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946B1 -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946B1
KR100254946B1 KR1019930031008A KR930031008A KR100254946B1 KR 100254946 B1 KR100254946 B1 KR 100254946B1 KR 1019930031008 A KR1019930031008 A KR 1019930031008A KR 930031008 A KR930031008 A KR 930031008A KR 100254946 B1 KR100254946 B1 KR 10025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extracting
trichosanthis radix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772A (ko
Inventor
한창균
박광식
김환수
곽의종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3003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946B1/ko
Publication of KR9500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화분의 수추출엑기스의 소염진통제로서의 용도 및 천화분으로부터 소염진통 효과가 우수한 수추출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기스의 제조방법에서는 천화분 100g 당 물 0.5 내지 1.0ℓ를 사용하여 80 내지 100℃에서 추출하였으며 추출엑기스 분말은 동물실험에서 우수한 소염진통 효과를 발휘하였다.

Description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제1도는 본원발명에 따른 천화분 수추출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본 발명은 천화분(일명: 괄루근)으로부터 소염진통 작용을 가진 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엑기스의 소염진통제로서의 용도발명에 관한 것이다.
천화분은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중북부산지 또는 수림아래에 야생으로 존재하는 박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로서 그 성분으로 스티크마스테롤, 사포닌, 폴리사카라이드 및 트리코산틴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고 예로부터 그 탕제를 청량, 지갈, 해열, 이뇨 및 최유제로서 복용해왔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천화분을 여러가지 다른 용매, 다른 공정으로 추출한 엑기스의 약리작용을 연구하던중 천화분의 수추출엑기스가 우수한 소염진통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천화분을 직접 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소염진통 효과와 관계없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나 지질 등의 화합물이 함께 용출되어지므로 물층의 여과작업과 농축 작업상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지질 등의 산패작용 등으로 수층엑기스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N-헥산 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미리 지용성분을 분리제거시킬 필요가 있으며 수추출 온도는 8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약효과 우수한 엑기스를 다량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출엑기스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잘게, 세절한 (약 3 내지 5mm) 천화분을 n-헥산같은 유기용매중에서 가열환류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은 버리고 잔사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잔사를 물로 환류추출하여 추출액을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면 소염진통 효과가 우수한 본 발명의 천화분 엑기스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인 물의 량은 중요하지 않으나 대체로 천화분 100g 당 0.5 내지 1.0ℓ의 물을 사용하며 물의 량이 너무 적으면 추출이 충분하지 못할 뿐 아니라 농축효과로 인하여 여과작업이 어렵고 물을 너무 과량 사용하면 농축건조 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수추출엑기스의 소염 효과는 카라기난으로 부종을 유발시킨 랫트를 이용하여 부종의 억제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고 진통 효과는 아세트산으로 통증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통증억제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잘게 세절한(3 내지 5㎜) 천화분 100g에 1ℓ의 노르말 헥산을 넣고 회전증류기를 이용하여 약 65 내지 70℃로 6시간씩 3회 환류 추출 후 헥산층을 여과하고 고형분을 건조시켰다. 상기 고형분에 800㎖의 물을 넣고 시판중인 약탕기를 이용하여 2시간씩 3회 가열 추출한 후 감압여과하여 여액을 동결건조시켜 엷은 황갈색의 엑기스분말 16.22g을 얻었다.
[실시예 2]
잘게 세절한(3 내지 5㎜) 천화분 100g에 800㎖의 노르말 헥산을 넣고 회전증류기를 이용하여 약 65 내지 70℃로 6시간씩 3회 환류 추출 후 헥산층을 여과하고 고형분을 건조시켰다. 상기 고형분에 1ℓ의 물을 넣고 시판중인 약탕기를 이용하여 2시간씩 3회 가열 추출한 후 감압여과하여 여액을 동결건조시켜 엷은 황갈색의 엑기스분말 16.45g을 얻었다.
[실험 1 (소염작용)]
SD-랫트(수컷, 6-7주령) 14마리를 각각 7마리씩 2군으로 나누어 시험군에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엑기스를 500㎎/㎏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에 식염수에 용해한 1% 카라기난 용액 50㎕를 왼쪽 뒷발바닥에 피하주사한 후 부종 측정기를 이용하여 부종의 크기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표 1]
상기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엑기스는 우수한 소염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실험 2 (진통작용)]
SD-마우스(수컷 5-6주령) 16마리를 각각 8마리씩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시험군에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엑기스를 500㎎/㎏의 약량으로 경구투여하고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에 1시간 후에 0.6% 아세트산 수용액을 마우스 g당 10㎕씩 복장내 주사하여 통증을 유발시켜, 주사후 10분에서 20분 사이에 발생하는 발작 횟수와 통증억제율의 평균치를 측정한 결과 다음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표 2]
상기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천화분의 엑기스는 강력한 진통 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엑기스는 소염진통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실험 3 (HPLC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수득한 천화분 수추출분획에 대하여 하기하는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HPLC를 수행하였다.
〈분석조건〉
칼럼 : Novapak c18(3.9×300㎜)
검출기 : UV 254nm
이동상 :
이동상 A :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 0.1N 인산 수용액
유속 : 1.0㎖/분
시료농도 : 40㎎/㎖ (50%(v/v) 메탄올 수용액)
시료주입량 : 10㎕
그 결과 얻어진 HPLC 크로마토그램을 제1도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천화분 수추출분획은 체류시간(retention time) 34.653의 큐커비타신(cucur bitacin) D (0.11%(w/w)) 및 체류시간 50.603의 큐커비타신 B (0.01%(w/w))를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4)

  1. 천화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지용성분을 여과제거시키고 잔사를 물로 가열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수득되는 소염진통 효과를 갖는 천화분의 수추출엑기스.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가 n-헥산인 수추출엑기스.
  3. 제1항에 있어서, 천화분과 추출용매인 물의 비율이 천화분 100g 당 물 0.5 내지 1.0ℓ 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추출엑기스.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화분의 수추출엑기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소염진통제 조성물.
KR1019930031008A 1993-12-29 1993-12-29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KR10025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08A KR100254946B1 (ko) 1993-12-29 1993-12-29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008A KR100254946B1 (ko) 1993-12-29 1993-12-29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772A KR950016772A (ko) 1995-07-20
KR100254946B1 true KR100254946B1 (ko) 2000-05-01

Family

ID=1937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008A KR100254946B1 (ko) 1993-12-29 1993-12-29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00B1 (ko) * 2001-02-14 2004-01-31 우원홍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1609535B1 (ko) 2009-07-14 2016-04-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쿠커비타신 b의 함량이 감소된 관절염 치료 및 관절 보호용 생약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천연물화학연구법, 우원식저, 민음사, 1986.4.15발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00B1 (ko) * 2001-02-14 2004-01-31 우원홍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1609535B1 (ko) 2009-07-14 2016-04-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쿠커비타신 b의 함량이 감소된 관절염 치료 및 관절 보호용 생약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772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in Isolation of oxytocic peptides from Oldenlandia affinis by solvent extraction of tetraphenylborate complexes and chromatography on sephadex LH-20
Lima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stem bark of Stryphnodendron adstringens (Mart.) Coville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KR100727121B1 (ko) 타나세툼 파테니움 추출물
CN100439319C (zh) 一种丹参酚酸a的制备方法
CN108186474A (zh) 桑寄生属植物北桑寄生总黄酮提取物、制备方法及应用
KR100254946B1 (ko) 천화분 수추출엑기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소염진통제 조성물
Olajide et al.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ntada abyssinica
RU2000120474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0180567B1 (ko) 복방 생약제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정제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
Deng et al.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and pharmacokinetic study of wogonoside in rat serum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reparation Huang‐Lian‐Jie‐Du decoction
KR20030003845A (ko)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332216B (zh) 杏香兔耳风总酚酸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0552991B1 (ko) 진교로부터 유효 활성 성분의 추출·정제 방법과 그 추출물을함유한 생약 조성물
RU2213570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ИЗ ЛИСТЬЕВ ЛИПЫ Folia Tilia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СТР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KR100195884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A2087600C (en) Antineoplastic chemotherapeutic of plant origin, having high selectivity and greatly reduced toxicity,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0377723C (zh) 首乌苷粗提物及其在制备治疗脂肪肝药物中的应用
KR930701968A (ko)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3761600B2 (ja) 延命草抽出液の製法
Mohammed et al. Di-(2′-ethylhexyl) phthalate and stigmasterol with anti-inflammatory effect from Cyperus rotundus L
JPS6354324A (ja) オウバクの分画精製法
KR100200182B1 (ko) 황기 유래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제
KR101036266B1 (ko) 미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세신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0858733B1 (ko) 관절 보호용 과루근 생약조성물
RU211679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