新日铁住金株式会社 | 奥氏体系不锈钢板及其制造方法 |
KR20120132691A (ko) * | 2010-04-29 | 2012-12-07 |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및 사용 방법 |
FI125442B (fi) * | 2010-05-06 | 2015-10-15 | Outokumpu Oy | Matalanikkelinen austeniittinen ruostumaton teräs ja teräksen käyttö |
KR101656977B1 (ko) * | 2012-04-10 | 2016-09-12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충격 흡수 부재에 적합한 강판과 그 제조 방법 |
ITRM20120647A1 (it) * | 2012-12-19 | 2014-06-20 | Ct Sviluppo Materiali Spa | ACCIAIO INOSSIDABILE AUSTENITICO AD ELEVATA PLASTICITÀ INDOTTA DA GEMINAZION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E SUO USO NELLÂeuro¿INDUSTRIA MECCANICA. |
JP6029662B2 (ja) * | 2013-12-09 | 2016-11-24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659186B1 (ko) * | 2014-12-26 | 2016-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JP6477181B2 (ja) * | 2015-04-07 | 2019-03-06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
CN107747025B (zh) * | 2017-11-02 | 2019-08-16 | 浙江双森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管及其加工工艺 |
KR102326262B1 (ko) * | 2019-12-18 | 2021-11-15 | 주식회사 포스코 | 고항복비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KR102403849B1 (ko) * | 2020-06-23 | 2022-05-30 | 주식회사 포스코 |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82684A (en) | 1963-07-31 | 1966-11-01 | Armco Steel Corp | Stainless steel and articles |
US3806337A (en) * | 1972-01-03 | 1974-04-23 | Int Nickel Co | Austenitic stainless steel resistant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
JPS5129854B2 (ko) | 1973-04-21 | 1976-08-27 | ||
JPS60255960A (ja) * | 1984-05-31 | 1985-12-17 | Aichi Steel Works Ltd | 冷間鍛造用ステンレス鋼 |
JP3530355B2 (ja) * | 1997-09-24 | 2004-05-24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高い動的変形抵抗を有する衝突時衝撃吸収用高強度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
CN1078623C (zh) * | 1996-11-28 | 2002-01-30 | 新日本制铁株式会社 | 具有高冲击能量吸收性能的高强度钢及其生产方法 |
JPH10158735A (ja) * | 1996-11-28 | 1998-06-16 | Nippon Steel Corp | 耐衝突安全性及び成形性に優れた自動車用熱延高強度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
JPH10273752A (ja) * | 1997-01-29 | 1998-10-13 | Nippon Steel Corp | 耐衝突安全性及び成形性に優れた自動車用高強度鋼板とその製造方法 |
EP0969112B2 (en) * | 1997-03-17 | 2017-03-08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 A method of producing dual-phase high-strength steel sheets having high impact energy absorption properties |
JP4173609B2 (ja) * | 1999-09-16 | 2008-10-29 | 日新製鋼株式会社 | 成形性および熱間加工性に優れたプレス成形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鋼板 |
JP4334113B2 (ja) * | 2000-07-05 | 2009-09-30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衝突吸収部材として用い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を選定する方法 |
KR100554753B1 (ko) * | 2001-12-27 | 2006-02-24 | 주식회사 포스코 | 성형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
JP4760031B2 (ja) * | 2004-01-29 | 2011-08-31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成形性に優れる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
JP4327030B2 (ja) | 2004-07-07 | 2009-09-09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張出し性と耐発銹性に優れた低Ni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
JP4587739B2 (ja) * | 2004-08-16 | 2010-11-24 | 日新製鋼株式会社 | 深絞り後の二次加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並びに深絞り容器 |
KR100641577B1 (ko) | 2005-04-19 | 2006-10-31 | 주식회사 포스코 | 고망간 및 고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
-
2006
- 2006-12-27 JP JP2006350722A patent/JP5165236B2/ja active Active
-
2007
- 2007-10-30 WO PCT/JP2007/071445 patent/WO200807845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10-30 KR KR1020087020686A patent/KR200801062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10-30 US US12/225,327 patent/US201002330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10-30 CN CN2007800111498A patent/CN101410543B/zh active Active
- 2007-10-30 EP EP07831178.4A patent/EP2060646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9660A1 (ko) * | 2017-09-25 | 2019-03-28 | 주식회사 포스코 |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215630A1 (ko) * | 2020-04-22 | 2021-10-2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강도, 고성형의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130426A (ko) * | 2020-04-22 | 2021-11-01 | 주식회사 포스코 | 고강도, 고성형의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
CN115398022A (zh) * | 2020-04-22 | 2022-11-25 | 株式会社Posco | 具有高强度和高可成形性的低成本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
CN115398022B (zh) * | 2020-04-22 | 2023-11-28 | 株式会社Posco | 具有高强度和高可成形性的低成本奥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10543A (zh) | 2009-04-15 |
JP5165236B2 (ja) | 2013-03-21 |
EP2060646A4 (en) | 2014-01-01 |
JP2008163358A (ja) | 2008-07-17 |
EP2060646A1 (en) | 2009-05-20 |
CN101410543B (zh) | 2011-04-06 |
WO2008078457A1 (ja) | 2008-07-03 |
EP2060646B1 (en) | 2015-06-17 |
US20100233015A1 (en) | 201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88589B2 (ja) | 加工性と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165236B2 (ja) |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 |
JP5544633B2 (ja) |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 |
JP5597006B2 (ja) | 構造部材用高強度および高延性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0334949B1 (ko) | 동적변형 특성이 우수한 듀얼 페이즈형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210003236A (ko) | 열간 스탬핑용 강, 열간 스탬핑 방법, 및 열간 스탬핑된 구성요소 | |
JP5000281B2 (ja) |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700398B2 (ja) | 高降伏比型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30087257A1 (en) | Ultr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and delayed fracture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214790B2 (en) | Method for producing components from lightweight steel | |
JP6628561B2 (ja) | 加工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CA3135144A1 (en) | High-hardness steel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220311B2 (ja) | 衝撃吸収特性に優れた構造部材用ステンレス鋼板 | |
US20200224295A1 (en) | Hot-working material, component and use | |
CN113891952A (zh) | 用于生产热冲压零件的钢带材、片材或坯料,零件以及将坯料热冲压成零件的方法 | |
US11110686B2 (en) | Hot-working material, component and use | |
JP5672946B2 (ja) | 成形性および強度上昇能に優れた温間成形用薄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間成形方法 | |
JP5091733B2 (ja) | 加工性および衝撃吸収性能に優れた低Ni車体部材用ステンレス鋼 | |
CN110382723B (zh) | 用于通过热成形制造部件的钢以及该部件的用途 | |
JP5228963B2 (ja) |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230048109A (ko) | 강의 단조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
JP2011017039A (ja) | 構造部材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