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939B1 -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939B1
KR100253939B1 KR1019980003382A KR19980003382A KR100253939B1 KR 100253939 B1 KR100253939 B1 KR 100253939B1 KR 1019980003382 A KR1019980003382 A KR 1019980003382A KR 19980003382 A KR19980003382 A KR 19980003382A KR 100253939 B1 KR100253939 B1 KR 10025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thread
light
unit
sewing machin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253A (ko
Inventor
안중환
정일문
Original Assignee
진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준 filed Critical 진호준
Priority to KR101998000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939B1/ko
Priority to IDP981179A priority patent/ID22620A/id
Priority to CN99101786A priority patent/CN1225403A/zh
Publication of KR1999006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5/00Applications of measur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reads used in sew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12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밑실이 감겨져 있는 밑실케이스유니트(1)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의 수광상태에 따라 밑실이 떨어지는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에 광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광통과공(20,30)을 천공하고, 상기 광통과공(20,30)으로 발광부(40)에서 광을 조사하여 수광부(50)에서 상기 광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밑실이 떨어지는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작업자가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봉기의 밑실잔량을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밑실교체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치기식 박음질을 하는 재봉기에 있어서는 밑실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밑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밑실케이스유니트(1)로부터 공급된다. 즉,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0)의 일단부에는 윗실을 밑실에 한바퀴 감아주도록 회전하는 가마(12)가 구비된다. 상기 가마(12)의 내부에는 밑실케이스 고정체(14)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밑실케이스 고정체(14)에는 그 내부에 밑실이 감겨져 있는 밑실케이스(16)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밑실케이스(16)의 내부에 감겨져 있는 밑실과 바늘(19)에 의해 공급되는 윗실에 의해 재봉질이 이루어지는 것은 다음과 같다. 바늘(19)에 의해 안내되어 공급되는 윗실은 원단을 뚫고 원단의 하단으로 전달되어 루프모양을 형성하면 상기 가마(12)가 상기 윗실을 포착하여 끌어당기면서 밑실이 감겨져 있는 상기 밑실케이스 고정체(14)의 외부 둘레를 회전하여 윗실과 밑실을 얽어 매게 된다. 그리고 실채기 작용에 의해 매듭을 만들게 되고 최종적으로, 이송이 작용하여 연속된 땀수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봉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에는 상기 밑실케이스(16) 내부에 있는 밑실의 잔량을 감지할 수 없어 그 교체시기를 미리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재봉작업을 진행하다가 밑실 없이 헛박음질되는 것을 보고서야 밑실을 교체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헛박음질에 의한 원단의 손상이 많이 발생하고, 헛박음질한 부분의 수정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밑실의 교체를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순전히 작업자의 감각에만 의존하게 되면 밑실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밑실을 교체하는 경우가 많아 밑실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밑실의 잔량을 확실하게 감지하여 정확한 시점에 밑실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밑실케이스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7a,b,c,d,e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밑실케이스유니트 10: 회전축
12: 가마 14: 밑실케이스고정체
16: 밑실케이스 19: 바늘
20,30: 광통과공 40: 발광부
50: 수광부 60: 경고등 또는 경음기
70: 반사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밑실이 위치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밑실케이스유니트와,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감겨져 있는 밑실에 광을 조사하고 수광하여 밑실의 잔량을 감지하는 밑실감지수단과, 상기 밑실감지수단이 밑실소진을 감지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실감지수단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밑실이 소정량 이하로 감겨 있게 되면 광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로 전달되어 감지되도록 동작된다.
상기 밑실감지수단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조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밑실이 소정량 이하로 감겨 있게 되면 광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반사부에서 반사되고 수광부로 전달되어 감지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감지수단이 밑실소진을 감지하면 재봉기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기의 밑실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밑실 소진에 의한 작업효율의 저하나 밑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7a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는 가마(12), 밑실케이스고정체(14) 및 밑실케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감겨진 밑실이 위치되는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에는 그 외주면에 광통과공(20,30)이 천공된다. 상기 광통과공(20,3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중심축(15)에 최소량의 밑실(bt)이 감겨져 있을 때 일측 광통과공(20)으로부터 타측 광통과공(30)으로 광이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천공된다.
이때, 상기 광통과공(20,30)은 상기 가마(12), 밑실케이스고정체(14) 및 밑실케이스(16)에 각각 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광통과공(20,30)은 상기 밑실케이스(16)와 밑실케이스고정체(1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마(12)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인해 상기 가마(12)의 일회전당 한 번씩 광을 통과시키게 된다.
그리고, 밑실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광통과공(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발광부(40)는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설치되는 재봉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0)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수광부(50)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을 통해 나온 광을 감지하기위한 것으로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광부(50)는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설치되는 재봉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50)에서 수광되어 밑실이 소진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 발광부(40) 작업자에게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이나 경음기(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고등이나 경음기(60)는 상기 수광부(50)가 상기 발광부(40)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게 되면 동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에 감겨진 밑실의 양이 충분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상기 밑실이 감겨져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부(50)로는 상기 밑실의 존재에 의해 광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가마(12)가 일회전할 때마다 한번씩 밑실케이스유니트(1)에 천공되어 있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광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에 감겨져 있는 밑실이 거의 소진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밑실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를 지나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을 통해 수광부(50)로 전달되어 감지된다.
이와 같이 수광부(50)에서 광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수광부(50)에서는 밑실이 떨어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기(6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기(60)는 불빛이나 소리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밑실의 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도 3과 도 7b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측면을 관통하여 광통과공(20,30)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통과공(20,30)이 천공되는 위치는, 도 7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중심축(15)으로부터 밑실의 직경정도 떨어진 곳으로 광이 통과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 상기 광통과공(20,30)을 통과하여 광이 전달되는 경로는 상기 중심축(15)과 평행하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발광부(40) 및 수광부(50)가 각각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광통과공(20,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외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도 7c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외주면에 광통과공(20,30)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통과공(20,30)은, 도 7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내부에 형성되는 광의 경로가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중심축(15)으로부터 밑실(bt)의 직경 정도 떨어지게 형성되도록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광의 경로는 상기 중심축(15)과 공간상에서 만나지 않도록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밑실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40)와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50)가 같은 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일측 광통과공(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발광부(40)와 수광부(50)가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에 형성되어 있는 타측 광통과공(3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반사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부(70)는 상기 발광부(40)에서 나온 광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부(5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반사부(70)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타측 광통과공(30)이 천공되는 위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의 구성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밑실이 소진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되어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로 전달된 광이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을 통과하여 반사부(7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반사부(70)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을 통과하여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를 통해 수광부(5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수광부(50)에서 광이 감지되면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부(60)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밑실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7d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일측에 광통과공(20)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통과공(20)은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중심축(1)에 대응되게 천공된다. 즉,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상기 광통과공(20)을 통과하여 상기 중심축(15)에 도달할 수 있도록 광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축(15)은 상기 제3실시예의 반사부(7)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중심축(15)에 밑실이 감겨있지 않게 되면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밑실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40)와 상기 발광부(4)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50)가 같은 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외주면에 천공된 광통과공(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발광부(40)와 수광부(50)가 함께 설치된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밑실의 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즉, 밑실이 중심축(15)에 충분히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광통과공(20)을 통과하여 밑실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밑실에 의해 광이 반사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광부(50)가 광을 감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밑실이 소진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중심축(15)에서 반사되어 다시 상기 광통과공(20)을 거쳐 상기 수광부(50)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광부(50)에서 광을 감지하게 되면 밑실이 떨어진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기(60)가 작동하여 작업자에게 밑실 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과 도 7e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가마(12), 밑실케이스고정체(14) 및 밑실케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감겨진 밑실이 위치되는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에는 그 외주면에 광통과공(20,30)이 천공된다. 상기 광통과공(20,30)은, 도 7e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중심축(15)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게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15)에도 역시 광통과공(16)이 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심축(15)에 형성되어 있는 광통과공(15')은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의 양측에 천공되어 있는 광통과공(20,30)과 일직선상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광통과공(20,30)은 상기 가마(12), 밑실케이스고정체(14) 및 밑실케이스(16)에 각각 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광통과공(20,30)은 상기 밑실케이스(16)와 밑실케이스고정체(1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마(12)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인해 상기 가마(12)의 일회전당 한 번씩 광을 통과시키게 된다.
그리고, 밑실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광통과공(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발광부(40)는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설치되는 재봉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0)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수광부(50)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과 중심축(15)의 광통과공(15')을 지나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을 통해 나온 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측 광통과공(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광부(50)는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가 설치되는 재봉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50)에서 수광되어 밑실이 소진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 발광부(40) 작업자에게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이나 경음기(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고등이나 경음기(60)는 상기 수광부(50)가 상기 발광부(40)에서 조사된 광을 감지하게 되면 동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에 감겨진 밑실의 양이 충분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상기 밑실이 감겨져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밑실의 존재에 의해 상기 중심축(15)의 광통과공(15')을 통과하지 못하여 수광부(5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가마(12)가 일회전할 때마다 한번씩 밑실케이스유니트(1)에 천공되어 있는 상기 일측 광통과공(20)을 통해 광이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1) 내부에 감겨져 있는 밑실이 소진되어 상기 중심축(15)의 광통과공(15')이 노출되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광통과공(15')을 통해 타측 광통과공(30)을 지나 수광부(50)로 전달되어 감지된다.
이와 같이 수광부(50)에서 광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수광부(50)에서는 밑실이 떨어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기(6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등이나 경음기(60)는 불빛이나 소리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밑실의 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와 같이 중심축(15)에 광통과공(15')을 천공하여 광경로를 형성시키는 방식을 상기 제 3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발광부(40)에서 발광된 광의 경로를 형성함에 있어, 일측 광통과공(20)을 통과한 광이 중심축(15)에 천공된 광통과공(15')을 거쳐 타측 광통과공(30)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밑실부족시에 경고등이나 경음기(60)를 작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밑실이 부족한 것을 감지하게 됨과 동시에 재봉기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예를 들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동작시켜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여 더 이상 재봉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가 경고등이나 경음기(60)의 경고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재봉기가 동작을 멈추면서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헛박음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을 사용하게 되면 밑실이 부족하게 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해 재봉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밑실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밑실이 위치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광이 통과할 수 있는 밑실케이스유니트와,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감겨져 있는 밑실에 광을 조사하고 수광하여 밑실의 잔량을 감지하는 밑실감지수단과,
    상기 밑실감지수단이 밑실소진을 감지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감지수단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밑실이 소정량 이하로 감겨 있게 되면 광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수광부로 전달되어 감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감지수단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조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밑실케이스유니트에 밑실이 소정량 이하로 감겨 있게 되면 광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반사부에서 반사되고 수광부로 전달되어 감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감지수단이 밑실소진을 감지하면 재봉기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KR1019980003382A 1998-02-06 1998-02-06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KR10025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382A KR100253939B1 (ko) 1998-02-06 1998-02-06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IDP981179A ID22620A (id) 1998-02-06 1998-08-31 Peralatan untuk mendeteksi jumlah sisa benang bobin dalam mesin jahit
CN99101786A CN1225403A (zh) 1998-02-06 1999-02-04 用于检测缝纫机中梭线剩余量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382A KR100253939B1 (ko) 1998-02-06 1998-02-06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253A KR19990069253A (ko) 1999-09-06
KR100253939B1 true KR100253939B1 (ko) 2000-04-15

Family

ID=1953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382A KR100253939B1 (ko) 1998-02-06 1998-02-06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53939B1 (ko)
CN (1) CN1225403A (ko)
ID (1) ID226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05A (ko) 2015-05-12 2016-11-22 진호준 재봉기용 밑실 잔량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571A1 (zh) * 2014-08-08 2016-02-11 欧利速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缝纫机底线消耗状态检验装置
CN105332175B (zh) * 2014-08-08 2017-11-07 欧利速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缝纫机底线消耗状态检验装置
FR3033322B1 (fr) * 2015-03-06 2019-09-13 Saurer Germany Gmbh & Co. Kg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fin de devidage d'un element filiforme
CN109487452B (zh) * 2019-01-21 2021-02-26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底线检测控制方法
CN110144679A (zh) * 2019-06-13 2019-08-20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缝纫机底线余量检测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205A (ko) 2015-05-12 2016-11-22 진호준 재봉기용 밑실 잔량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253A (ko) 1999-09-06
CN1225403A (zh) 1999-08-11
ID22620A (id) 199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274B2 (ja) 本縫いミシンにおけるボビン糸監視装置
KR101253289B1 (ko) 잔사량 감지수단이 구비된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JP5064539B2 (ja) 縫製装置の目飛び糸切れチェック装置
JPH0134638B2 (ko)
KR100253939B1 (ko)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US7162966B2 (e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
JP2016073626A (ja) ミシン用センサアッセンブリ
KR100471639B1 (ko) 잔사를 감지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US5651324A (en) Process and device for recognizing a residual amount of the hook thread in a sewing machine
KR200435370Y1 (ko) 잔사 감지가 가능한 밑실 공급 장치
JP2006262978A (ja) 本縫いミシンの目飛び・空縫い検知装置
CN110565284A (zh) 一种罗拉机、梭芯绕线余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US6810824B2 (e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
US4212257A (en) Sewing machine full and low bobbin indicator
JP2008212531A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3194432B2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CN212051881U (zh) 一种底线检测装置及具有该底线检测装置的缝纫设备
KR100690193B1 (ko) 재봉기용 밑실 검출장치
US5027730A (en) Sewing machine with a thread monitor for the thread of the bobbin
JPH0984982A (ja)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KR200274005Y1 (ko) 밑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KR101907040B1 (ko) 재봉기의 밑실 감지 장치
JP2005194100A (ja) 繊維ラップ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切断機
JPH0679637B2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KR20033072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재봉틀의 밑실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