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355B1 -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355B1
KR100256355B1 KR1019950031682A KR19950031682A KR100256355B1 KR 100256355 B1 KR100256355 B1 KR 100256355B1 KR 1019950031682 A KR1019950031682 A KR 1019950031682A KR 19950031682 A KR19950031682 A KR 19950031682A KR 100256355 B1 KR100256355 B1 KR 10025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ybdate
phosphoric acid
coating
sodium molyb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786A (ko
Inventor
송연균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3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355B1/ko
Publication of KR97001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molybdates, tungstates or vanadates
    • C23C22/42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molybdates, tungstates or vanadates containing also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molybdates, tungstates or vanadates
    • C23C22/4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molybdates, tungstates or vanadates containing also fluorides or complex fluo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 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소를 함유한 산화촉진제를 첨가하여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 처리용액을 조성하고 처리용액의 온도를 적정범위로 제어하므로서, 아연도금강판상에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과 동등한 피막특성을 나타내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신속하게 형성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을 소디움몰리브데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에 침지하여 아연도금 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이 소디움 몰리브데이트:10-40g/l및 인산:5-10ml/l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H2SiF6:2-8ml/l 또는 Na2SiF66H2O:2-20ml/l중 선택된 1종이 포함되어 조성되고, 그 온도가 55-65℃의 범위로 유지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연도금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에 관한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 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메이트 피막과 동등 이상의 내식성을 갖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연도금강판은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크로메이트 피막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사용되는 크롬6가이온 및 크롬3가이온의 맹독성으로 인하여 향후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비교적 독성이 덜한 대체물질계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 결과,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이 비교적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피막계라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P.T. Tang, Greger Bech-Nielsen, Per Moeller, "Molybdate-based alternatives to chromating as a passivation treatment for zinc", Plating & Surface Finishing, 11 p20(1994))
상기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연도금강판상의 몰리 포스페이트 피막은 소지아연의 산화반응(Zn → Zn2++ 2e)과 용액내 소디움 몰리브데이트(Mo+6→ Mo+2)와 인산의 환원 침적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Mo-Zn-PO4-nH2O의 부통태 피막으로서, 이러한 부동태 피막이 소지아연을 외부 부식환경으로부터 보호함으로서 아연도금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 시킨다.
상기와 같은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이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부착량 50㎎/㎟)과 동등 이상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70㎎/㎟ 정도의 부착량이 되어야만 한다.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이 이러한 부착량을 확보하여 최적의 피막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강판을 소디움 몰리브데이트(NaMoO42H2O)와 인산(H3PO4)의 몰분율을 0.66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2분간 처리용액내에 침지처리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반응시 2분이라는 반응시간은 전체 설비의 운영 측면에서 볼때 상당히 긴 시간이며, 이러한 긴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현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반응시간이 상기와 같이 긴 이유는 소디움 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의 반응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에, 본발명자는 상기한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제조시의 단점인 120초의 반응시간을 40초 이내로 줄이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한 결과, 아연도금강판의 산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의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본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본발명은 불소를 함유한 산화촉진제를 첨가하여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 처리용액을 조성하고 처리용액의 온도를 적정범위로 제어하므로서, 아연도금강판상에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과 동등한 피막특성을 나타내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신속하게 형성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하, 본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을 소디움몰리브데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에 침지하여 아연도금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이 소디움몰리브데이트:10-40g/l및 인산:5-10ml/l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산화촉진제로 H2SiF6:2-8ml/l 또는 Na2SiF66H2O:2-20ml/l중 선택된 1종이 포함되어 조성되고, 그 온도가 55-65℃의 범위로 유지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연도금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본발명의 목적은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을 상기와 같이 조성하고 온도범위로 유지함으로서 그 해결이 가능하다.
우선 본발명에서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을 소디움몰리브데이트:10-40g/l및 인산:5-10ml/l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지아연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산화 촉진제로 H2SiF6:2-8ml/l 또는 Na2SiF66H2O:2-20ml/l중 선택된 1종이 포함되어 조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은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주성분으로서, 소디움몰리브데이트10g/l이하 및 인산:5ml/l이하일 경우에는 표면외관이 좋지 못하고 부착량도 열위하고, 소디움몰리브데이트:10g/1이하 및 인산:10ml/1이상일 경우에는 표면외관이 불량하며 부착량과 내식성 면에서도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고, 소디움몰리브데이트:40g/l이상 및 인산:5ml/l이하일 경우에는 표면외관이 향상되고 부착량도 증가하나 내식성이 열위하고, 소디움몰리브데이트:40g/l이상 및 인산:10ml/l 이상일 경우에는 내식성 및 부착량은 향상되나 표면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으므로, 소디움몰리브데이트 및 인산은 각각 10-40g/l 및 5-10ml/l의 농도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 하다.
즉, 소디움몰리브데이트가 인산에 비하여 과다첨가될 경우, 피막의 주성분은 몰리브데이트가 형성되면서 표면외관은 좋아지고 피막부착량이 작아져서 내식성이 열위하며, 인산이 소디움몰리브데이트에 비하여 과다첨가될경우, 인산이 아연도금강판 표면의 산화력을 증대시켜 부착량이 증가하고 내식성이 좋아지나 소디움몰리브데이트의 환원반응(Mo+6→ Mo+2)이 필요이상으로 촉진되어 표면외관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산화촉진제로는 불소를 함유하는 화학 종이면 어느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그중에서 특히 H2SiF6:2-8ml/l 또는 Na2SiF66H2O:2-20ml/l중 선택된 1종을 사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촉진제에서 불소는 아연도금강판 표면의 산화력을 증대시켜 아연의 산화를 촉진시키므로서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피막의 부착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규소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산화촉진제를 첨가하게 되면 미첨가한 경우에 비해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특성은 개선된다. 그러나 이때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특성이 크로메이트 피막의 특성과 동등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H2SiF6의 경우 2-8ml/l, Na2SiF66H2O의 2-20ml/l의 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H2SiF6의 함량이 2ml/l이하일 경우 어느정도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특성개선 효과는 있으나 크로메이트 피막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8ml/l 이상으로 과다하게 함유될 경우 8-10ml/l구간에서는 상기한 2ml/l이하인 경우와 동일한 단점이 있으며 10ml/l이상일 경우에는 과산세로 인하여 아연의 산화 반응은 증가하나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의 반응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어 표면외관이 나빠지고 부착량이 감소하여 내식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Na2SiF66H2O의 함량이 2ml/l이하 및 20ml/l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H2SiF6의 경우와 동일한 단점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H2SiF6의 경우에 비하여 Na이온의 피막흡착으로 표면외관이 다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처리용액을 조성한 후, 이용액에 아연도금강판을 침지시켜 아연도금강판상에 부착량 70㎎/㎡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때 처리용액은 55-65℃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처리온도가 55℃이하로 낮을 경우에는 표면외관은 우수하나 각 이온성분들의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 피막의 부착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65℃이상으로 높을 경우에는 각 이온성분들의 활성화 에너지 증대로 피막의 부착량은 증가하나 표면외관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 이온성분들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켜 피막의 부착량을 확보하면서 좋은 표면외관을 얻기 위해서는 처리온도를 55-65℃의 온도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을 조성하고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아영도금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피복시키게 되면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과 동등한 특성을 나타내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단시간내에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중의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의 최적성분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1과 같이 산화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만의 처리용액을 조성한 후 이용액을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아연도금강판을 40초동안 침지처리하여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킨다음, 강판의 표면외관, 피막부착량 및 내식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면외관은 육안관찰법으로 측정하여 평가한 것이며, 부착량은 무게감량 측정법으로 측정한 값이며, 내식성은 내염수 분무시험법으로 백청발생시간을 측정평가한 것이다.
상기 표1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소디움몰리브데이트 및 인산이 본발명의 성분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1)의 경우 표면외관, 부착량및 내식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에, 본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1-4)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1)의 경우 작업시 표면외관이 좋지 못하고 부착량과 내식성도 열위하며, 비교예(2)의 경우 표면외관이 불량하며 부착량과 내식성 측면에서도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비교예(3)의 경우에는 표면외관이 향상되고 부착량도 증가하나 내식성이 열위한 것으로 나타나며, 비교예(4)의 경우에는 부착량과 내식성은 상기 비교예(1-3)보다 향상되나 표면외관이 불량함을 알수 있다.
[실시예 2]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의 처리온도 변화에 따른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특성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발명예(1)의 조성을 갖는 처리용액을 사용하여 하기 표2와 같이 40초간 처리온도만을 변화시켜 가면서 피막처리를 행하여 아연도금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킨 다음, 피막의 표면외관, 부착량및 내식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피막특성 판단은 상기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 하였다.
상기 표2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의 처리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2)의 경우에는 우수한 피막특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본발명의 처리온도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5,6)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5)의 경우에는 표면외관은 우수하나 각 이온성분들의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 부착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예(6)의 경우에는 각 이온성분들의 활성화 에너지의 증대로 부착량은 증가하나 표면외관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에 산화촉진제를 첨가함에 따른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의 특성변화를 확인하여 위하여 하기 표3과 같이 처리용액을 조성시키고 처리온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40초 또는 120초동안 아연도금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처리를 행한다음, 피막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 내었다.
상기 표3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3,4)의 경우에는 우수한 피막특성을 나타냄에 반하여, 본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7-11)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7)의 경우에는 산화촉진제인 H2SiF6가 본발명의 범위 이하로 첨가된 경우로서 피막의 특성 향상 효과는 있으나, 비교예(11)에 나타낸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과 비교했을때 피막의 내식성 특성이 열화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8)의 경우는 산화촉진제인 H2SiF6가 본발명의 범위 이상으로, 그중에서도 8-10ml/l범위로 첨가된 경우로서 비교예(11)에 비하여 부착량 및 내식성이 열화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9)의 경우는 산화촉진제인 H2SiF6가 본발명의 범위 이상으로, 그중에서도 10ml/l이상으로 첨가된 경우로서 피막특성이 급격히 열화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비교예(8,9)의 경우와 같이 산화촉진제의 첨가량이 본발명의 범위 이상일 경우 발생되는 단점은 과산세로 인하여 아연의 산화 반응은 증가하나 소디움몰리브데이트와 인산의 환원반응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어 피막의 표면외관이 나빠지고 부착량이 감소하게 되어 내식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비교예(10)의 경우는 산화촉진제를 사용하지않고 단지 소디운 몰리브데이트와 인산만을 본발명의 범위로 조성한 다음 본발명의 처리온도 범위에서 120초동안 침지시켜 형성시킨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으로서 기존의 크로메이트 피막인 비교예(11)의 경우에 비하여 약간의 특성이 열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소디움몰브데이트와 인산의 반응성을 향성시키기 위하여 불소가 함유된 산화촉진제를 첨가하여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을 조성하고 그온도를 적정범위로 유지함으로서, 불소이온에 의한 에칭력 증대로 반응성을 향상시켜 처리시간의 급격한 단축이 가능하여 아연도금강판상에 기존의 크로메이트피막과 동등한 피막특성을 나타내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아연도금강판을 소디움몰리브데이트 및 인산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용액에 침지하여 아연도금 강판상에 몰리포스페이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용액이 소디움 몰리브데이트:10-40g/l및 인산:5-10ml/l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H2SiF6:2-8ml/l 또는 Na2SiF66H2O:2-20ml/l중 선택된 1종이 포함되어 조성되고, 그 온도가 55-65℃의 범위로 유지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아연도금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KR1019950031682A 1995-09-25 1995-09-25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KR10025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82A KR100256355B1 (ko) 1995-09-25 1995-09-25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682A KR100256355B1 (ko) 1995-09-25 1995-09-25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86A KR970015786A (ko) 1997-04-28
KR100256355B1 true KR100256355B1 (ko) 2000-05-15

Family

ID=1942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682A KR100256355B1 (ko) 1995-09-25 1995-09-25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3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687B1 (ko) * 1996-12-12 2001-10-24 이구택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용융아연도금강판용크로메이트용액
KR100368259B1 (ko) * 1998-12-10 2003-03-29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 용액 및 이를 이용하여 수지도포후에도 내식성이 개선된 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0544463B1 (ko) * 2001-08-07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 용액, 이를 이용한몰리포스페이트 피막형성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피막을갖는 아연도금강판
KR100544500B1 (ko) * 2001-11-26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액, 및 이용액을 이용한 몰리포스페이트처리 강판의 제조방법 및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KR100544499B1 (ko) * 2001-11-26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액, 및 이용액을 이용한 내식성이 우수한 몰리포스페이트처리강판의 제조방법 및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피복강판의제조방법
KR100793561B1 (ko) * 2002-01-07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아연 도금강판의 피막 처리용액 및 이를 이용한피막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210A (ko) * 2000-12-22 2002-06-28 신현준 아연도금재의 표면부식방지용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003A (ja) * 1992-11-12 1994-05-27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塗装性に優れた表面処理金属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003A (ja) * 1992-11-12 1994-05-27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塗装性に優れた表面処理金属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687B1 (ko) * 1996-12-12 2001-10-24 이구택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용융아연도금강판용크로메이트용액
KR100368259B1 (ko) * 1998-12-10 2003-03-29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 용액 및 이를 이용하여 수지도포후에도 내식성이 개선된 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0544463B1 (ko) * 2001-08-07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처리 용액, 이를 이용한몰리포스페이트 피막형성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피막을갖는 아연도금강판
KR100544500B1 (ko) * 2001-11-26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액, 및 이용액을 이용한 몰리포스페이트처리 강판의 제조방법 및수지피복강판의 제조방법
KR100544499B1 (ko) * 2001-11-26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도금강판용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용액, 및 이용액을 이용한 내식성이 우수한 몰리포스페이트처리강판의 제조방법 및 내식성이 우수한 수지피복강판의제조방법
KR100793561B1 (ko) * 2002-01-07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아연 도금강판의 피막 처리용액 및 이를 이용한피막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786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3876B1 (en) Chemical conversion coating agent and surface-treated metal
US4168983A (en) Phosphate coating composition
CA2373996C (en) Process and solution for providing a conversion coating on a metallic surface i
US6755917B2 (en) Process and solution for providing a conversion coating on a metallic surface II
EP1243668A1 (en) Tin-plated steel sheet
EP0381190B1 (en) Phosphate treatment solution for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 for treatment
CA1200471A (en) Zinc phosphate conversion coating composition
US4705576A (en) Acidic chromium containing coating solution for zinc or cadmium surfaces
US4622078A (en) Process for the zinc/calcium phosphatizing of metal surfaces at low treatment temperatures
KR100256355B1 (ko) 아연도금 강판의 몰리포스페이트 피막 형성방법
GB2224516A (en) Phosphate conversion treatment liquid
JPH05287549A (ja) カチオン型電着塗装のための金属表面のリン酸亜鉛処理方法
KR940010457B1 (ko) 금속표면의 인산아연처리방법
KR100256361B1 (ko) 피막 형성시 우수한 백색도 및 내식성을 나타내는 몰리포스페이트용액 및 이를 이용한 피막형성방법
US4708744A (en) Process for phosphating metal surfaces and especially iron surfaces
US6280535B2 (en) Manufacturing process on chromate-coated lead-containing galvanized steel sheet with anti-black patina property and anti-white rust property
US4812175A (en) Passivation process and copmposition for zinc-aluminum alloys
EP0757726A1 (en) Method of pre-treating metal substrates prior to painting
JPH0633464B2 (ja) 複合構造物用リン酸塩処理液及び処理方法
JPH08134661A (ja) 金属表面のリン酸亜鉛皮膜形成方法
KR920010545B1 (ko) 용융도금강판(hot dip coated steel sheet) 및 그 제조방법
JP3286583B2 (ja) マグネシウム含有金属用化成処理液組成物、同表面処理方法及び同表面処理物
KR100321040B1 (ko) 몰리포스실리케이트 피막 형성액 및 이를 이용한피막 형성방법
US5795407A (en) Method for pre-treating aluminum materials prior to painting
JPH05331658A (ja) 金属表面のリン酸亜鉛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