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117B1 -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117B1
KR100249117B1 KR1019970037235A KR19970037235A KR100249117B1 KR 100249117 B1 KR100249117 B1 KR 100249117B1 KR 1019970037235 A KR1019970037235 A KR 1019970037235A KR 19970037235 A KR19970037235 A KR 19970037235A KR 100249117 B1 KR100249117 B1 KR 10024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ystem
polymer membrane
adhesive
drug delivery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253A (ko
Inventor
이한구
박영택
김원기
정상영
Original Assignee
김수지
대화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지, 대화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수지
Priority to KR1019970037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11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Abstract

본 발명은 외층에 연질프라스틱으로 얕은 용기형으로 성형시킨 후 그 내부에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 물 및 트리에틸아민을 혼합시켜서 제조된 겔을 충진하고, 용기의 외주연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고분자막을 접착시킨 후 다시 그 외주연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접착시켜서 제조된 리저브형(reservoir) 고분자막을 이용한 소염진통제의 경피투과용 약물전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약물전달시스템은 서방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제1도는 리저브(reservoir) 타입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첨부제의 단면도이며,
제2도는 리저브 타입을 응용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첨부제 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첨부제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피부 혹은 점막을 통해 일정량의 약물을 연속적으로 전달시키는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막을 이용한 소염진통제가 함유된 겔형 또는 수용액형의 피부 투과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신 또는 국부에서 약효를 얻기 위해서 경피 투과 제제의 여러 가지 형태를 이용하여 약물의 피부를 통해 흡수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경피투과법은 종래의 경구 투여법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시 많은 약물이 간장의 대사작용으로 많은 양이 분해되고, 이러한 결과로 과량의 약물을 복용함으로 위장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경피 투과법을 이용한다면 이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약물의 제어가 가능하며, 여러번 복용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경피투과 제제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고 일정한 약물의 방출량 조절을 도모하는 것과 현재 제제화된 경피 투여 제제 보다 초기의 약물 방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 본 발명의 요지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첩부제의 약물의 피부 투과는 약물의 농도 구배에 의해 피부 분배, 확산을 행하며, 이와 같이 약물의 경피 흡수 과정은 Fick의 제1법칙과 Fick의 제 2 법칙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약물을 함유하는 카보풀류의 겔형 또는 용액 형; 약물의 투과력이 우수한 고분자 막; 피부의 점착력을 증가시켜주는 점착제층의 형; 소염진통제로는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ketoprofen lysinate)를 사용하였다.
먼저 피부 투과도 면에서 케토프로펜과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피부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가 약 7~10배 정도 피부 투과력이 우수한 것으로 실험되어졌다. 이와 같이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는 케토프로펜에서의 피부자극을 나타내는 피부 투과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부투과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경피투과제형은 리저브(저장형)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막을 이용하여 서방형의 제제를 설계하였다. 리저브의 안쪽에는 겔형 또는 용액 형에 약물을 함유시켰으며, 용액의 증발을 막기 위해 최상층 지지체는 연질 폴리 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를 사용하였다(제1도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층에 연질플라스틱으로 낮은 용기형으로 성형한 후, 그 내부에 카보폴,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 물 및 트리에틸아민을 혼합시켜서 제조된 겔을 충진하고, 용기의 외주연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고분자막을 접착시킨 후 다시 고분자막의 외주연부에 접착제를 접착시킨 후 그 위에 이형제 필름을 접착시켜서 제조된 리저브(reservoir)형 고분자막을 이용한 소염진통제의 경피 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이며, 이러한 약물전달시스템은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함량이 겔의 0.1 내지 10중량%이며, 고분자 막은 에탄올, 물, 계면활성제의 투과가 우수한 폴리테트라프로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프로로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께 사용한 막 및 나일론, 셀룰로오스 등의 막에 아크릴 계통을 점착시킨 것에서 선택된 것이다.
또 다르게는 본 발명의 첩부제는 약물투과 고분자막을 용기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물투과 고분자막을 용기형태로 성형하고, 그 내부에 약물을 충진하고 그 상부 외층에 연질플라스틱으로 최상층지지체를 접착시키고, 고분자막 용기의 안쪽 외주연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이형제 필름을 접착시켜서 리저브(reservoir)형 고분자막을 이용한 소염진통제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을 얻는다(제2도 참조).
본 발명의 첩부제는 첨부한 제3도에서와 같이 첩부제의 외주연을 따라 점착제 층이 있고 그 안쪽으로 약물투과 고분자막을 통해서 약물이 피부로 투과되며, 그 형태는 상기 제3도에서와 같이 트랙형, 또는 타원형,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첩부제는 현재 시중에 시판되는 어떤 소염 진통제의 경피 투과용 첩부제보다 우수한 초기 약물 방출을 보이며, 통증 부위에 작용하여 진통을 억제하고 치료영역에 이른다.
[실시예 1]
1. 카보폴 겔의 제조
카보폴(carbopol # 940)을 0.67g,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 9.03g, 물을 89.1g, 트리에탄올 아민 1.2g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2. 고분자 막의 선정
1) 먼저 폴리프로필렌 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켰다. 이때 고분자 막의 두께는 20㎛, 점착제의 두께는 10 ㎛로 하였다.
2)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테프론)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켰다. 이때 고분자 막의 두께는 20 ㎛, 점착제의 두께는 10㎛로 하였다.
3)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테프론)에 부직(nonwoven) 구조로 폴리프로필렌을 라미네이트시킨 막에 점착제를 전사하였다. 이때 고분자막의 두께는 20 ㎛, 점착제의 두께는 10 ㎛으로 하였다.
[실시예 2]
1. 카보폴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2. 고분자 막의 선정
1) 먼저 20%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80% 나이트로셀룰로우스의 구성비를 가진 고분자 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켰다. 이때 고분자 막의 두께는 20㎛, 점착제의 두께는 10 ㎛로 하였다.
2) 나일론 막의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켰다. 이때 고분자 막의 두께는 20 ㎛, 점착제의 두께는 10 ㎛로 하였다.
[실시예 3]
연질 PVC필름을 접시형으로 성형시키고 그 안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케토프로펜 리제네이트를 함유하는 카보폴겔을 충진하고 연질 PVC 외주면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고분자막을 그 위에 펴서 접착시킨 후 그 바깥면의 외주연부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이형제를 접착시켜서 고분자막을 이용한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사용할 때에는 이형제를 분리하고 피부에 접착시켜서 사용한다.
[실험예 1]
경피 침투 시험:
4~6주령의 암컷 무모 쥐를 이용하여 실험마다 질식사 시킨 후에 피부를 적출하여 등쪽을 이용하여 사용하였다. 확산기구로는 프란쯔타입의 셀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적출된 무모 쥐의 등쪽이 위쪽으로 향하게 한 후 제조한 셈플을 붙여서 실험하였다. 셀 안쪽에는 0.05M 인산염 완충용액(pH 7.4)을 넣고 온도는 37℃ 인큐베이터에 셀을 넣고 일정한 시간후 리셉터쪽의 완충용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 새로운 완충용액을 넣어주어 싱크상태(sink condition)로 만들어 주었으며, 제거한 완충용액은 HPLC로 약물의 양을 분석하였다.
칼럼 : C18 μ-bondopak (메사추세츠주 01757, 밀톤 소재, 워터스 크로마토그래피(Waters chromatography) 사제품)
이동상 : 55 : 45 (V/V) = 메탄올 : 0.02 M 인산염 완충용액(pH 4.0)
유 속 : 1 mL/분
검출기 : 자외선 254 nm 파장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가지 첩부제의 케토프로펜리신의 피부 침투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2
1.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킨 것
2. 실시예 1에서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테프론)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킨 것
3. 실시예 1에서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테프론)에 부직(nonwoven)구조로 폴리프로필렌을 라미네이트된 막에 점착제 전사시킨 것
4. 실시예 2에서 20%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80% 나이트로 셀룰로오스의 구성 비를 가진 고분자 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킨 것
5. 실시예 2에서 나일론 막에 아크릴 계통의 점착제를 전사시킨 것
6. 케토프로펜을 이용한 T사의 제품의 경피 투과 속도는 7.56 μg/cm2/시로 나타남
[실험예 2]
피부 일차 자극 실험:
표 1에 나타난 첩부제를 박리층을 떼어낸 후 성인을 대상으로 전박부위 팔에 부착한다. 부착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첩부제를 떼어내고, 떼어낸지 30분이 지난후에 다음과 같은 판정에 따라서 일차자극 정도를 관찰한다.
Figure kpo00003
관찰된 자극정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부터 반응도를 계산한다.
Figure kpo00004
피부의 일차자극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5
전반적인 첩포의 자극정도는 5% 이내의 안전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외층에 연질플라스틱으로 낮은 용기형으로 성형한 후, 그 내부에 카보폴,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 물 및 트리에틸아민을 혼합시켜서 제조된 겔을 충진하고, 용기의 외주연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고분자막을 접착시킨후 다시 고분자막의 외주연부에 접착제를 접착시킨 후 그 위에 이형제를 접착시켜서 제조된 리저브(revervoir)형 고분자막을 이용한 소염진통제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함량이 겔의 0.1 내지 10중량%인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막은 에탄올, 물, 계면활성제의 투과가 우수한 폴리테트라프로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프로로에틸렌과 플로프로필렌을 함께 사용한 막 및 나일론, 셀룰로오스 등의 막에 아크릴 계통을 점착시킨 것에서 선택된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KR1019970037235A 1997-08-04 1997-08-04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KR10024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35A KR100249117B1 (ko) 1997-08-04 1997-08-04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235A KR100249117B1 (ko) 1997-08-04 1997-08-04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53A KR19990015253A (ko) 1999-03-05
KR100249117B1 true KR100249117B1 (ko) 2000-04-01

Family

ID=1951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235A KR100249117B1 (ko) 1997-08-04 1997-08-04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95A (ko) * 2003-02-05 2004-08-11 김용년 약물충전이 가능한 경피 패치
WO2010036283A1 (en) * 2008-09-25 2010-04-01 Prax Corporation Disposable fluid applicator
IT202100012806A1 (it) 2021-05-18 2021-08-18 Avicenna Natural Inst Glicoconiugato sintetico e membrana polimerica comprendente tale glicoconiuga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050A (ja) * 1992-05-27 1993-12-14 Pola Chem Ind Inc 消炎鎮痛外用剤
JPH08165251A (ja) * 1994-12-12 1996-06-2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溶解剤および該溶解剤を含有する外用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050A (ja) * 1992-05-27 1993-12-14 Pola Chem Ind Inc 消炎鎮痛外用剤
JPH08165251A (ja) * 1994-12-12 1996-06-25 Hisamitsu Pharmaceut Co Inc 溶解剤および該溶解剤を含有する外用製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ransdermal Drug Delivery (1989) p296-p29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95A (ko) * 2003-02-05 2004-08-11 김용년 약물충전이 가능한 경피 패치
WO2010036283A1 (en) * 2008-09-25 2010-04-01 Prax Corporation Disposable fluid applicator
IT202100012806A1 (it) 2021-05-18 2021-08-18 Avicenna Natural Inst Glicoconiugato sintetico e membrana polimerica comprendente tale glicoconiug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53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5737B (zh) 經皮遞送醫藥化合物的方法及其組成物
CN100374161C (zh) 透皮促进剂甘油三醋酸酯
FI89243C (fi) Terapeutiskt system och foerfarande foer dess anstaellning
US6791003B1 (en) Dual adhesiv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KR20000068029A (ko) 제약학적 물질염을 경피 수송하기 위한 압력 감응성 접착제
JP5591685B2 (ja) 経皮吸収製剤
IE54286B1 (en) Drug delivery device
JPH06503576A (ja) 皮膚浸透増強剤としてソルビタンエステルを用いた経皮的に薬物を投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Hanumanaik et al. Design, evaluation and recent trend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a review
SK288388A3 (en) Adhesive plaster containing effective substance
ES2538705T3 (es) Película para la administración dérmica y transdérmica de principios activos
CA1309661C (e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EP0144486A2 (en) Controlled-release drugsystem and process for preparing it
KR100249117B1 (ko) 고분자 막을 이용한 진통소염제(케토프로펜 리지네이트)의 경피투과용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
Ansari et al. Recent advancement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CA2239952C (en) Surface-stabilise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application on the skin
US201803607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5972376A (en) Transdermal system of tacrine/selegilin-plaster
AU628660B2 (en) Transdermal delivery (+)(2s,3s)-3-acetoxy-8-chloro-5- (2-dimethylaminoethyl)-2,3-dihydro-2-(4-methoxyphenyl) -1,5-benzothiazepin-4-(5h)-one
Sonkar et al. A review on transdermal patches as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KR100272043B1 (ko) 알쯔하이머성 치매치료용 경피흡수제제
Shinde et al. REVIEW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KR19980701419A (ko) (s)-3-메틸-5-(1-메틸-2-피롤리데닐)-이속사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들 중 하나를 투여하기 위한 트랜스더멀 치료 시스템
CN1226163A (zh) 治疗和/或预防痴呆的制剂
Fugate et al. A Review o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