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491B1 - 원형직조기 - Google Patents

원형직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491B1
KR100251491B1 KR1019920703282A KR920703282A KR100251491B1 KR 100251491 B1 KR100251491 B1 KR 100251491B1 KR 1019920703282 A KR1019920703282 A KR 1019920703282A KR 920703282 A KR920703282 A KR 920703282A KR 100251491 B1 KR100251491 B1 KR 10025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huttle
loom
warp
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711A (ko
Inventor
요셉찌글러
Original Assignee
요제프 래들링거
아르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제프 래들링거, 아르엠베 filed Critical 요제프 래들링거
Publication of KR93070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원형 직조기는 호스제조에 사용되고, 상부 링플레이트(ring plate:10)과 하부 링플레이트(12)를 지니고 있는 원형 플레임(annular frame)을 가지고 있다.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이스(laces:32)는 날실(warp ends:36)을 유도하는데 사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원형궤도(circular trackway:38)에 장치되어 있다. 레이스(32)를 설치하고 조작하기 위해 두 개의 링 플레이트(10, 12)는 그 속에 보어(bores:40)을 지니고 있다. 레이스(32)의 아래끝단은 캠 화로워 롤러(cam followre rollers:42)를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캠 플레이트(cam plate)와 함께 작동한다.

Description

원형 직조기
본 발명은 호스제조용 원형직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이스가 날실을 위해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씨실의 보빈(bobbin)이 있는 하나의 셔틀(shuttle)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원형모양의 프레임을 지닌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원형직조기로 일반적으로 소방호스 또는 산업용호스가 제조된다. 이때 셔틀이 통하는 공간에서 날실을 위한 레이스를 그룹화(group)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에서 각각의 모든 셔틀이 통하는 공간이 가이드 바(guide bar)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컨데 12개의 셔틀공간이 배열되어 있다면, 이때 하나의 호스가 12개의 과도적 모서리를 지니고서 나오는데, 구획(partition)은 불규칙적이다.
셔틀공간에 위치한 레이스가 있는 원형배틀(circular jacquard loom)이외에 또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이 날실을 위로 올리고 내리며 셔틀(직조기의 북)앞에서 회전하는 그러한 원형직조기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빈번히 날실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직물에 홈, 결합이 발생한다. 그외에 단지 작은 스트로크(stroke, lifting)만이 가능하여서, 상승운동의 잔여분은 셔틀 스트로크 위쪽으로 행해져야 한다. 이때 상단한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회전속도에서는 특수 냉각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토대는 처음에 설명한 간단한 방법으로 균질의 날실꿰기가 이루어져서, 분리가 균질이 되게 하는 기능을 원형직조기에 부여하는 과제해결에 있다.
원형직조기의 경우 이러한 과제는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원형궤도에서 레이스가 일정한 간격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여기에 원형궤도에서 높이조절을 위해 회전하는 캠플레이트(cam plate)가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 해결된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는 이러한 해결방법으로 처음에 언급한 단점들이 없어지기 때문에, 호스는 일정하고 균일한 분리선을 지니고 연결지점없이 제조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상이한 연결장치(bindings)를 만들기 위해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움직이는 레이스의 몇몇 원형궤도에 캠플레이트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캠플레이트의 수는 셔틀과 씨실(weft, werp thread)의 수와 일치한다. 아마 묶움(cloth indings)을 하기위해 두 개 또는 네 개의 캠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반면에 3개의 캠플레이트에 의해 농직물 묶음이 완결될 수 있다. 원형 프레임의 한 부분인 상부와 하부 링 플레이트속에 있는 보어(bores)에 레이스 높이가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레이스의 아래 끝단에 캠 활로워 롤러(cam followrer roller)가 있는데 이것은 캠 플레이트와 함께 작동된다.
발명의 그 밖의 기타 특징은 각각의 모든 셔틀이 하나의 원형봉(roung bar)으로 구성되고 회전방향과 반대로 상승하는 셔틀 핸드(shuttie hand)를 지니고 있다. 발명품의 다른 특징의 하나는 각각의 모든 셔틀이 삼각형모양인 직조나이프르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직조기의 회전축을 가리키는 뾰족한 끝단에 톱니 둘레 형태의 룩아웃(lockout) 및 씨실을 유도하는 태핏(Tappet)을 지니고 있다. 실이 끊어지는 경우 직조작업공정을 중단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외부영역과 레이스 앞 날실공급 방향에 원형의 실 가이드 바가 설치되는데, 여기에 두 개 실 가이드바 사이에 각각의 날실을 위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준비되어 있다. 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자유롭게 움직이는 아래끝단을 실이 끊어질 경우 기계를 정지시키는 개폐장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 개폐장치는 전기공급을 끊는다. 생산될 수 있는 호스의 품질을 규정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씨실의 밀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운전방법의 본질적인 개선은 발명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가 정착된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컴퓨터에 실 밀도에 대한 입력장치와 기록장치, 속도계기가 있는 셔틀 회전수 측정을 위한 입력장치와 기록장치 그리고 시간단위로 만들어진 호스의 길이 측정을 위한 센서가 연결되어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에 묘사된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제1도는 레이스 배열과 캠플레이트의 묘사를 위한 원형 직조기의 측면도.
제2도는 레이스 테두리가 있는 직조기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레이스 테두리가 있는 제2도와 관련하여 방사모양을 하고 바깥쪽으로 놓인 수직단면도.
제4도는 상부 링플레이트의 평면도.
제5도는 셔틀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원형 직조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링플레이트 12 : 하부 링플레이트
14 : 래턴 16 : 셔틀
18 : 보빈 20 : 이동 플레이트
22 : 쉐어링 암 24 : 셔틀 롤러
26 : 이송 롤러 28 : 상부 이송궤도
30 : 하부 이송궤도 32 : 레이스
34 : 긴 구멍 36 : 날실
38, 38', 38" : 원형궤도 40 : 보어
42 : 캠 활로워 롤러 44 : 캠 플레이트
46 : 제동장치 48 : 셔틀 핸드
50, 52 : 화살표 54 : 씨실
56 : 태핏 58 : 유도홈
60 : 직조나이프 62 : 원형 구멍
64 : 지지장치 66 : 원형 실유도막대
68 : 브레이크 원판 70 : 탄성체
72 : 스위치 접속장치 76 : 컴퓨터
78 : 실의밀도 기록장치 80 : 속도 기록장치
82 : 기계성능(m/scc) 84 : 셔틀의 회전수 측정기
86 : 호스길이 측정센서 88 : 실의밀도 입력장치
90 : 셔틀회전수 입력장치
제1도와 제5도에 묘사된 원형 직조기는 예컨데 소방호스 또는 산업용 호스등과 같은 호스제조에 사용되며, 상부 링플레이트(10)과 하부 링플레이트(12)가 있는 원형의 프레임을 지니고 있다. 제2도에서 보여지듯이 두 개의 링플레이트(10)과 (12)는 래턴(latern, cage)(14)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셔틀(16)(제5도)의 수평힘을 유도하고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셔틀(16)은 보빈(18)을 지니고 있고, 회전하는 이동 플레이트(shift plate)(20)로부터 쉐어링 암(shearing arm)(22)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수평힘은 래턴(14)로부터 톱니바퀴가 맞물린 셔틀로러(shuttler roller)(24)위로 흡수되는 반면에, 수직힘은 이송롤러(26)으로부터 상부 이송궤도(28)과 하부 이송궤도(30)위로 전송된다. 상부 이송궤도(28)은 상부 링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하부 이송궤도(30)은 하부 링플레이트(12)에 장치되어 있다. 날실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 각각 하나의 긴 구멍(34)를 지닌 긴 막대모양의 레이스(32)가 사용되는데 이 레이스를 통해 날실(36)이 유도된다. 레이스(32)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궤도(38)(또는 38', 38")에 배치되어 있고 제4도에서 보여지듯이 이 원형궤도가 서로 중앙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높이가 움직이는 레이스(32) 장착을 보어(bores)(40)이 사용되는데, 이 보어는 원형궤도(38) 및(38', 38")에 따라 상부 링플레이트(10)과 하부 링플레이트(12)속에 삽입 되어 있다. 레이스(32)의 하단 끝은 캠 활로워 롤러(42)를 지니고 있다. 원형궤도(38) 및 (38', 38")의 모든 레이스(32)의 캠 휠로워 롤러(42)는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44) 위에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캠플레이트가 이를 통해 레이스(32)를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린다. 제3도에서 보듯이 3개의 원형궤도(38, 38') 그리고(38")에 상응하는 전체적으로 3개의 캠 플레이트(44)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레이스 테두리를 수직운동 경웨 제어하기위해) 3개의 캠 플레이트(44)와 3개의 레이스 테두리에 상응하여 또한 3개의 셔틀(16)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들 각각 모두는 하나의 실보빈(weft bobbin)(18)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보빈의 회전 운동은 보빈의 제동장치(46)에 의해 감속이 된다. 각각의 셔틀(16)은 하나의 셔틀 핸드(48)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둥근 막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둥근 막대는 보빈(18) 앞에서 제5도에 있는 화살표(5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올라가기 때문에 화살표(52) 씨실(54)는 이러한 방식으로 끌어롤려 잡아당겨진다. 씨실(54)를 유도하기 위해 방사방향으로 작동하는가는 유도홈(58)이 있는 태핏(tappet, projection)(56)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직조나이프(60)의 앞쪽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셔틀(16)의 일부분이다.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총 3개의 삼각형 직조나이프(60)의 앞쪽 모서리는 톱니굴레 모양으로 룩아웃(lokout)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원형구멍(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구멍을 통해 호스가 제조시에 아래쪽으로 빠져나온다. 제3도가 보여주는 것은 상부 링플레이트(10)과 하부 링플레이트(12)에 외부쪽으로 떨어져 있는 지지장치(supponting part)(6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장치에 원형 실유도막대(66)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집중적으로 서로 배열된 실유도막대(66) 윗쪽으로 날실(36)이 유도되며, 여기에서 개별 날실(36)을 위해 실유도막대(66)외부에 방사방향으로 브레이크 원판(68)이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실유도막대(66)사이에 개별날실(36)을 위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70)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의 상부끝은 날실(36)속에 걸쳐 있다. 반면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하부끝은 스위치 접속장치(72)를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실이 끊어질 경우 접촉(74)가 끊기고 이때 기계는 정지한다. 제6도는 발명품인 원형 직조기의 전자 제어장치를 보여준다. 컴퓨터(76)에 세 개의 기록장치(78, 80, 82)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중 기록장치(78)은 실외 밀도를 기록장치(80)은 속도를 기록장치(82)는 기계성능(m/sec)을 표시해 준다. 셔틀의 스피드는 센서(84)로 측정되는 반면에 기계의 성능 즉 제조호스의 뽑아내는 속도를 센서(86)이 측정한다.
실의 밀도측용 기록장치(78)은 입력장치(88)과 결합되어 있고 스피드 측정용 기록장치(80)은 그에 따른 입력장치(90)으로 결합되어 있다. 호스의 품질과 실의 밀도를 미리 제시해 주기위해 (제6도의 예에서 100㎜호스 길이당 95개의 실)그에 상응한 수가 입력 장치(88)에 입력되는 반면에, 입력장치(90)에는 셔틀의 최대 회전수가 규정될 수 있다. 성능을 센서(86)에 의해 지속적으로 측정되고, 여기에서 회전수가 원하는 실의 밀도에 따라 조절된다.

Claims (8)

  1.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이스가 날실을 위해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보빈(weft bobbin)을 지닌 하나의 셔틀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는 원형 프레임이 있고 레이스(32)가 적어도 하나의 원형궤도(38) 위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수직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원형궤도(38)에서의 높이 조절을 위해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4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제조용 원형 직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스(32)의 중앙 집중식으로 서로 작동하는 몇몇 원형궤도(38, 38', 38")가 캠 플레이트(44)로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이서(32)가 보어(40)속에 높이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는 원형 프레임의 일부분인 상부 링 플레이트(10)와 하부 링 플레이트(12)속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레이스(32)의 아래 끝이 캠 플레이트 위에서 움직이는 캠 활로워 롤러(42)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든 셔틀(16)이 하나의 부품인 원형 봉으로 되어 있고, 회전 방향과 반대로 올라가는 셔틀 핸드(48)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든 셔틀(16)이 삼각형 모양인 직조 나이프(60)를 지니고 있는데, 상기는 직조기의 회전축을 가르키는 뾰족한 끝단에 톱니둘레 형태의 룩아웃 및 씨실(54)을 유도하는 태핏(5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외부 영역 및 레이스(32) 앞의 날실 공급 방향에 원형의 실 유도 막대(66)가 장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실 유도 막대(66) 사이에 각각의 날실(36)을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70)가 설치되고, 그것의 자유롭게 움직이는 하부 끝단은 실이 끊어질 경우 기계를 정지시키는 스위치 접속장치(7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76)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실의 밀도 측정을 위한 입력 장치(88)와, 기록 장치(78), 회전수 측정기(84)를 셔틀(16)의 회전수 측정을 위한 입력 장치(90)와 기록 장치(80) 및 시간에 따라 제조되는 호스의 길이를 측정 기록하기 위한 센서(86)가 연결된 전자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조기.
KR1019920703282A 1991-04-19 1992-04-17 원형직조기 KR100251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12770A DE4112770A1 (de) 1991-04-19 1991-04-19 Rundwebmaschine
DEP4112770.6 1991-04-19
PCT/EP1992/000863 WO1992018675A1 (de) 1991-04-19 1992-04-17 Rundweb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711A KR930700711A (ko) 1993-03-15
KR100251491B1 true KR100251491B1 (ko) 2000-04-15

Family

ID=642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3282A KR100251491B1 (ko) 1991-04-19 1992-04-17 원형직조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617905A (ko)
EP (2) EP0535203B1 (ko)
JP (1) JPH06503858A (ko)
KR (1) KR100251491B1 (ko)
AT (1) ATE127174T1 (ko)
AU (1) AU667671B2 (ko)
BR (1) BR9205239A (ko)
CA (1) CA2085894A1 (ko)
CZ (1) CZ285466B6 (ko)
DE (2) DE4112770A1 (ko)
FI (1) FI98310C (ko)
HU (1) HUT63887A (ko)
NO (1) NO300019B1 (ko)
PL (1) PL170608B1 (ko)
RO (1) RO109464B1 (ko)
SK (1) SK281235B6 (ko)
WO (1) WO19920186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2B1 (ko) 2010-04-13 2013-06-04 전영호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KR101595459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방법
KR101595450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1064B (de) * 1994-10-20 1996-06-25 Starlinger & Co Gmbh Gewebeabzugseinrichtung an einer rundwebmaschine
US11155941B2 (en) * 2019-07-24 2021-10-26 Innotec Lightweight Engineering & Polymer Technology Gmbh Circular loom with orbit path
EP4063707B1 (de) 2021-03-22 2023-08-16 Rädlinger primus line GmbH Auskleidungsschlau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8C (ko) *
DE1927352B2 (de) * 1969-05-29 1973-12-06 Adolf 7451 Hechingensickingen Linka Vorrichtung zur Fachbildung bei Rundwebmaschinen
BE766922A (en) * 1971-05-10 1971-10-01 Gummikombinat Thuringen Walter Shed forming mechanism for circular looms
JPS5576138A (en) * 1978-11-29 1980-06-09 Souichi Torii Shatle propelling system in circular loom
GB2055908B (en) * 1979-04-28 1983-01-12 Torii Winding Machine Co Device for feeding warp and controlling its tension in circular loom
CS266317B2 (en) * 1982-07-02 1989-12-13 Franz Xaver Huemer Circular weaving machine
AT375410B (de) * 1982-11-11 1984-08-10 Chemiefaser Lenzing Ag Rundwebmaschine
US4977933A (en) * 1985-05-28 1990-12-18 Joss Company Circular loom for weaving ribbon-shaped materials
JPH02293440A (ja) * 1989-05-02 1990-12-04 Torii Tekkosho:Kk 円形織機のシャトル支持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32B1 (ko) 2010-04-13 2013-06-04 전영호 원형직기의 전동구동식 셔틀장치
KR101595459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방법
KR101595450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980692A (en) 1992-11-17
FI98310B (fi) 1997-02-14
BR9205239A (pt) 1993-08-03
PL170608B1 (en) 1997-01-31
EP0535203A1 (de) 1993-04-07
SK381992A3 (en) 1993-10-06
RO109464B1 (ro) 1995-02-28
WO1992018675A1 (de) 1992-10-29
ATE127174T1 (de) 1995-09-15
CZ285466B6 (cs) 1999-08-11
NO924959D0 (no) 1992-12-21
SK281235B6 (sk) 2001-01-18
FI98310C (fi) 1997-05-26
NO924959L (no) 1993-02-11
FI925811A0 (fi) 1992-12-21
DE4112770A1 (de) 1992-10-22
CA2085894A1 (en) 1993-10-17
HU9300087D0 (en) 1993-06-28
EP0509543A1 (de) 1992-10-21
KR930700711A (ko) 1993-03-15
PL304743A1 (en) 1995-01-09
CZ381992A3 (en) 1993-05-12
FI925811A (fi) 1992-12-21
DE59203455D1 (de) 1995-10-05
AU667671B2 (en) 1996-04-04
US5617905A (en) 1997-04-08
NO300019B1 (no) 1997-03-17
EP0535203B1 (de) 1995-08-30
JPH06503858A (ja) 1994-04-28
HUT63887A (en) 199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399711A (en) Shuttle arrangement in a circular loom for weaving tape yarn
EP0786026B2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chussfäden an einer rundwebmaschine
KR100251491B1 (ko) 원형직조기
US4361172A (en)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during weaving operation
GB129297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eaving
RU2636308C2 (ru) Ткацк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евивочной кромки
US3961648A (en) Positive shedding motion device for a circular loom
US4412562A (en) Apparatus for forming selvages in weaving machines
US4579149A (en) Circular loom
ATE356236T1 (de) Nadelwebmaschine mit automatischem wechsel des schussfadens
US3593752A (en) Loom
US3709262A (en) Circular weaving machine
US3561496A (en) Device for binding wefts on a shuttleless loom
US3720236A (en) Arrangement for forming a selvage for use on a loom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US2487148A (en) Electric circular loom
EP0167829A1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chussfäden an einer Rundwebmaschine
DE69017256D1 (de) Fachbildungsvorrichtung für eine Rundwebmaschine.
US4658862A (en) Driving arrangement for a circular loom
CS245786B2 (en) Circle loom
US2035208A (en) Circular loom
US2542677A (en) Lappet loom
US263893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woven fabrics
US3292664A (en) Loom arrangement
US3026911A (en) Method of adjusting amplitude of sheds while we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