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97B1 -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997B1
KR100249997B1 KR1019920021258A KR920021258A KR100249997B1 KR 100249997 B1 KR100249997 B1 KR 100249997B1 KR 1019920021258 A KR1019920021258 A KR 1019920021258A KR 920021258 A KR920021258 A KR 920021258A KR 100249997 B1 KR100249997 B1 KR 10024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ver
base end
rivet
airbag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474A (ko
Inventor
타타히로 이카와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2658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99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3001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작동시에 모듈커버의 발출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리테이너(10)의 연결부(16)와 기단(18a)을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모듈커버(18)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부(16)와 기단(18a)을 관통하는 리벳(20)에 의해서 이들이 고정되어 있다.
기단(18a)의 외면에는 리벳머리(20A)가 수용되는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커버의 개방시에 기단(18a)에 작용되는 발출방향으로의 응력이 리벳머리(20A)에 의해서도 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기단(18a)의 발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또, 리벳의 수량을 감소시키거나, 리벳의 지름을 가늘게 하거나 하는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모듈커버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듈커버 부착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표시된 모듈커버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를 표시하는 에어백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테이너 12 : 에어백
14 : 평판부 16 : 연결부
18 : 모듈커버 20 : 리벳
20A : 리벳머리 22 ; 인플레이터
24 : 천공구 30 : 오목부
32 : 리벳공 34 : 오목부의 내주벽면
36 : 볼록선 40 : 오목부의 내주벽면
42 : 오목부의 내주벽면
본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등에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공정에서, 에어백을 덮는 모듈커버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개량된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장치에 있어서는, 리테이너라고 하는 부착판에 접혀진 상태의 에어백이 부착되는 동시에, 이 에어백을 모듈커버로 덮고 있다.
그 모듈커버는, 마찬가지로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동시에, 에어백의 전개시에 개열되는 개열선(취약선 형상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리테이너에는, 직접적으로 또는 부착부재를 사용하여 인플레이터가 부착되어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등에 그 인플레이터가 가스를 방출하여, 에어백을 신속하게 전개시킨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의 에어백장치에 대해서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테이너(10)는 에어백(12)이 부착되는 평판부(14)와, 그 평판부(14)의 테두리로부터 에어백이 펼쳐지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연결부(16)로 된 모듈커버 부착부로 구성된다.
에어배(12)는 접혀있는 상태에서 모듈커버(18)로 덮혀 있으며, 모듈커버(18)의 기단은 리벳(20)을 사용하여 상기한 연결부(16)에 고정되어 있다.
(22)는 인플레이터이며, 상기한 평판부(14)에 형성된 천공구(24)로부터 에어백(12)의 내부로 상단부가 들어가도록 리테이너(10)에 고정된다.
(26)은 링이라고 하는 에어백 부착부재이며, 그 링(26)과 평판부(14)에 형성된 천공구(24)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에어백(12)의 입구 테두리를 삽입하므로써, 에어백(12)을 리테이너(10)에 고정시킨다.
(28)은 상기한 모듈커버(18)에 형성된 개열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인플레이터(22)가 작동되면, 다량의 가스가 신속하게 인플레이터(22)로부터 분출되면서 에어백(12)의 팽창이 시작된다.
그리고, 에어백(12)이 팽창하면서 모듈커버(18)가 개열선(28)을 따라 개열되며, 에어백(12)은 차량의 실내로 신속하게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백(12)이 전개되면서 모듈커버(18)가 개열할 때에는 기단(18a)에 대해서는 에어백의 전개방향(제5도에서의 상방)을 따라서 매우 큰 힘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리벳(20)의 수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보강판을 부착하거나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했었다.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는, 에어백이 부착되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로부터 뻗어있는 연결부로 구성된 리테이너에 모듈커버를 덮어서, 그 모듈커버의 기단과 상기한 연결부가 겹쳐지도록 한 후, 기단과 연결부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의 외면에 리벳머리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곳이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는, 에어백이 부착되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로부터 뻗어있는 연결부로 구성된 리테이너에 모듈커버를 덮어서, 그 모듈커버의 기단과 상기한 연결부가 겹쳐지도록 한 후, 기단과 연결부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 외면의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볼록선을 형성하며, 그 볼록선의 윗면에 리벳머리의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발명에 의한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있어서는, 리벳머리가 기단의 오목부에 수용되므로, 모듈커버의 개열시에 기단에 가해지는 발출(拔出)방향으로의 응력은 리벳머리에 의해서도 저지된다.
그러므로, 기단의 발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벳의 수량을 감소시키거나 리벳의 지름을 작게 할 수도 있게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며, 제2도는, 모듈커버의 기단부의 사시단면도이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는, 모듈커버(18)의 기단(18a)에 리벳(20)의 리벳머리(20A)가 수용되는 원형의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32)는 리벳공을 표시한다. 이 오목부(30)의 직경은 리벳머리(2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리벳머리(20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있다.
이 리벳공(32)에 리벳(20)을 체결하여 기단(18a)과 연결부(16)를 고정시키므로써, 리벳머리(20A)가 오목부(30)에 수용되면서 제1도에서 표시하듯이, 모듈커버(18)와 리테이너(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도에서의 기타의 구성은, 제5도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30)에 리벳머리(20A)가 수용되어 있으며, 모듈커버(18)의 개열시에 기단(18a)에 작용되는 발출(拔出)방향으로의 응력은, 리벳머리(20A)가 오목부(30)의 내주벽면(34)에 맞닿게 되어, 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리벳(20)과 기단(18a)의 발출저지방향으로의 접촉면적이 되어, 기단(18a)의 발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그리고, 리벳공(32)의 주변에 작용되는 응력도, 리벳머리(20A)가 상기한 내주벽면(34)에 맞닿는 것에 의해 감소되게 되므로, 리벳공(32)의 주변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서도 기단(18a)의 발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제3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기단(18a)의 사시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단(18a)의 외면의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볼록선(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선(36)의 윗면(38)에는 리벳머리(20A)의 약 절반이 들어가는 반원형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표시하듯이, 이 오목부(40)의 내주벽면(42)에 리벳머리(20A)가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리벳팅작업을 실시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도, 모듈커버의 개방시에 기단(18a)에 작용되는 발출방향으로의 응력이, 리벳머리(20A)에 의해 저지되게 되므로, 기단(18a)의 발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또, 리벳공(32)에 작용되는 응력도 감소되어, 리벳공(32)의 주변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의하면, 모듈커버의 기단을 리테이너의 연결부에 고정시키는 리벳머리가 기단의 오목부에서 수용되어 있으므로, 모듈커버의 개방시에 기단에 작용되는 발출방향으로의, 응력이 리벳머리에 의해서도 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기단의 발출이 확실하게 저지될 뿐만 아니라, 리벳의 수량을 감소시키거나 리벳의 지름을 작게 할 수 도 있어서, 에어백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에어백(12)이 부착되는 평판부(14)와 그 평판부(14)로부터 뻗어있는 연결부(16)로 구성된 리테이너(10)에 모듈커버(18)을 더어서, 그 모듈커버의 기단(18a)과 상기한 연결부(16)가 겹쳐지도록 한 후, 기단(18a)과 연결부(16)를 관통하는 리벳(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18a)의 외면에 리벳머리(20A)가 수용되는 오목부(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2. 에어백(12)이 부착되는 평판부(14)와 그 평판부(14)로부터 뻗어있는 연결부(16)로 구성된 리테이너(10)에 모듈커버(18)를 덮어서, 그 모듈커버의 기단(18a)과 상기한 연결부(16)가 겹쳐지도록 한 후, 기단(18a)과 연결부(16)를 관통하는 리벳(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기단(18a) 외면의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볼록선(36)을 형성하며, 그 볼록선(36)의 윗면에 리벳머리(20A)의 일부가 수용되는 반원형의 오목부(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KR1019920021258A 1991-12-17 1992-11-12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KR100249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33413 1991-12-17
JP33341391A JP3168647B2 (ja) 1991-12-17 1991-12-17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モジュールカバー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74A KR930012474A (ko) 1993-07-20
KR100249997B1 true KR100249997B1 (ko) 2000-04-01

Family

ID=1826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258A KR100249997B1 (ko) 1991-12-17 1992-11-12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168647B2 (ko)
KR (1) KR100249997B1 (ko)
CA (1) CA2084608A1 (ko)
DE (1) DE4242136A1 (ko)
FR (1) FR2684941A1 (ko)
GB (1) GB22624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466Y2 (ja) * 1993-09-27 2000-11-06 オートリブ デベロップメント アクテボラゲット エアバッグ装置
JP5568888B2 (ja) 2008-05-23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並びに、現像剤、トナー入り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647A (en) * 1988-12-26 1992-05-05 Takata Corporation Cover for a vehicle air bag
DE8904999U1 (ko) * 1989-04-20 1989-07-20 Takata Corp., Tokio/Tokyo, Jp
JPH082748B2 (ja) * 1989-09-21 1996-01-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443145A (ja) * 1990-06-08 1992-02-13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モジュールカバー
DE9014749U1 (ko) * 1990-10-25 1991-02-07 Trw Repa Gmbh, 7077 Alfdorf,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8647B2 (ja) 2001-05-21
FR2684941A1 (fr) 1993-06-18
CA2084608A1 (en) 1993-06-18
JPH05162601A (ja) 1993-06-29
DE4242136A1 (ko) 1993-06-24
KR930012474A (ko) 1993-07-20
GB2262487A (en) 1993-06-23
GB2262487B (en) 1995-05-17
GB9226120D0 (en) 199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801B2 (en) Gas bag module
JP3029284U (ja) エアバッグ保持用リング及びこのリングを用いたクランプ装置
JPH09220994A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を備えたシート構造
EP2147834B1 (en) Air-bag device for walker and car with the same
KR0139623B1 (ko) 에어백 장치
US5683100A (en) Airbag cushion retainer with annular sewing area
US5560643A (en) Airbag module with clamped attachment of airbag cushion
US6220623B1 (en) Side airbag device for restraining occupant's head
US20060220357A1 (en) Pillar trim component
KR100249997B1 (ko) 에어백장치에 있어서의 모듈커버 부착구조
JP349946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搭載車両における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H01160756A (ja) エアーバッグカバーとリテーナとの連結構造
JP2002362297A (ja) 乗員拘束装置の配設構造
US5458363A (en) Cylindrical inflator retainer ring
JP3649035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
EP0485602B1 (en) Air bag in air bag unit
KR200387313Y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플레이트 결합구조
JPH01109146A (ja) エアーバッグカバーとリテーナとの連結構造
EP0936110A1 (en) Inflator and airbag device
US20220324407A1 (en) Trim Assembly
KR0136866B1 (ko) 에어백 커버와 리테이너와의 연결구조
JP2002037012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622417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H0640042Y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58721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