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536B1 -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536B1
KR100252536B1 KR1019990039147A KR19990039147A KR100252536B1 KR 100252536 B1 KR100252536 B1 KR 100252536B1 KR 1019990039147 A KR1019990039147 A KR 1019990039147A KR 19990039147 A KR19990039147 A KR 19990039147A KR 100252536 B1 KR100252536 B1 KR 10025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mol
units derived
weight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쓰나가신야
와꾸모토히로시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7032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247363B1/ko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히로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 (C)의 합계 100중량부당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함유하는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함유하는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 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50∼95중량부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77몰%,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0∼4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20몰%로 된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5∼50중량부로 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유연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조성물이 고온에 노출되어도 상기 성질들이 심각하게 악화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물품포장용 특히,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우수하고 또한 고온(예컨대 100℃ 이상)에서 살균하는 의료용 블로우 성형된 병류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Polyolef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갖는 폴리올레핀조성물과,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필름 또는 용기 등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 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은 강도,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하여 각종 성형품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폴리올레핀의 내충격성 등의 성질을 더 개선시키는 주지 방법으로는 예컨대먼저 프로필렌을 단독중합하고 그 후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본 특개평 4-337308호에는 먼저 특정 메탈로센 화합물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에틸렌 단위 함량이 6중량% 이하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얻는 단계와, 그후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10:90∼95:5의 중량비로 공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얻는 단계로 되고, 최종 얻어진 블록 중합체의 합계 중량에 대해 제 1 단계에서 얻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양이 40∼95중량%, 제 2 단계에서 얻은 공중합체의 양이 60∼5중량%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 블록 공중합체는 내충격성과 강도간의 균형이 우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5-202152호에는 프로필렌 단위가 적어도 95중량%인 결정성 중합체(1) 20∼99중량%와, 에틸렌 단위가 20∼90중량%인 비정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2) 1∼80중량%로 된 폴리프로필렌 성형재를 천이금속 화합물과 유기알루미늄화합물로 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제조하고, 여기서 상기 비정질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얻는 중합을 특정 가교형 메탈로센 화합물과 알루미녹산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얻은 폴리프로필렌 성형재는 우수한, 특히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올레핀 종합체의 내충격성을 더 개선시키는 주지 방법으로는 엘라스토머를 폴리프로필렌에 배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투명성 등의 광 특성이 나쁘기 때문에, 이렇게 엘라스토머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의 사용은 제한되고 있다.
아택틱(atactic) 폴리프로필렌을 배합하여 폴리프로필렌의 성질을 개선함이예컨대 일본 특개평 6-263934호에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 폴리올레핀의 성질상의 요구가 더욱 엄격해지고 있어, 더 개선된 성질을 갖는 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성형품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 환경하에서 이루어졌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강도,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이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기 성분(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로 된 프로필렌 중합체(A) 45∼90중량부와;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70∼95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5∼30몰%로 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40중량부와;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77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0∼4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20몰%로 된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25중량부로 된다.
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특히 저온 내충격성),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 외에도, 본 발명은 또한 하기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는 하기 성분(A')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로 되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 가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로 된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와;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로 된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75∼95중량부로 대체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기 성분(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로 되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가
(i)극한점도[η]가 0.5∼10dl/g이고,
(ii)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75∼10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5∼0몰%로 된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5중량부와;
(i)극한점도[η] 가 0.5∼10dl/g이고,
(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로 된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5중량부로 된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Al') 45∼90중량부로 대체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기 성분(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로 되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가
(i)극한점도[η] 가 0.5∼10dl/g이고,
(ii)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75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로 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A''') 45∼90중량부로 대체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하기 성분(A')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50∼75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5∼50중량부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로우 성형품(blow molded article)은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어느 하나로부터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품 예컨대 블로우 성형품은 기계적 강도(특히 저온 내충격성),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최량 실시형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특정의 프로필렌 중합체(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로 된다.
먼저 이들 성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필렌 중합체(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 중합체(A)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3.0dl/g이다.
(ii)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다.
(iii)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바람직하게는 100∼85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바람직하게는 0∼8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바람직하게는 0∼10몰%로 된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도데센 및 그 혼합물을 들수 있다. 이 중에서 1-부텐이 좋다.
프로필렌 중합체(A)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거나 프로필렌, 에틸렌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성질을 구비하는 한,후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외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A)가 블록 공중합체일 경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성분 및랜덤 공중합체 성분으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좋다.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A)는 상기 α-올레핀 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프로필렌 중합체(A)의 결정화도는 40∼70%, 바람직하게는 45∼65%, 더 바람직하게는 50∼60%인 것이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하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와 함께 상기프로필렌 중합체(A)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A)의 온도(Tm)가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에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 및 하기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대신에 하기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 대신에 하기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과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로 된다.
특히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 바람직하게는 70∼85중량%와,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 바람직하게는 30∼15중량%로 된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내에 함유된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은 하기특성을 갖는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3.0dl/g이다.
(ii)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165℃의 범위이다.
(iii)실온 n-데칸 불용성분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바람직하게는 100∼85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바람직하게는 0∼8몰%와,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바람직하게는 0∼10몰%로 된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상술한 것과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1-부텐이 좋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에 함유된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은 하기 특징을 갖는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0∼5.0dl/g이다.
(ii)실온 n-데칸 가용성분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바람직하게는 70∼80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바람직하게는 30∼20몰%로 된다.
상기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과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으로 된 프로필렌 불록 공중합체(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ASTM D1238에 따라서 230℃,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는 0.1∼200g/10min, 바람직하게는 0.5∼15g/10min의 범위이다.
또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상기 α-올레핀 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성분 단위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하기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와 함께 상기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온도(Tm)가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과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로 된다.
특히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5중량%, 바람직하게는 70∼90중량%와,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5중량%, 바람직하게는 30∼10중량%로 된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내에 함유된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은 하기 특성을 갖는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3.0dl/g이다.
(ii)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165℃의 범위이다.
(iii)실온 n-데칸 불용성분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75∼100몰%, 바람직하게는 85∼100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몰%, 바람직하게는 6∼0몰%와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5∼0몰, 바람직하게는 10∼0몰%로 된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상술한 것과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1-부텐이 좋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에 함유된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은 하기특징을 갖는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5.0dl/g이다.
(ii)실온 n-데칸 가용성분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바람직하게는 70∼85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바람직하게는 30∼15몰%로 된다.
상기 실온 n-데칸 불용성분(A''-1)과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으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ASTM D1238에 따라서 230℃,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는 통상 0.1∼200g/10min, 바람직하게는 0.5∼15g/10min의 범위이다.
또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상기 α-올레핀 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성분 단위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몰% 이하의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하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하기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와 함께상기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A'')의 온도(Tm)가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내열성이 우수하다.
프로필렌 중합체(A''')
하기 특성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서의 프로필렌 중합체(A''')로서 사용한다.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3.0dl/g이다.
(ii)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 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165℃의 범위이다.
(iii)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바람직하게는 100∼85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바람직하게는 0∼8몰%와,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바람직하게는 0∼10몰%로 된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상술한 것과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1-부텐이 좋다.
프로필렌 중합체(A''')는 단독중합 프로필렌이거나 프로필렌, 에틸렌 및 탄소수 4∼12 α-올레핀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성질을 구비하는 또한, 후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외의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A''')는 상기 α-올레핀 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프로필렌 중합체(A''')의 결정화도는 40∼70%, 바람직하게는 45∼65%, 더 바람직하게는 50∼60%인 것이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하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와 함께 상기용융점을 갖는 프로필렌 중합체(A''')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A''')의 온도(Tm)가 상기 범위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i)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5∼10dl/g이고,
(ii)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70∼95몰%, 바람직하게는 80∼92몰%와,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30∼5몰%, 바람직하게는 20∼8몰%로된 것이 특징이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및 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이 좋고, 특히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 좋다.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상기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이외에도,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α-올레핀으로부터유도된 단위 뿐만 아니라 다른 올레핀 및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예컨대 스티렌, 비닐시클로펜텐, 비닐시클로헥산 또는 비닐노르보난 등의 비닐 화합물,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비닐 에스테르, 말레인산 무수물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불포화 유기산,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 1,4-헥사디엔, 디시클로옥타디엔, 메틸렌노르보넨 또는 5-에틸리덴-2-노르보넨 등의 공역 디엔 및 비공역디엔 등의 폴리엔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함유하여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그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중에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좋고, 에틸렌/1-부텐, 에틸렌/1-부텐, 에틸렌/1-헥센 및 에틸렌/1-옥텐 랜덤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후술하는 적어도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에틸렌/a-올레핀 공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는
(i)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5∼10dl/g,바람직하게는 1.0∼5.0dl/g이,
(ii)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30∼80몰%, 바람직하게는 40∼77몰%, 더바람직 하게는 50∼71몰%와,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5몰%, 바람직하게는 40∼20몰%, 더 바람직하게는 35∼25몰%와,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0∼2몰%, 바람직하게는 15∼4몰%로 된 것이 특징이다.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의 예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및 1-옥텐이다. 이 중에서 1-부텐이 좋다.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는 프로필렌, α-올레핀 및 에틸렌외에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성분 단위를 소량, 예컨대 10몰%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여도 좋다.
상기 언급한 성질을 갖는 한 각종 주지의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프로필렌 중합체(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는 예컨대 고체 티타늄 촉매, 지르코늄 등의 천이금속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촉매 또는 바나듐 촉매 등의 종래의 지글러(Ziegler) 촉매를 사용하여, 각 중합계에공급된 촉매 및 단량체의 종류와 양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예컨대, 고체 티타늄 촉매 성분 및 유기금속 화합물 촉매 성분과필요에 따라서 전자 공여체로 된 고체 티타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고체 티타늄 촉매 성분은 예컨대 비 표면적이 적어도 100㎡/g인 담체와, 그위에 담지되는 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또는 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조성물로 된 것과; 필수 싱분으로서 마그네슘, 할로겐, 전자 공여체(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카복실산 에스테르, 알킬 함유 에테르 등) 및 티타늄으로 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후자의 고체 티타늄 촉매 성분이 좋다.
유기금속 화합물 촉매 성분은 예컨대 트리알킬알루미늄, 디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알킬알루미늄 세스퀴할라이드 또는 알킬알루미늄 디할라이드 등의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일 수 있다. 유기알루미늄 화합물의 종류는 사용된 티타늄 촉매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 공여체는 예컨대 질소 원자, 인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붕소 원자등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원자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화합물이 좋다.
이 촉매을 공분쇄(copulverization) 또는 다른 수단으로 활성화하여도 좋고,올레핀을 예비중합하여도 좋다.
폴리올레핀 조성물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성분 (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중합체(A) 45∼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85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와,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로 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는 프로필렌 중합체(A)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를 사용하는 각종 실시예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성분 (A') 및 (C)의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중합체(A') 75∼9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부로 된다.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할 경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성분(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45∼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85중량부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로 된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를 사용할 경우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성분(A''), (B)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 45∼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85중량부와,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3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2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로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성분(A')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50∼7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5∼70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45중량부로 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상용 배합 기술에 따라서, 프로필렌 중합체(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필렌 중합체(A)와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를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A'')로 대체하여도 좋다. 이 배합은 예컨대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성분을 용융 훈련에 의해 행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얻어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ASTM D1238-65T에 따라서 190 ℃,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는 0.1∼200g/10min,바람직하게는 0.5∼15g/10min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으로 다른 수지 성분,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핵제, 정전기 방지제, 난연제,안료, 염료, 무기 충전제 및 유기 충전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종래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였던 분야에는 특히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예컨대 압출 쉬트, 무연신 필름, 연신 필름, 필라멘트(filament), 사출성형품 및 블로우 성형품용으로 적당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압출물의 형태 또는 모양은 특히 제한되지는않지만,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예컨대 쉬트, 무연신 필름, 파이프, 호스, 전선피복물 또는 필라멘트로 압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의 쉬트또는 무연신 필름 등의 압출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일축 압출기, 혼련 압출기 또는 램(ram) 압출기, 또는 기어(gear)압출기로 용융할 수 있고, 그 후 다이(die)를 거쳐서 압출시켜소망의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종래 주지의 성형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압출 쉬트 및 무연신필름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에서 뿐만 아니라 투명성도 우수하다.
연신 필름은 통상 사용된 연신 장치에 의해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쉬트또는 필름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텐터(tenter)법(세로/가로 방향, 가로/세로 방향), 동시 2축 연신법 또는 단축 연신법을 사용할 수 있다. 2축 연신 필름의 연신비(draw ratio)는 통상 20∼70이고, 단축, 연신 필름의 연신비는 통상 2∼10이다. 연신 필름의 두께는 통상 5∼200μm의 범위인 것이 좋다. 이렇게 얻은필름은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팽창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쉬트, 무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은 내충격성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광범위하게, 예컨대 포장용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들은 방습 특성이 특히 우수하여, 의약 정제, 캡슐(capsule)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포장재의 압축포장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필라멘트는 예컨대 방사 노즐(spinning nozzle)을 통해 용융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필라멘트는 또한 연신 처리하여도 좋다. 이러한 연신은 폴리올레핀이 적어도단축 분자 연신성을 효과적으로 갖도록 행하는 것이 좋고, 연신비는 통상 5∼10의범위인 것이 좋다.
이렇게 얻어진 필라멘트는 유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사출성형품은 통상 사용하는 사출성형기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 주지의 성형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사출성형품은 내충격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광범위하게, 예컨대 자동차 내장 마감재, 자동차 외장 마감재, 가정용 가전제품의 하우징(housing) 및 컨테이너(container)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블로우 성형품은 통상 사용하는 블로우 성형기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 주지의 성형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압출 블로우 성형은 수지 온도 100∼300℃에서 용융 상태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다이를 거쳐서 관상 용융 예비 형성물(tubular parison)로 압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융 예비 형성물이 구비할 형태를 갖는 금형내에 상기 용융예비 성형물을 유지하는 단계와, 거기에 수지 온도 130∼300℃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상기 예비 성형물이 금형내에 충전되도록 하여 중공 성형품을 얻는 단계로 된다. 그 연신비는 가로 방향으로 1.5∼5의 범위인 것이 좋다. 한편 사출 블로우 성형은 수지 온도 100∼300℃에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출시켜 용융 예비 형성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용융 예비 형성물이 구비할 형태를 갖는 금형내에 상기 용융 예비 성형물을 유지하는 단계와. 거기에 수지 온도 120∼300℃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상기 예비 성형물이 금형내에 충전되도록하여 중공 성형품을 얻는 단계로 된다. 연신비는 가로 방향으로 1.1∼1.8, 세로방향으로 1.3∼2.5의 범위인 것이 좋다. 이렇게 얻은 블로우 성형품은 강도 및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투명성도 우수하다. 더욱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비정질 또는 저결정화 성분이 상대적으로 낮을지라도 유연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블로우 성형품은 높은 좌굴 강도(buck1ing strength)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성형된 시험편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700MPa, 바람직하게는 200∼500MPa의 굴곡율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헤이즈(haze)값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5%인 블로우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굴곡율이 700MPa 이상일 경우, 유연성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굴곡율이 200MPa이하일 경우, 좌굴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형태 보존성이 부족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는바, 이는 본 발명의영역을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중합체 조성 및 특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했다.
(1)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
ASTM D1238-65T에 따라서 230℃,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
(2) 중합체 조성 :
직경 10mm의 시험관에서 1mℓ의 헥사클로로부타디엔에 균일하게 용해된 약 200mg의 중합체로 된 시료를 측정 온도 120℃, 측정 주기 25.02MHz, 스텍트럼 폭 1500Hz, 펄스 주기 시간 4.2sec 및 펄스 폭 6μsec로13C-NMR 분광기로 측정.
(3) 극한점도[η] :
135℃, 데카히드로나프탈렌 중에서 측정.
(4) 굴곡 시험(굴곡율 (FM)) :
200℃에서 압압된 두께 2mm의 쉬트로부터 구멍을 뚫은 FM 시험편을 ASTM D790에 따라서 23℃, 스판 32mm 및 굴곡 속도 5mm/min으로 측정했다.
(5)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IZ) :
ASTM D 256 에 따라서 -10℃에서 측정.
(6) 헤이즈 :
200℃에서 성형된 병의 원주 부분에서 절취한 시험편의 헤이즈를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했다. 실시예 6 및 그 다음 실시예에서 200℃에서 압압된 두께 0.5mm 쉬트의 측정을 행하였다.
(7) 실온 n-데칸 분별
약 2g의 시료를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이중 파이프형 온도 조절 유리용기내에 약 500ml의 n-데칸 중에 놓고, 혼합물을 140℃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시료를 n-데칸 중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그후 용액의 온도를 교반하에서 서서히 실온으로 낮추었다. 용액의 온도가 일정하게 된 후 교반을 일야 동안 계속 행하여 n-데칸 불용성 분말을 유리 여과기로 분리하였다. 여과액을 과잉 아세톤 중에 넣어 n-데칸 가용성분을 침전시켜 유리 여과기로 분리하였다. n-데칸 불용성 분말을 약 140℃에서 약 500ml n-데칸 중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과잉 아세톤 중에서 재침전시켜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별한 n-데칸 불용성분과 n-데칸 가용성분을 진공 건조기에서, 약 80℃, 진공중에서 일야 동안 각각 건조시켜, 정확하게 무게를 달았다.
제조예 1
프로필렌 중합체(A)-1의 제조
[티타늄 촉매 성분(1)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7.14g(75mmol)과, 데칸 37.5ml와, 2-에틸헥실 알코올35.1ml(225mmol)을 13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균질 용액을 얻었다. 프탈산 무수물 1.67g(11.3mmol)을 이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30℃에서 1시간 동안 더교반하여 상기 균질 용액 중에 프탈산 무수물을 용해시켰다.
이렇게 얻은 균질 용액을 실온으로 냉가시키고, 전 양을 티타늄 테트라클로리드 200ml(1.8mol)에 적하 첨가하고, 1시간 동안 -20℃에 유지시켰다. 첨가 완료후, 용액 혼합물의 온도를 4시간 이상에 걸쳐서 110℃로 승온 시키고, 110℃에 이를 때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5.03ml(18.8mmol)을 첨가했다.
2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같은 온도를 유지시켰다. 2시간 반응 완료 후고체를열여과로 수집하여, TiCl4275ml중에서 재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다시 11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반응 완료 후, 고체를 다시 열여과로 수집하고 티타늄 화합물이 더 이상 세정액 중에 관측되지 않을 때까지 데칸 및 헥산으로 110℃에서 충분히 세정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티타늄 촉매 성분(1)을 헥산 슬러리(slurry)의 형태로 저장하였다.그 일부를 건조시켜 촉매 조성을 분석한 바, 티타늄 2.5중량%, 염소 58중량%, 마그네슘 18중량% 및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13.8중량%를 함유했다.
[예비중합]
정제된 헥산 200ml, 트리에틸알루미늄 20mmol,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4mmol 및 상기에서 얻어진 티타늄 촉매 성부(1)을 티타늄 원자 환산 2mmol을 질소로 정화한 400ml 유리 용기 중에 충전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을 혼합물에 5.9N-리터/시간의 속도로 1시간 동안 공급하여 티타늄 촉매 성분(1)g당 프로필렌 2.8g을 중합하였다.
[중합]
프로필렌 3kg, 에틸렌 30리터 및 수소 8리터를 내부 용적 17리터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충전하고, 50℃로 가열하였다. 그 후 트리에틸알루미늄 15mmol,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5mmol 및 상기에서 얻어진 예비중합된 촉매를 티타늄 환산 0.05mmol을 충전했다.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40분 동안 중합을 행하였다.
그 후 배출 밸브를 열고, 미반을 프로필렌을 적산유량계를 통하여 배출시켰다.
그 후 에틸렌을 240리러/시간으로, 프로필렌을 960리터/시간으로, 수소를 15리터/시간으로 중합기에 공급하고, 중합계의 내부 압력을 10kg/cm2-G로 유지하도록중합기의 배출공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70℃에서, 60분 동안 중합을 행하였다.소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하고, 미반응 가스를 오토클레이브로부터 배출시켰다.
그 결과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2781g을 얻었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극한점도[η]가 1.8dl/g, 에틸렌 함량이 25몰%, MFR이 4.5g/10min인 데칸 가용 성분 20중량%를 함유했다.
제조예 2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1의 제조
[티타늄 촉매 성분(2)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4.76g(50mmol), 데칸 25ml 및 2-에틸헥실 알코올 23.4ml(150mmol)을 13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균질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프탈산 무수물 1.11g(7.5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30℃에서 1시간동안 더 교반하여 상기 균질 용액에 프탈산 무수물을 용해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균질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전 양을 1시간 이상에 걸쳐서 -20℃로 유지한 티타늄 테트라클로이드 200ml(1.8몰)에 적하 첨가했다. 이 첨가의 종료 후, 액체 혼합물을 4시간 이상에 걸쳐서 110℃로 승온시키고, 110℃에 이를 때에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2.68ml(12.5mmol)을 첨가했다. 2시간 동안 교반하에서 같은 온도를 유지하였다. 2시간 반응의 종료후, 고체를 열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TiCl4200ml 중에 재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다시 2시간 동안 110℃로 숭온시켰다. 반응 종료 후, 고체를 다시 열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세정액 중에 티타늄 화합물이 더 이상 관측되지 않을 때까지 데칸 및 헥산으로 110℃에서 충분히 세정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티타늄 촉매 성분(2)을 헥산 슬러리 형태로 저장했다. 이 일부를 건조시켜 촉매 조성을 분석했다.
이렇게 얻어진 티타늄 촉매 성분(2)은 티타늄 3.1중량%, 염소 56.0중량%, 마그네슘 17.0중량% 및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20.9중량%를 함유했다.
[중합]
n-데칸 250ml,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1.25mmol, 디페닐디메톡시실란 0.15mmol 및 상기에서 얻어진 티타늄 촉매 성분(2)을 티타늄 원자 환산 0.025mmol및 500ml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70℃로 가열하였다. 그 후 에틸렌을 10리터/시간, 프로필렌을 70리터/시간, 1-부텐을 50리터/시간 및 수소를 10리터/시간으로 대기압하에서 혼합물에 계속 공급하고, 중합을 70℃에서 30분 동안 행하였다. 중합을 용액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소부틸 알코올을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종료시키고, 대량의 메탄올에 부어서 침전시키고 중합체 전량을 일야 동안 120℃, 진공중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 (C)-113g을 얻었다.
제조예 3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2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2를 제조예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했다.
실시예 1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0.2중량부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를 제조예 1에서 얻은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1 70 중량부, 표 3에 나타낸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B)-1 20중량부 및 제조예 2에서 얻은 프로필렌/1-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1 10중량부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직경 20mm의 2축 압출기로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성형 온도 200℃에서 가압 성형하여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굴곡율(FM)과 -10℃에서의 아이조드 충격 강도(IZ)를 측정했다. 또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성형 온도 200℃에서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 내부 용적 150ml의 블로우 병으로 성형했다. 병의 헤이즈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냈다.
실시예 2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지의 중량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표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3
프로필렌/1-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로서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프로필렌/1-부턴/에틸렌 삼원중합체(C)-2를 사용하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지의 중량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표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표 3에 나타낸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B)-2를 사용하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지의 중량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표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표 3에 나타낸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B)-3를 사용하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지의 중량비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표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6∼10
제조예 1에서 얻은 프로필렌 중합체(A)-1과, 제조예 2,3에서 얻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의 각각을 표 5에 나타낸 비율로 함께 배합하여 본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특성을 표 5에 나타냈다.
프로필렌 중합체(A)-1과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의 각각의배합을 Harke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00℃에서 용융 혼련에 의해 행하였다.
제조예 4
프로필렌 중합체 (A)-2의 제조
[예비 중합]
정제 헥산 200ml, 트리에틸알루미늄 20mmol,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4mmol 및 제조예 1에서 얻은 티타늄 촉매 성분(1)을 티타늄 원자 환산 2mmol을 질소로 충전한 400ml 유리 반응기에 충전했다. 그 후 프로필렌을 5.9N-리더/시간의 속도로 1시간 동안 혼합물에 공급하여 티타늄 촉매 성분(1)g당 프로필렌 2.8g을 중합하였다.
예비 중합의 완료 후, 액상을 여과하고, 단리된 고체를 데칸 중에서 재분산 시켰다.
[주 중합]
헥산 750ml, 트리에틸알루미늄 0.75mmol,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75mmol 및 상기 예비 중합된 티타늄 촉매 성분(1)을 티타늄 원자 환산 0.015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완전히 정화한 내부 용적 2리터의 스테인리스강 오토클레이브에 충전했다. 그 후 수소 150ml를 도입하고, 프로필렌/에틸렌/1-부텐(90.7/5.3/4.0몰%)의 기상 혼합물의 공급을 개시했다. 전체 압력을 2kg/cm2·G로 유지하면서 60℃에서 2시간동안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의 완료 후,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80℃, 진공 중에서 일야 동안 건조시켰다. 그 결과 에틸렌 단위 3.2몰%, 프로필렌 단위 95.2몰% 및 1-부텐 1.6몰%를 함유하고, 극한 점도[η]가 1.9dl/g이고 Tm이 138℃인 프로필렌 중합체(A)-2 125g을 얻었다.
실시예 11∼14
제조예 4에서 얻은 프로필렌 중합체(A)-2와, 표 3에 나타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각각과 제조예 2,3에서 얻은 프로필렌/부텐/에틸렌 삼원중합체(C)의 각각을 표6에 나타낸 비율로 함께 배합하여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성분의 배합을 Harke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00℃에서 용융 훈련에 의해 행하였다. 얻어진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특성을 표 6에서 나타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유연성,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 뿐만 아니라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 노출되더라도 이러한 특성들이 심각하게 악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물품 포장용으로써, 특히 고온(예컨대 100℃ 이상)에서 살균된 의료용 블로우 병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로우 성형품등의 성형품은 기계적 강도 및 투명성이 우수하다.

Claims (5)

  1. 하기 성분(A') 및 (C)의 합계량 100중량부 당,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함유하는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함유하는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 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50∼95중량부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77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0∼4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2∼20몰%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5∼50중량부로 된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함유하는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함유하는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75∼95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5∼25중량부로 된 (성분(A')와 (C)의 합계는 100중량부임)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할 때 얻어진 흡열곡선의 최대 정점 위치에서의온도(Tm)가 적어도 100℃이고,
    (i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100∼80몰%,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0몰% 및 탄소수 4∼12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0∼15몰% 함유하는실온 n-데칸 불용성분(A'-1) 60∼90중량%와,
    (i) 극한 점도[η]가 0.5∼10dl/g이고,
    (ii)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90몰%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0∼10몰% 함유하는 실온 n-데칸 가용성분(A'-2) 40∼10중량%로 된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50∼75중량부와,
    프로필렌/α-올레핀/에틸렌 삼원중합체(C) 25∼50중량부로 된(성분(A')와 (C)의 합계는 100중량부임)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 1 ∼ 제 3 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성형품.
  5. 제 1 ∼ 제 3 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폴리올레핀 조성물로 된 블로우 성형품.
KR1019990039147A 1995-12-28 1999-09-13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0252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44108 1995-12-28
JP34410895 1995-12-28
KR1019970703264A KR100247363B1 (ko) 1995-09-14 1996-09-13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264A Division KR100247363B1 (ko) 1995-09-14 1996-09-13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536B1 true KR100252536B1 (ko) 2000-04-15

Family

ID=2657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147A KR100252536B1 (ko) 1995-12-28 1999-09-13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53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363B1 (ko)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EP1373403B1 (en)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TW593521B (en) Impact-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US8173747B2 (en) Sterilisable and tough impact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0848587B1 (ko) 에틸렌계 공중합체, 에틸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및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조성물
US5637367A (en) Transparent impact-resistant molded articles
US20070299173A1 (en) Novel Propylene Polymer Blends
WO2008019722A1 (en) Improved transparent polypropylene composition
JP2016508078A (ja) 押出ブロー成形ボトル
JP2001064335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52536B1 (ko)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3570774B2 (ja) 柔軟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3666384B2 (ja) プロピレン共重合体
JP2001114954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延伸ブロー成形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延伸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延伸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
CN111601845A (zh) 丙烯系树脂组合物、成型体和容器
JPH107848A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これよりなる医療用容器
JP2004231921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成形体の用途
JP3289803B2 (ja) 艶消し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ブロー積層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41750B2 (ja) 樹脂改質用シンジオタクティックポリ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アイソタクチックポリ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H08325414A (ja) 安定化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CN114423817A (zh) 性能特征改善的多相丙烯聚合物组合物
JP2000186175A (ja) 2軸延伸ブロー成形用プロピレン系重合体または重合体組成物、及び容器
JPH10182924A (ja) プロピレン系樹脂製中空成形体
JPH10158441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ブロー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