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683B1 -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 Google Patents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683B1
KR100253683B1 KR1019930010643A KR930010643A KR100253683B1 KR 100253683 B1 KR100253683 B1 KR 100253683B1 KR 1019930010643 A KR1019930010643 A KR 1019930010643A KR 930010643 A KR930010643 A KR 930010643A KR 100253683 B1 KR100253683 B1 KR 10025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rriage
installation equipment
machin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메르 빅토르
로나르디 에밀
띨랑 귀
말리브와르 필립
Original Assignee
알로이제 엔젤, 르네 스트레프
파울 부르쓰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LU88135A external-priority patent/LU88135A1/fr
Application filed by 알로이제 엔젤, 르네 스트레프, 파울 부르쓰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알로이제 엔젤, 르네 스트레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출탕구를 출탕구 점토로 폐쇄한 후에 점토가 완전히 굳기 전에 환봉을 상기 점토내로 꽂아넣고 출탕구를 형성하도록 적절한 때에 환봉을 뽑아내는 방법을 사용하는 설치 장비(10), 상기 설치 장비 상에서 이동 가능한 운반대(32), 상기 제1의 운반대(32)를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용광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가 제공된다. 안내 수단(68, 70)은 상기 봉의 안내홈(64)을 한정하며 상기 안내홈(64)의 내측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이 방향 개구부(78)를 가진다. 핑거(42)는 상기 관통봉(54)의 한 단부에 출추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64)의 내측으로 상기 종방향 개구부(78)를 관통한다.

Description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관통 기계의 설치 장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설치 장비의 종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설치 장비의 횡 단면도.
제4도는 핑거를 지지하는 제1운반대의 종 단면도.
제5도는 핑거를 지지하는 제1운반대의 횡 단면도.
제6도는 설치장비상에서 중간 지지체를 지지하는 운반대의 단면도.
제7도는 설치장비상에서 중간 지지체를 지지하는 운반대의 제1도에 따른 조립 상태에서의 횡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4도 및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핑거를 지지하는 제1의 운반대가 작동 부재를 구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제10도 및 제11도, 그리고 제12도 및 제13도 각각은 제4도 및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관통봉을 빼내기 위한 조오를 구비한 클램프가 핑거를 지지하는 제1의 운반대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
제14도 및 제15도, 그리고 제16도 및 제17도 각각은 제4도 및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출탕구로 부터 관통봉을 빼내기 위한 후크를 구비한 클램프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치 장비 12 : 중앙요소
14 : 상자 구조 16, 18 : 측벽
20 : 상부 금속판 22 : 길이방향 개구부
24 : 무한 체인 26 : 피동 스프로킷
28 : 구동 스프로킷 30 : 모터
32 : 제1의 운반대 34, 36 : 롤러
38, 40 : 레일 42 : 핑거
44 : 동체부 46 : 핀
48, 50 : 구멍 54 : 관통봉
56 : 실린더형 힐 58 : 연장부
60 : 정지부 64 : 안내관
66 : 관 68, 70 : 안내 수단(두개의 관 요소)
72, 72' : 아암 74, 74' : 관
76 : 결합 부재 78 : 길이방향 개구부
82, 84 : 잭 86 : 지지체
88, 88' : 레버 아암 90 : 클로
92 : 홈 94 : 손잡이부
100 : 작업 부재 102 : 결합수단, 척
104 : 제2의 운반대 105 : 포크
114 : 제3의 운반대 128 : 원통형 관절 부재
129 : 핀 132 : 횡단봉
134 : 틀 136 : 회전 부재
138 : 구동축 150 : 클램프
154 : 조오(jaw) 160 : 클램프
162, 164 : 후크 168 : 정지부
170 : 어깨부 172 : 횡단봉
174 : 공기 잭
본 발명은, 출탕구를 출탕구 점토로 페쇄한 후에 상기 점토가 완전히 굳기 전에 관통봉을 상기 점토내로 꽂아넣고, 적절한 때에 출탕구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관통봉을 뽑아내는 방법을 이용하여,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계는, 출탕구의 연장축선상의 작업위치에서 축로 벽의 전방으로 향하는 설치 장비와, 이 설치 장비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제1의 운반대와, 이 제1의 운반대를 상기 설치 장비를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종래의 관통기계를 사용하는 로스트 로드(lost-rod)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드릴 비트를 사용하여 출탕구를 뚫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계는 관통봉을 결합하는 수단에 꼭맞는 척(chuck) 과 상기 관통봉을 삽입하고 빼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강력한 2-방향 공기 헤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계에 사용되는 강력한 헤머는 결점이 없는 것이 아니다. 먼저, 이것은 장비, 특히 상기 관통봉을 작업부재에 결합하는 수단에 상당한 응력과 진동을 가하며, 그 결과로 급격한 마모가 발생한다. 또한, 헤머는 극히 소란하며, 산업 환경의 소음 정도를 낮추기 위한 강력한 표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때가 빈번하다.
상기와 같은 헤머의 단점으로 인해, 상기 관통봉을 삽입하고 빼내는 동안에 타격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봉을 빼내는 공정으로서, 강력한 반동운동을 사용하여 즉,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완벽한 무소음으로 출탕구에서 관통봉을 빼내기 위해,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견고히 결합된 강력한 구동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구상할 수도 있다. 이렇게 빼내는 방식은 다양한 기계에 시도되어 왔으며, 아주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전술한 기계의 구동 수단으로서는 잭이나 유압 모터가 사용되었으며, 상기 구동 수단을 상기 관통봉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특별한 클램프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용하고 "강력한"해결책은 굳고 있는 출탕구 점토내로 상기 관통봉을 삽입하는 작동에 사용하는 것은 기대할 수가 없는 것 처럼 보인다. 즉, 상기 관통봉의 직경이 주어지면(통상, 봉의 길이는 4m, 직경은 4cm이다), 먼저 강력한 축추력에 의해 상기 관통봉의 휨이 야기될 위험이 있고, 관통봉이 급격히 굳어가는 점토내에 부분적으로 꽂힌 위치에서 영구히 박혀질 위험이 있다.
상기 "강력한"삽입 작동중에, 설치장비상에 장착된 중간 안내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관통봉을 여러 지점에서 원형으로 감싸고, 상기 설치장비 전방으로의 클램프의 전진단계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을 상기 클램프의 전진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금속 관통봉을 안내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예를 들어, 상기 설치장비상에 미끄럼 안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실현되었으며,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전진운동에 의해 상기 설치장비의 전방 위치로 추진된다. 그러나 전술한 해결방식은 명백한 단점을 갖는다. 먼저, 이러한 미끄럼 중간 안내수단은 매우 취약한 요소를 형성한다. 상기 관통기계가 견디어내야 하는 혹독한 작업 조건을 고려하면, 상기 안내부재는 그들의 안내 레일내에 봉쇄될 위험이 있으며, 상기 클램프의 전진운동에 장애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안내 부재의 상기 설치장비 전방에서의 정지위치 배열은 상기 설치장비 전방에서 장애가 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상기 중간 안내 부재에 출탕구에서 분출된 용융 금속이 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실제 사용에서 볼 때 두 개의 연소된 지지체 사이에서의 상기 관통봉의 휨이 완전히 배제되는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통봉의 휨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전술한 결점들을 나타내지 않으며,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강력한 추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관통봉을 반고화상태의 출탕구 점토내에 꽂아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축로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출탕구 관통기계에 있어서,
관통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을 한정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안내관의 축선에 직교하여 이 안내관의 내측에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갖는 안내 수단과,
상기 설치 장비상에서 상기 안내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금속 관통봉을 출탕구내로 꽂아넣기 위해 상기 설치 장비가 상기 축로 벽의 전방의 작업위치에 위치할때에,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출탕구의 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성된 지지 수단과,
상기 제1의 운반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핑거로서, 상기 길이방향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안내관의 내측까지 침입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의 운반대가 상기 출탕구 쪽으로 전진하는 동안에 상기 관통봉의 일 단부에 축추력을 가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통봉은 강력한 구동 수단에 의해 설치 장비를 따라 구동되는 운반대와 일체화된 핑거가 침입할 수 있는 안내관 내에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상기 관통봉을 관내에서 안내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상기 관에 침입하는 핑거에 의해 상기 관통봉의 일 단부에 상당한 축추력을 가하여 상기 출탕구를 폐쇄하고 있는 출탕구 점토내로 상기 관통봉의 반대단부를 꽂아넣을 때에 축이 휘게 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의 크기는 상기 관통봉이 상기 관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크기로 결정되어야 함은 명백하다. 그러나, 상기 안내관은 축추력을 받는 상기 금속 관통봉이 반경방향으로 벗어나갈 위험이 없는 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연속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기계의 주요 장점은, 장비 및 기계에 중대한 응력과 진동을 부과하는 소음이 심한 헤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가해지는 힘으로써 상기 관통봉을 출탕구 점토에 완전하고 안전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미끄러짐 중간 안내부재로 해결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안내관은 설치장비를 따라 이동가능한 운반대와 일체화된 상기 핑거의 전진 이동 단계중에 제거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가동성이어야만 하는 단 하나의 요소는 상기 관 내측을 통과하는 핑거를 지지하는 운반대임을 알 수 있다. 즉, 금속 관통봉의 안내관을 한정하는 안내 수단은, 어떤 경우에든 변위가능한 운반대와 일체화된 핑거의 전진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따라서 관통봉을 삽입하는 전체의 공정중에 적소에 유지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안내 수단은 공지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봉을 빼내는 공정 중에, 또는 드릴 비트로 출탕구를 뚫기 위하여 설치 장비를 따라 가동될 수 있는 공지의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에도 장애물인 상태이다. 전술한 바에 따라서, 설치 장비상에 설치된 아암(arm)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 수단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결책은, 필요한 경우, 공지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봉을 빼내기 위해 설치 장비를 따라 필요한 간격 공간을 비우면서 또는 상기 설치 장비를 따라 미끄러지는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하기 위해 상기 안내 수단을 측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 수단의 상기 설치 장비에 대한 측방위치로의 선회 또는 접힘은 상기 안내 수단을 출탕구에 직면하는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부터 이동시킨다는 이점을 가지며, 상기 지역은 일반적으로 출탕구가 열렸을 때 분출축의 연장상에 직접 위치되는 지역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관통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은, 관통봉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전체 길이에 걸친 모선에 따른 그의 벽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상기 안내 수단의 특히 단순하고 값싼 태양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방향 개구부는 핑거가 상기 관 내부로 관통할 수 있게 하므로, 상기 핑거는 운반대가 설치 장비를 따라 출탕구 쪽으로 전진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관통봉의 일 단부에 축추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금속 관통봉은 관통봉을 안내관의 일 단부를 통하여 넣음으로써 상기 안내관내에 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런, 상기 관통봉을 삽입하는 것은, 안내 수단을 길이방향으로 개구시켜서 안내관내에 관통봉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을 때에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의 안내 수단은 안내관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과 나란하게 놓인 길이방향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상기 관은 길이방향으로 쪼개져 제1및 제2의 관 요소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관은 그 내부에 금속 관통봉을 위치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열릴 수 있으며, 다시 닫혀서 상기 안내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관 요소는 그 후 상기 설치 장비의 제1의 측면을 따라 관절형태로 설비된 제1의 아암에 설치되며, 상기 제2의 관 요소는 상기 설치 장비의 반대 측면을 따라 관절형태로 설비된 제2의 아암에 설치된다. 전술한 조립체는 상기 제1및 제2의 관 요소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측방으로 선회시켜 상기 관을 열도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관이 열린 위치에서는, 상기 두개의 관 요소중의 하나의 내부에 상기 관통봉을 위치시키기가 용이하며, 상기 두 개의 관 요소를 그들의 초기 위치로 선회시킴으로써 안내관을 재형성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두 개의 관 요소들 사이에 특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간격은 상기 설치 장비상에서 변위될 수 있는 클램프 또는 드릴의 통로로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선회가능한 지지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잭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잭(들)에 의하면, 상기 관통봉을 삽입시키는 작동중에 상기 안내관을 출탕구의 축선내에 유지하고, 안내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안내 수단을 접을 수 있다. 상기 안내 수단은 설치 장비의 보호 지역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용해물의 튐으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1운반대의 구동 수단은 핑거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충분한 힘을 가함으로써 제1운반대를 설치 장비를 따라 출탕구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관통봉의 반대 단부가 출탕구 내의 굳어가는 출탕구 점토를 관통하게 할 수 있다. 관통 기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유압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 체인을 구비한다. 그러나, 그것은 특별히 단순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적절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인은 자정식이며 보수가 필요치 않다.
상기 관통기계는 드릴을 포함하는 작업부재에 유리하게 꼭 맞으며, 강력한 헤머일 수 있다. 상기 기계 상에서 일반 드릴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이것은 상기 출탕구를 재형성하거나 변위시키는데 또는 어떤 이유로 하여 로스트-로드 방식이 사용될 수 없을때 공지의 드릴 비트를 사용하는 작업에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제1운반대의 구동 수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제2의 구동시스템을 상기 기계에 장착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상기 출탕구로 부터 금속 관통봉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출탕구를 열고자 할 때 상기 제1운반대의 구동 수단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구동수단은 상기 관통봉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특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기계는 상기 관통봉의 자유 단부를 상기 구동 수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수단은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완벽하게 소음이 없는 상태로 강력한 반동을 사용하여 상기 출탕구로 부터 상기 관통봉을 뽑아낸다. 상기 관통봉을 뽑아내는데 사용되는 결합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의 운반대에 설치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가공된 어깨부 뒤에 유지되도록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안내관을 통하여 그리고 상기 출탕구 밖에서 상기 설치 장비 상의 운반대의 반동 작용 단계에서 상기 관통봉에 장력을 가하고 상기 관통봉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관 둘레에 분배 배치된 수개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통하여 결합한 수개의 후크로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봉에 가공된 어깨부에 의해 견뎌야 할 접촉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관통봉을 출탕구로 부터 빼내기 위하여, 상기 안내 수단을 설치 장비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접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관통봉에 확실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봉의 단부를 상기 구동 수단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어떤 수단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봉의 축선상에 충분한 공간 간격이 제공된다. 상기 수단은, 예를 들어, 영국 특허 GB 2,116, 898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조오(Jaw)를 갖는 클램프이며, 이것은 가로 방향 키를 갖는 척이 상기 관통봉의 일 단부에 가공된 평면과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암 나사산이 나있는 척이 상기 관통봉의 자유단부에 가공된 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치 장비 상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며, 따라서 안내관이 없는 경우에 관통봉이나 드릴 비트를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상기 설치 장비의 전방에 설치된 스크린은 출탕구에서 분출되는 분출물로 부터 상기 기계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다른 장점과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나타나며, 도면에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관통 기계의 설치 장비(10)를 보여준다. 상기 설치 장비(10)는 설치 장비(10)와 일체화된 중앙 요소(12)를 통하여 운반 아암(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운반 아암은 상기 설치 장비를 대기 위치와 작업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기 위하여 브라켓(도시되지 않음) 둘레를 종래 공지의 방식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위치에서는, 상기 설치 장비(10)가 상기 축로 벽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그 종축이 출탕구의 연장축선에 위치된다.
상기 설치 장비는, 예를 들어, 일종의 상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된 복수개의 빔 또는 금속 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자 구조는, 상부 금속판(20)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방향 개구부(22)를 하향으로 경계짓는 두 개의 측벽(16, 18)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 구조(14) 내에는 하나 이상의 무한 체인(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한 체인(24)은 상기 설치 장비(10)의 전방에 설치된 피동 스프로킷(26)과 설치 장비(10)의 후방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28) 사이에 걸려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28)은 설치 장비(10)상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모터(30)에 의해 구동된다. 이 모터는 적절한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방향이 역전될 수 있는 유압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자 구조(14) 내부에서는 상기 무한 체인(24)에 의해 구동되는 제1의 운반대(32)가 미끄러진다. 상기 제1의 운반대(32)는 제4도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그것은 각각 제1의 레일(38)과 제2의 레일(40) 내에서 각각 안내되는 한 쌍의 롤러(34, 36)를 그 양측에 포함한다. U형 단면을 갖는 상기 레일(38, 40)(제5도 참조)은 상자 구조(14)의 측벽(16, 18)의 일체부를 형성한다.
상기 운반대(32) 상에는, 상기 길이방향 개구부(22)를 통하여 운반대(32)를 설치 장비(10)를 형성하는 상자 구조(14) 내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평탄한 동체부(44)를 포함하는 핑거(42)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핑거(42)는, 상기 제1의 운반대(32)의 변위축선을 통과하는 수직면 내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대(32)의 구멍(48, 50)내에 꽂히며 상기 동체부(44)의 구멍(52)을 통과하는 원통형 핀(46)에 의해 운반대(32)에 설치된다.
제2도 및 제5도는, 핑거가 그 하단부를 통하여 관통봉(54)상에 접촉하는 위치에서의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관통봉(54)은 출탕구내에 이미 분사된 출탕구 점토내에 꽂히도록 관통기계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관통봉(54)에 접촉하는 상기 핑거(42)의 하단부는 상기 관통봉(54)의 연장축선내에 연장되는 실린더형 힐(heel)(56) 형태를 취한다. 상기 핑거(42)는 상기 원통형 핀(46)의 다른 측면상에 그의 동체부(44)의 연장부(58)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58)는 상기 핑거의 실린더형 힐(56)이 상기 관통봉(54)의 단부에 축 추력을 가할 때 상기 제1의 운반대(32)의 접촉 표면(60)에 접촉한다.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핑거(42)는 시계방향으로만, 즉, 도면부호(62)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관통봉은 실린더형 관(66)으로 형성된 관(64)내에서 안내된다. 상기 관통봉과 실체적으로 동일한 길이이며 상기 관통봉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상기 관(66)은, 상기 관의 길이방향 축선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거의 대칭형태인 두개의 관 요소(68, 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개의 관 요소(68, 70) 각각은 복수개의 굽은 아암(72, 7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의 관 요소(68)를 지지하는 상기 굽은 아암(72)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또한 설치 장비(제1도 및 제3도 참조)를 형성하는 상자 구조(14)의 제1측벽 (16)을 따라 연장된 관(74)에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관(74)은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와 양 단부에 있어서 실린더형 결합부재(76)에 의해 상기 제1의 측벽(16)상에 설치된다. 제2의 관 요소(70)를 지지하는 상기 굽은 아암(72')은 설치 장비(10)의 반대편 측벽(18)을 따라 동일하게 설치된다. 제2의 관 요소(70)의 설치에 관계되는 요소는 상기 제1의 관 요소(68)를 장착하는 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서 표시되며 단지 부호(')가 더 첨가된다.
제5도는 안내관(64)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치된 두개의 관 요소(68, 70)를 보여준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관(64)에 의해 한정되는 축선은 제1의 운반대(32)의 구름방향에 평행한 직선이다. 이 축선은 상기 제1의 운반대(32)의 중간의 길이방향 평면내에 더욱 정확하게 위치된다.
상기 두개의 관 요소(68, 70)의 병렬배치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관(66)에는 그 전체길이에 걸친 모선을 따라서 그 벽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길이방향 개구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78)가 설치 장비(10) 내에서 길이방향 개구부(22)를 향하는 것을 볼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핑거는 그 평탄한 동체부(44)와 함께 상기 개구부(78)를 통해 상기 관(66)의 내측까지 침입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제1의 운반대(32)가 설치 장비(10)를 따라 변위할 때에 상기 힐(56)이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핑거의 실린더형 힐(56)과 동체부(44)사이의 연결부 근방에서 상기 핑거는 사양부(80)를 갖는다. 상기 사양부(80)는, 핑거(42)가 관통봉의 일 단부에 축추력을 가할 때, 상기 실린더형 힐(56)이 개구(78)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78)의 폭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관통봉(54)이 출탕구 점토내로 꽂아질때, 관통봉은 축로의 벽과 설치 장비(10)의 전면 사이에 연장된 부분을 제외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안내된다. 이 안내되지 않는 부분은 휨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임계 길이 보다 매우 작다. 또한, 상기 관통봉이 안내되지 않는 지점에서 휨의 위험없이 완전히 안전하게 상기 관통봉(54)이 강력하게 출탕구 점토에 꽂아 지는한, 상기 안내관의 축방향 간섭은 더 이상 장애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개의 연속하는 안내 슬리브 사이에서 휨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임계길이 이하의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간격이 주어진 다수개의 동축 슬리브를 사용하여 상기 안내관(64)을 한정하는 것은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제3도는, 상호 나란히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관(64)을 한정하는 두개의 관 요소(68, 70)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배열은 굽은 아암(72)을 사용하여 제1의 관 요소(68)를 지지하는 관(74)과 굽은 아암(72')을 사용하여 제2의 관 요소(70)를 지지하는 관(74')을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선회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잭(82, 84)에 의해 얻어진다.
제1도와 제3도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관(74, 74')에는 각각의 잭(82, 8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잭(82, 84)은, 출탕구가 열렸을 때에 출탕구에서 분출되는 용융금속의 분사로 부터 보호되도록 관(74, 74')의 중간 지점에서 설치 장비의 측방에 배열된다. 또한, 잭에는 이 지점에서 상기 설치 장비(10)를 방해하지 않는 보호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잭(82, 84) 각각은, 본기술의 규격에 따르면, 그 일 단부는 설치 장비(10)와 일체화된 지지체(86)상에 관절형태로 결합되고, 타 단부는 각각 상기 제1의 관(74) 또는 상기 제2의 관(74')과 일체화된 레버 아암(88, 88')상에 관절형태로 결합된다. 제3도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88, 88')은 굽은 아암(72, 72')의 연장부이다. 상기 두 개의 잭(82, 84)이 신장하면, 상기 관 요소(68, 70)는 설치 장비(10)의 길이방향 중간면의 지역에서 서로 만날때 까지 함께 이동한다. 제5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잭은 안내관(64)이 형성되도록 상기 두개의 관 요소(68, 70)를 서로에 대하여 강하게 민다.
상기 두 개의 잭(82, 84)이 수축하면, 상기 두 개의 관 요소(68, 70)가 서로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제3도 참조) 그리고 상기 관(64)의 길이방향 개구부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봉(54)이 상기 두 개의 관요소들 중의 하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오른쪽의 관 요소(70)를 포함하는 관 요소에는 유리하게는 관통봉(54)을 지지하기 위한 클로(claws: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로(9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간격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관 요소(68, 70)가 결합될 때 타방의 관 요소(68)에 만들어진 대응 홈(92)에 끼워진다.
상기 두 개의 관 요소(68, 70)는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강관으로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부재이다. 이 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상기 관 요소에 용접된 손잡이부(94)에 의해서 상기 굽은 아암(72, 7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굽은 아암(72,72')에 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94)는 제3도의 좌측 아암(72)지역내에 도시된다. 이 조립체는 관 요소(68, 70)가 출탕구에서 분출된 용융금속에 의해 설치 장비(10)의 전방에서 손상되었을 때에 상기 관 요소를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3도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관 요소(68, 70)가 분리되면 설치장비(10)아래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작업 부재(100)가 통과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작업 부재(100)는 일반적으로 드릴과 헤머를 포함한다. 드릴의 존재는 필요할 경우 종래의 드릴 비트를 사용하여 출탕구를 뚫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경우는 출탕구를 재형성하거나 위치를 옮길 경우, 또는 어떤 이유로 로스트-로드 방식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일 것이다. 상기 작업 부재(100)에는 드릴 비트에 결합될 수 있는 척(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핑거(42)는 상향 선회, 즉 드릴 비트가 상기 척에 삽입되도록 제4도의 화살표(62) 방향으로 선회한다. 상기 관 요소(67, 70)는 작업부재(100)가 통과하는데 필요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분리된다.
상기 작업 부재(100)는 두 쌍의 롤러(106, 108)의 도움으로 한 쌍의 레일(110, 112)내에서 미끄러지는 제2의 운반대(104) 상에 설치된다. 상기 레일(110, 112)은 제1의 운반대(32)를 지지하는 레일(38, 40)하부에 평행하게 상자 구조내에 고정된다. 상기 레일은 U형 단면을 가지며 제2의 운반대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작업 부재(100)는 제1의 운반대(32)의 구동 수단과 동일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문에, 제2의 운반대(104)가 예를 들어, 후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어떤 상당한 수단에 의해 제1의 운반대(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재(100)에 출탕구에서 빠져나오는 관통봉(54)의 단부에 결합되도록한 적당한 결합 수단(102)이 형성되면, 상기 작업 부재(100)는 또한 상기 관통봉을 강력하게 빼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의 운반대(32)에는, 인장력의 전달이 작업 부재의 기계기구를 통하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장력을 상기 결합 수단에 직접 전달하는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제1의 운반대(32)에 결합된 핑거(42)의 상기 연장부(58)와 일체화된 포크(105) 일 수 있다(제4도 참조). 상기 관통봉(54)이 빠지면, 상기 포크(105)는 작업 부재(100)상에 설치된 결합 수단(102)의 어깨부(106)에 접촉하여, 상기 관통봉(54)을 빼내는 방향으로 축추력을 가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상기 관절결합된 핑거(42)가 제1운반대(32)의 접촉면 (108)에 면한다. 상기 운반대(104)는 제1의 운반대(32)의 전방에 간단히 밀어내진다. 상기 작업 부재(100)는 어떤 인장력도 전달해서는 안되며, 결합 수단(102)의 미끄럼 지지체로서만 작용한다.
제8도와 제9도에는 작업 부재(100)를 구동하기 위한 바람직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제1의 운반대(32)에 관절결합된 상기 핑거(42)와 일체화된 포크(105)는 결합 수단(102)의 후방어깨부(106)와 상기 결합 수단(102)의 전방의 제2의 어깨부(130)사이에서 수직 위치가 횡단봉(132)에 의해 차단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포크(105)는 제1의 운반대(32)가 설치 장비의 전방을 향하여 변위될 때에 상기 작업 부재(100)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전방 어깨부(130)에 접하며, 제1의 운반대가 설치 장비의 후방을 향하여 변위될 때에 상기 작업부재(100)를 그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후방 어깨부(106)상에 접촉한다.
제8도는 또한, 결합수단(102)이 작업부재(100)의 밑판의 일 단부와 일체화된 틀(134)을 포함함을 보여준다. 상기 틀 내에서는, 상기 작업부재(100)의 구동 축(138)과 일체화된 회전 부재(136)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틀(134)은, 전방에서, 즉 그 자유 단부 쪽에서, 작업 부재(100)가 설치 장비의 전방으로 구동될 때에 상기 포크(105)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어깨부(130)를 한정한다. 상기 관통봉이 빠질 때에 상기 포크(105)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어깨부(106)는, 출탕구로 부터 관통봉(54)을 분리하는 동안에 상기 구동축(138)이 어떠한 인장력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일부가 상기 회전 부재(136)내에 가공된다.
제8도에 도시된 관통봉(54)을 결합 수단(102)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관통봉(54)의 자유단부에 가공된 수나사산(140)과 상기 회전부재(136)의 전방 단부에 가공된 대응 암나사산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제10, 11, 12도 그리고 제13도는 관통봉 (54)을 빼내기 위한 조오를 갖는 클램프(150)를 사용하는 변형예를 보여준다. 상기 조오를 갖는 클램프는 핑거(42)와 관절결합되는 제1의 운반대(32)에 일체화된다. 조오를 갖는 클램프(150)에는 핑거(42)의 도움으로 상기 관통봉(54)을 삽입하는 작동중에 상기 안내수단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관통봉(54)용의 통로(152)가 설치되어 있다(제10도 및 제11도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조오를 갖는 클램프(150)는 관통봉(54)을 출탕구 점토에 삽입하는 공정중에 운반대(32)상의 적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관통봉(54)을 빼내는 동안, 물론 상기 안내 수단(68, 70)은 클램프의 궤도에서 벗어나며, 상기 핑거(420는 상부로 접한다(제12도 및 제13도 참조). 이제, 상기 관통봉은 상기 통로(152)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조오(154)에 의해 확실히 파지된다.
제14, 15, 16 그리고 제17도는, 관통봉(54)을 빼내기 위하여, 상기 제1의 운반대(32)내에 병렬설치되고 횡단 핀(166) 둘레에 관절결합된 두개의 후크(162, 164)로 형성된 클램프(160)를 사용하는 변형예를 보여준다. 상기 두 개의 후크(162, 164)를 사용하여 관통봉(54)을 빼내는 공정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후크(162)는 그 하단부에 상기 핑거(42)의 실린더형 힐(56)과 동등한 힐(56')을 포함함을 밝혀둔다. 상기 힐(56')은 관통봉(54)을 출탕구 점토내에 찔러넣기 위하여, 안내관(64)내에 침입하여 상기 관통봉(54)의 자유 단부에 접촉한다. 상기 후크(162)는, 상기 관통봉(54)을 출탕구 점토에 삽입하는 작동중에,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핑거(42)의 역할을 한다. 제16도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봉을 삽입하는 공정에서, 상기 두 개의 후크(162, 164)가 제거가능한 정지부(168)에 의해 아래로 접혀진 위치에서 차단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실린더형 힐(56')은 상기 안내관(64)과 정렬되며, 상기 후크(164)는 제1의 운반대(32)내에 완전히 접혀진다. 동시에, 상기 제거가능한 정지부(168)는, 상기 실린더형 힐(56')이 관통봉(54)에 축추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관통봉(54)의 단부에 접할때 상기 후크(162)의 역행 지지체를 형성한다.
상기 관통봉(54)을 분리하기 위하여, 안내관(64)을 한정하는 수단이 아래로 접혀지고(제14도 참조), 제거가능한 정지부(168)가 제거되어, 상기 후크(162, 164)는 상기 관통봉(54)의 자유단부와 일체인 어깨부(170) 뒷쪽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는 상기 후크(162)가 제거가능한 횡단봉(172)에 의해 차단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의 운반대(32)와 일체화된 공기 잭(174)은 상기 후크(162)를 관통봉(54)에 대하여 밀며, 어깨부(170) 뒤쪽에서 클램프(160)에 다가선다. 제2의 후크(164)는 클램프(160)의 역행 지지체 또는 반동요소로서 작용하는 상기 횡단봉(172)에 대해 밀린다. 상기 두 개의 후크(162,164)의 단부는, 클램프(160)와 관통봉(54)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통봉(54)에 원주방향으로 접하는 환형 요소의 형태를 취하며, 그에 따라 상기 관통봉(54)이 출탕구로 부터 분리될 때 상기 어깨부(170)가 찢겨나갈 위험이 감소된다.
안내관(64)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설치 장비(10)는 중간 지지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지지체는 작업 부재(100)와 동일한 레일(110, 112)내에서 두 쌍의 롤러(116,118)의 도움으로 미끄러지는 제3의 운반대(114)상에 장착된 후크(112)로 형성된다. 상기 제3의 운반대(114)는, 제3의 운반대(114)에 고정되고 제1의 운반대(32)와 작업 부재(100)의 안내 부시(124, 126)내에서 미끄러지는 두개의 봉(120, 122)에 의해 상기 제1의 운반대(32)에 연결된다. 상기 봉(120, 122)의 목적은, 상기 중간 지지체(110)를 설치 장비의 전방으로 부터 설치 장비의 중간부로 자동적으로 후퇴시키는 것, 즉 상기 관통봉(54)이 출탕구로 부터 완전히 빼내지기 전에 관통봉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간 지지체(110)는 출탕구에서 빼낸 관통봉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체(110)는 또한 상기 작업 부재상에서 드릴 비트를 착탈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상기 중간 지지체(110)의 후크(112)는 상기 안내 수단(68, 70)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부로 접혀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후크(112)는 실린더형 관절 부재(128)에 의해 상기 운반대(114)상에 장착되며 작은핀(129) 또는 각각 동등한 수단에 의해 접힌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설치 장비의 전방에 고정된 지지체(130)는 유럽 특허출원 EP 0,064,644호에 제안된 형태의 지지 스크린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스크린은 설치 장비(10)의 전방에 설치된, 즉 상기 설치 장비가 작동 위치내에 있을 때 출탕구에 면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날개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형 부재는, 관통봉(54)을 출탕구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관통봉(54)을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열린 위치와, 상기 부재가 상기 관통봉(54)의 지지체를 한정하며 출탕구가 열렸을 때 출탕구로 부터 분사되는 분사물로 부터의 보호판을 한정하게 되는 닫힌 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통기계는 무한 체인을 구동하는 유압 모터 이외의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잭, 특히 운반대(32)를 설치 장비를 따라 2C 이상의 거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행정 배율기에 의해 상기 운반대(32)상에서 작동하는 행정거리 C의 잭 또는 텔리스코픽 잭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동장치는, 넛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 장비에 걸쳐서 연장된 스크류가 병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넛트 장치이다. 상기 스크류의 회전은 상기 넛트의 병진을 구동시킨다. 상기 넛트는 상기 핑거(42)를 직접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핑거(42)를 지지하는 상기 제1의 운반대(32)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핑거(42)는 설치 장비(10)를 형성하는 상자 구조(14)내의 레일에서 미끄러지는 운반대(32)상에 반드시 장착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개념내에서는, 상기 설치 장비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핑거(42)를 관통봉의 축선내에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안내 수단도 상기 운반대/레일 장치에 대한 완전히 동등한 수단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특정한 경우에, 구동 장치상에 직접 장착되는 핑거(42)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개념내에서 상기 제1의 운반대(32)에 상기 핑거(42)를 상기 구동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있어서, "운반대"라는 용어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다른 기계 요소를 지지하고 변위시키는 기계요소이다.
전술한 안내 수단의 실시형태는 단지 바람직한 태양일 뿐이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출탕구의 축선과 동축인 상기 금속봉(54)용의 안내관(64)을 한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관통봉(54)을 출탕구 점토내에 찔러넣기 위해 상기 핑거(42)가 내부로 침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출탕구를 출탕구 점토로 폐쇄한 후에 상기 점토가 완전히 굳기 전에 관통봉을 상기 점토내로 꽂아넣고, 적절한 때에 상기 관통봉을 뽑아내어 출탕구를 개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로서, 출탕구의 연장축선상의 작업위치에서 축로 벽의 전방으로 향하는 설치 장비(10)와, 이 설치장비(10)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제1의 운반대(32)와, 이 제1의 운반대(32)를 상기 설치장비(10)를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에 있어서, 관통봉(54)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64)을 한정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안내관의 축선에 직교하여 이 안내관(64)의 내측에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개구부(78)를 갖는 안내 수단(68,70)과, 상기 설치 장비(10)상에서 상기 안내 수단(68, 7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금속 관통봉(54)을 출탕구내로 꽂아넣기 위해 상기 설치 장비(10)가 상기 축로 벽의 전방의 작업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안내관(64)의 길이방향 축선이 상기 출탕구의 축선과 동축이 되도록 구성된 지지수단(72, 74, 72', 74')과, 상기 제1의 운반대(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핑거로서, 상기 길이 방향 개구부(78)를 통하여 상기 안내관(64)의 내측까지 침입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의 운반대(32)가 상기 출탕구 쪽으로 전진하는 동안에 상기 관통봉(54)의 일 단부에 축추력을 가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 핑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설치 장비(10)를 따라 한정된 여유 간격으로 부터 상기 안내 수단(68, 70)을 측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설치 장비(10)상에 관절형태로 결합된 아암(72, 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관통봉(54)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안내관(64)은, 관통봉(54)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전체 길이에 걸친 모선에 따라서 그의 벽을 반경방향으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개구부(78)가 형성된 관(66)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안내관(64)을 한정하는 두 개의 관 요소(68, 70)를 포함하고, 상기 관(66)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2의 관 요소(68, 70)로 분리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설치장비의 제1의 측면(16)을 따라 관절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의 관 요소(68)를 지지하는 제1의 아암(72)과, 상기 설치 장비의 대향 측면(18)을 따라 관절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2의 관 요소(70)를 지지하는 제2의 아암(7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의 아암은 상기 제1및 제2의 관 요소(68, 70)를 상기 설치 장비(10)로 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측방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안내 수단을 상기 설치 장비(10)에 대해서 측방위치로 아래로 접는 하나 이상의 잭(82, 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설치 장비(10)를 따라 팽팽하게 인장된 무한 체인(24)을 포함하며, 이 체인(24)은 유압 모터(3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장비(10) 상에서 미끄러지고 상기 설치 장비(10)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작업 부재(100)와, 이 작업 부재(100)를 상기 제1운반대(32)의 구동 수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봉(54)을 출탕구로 부터 빼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이 수단은 상기 관통봉(54)의 단부를 상기 구동 수단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재(100)에는 출탕구내에 끼워진 관통봉(54)의 자유단부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수단(102)이 끼워맞춰지고, 상기 구동수단에는, 상기 작업부재를 상기 설치 장비(10)의 뒤쪽으로 밀어 상기 관통봉(54)을 상기 출탕구로 부터 빼내도록, 상기 관통봉(54)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결합 수단에 직접 지지된 지지체(10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탕구에 대면하는 상기 설치 장비의 전방에 장착된 스크린(130)과 용융 금속이 튀기는 것을 막는 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130)은 출탕구로 부터 관통봉을 빼내기 위해 상기 관통봉(54)을 잡는 것을 조장하는 열림 위치와 상기 설치 장비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봉(54) 용의 지지체를 한정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선회가 가능한 날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장비(10) 상에서 미끄러지고 상기 설치 장비(10)를 따라 변위가 가능한 중간 지지체(110)를 포함하고, 이 중간 지지체는 상기 안내관(64)이 없을 때 관통봉 또는 관통드릴 비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체는, 원통형 관절부재(128)에 의해 운반대(114)상에 장착되어 아래로 접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후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봉(54)을 상기 출탕구로 부터 빼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이 수단은 상기 관통봉(54)의 단부에 가공된 어깨부 뒤에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의 운반대(32)와 일체인 상기 핑거(42)는 상기 제1의 운반대(32)의 변위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핀(46)을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하며, 상기 제1의 운반대(32)와 일체인 정지부(60)는, 상기 핑거가 상기 관통봉(54)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관통봉상에 축추력을 가하는 때에 상기 핑거(42)용의 역행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5. 제1항 내지 제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운반대(32)는, 횡축선을 중심으로 선회가 가능하고 상기 관통봉(54)의 단부와 일체인 실린더형 힐(56)뒤에서 결합이 가능하며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후크에 끼워맞춰진 클램프(160)와, 상기 제1의 운반대(32)와 상기 두 개의 후크(162, 164)중의 하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160)를 공기식으로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잭(1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6. 제1항 내지 제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42)는 상기 안내관(64)에서 결합이 가능한 힐(56')을 포함하는 두 개의 후크(162, 164)중의 하나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의 운반대(32)는, 상기 관통봉을 상기 출탕구 점토내로 삽입하는 공정중에, 상기 힐(56')을 포함하는 상기 후크(162)용의 역행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거가능한 정지부(168)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17. 제1항 내지 제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운반대는 조오(154)를 갖는 클램프(150)를 포함하고, 이 클램프(150)는 관통봉(54)의 통과로 (152)에 결합되며, 이 통과로(152)는 상기 핑거(42)의 도움으로 상기 관통봉(54)을 상기 출탕구내로 삽입하는 작동중에 상기 안내 수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KR1019930010643A 1992-06-17 1993-06-11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KR100253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88135A LU88135A1 (fr) 1992-06-17 1992-06-17 Machine de percage d'un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LU88135 1992-06-17
LU88167 1992-09-02
LU88167A LU88167A7 (fr) 1992-06-17 1992-09-02 Machine de perçage d'un trou de coulée d'un four à cu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683B1 true KR100253683B1 (ko) 2000-04-15

Family

ID=2664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643A KR100253683B1 (ko) 1992-06-17 1993-06-11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351939A (ko)
EP (1) EP0574729B1 (ko)
JP (1) JPH0688111A (ko)
KR (1) KR100253683B1 (ko)
CN (1) CN1036209C (ko)
AU (1) AU656472B2 (ko)
CA (1) CA2098564A1 (ko)
CZ (1) CZ283022B6 (ko)
DE (1) DE4317436C2 (ko)
ES (1) ES2125929T3 (ko)
GB (1) GB2267956B (ko)
PL (1) PL172793B1 (ko)
RU (1) RU2094469C1 (ko)
SK (1) SK59693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81B1 (ko) * 2010-08-04 2017-08-09 티엠티 태핑-매져링-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탭홀 천공 머신의 드릴 로드 유지 장치 및 드릴 로드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8059A1 (fr) * 1992-01-27 1993-08-17 Paul Wurth S.A. Machine de percage d'un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JP5785838B2 (ja) * 2011-09-27 2015-09-30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閉塞開孔方法および閉塞開孔装置
CN105903992B (zh) * 2016-06-23 2021-12-14 中钢集团西安重机有限公司 一种螺杆调节式钻杆夹持机构
US20220178615A1 (en) * 2019-03-13 2022-06-09 Tmt Tapping Measuring Technology Sàrl Taphole plugging gu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5630A (en) * 1955-04-05 Tad deo
DE3111260C2 (de) * 1981-03-21 1992-06-11 Dango & Dienenthal Maschinenbau GmbH, 5900 Siegen Stichlochbohrmaschine
LU83336A1 (fr) * 1981-05-05 1983-03-24 Wurth Paul Sa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guidage d'une tige de percage du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et perceuse pourvue d'un tel dispositif
LU83917A1 (fr) * 1982-02-03 1983-09-02 Wurth Paul Sa Dispositif d'accouplement d'une tige de percage du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a l'outil de travail d'une machine de percage
LU86963A1 (fr) * 1987-08-04 1989-03-08 Wurth Paul Sa Machine de percage d'un trou de coulee de four a cuve
LU87010A1 (fr) * 1987-10-06 1989-05-08 Wurth Paul Sa Dispositif de montage d'une pince pour l'accouplement d'une tige de percage du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a une machine de percage
LU87190A1 (fr) * 1988-04-06 1989-11-14 Wurth Paul Sa Machine de percage de trous de coulee d'un four a cuve
LU87427A1 (fr) * 1989-01-16 1990-07-24 Wurth Paul Sa Procede et dispositif d'ouverture du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SU1633251A1 (ru) * 1989-04-25 1991-03-07 Новолипец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им.Ю.В.Андроп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летки электропечи
US5069430A (en) * 1990-10-26 1991-12-03 Woodings Industrial Corporation Blast furnace tap hole drill with centralizing drill rod support
ES2091979T3 (es) * 1991-06-17 1996-11-16 Nippon Steel Corp Maquina para la perforacion de orificios de colad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881B1 (ko) * 2010-08-04 2017-08-09 티엠티 태핑-매져링-테크놀로지 게엠바하 탭홀 천공 머신의 드릴 로드 유지 장치 및 드릴 로드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4729B1 (fr) 1998-12-02
GB2267956B (en) 1996-01-03
PL172793B1 (pl) 1997-11-28
GB2267956A (en) 1993-12-22
DE4317436A1 (de) 1993-12-23
SK59693A3 (en) 1994-01-12
ES2125929T3 (es) 1999-03-16
CZ106693A3 (en) 1994-01-19
PL299365A1 (en) 1994-01-10
CA2098564A1 (fr) 1993-12-18
DE4317436C2 (de) 2002-07-18
US5351939A (en) 1994-10-04
EP0574729A1 (fr) 1993-12-22
CN1083114A (zh) 1994-03-02
CN1036209C (zh) 1997-10-22
JPH0688111A (ja) 1994-03-29
CZ283022B6 (cs) 1997-12-17
AU3996193A (en) 1993-12-23
GB9310794D0 (en) 1993-07-14
RU2094469C1 (ru) 1997-10-27
AU656472B2 (en) 199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683B1 (ko) 축로의 벽에 출탕구를 뚫는 기계
FI93256B (fi) Laitteisto poratankojen käsittelemiseksi
CZ14090A3 (cs) Způsob otevírání odpichového otvoru šachtové pece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GB2216827A (en) Taphole drilling machine
US5308047A (en) Machine for piercing a taphole for a shaft furnace
US5476250A (en) Machine for piercing a taphole for a shaft furnace
JPH0261523B2 (ko)
RU209647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вода закладного стержня в заделанное пробкой выпускное отверстие шахтной печи и вывода его
GB2263537A (en) Piercing a taphole for a shaft furnace
US58098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tubular workpiece into a drawing unit
JPH0688110A (ja) 冶金容器、特に高炉用の湯出し口穿孔機械
GB2095381A (en) Tap hole drilling machine
LU83336A1 (fr)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guidage d'une tige de percage du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et perceuse pourvue d'un tel dispositif
KR200216575Y1 (ko)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LU88029A1 (en) Machine for piercing the tap-hole of shaft furnace - using sacrificial drill bar without any percussion hammer
CA2110375C (en) Combined machine for opening and plugging a taphole in a shaft furnace
KR19980030275U (ko) 부쉬탈거기기
JPH0633121A (ja) 高炉の湯出し口への刺通ロッドの挿入を容易ならしめ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特殊クランプ
JPH10169932A (ja) シャフト炉酸素吹き込み装置
LU88135A1 (fr) Machine de percage d'un trou de coulee d'un four a cuve
JPH0721753U (ja) 出銑口開孔機からの開孔用金棒取外し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