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583B1 -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583B1
KR100248583B1 KR1019940015378A KR19940015378A KR100248583B1 KR 100248583 B1 KR100248583 B1 KR 100248583B1 KR 1019940015378 A KR1019940015378 A KR 1019940015378A KR 19940015378 A KR19940015378 A KR 19940015378A KR 100248583 B1 KR100248583 B1 KR 10024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image recording
recording medium
cov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82A (ko
Inventor
테쯔야 니시오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5000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03B2217/263Details of exposure status indicators; Double exposure preven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03B2217/265Details of light-proof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기록매체의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에의 인출 또는 인입을 허용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장치 또는 이에 적합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장치내에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가 해당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하는 상태와 카트리지의 커버가 화상기록매체를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화상기록매체상에의 화상의 기록동작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화상의 프린트출력 동작중 적어도 한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록도.
제3도, 즉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순서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인터럽트루틴을 표시한 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카메라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의 밑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상태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5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록도.
제9도, 즉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제8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 순서도.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인터럽트루틴을 표시한 순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록도.
제13도, 즉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순서도.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인터럽트루틴을 표시한 순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제어회로의 인터럽트루틴을 표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4 : 가동차광도어
5 : 필름(화상기록매체) 10 : 가동차광도어개폐용검지스위치
11 : 필름검지스위치 14 : 자기헤드
22 :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 25 : 록레버
31 : 카트리지실덮개검지스위치
본 발명은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카메라, 장치 또는 이에 적합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영도중에 우연히 이면덮개를 열어 필름이 예기치 않게 노출된 경우에 대한 대책을 지닌 카메라가 일본국 특개평 4-30443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카메라의 필름급송제어기에 있어서는 패트로네장전후의 패트로네덮개폐쇄동작에 따라 제1소정량만큼 필름급송을 행하고, 그후 필름의 되감기전까지의 기간중에 패트로네덮개가 열린 경우에는, 그후의 패트로네덮개폐쇄 동작에 따라, 패트로네덮개 개방동작에 의해 노광된 필름량에 상당하는 제2소정량만큼 필름을 감아올리고, 또 필름을 제2소정량만큼 감아올린 때에, 그 감아올린 프레임에 대해서 프린트금지신호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필름장전/비장전용의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필름 장전/비장전용의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카메라에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1] 필름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이 나와 있는 상태에서 가동차광도어를 폐쇄하면, 필름이 손상되고, 그후, 필름의 차광도어를 다시 열어 촬영하면 그 손상된 필름부분에 상이 노광되어 정상적으로 촬영을 행할 수 없게 된다.
[2] 필름카트리지의 가동차광도어를 완전히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를 개방하면, 필름카트리지속의 필름도 노광되어 버리고, 그 상태에서 촬영을 계속하면, 이와 같이 뜻밖에 노광된 필름부분에 상이 중첩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화상기록매체의 장전/비장전용의 덮개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카메라, 장치 또는 이에 적합한 디바이스(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장치에 장전된 카트리지의 덮개가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하는 상태인지 카트리지의 덮개가 화상기록매체를 가지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화상기록매체상에의 화상의 기록동작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화상의 프린트출력동작중 하나를 조절하여, 부적당한 화상기록 및 프린트를 방지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또는 이에 적합한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양상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카메라용의 필름급송제어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필름급송제어기의 블록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 및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순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카메라는, 필름을 수납하는 카트리지(1), 필름반출/되감기용의 카트리지(1)의 스풀축(spool shaft)(2), 카트리지(1)의 가동차광도어개폐용 접합부(3), 카트리지(1)의 필름개구를 개폐하는 가동차광도어(4), 퍼포레이션(필름의 양 가두리에 뚫은 구멍)(6a), (6b), (6c), (6d)을 지닌 필름(5), 상기 가동차광도어개폐용 접합부(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7), 이 구동부재(7)의 접합용 클릭(8), 구동부재(7)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그 구동부재(7)의 외주상에 배치된 전극단편(9) 및 이 전극단편(9)에 의해 도통되는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를 구비하고 있다. 단, 제1도는 가동차광도어(4)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는, 가동차광도어 개폐용 검지스위치(10)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또, 카메라는 필름이 카트리지(1)로부터 나오고 있는 것을 검지하는 필름검지스위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11)는 필름(5)에 의해 도통상태로 된다. 제1도는 필름(5)이 카트리지로부터 나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필름검지스위치(11)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또 카트리지 검지스위치(12)는 카트리지(1)가 카메라에 장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카트리지(1)에 의해 도통상태로 된다. 제1도에 있어서, 카트리지(1)는 카메라에 장전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검지스위치(12)는 온으로 된다.
카메라는 또한 카트리지(1)의 스플축(2)과 결합되어, 필름(5)을 카트리지(1)로부터 반출하거나 카트리지(1)에 되감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포크(13), 필름(5)의 자기기록층에 자기정보를 기록하거나 그 자기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헤드(14), 필름(5)과 퍼포레이션(6a), (6b), (6c), (6d)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리플렉터(15), 필름(5)의 감기용 스풀(16), 가동차광도어(4)용의 개폐버튼(17) 및 상기 개폐버튼(17)과 동측에 설치된 연결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부재(18)는 구동부재(7)와 톱니가 맞물려 있어, 개폐버튼(17)의 회전시, 연결부재(18), 구동부재(7), 접합용 클릭(8) 및 접합부(3)를 경유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개폐한다. 카메라는 또한, 필름(5)을 카트리지(1)로부터 반출하여 감는 동작과, 필름(5)을 되감아 카트리지(1)에 수납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동력전달수단(19)과, 필름급송용 모터(20), 기어(21) 및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해 온상태로 되는 스위치(109),(110)를 구비하고 있다. 1단째의 스위치(109)를 이후 스위치SW1이라고 칭하고, 2단째의 스위치(110)를 이후 스위치SW2라고 칭한다.
제2도에 있어서, 카메라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회로(100), 전지(101), 거리계측제어, 측광제어 등을 행하는 별개의 제어회로(102), 자기헤드(14)를 이용해서 정보를 판독·기록하는 자기헤드제어회로(103), 모터(20)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104), 표시부(107) 및 발음체(10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제3(a)도, 제3(b)도, 제3(c)도 및 제4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먼저, 스텝 S201에서, 카트리지검지스위치(12)의 상태를 검지한다. 카트리지(1)가 장전되어 있으면, 스위치(12)의 온상태가 검출되어,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202에서는,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의 상태를 검지한다.
개폐버튼(17)을 손으로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8)와 구동부재(7)로 이 회전이 전달되고,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구동시켜,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한다. 그래서,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되면, 개폐버튼(17)이 스토퍼(도시생략)에 닿아,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또,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의 온상태가 검지되어,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가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203), 모터 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반출(급송)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S204). 그래서, 동력전달용 포크(13)의 동작시, 카트리지(1)내의 필름(5)은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된 필름개구로부터 나온다. 상기 포크(13)와 스풀(16)은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필름(5)의 급송속도에 차를 지녀, 스풀(16)쪽이 포크(13)쪽보다 급송속도가 빠르게 되어 있다. 또, 포크(13)에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5)이 스풀(16)둘레에 감기면, 필름(5)은 스풀(16)에 의해 감아올려진다. 즉 급송된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205), 만약 스텝 205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을 넘은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스텝 S206에서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할 수 없을 때는, 필름(5)의 카트리지(1)로부터의 반출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2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을 넘기 전에 스텝 S206에서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한 때는,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하다(S207), 그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208). 만약 스텝 S208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은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스텝 S209에서 포토리플렉터(15)가 필름(5)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할 수 없을 때는, 필름(5)의 자동장전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2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만약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기전에 스텝 S209에서 포토리플렉터(15)가 첫번째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출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210). 여기에서 필름(5)의 첫 번째 프레임까지의 급송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211).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이면, 거리측정동작, 측광동작 등을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수행한다(S212).
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이 눌려져서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S213).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이면, 셔터(도시생략)를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개방하고, 소정시간 경과후에 폐쇄한다(S241). 그리고,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 동작을 재개한다(S215). 그후,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1프레임을 급송한다(S216).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217), 스텝 S217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더이상 반출될 수없거나 혹은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2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기 전에 스텝 S218에서 필름(5)상의 노광될 프레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킨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해당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켜, 1프레임분의 필름의 급송동작을 정지한다(S219).
다음에, 노광된 프레임의 수가 소정치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20), 스텝 S220에서 노광된 프레임수가 소정치에 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상의 전체의 프레임을 촬영완료한 것으로 되어, 스텝 S22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때는 스텝 S211로 진행하여 촬영대기상태로 된다. 스텝 S221에서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동력전달수단(19)을 개재해서 포크(1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필름(5)을 카트리지(1)에 되감는다. 그후, 스텝 S222로 진행하고, 이때,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스플(16)은 클러치에 의해 모터(20)로부터 분리된다.
스텝 S222에서는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에 필름(5)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그래서 해당 스위치(11)에 의해 필름(5)이 검지되지 않으면, 스텝 S223으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 그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4). 스텝 S224에서, 타이머 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 S225로 진행한다. 단, 소정치 T3은, 필름(5)이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를 통과한 후, 카트리지(1)에 수납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또, 이 소정치 T3은, 전지(101)의 전압조건 또는 카메라의 주위온도에 의해서 변하므로, 모터(20)의 헛된 회전을 방지한다.
스텝 S225에서,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
그후, 개폐버튼(17)을 손으로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8)와 구동부재(7)로 이 회전이 전달되어,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면, 구동부재(7)는 스토퍼(도시생략)에 의해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한편,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나오고 있는 동안에 개폐버튼(17)이 우연히 폐쇄방향으로 조작되면,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필름이 손상된다. 이 상태에서는, 필름의 손상된 부분에 촬영이 행해져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텝 S207~S220사이에, 개폐버튼(17)이 우연히 폐쇄방향으로 조작되어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여,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오프상태로 된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제4도에 도시한 인터럽트루틴을 수행한다(S200).
이 인터럽트루틴을, 제4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표시부(107) 또는 발음체(108)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226). 그후, 사용자가 개폐버튼(17)을 조작하여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하고,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온상태로 되면(S227), 경고를 정지한다(S228).
다음에,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하고(S229),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급송한다(S230).
그후, 자기헤드제어회로(103)는 자기헤드(14)를 이용해서 프린트금지정보신호를 필름(5)의 자기기록부상에 기록한다(S231). 따라서, 프린트시에, 이 프린트금지 정보신호를 판독하여 가동차광도어(4)에 의해 손상된 프레임이 프린트되는 것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불필요한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32), 만약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이 더이상 카트리지(1)로부터 인출될 수 없거나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2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기 전에 스텝 S233에서 필름(5)이 소정량 급송된 것을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검지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키고(S234), 스텝 S220으로 진행한다. 단 상기 소정량은, 필름의 가동차광도어(4)에 의해 손상된 부분이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의 구경에 관계없이 촬영에 사용되지 않을 만큼 이동하는 양에 상당하며, 반드시 필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키는 양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필름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여 필름이 손상되고, 그후 다시 개방되더라도, 이 손상된 필름부분이 촬영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쓸데없는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나오고 있고 또 필름급송용 모터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감기/되감기 동작을 불문하고), 필름이 손상된다. 이 경우, 필름이 이동하므로, 손상된 부분이 넓어진다. 따라서, 필름검지스위치(11)가 온상태로 되고, 또 필름급송용 모터(20)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오프상태로 된 경우에는, 제15도에 표시한 인터럽트루틴을 수행한다(S500).
단, 이것은 후술하는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 인터럽트루틴을, 제15도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이때,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즉시 정지시킨다(S501).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표시부(107) 또는 발음체(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502), 그후, 사용자가 개폐버튼(17)(제2 또는 제3실시예에서는 조작버튼(27))을 조작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온상태로 되고(S503), 경고동작이 정지한 후(S504), 필름급송용 모터(20)가 재차 통전된다(S505). 그 후, 선행 루틴으로 귀환한다. 단, 이때의 필름급송용 모터(20)의 회전방향은 이 인터럽트루틴의 개시전과 동일 방향이다.
이상의 인터럽트루틴에 의해,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나와 있어 필름(5)을 감아올리거나 되감고 있는 사이에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필름(5)을 손상하더라도, 이때 필름(5)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필름의 이동에 의해 손상부가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5도는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제6도는 필름카트리지의 밑면도, 제7도는 필름카트리지의 상태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5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록도, 제9(a)도,제9(b)도,제9(c)도 및 제10도는 제8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에 있어서, 카메라는 또 카트리지장전실의 덮개(22)(이하 카트리지실덮개라고 칭한다)와, 이 카트리지실덮개(22)의 힌지축(23)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실덮개(22)는 힌지축(23)에 의해 카메라본체(도시생략)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또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카메라는 또한 카트리지실덮개(22)용의 록핀(24)과 카트리지실덮개(22)용의 록레버(25)를 구비하고 있다. 제5도는 카트리지실덮개(22)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록핀(24)이 록레버(25)에 의해 걸려, 카트리지실덮개(22)는 폐쇄상태로 로킹되어 있다.
이때, 록레버(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레버(25)가 록핀(24)으로부터 빠져, 스프링(도시생략)의 부세력에 의해 카트리지실덮개(22)는 개방된다. 카메라는 또한, 구동부재(7)와 록레버(25)를 구동하는 개폐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장치(26)는 록레버(25)가 로킹된 때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하고 록레버(25)가 언로킹(로킹해제)된 때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도록 작용한다. 단, 록레버(25)는 카트리지실덮개가 기구(도시생략)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한 로킹되지 않는다.
카메라는 또 조작버튼(27)을 구비하고 있어, 이 조작버튼(27)의 조작시, 개폐장치(26)를 동작시킨다. 포토리플렉터(28)는, 카트리지(1)의 상태(정보)표시장치(30)(제6도)를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제6도에 있어서, 필름카트리지(1)는 상태표시장치(30)용의 표시도어(29)를 지니고 있다. 이 상태표시장치(30)는, 필름카트리지가 사용되지 않은 것인지 또는 이미 노광된 것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표시장치(30)는 흑색부와 백색부를 지니고, 또 스풀축(2)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스풀축(2)에 고정되어 있다. 상태표시장치(30)의 흑색부가 표시도어(29)에 나타날 때는 필름이 이미 노광된 것을 표시하고, 백색부가 표시도어(29)에 나타날 때는 필름이 사용되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필름을 되감은 후, 포토리플렉터(28)가 표시도어(29)에 흑색부가 나타난 것을 검지하면, 포크(13)를 정지시켜, 상태표시장치(30)는 필름이 이미 노광되었음을 표시한다.
이상의 구성의 동작에 대해 제9(a)도,제9(b)도,제9(c)도 및 제10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 카트리지검지스위치(12)의 상태를 검지한다. 카트리지(1)가 장전되어, 카트리지검지스위치(12)의 온상태가 검지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카트리지(1)가 장전된 후, 카트리지실덮개가 폐쇄되어, 조작버튼(27)을 조작하면, 개폐장치(26)는 록레버(2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록레버(25)에 의해 록핀(24)이 걸려,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재(7)에 그 회전이 전달되고, 접합용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방향으로 구동하여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시킨다.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되면, 조작버튼(27)은 스토퍼(도시생략)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의 온상태가 검지되고,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이 개시되고(S303),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카트리지(1)로부터 필름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S304). 그후, 동력전달용 포크(13)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1)내의 필름(5)은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된 필름개구로부터 나온다. 포크(13)와 스풀(16)은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필름(5)의 급송속도에 차를 지녀, 스풀(16)쪽이 포크(13)쪽보다 급송속도가 빠르게 되어 있다. 또, 포크(13)에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5)이 스풀(16)둘레에 감겨, 필름(5)은 스풀(16)에 의해 급송된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5).
스텝 S305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To이 소정치 To을 넘은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스텝 S306에서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할 수 없을 때는, 필름(5)의 카트리지(1)로부터의 인출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3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을 넘기 전에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하면(S306),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S307). 그 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 스텝 S308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은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포토리플렉터(15)가 필름(5)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할 수 없으면, 필름(5)의 자동장전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3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만약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기 전에 스텝 S309에서 포토리플렉터(15)가 첫번째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출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310). 여기에서, 필름(5)의 첫 번째 프레임의 급송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311).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이면, 거리측정동작·측광동작 등을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수행한다(S312).
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이 눌려져서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S313).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이면, 셔터(도시생략)를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개방하고, 소정시간경과후에 폐쇄한다(S314). 그리고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하다(S315). 그후,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1프레임분 급송한다(S316).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317), 스텝 S317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더이상 인출될 수 없거나 혹은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3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기 전에 스텝 S318에서 필름(5)상의 노광될 프레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킨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해당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켜, 1프레임분의 필름의 급송동작을 정지한다(S319).
다음에, 노광된 프레임의 수가 소정치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20), 스텝 S320에서 노광된 프레임수가 소정치에 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상의 전체의 프레임을 촬영완료한 것으로 되어, 스텝 S321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때는 스텝 S311로 진행하여 촬영대기상태로 된다. 스텝 S321에서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동력전달수단(19)을 개재해서 포크(1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필름(5)을 카트리지(1)에 되감는다. 그후, 스텝 S322로 진행하고, 이때,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스풀(16)은 클러치에 의해 모터(20)로부터 분리된다.
스텝 S322에서는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에 필름(5)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그래서 해당 스위치(11)에 의해 필름(5)이 검지되지 않으면, 스텝 S323으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
그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4). 스텝 S324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 S325로 진행한다. 단 소정치 T3은, 필름(5)이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를 통과한 후, 카트리지(1)에 수납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또, 이 소정치 T3은, 전지(101)의 전압조건 또는 카메라의 주위온도에 의해서 변하므로, 모터(20)의 헛된 회전을 방지한다.
또, 스텝 S325에서는, 포토리플렉터(28)를 이용해서 정보표시장치(30)가 흑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정보표시장치가 흑색이면,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326). 이 경우, 정보표시장치(30)는 스플축(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필름이 이미 노광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흑색부를 표시하는 동안 정지한다. 그후, 조작버튼(27)을, 조작시키면, 개폐장치(26)를 개재해서 구동부재(7)에 회전이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접합용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록레버(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면, 조작버튼(27)이 스토퍼(도시생략)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록레버(25)가 록핀(24)으로부터 빠져,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해제되고, 스프링(도시생략)의 부세력에 의해 카트리지실덮개(22)는 개방된다.
한편, 카트리지(1)로부터 필름이 나오고 있는 사이에 조작버튼(27)이 우연히 폐쇄방향으로 조작되면,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필름이 손상된다. 이 상태에서는, 필름의 손상된 부분에 촬영이 행해져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해제되어 개방되고, 정상적으로 노광된 필름부분 또는 가동차광도어(4)가 필름(5)을 클램프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1)에 있어서 미노광된 필름부분에 광이 도달하여 우연히 노광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촬영하면, 우연히 노광된 필름부분에 촬영이 행해져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텝 S307~S320사이에, 조작버튼(27)이 우연히 폐쇄방향으로 조작되어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여,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오프상태로 된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제10도에 도시한 인터럽트루틴을 수행한다(S300).
이 인터럽트루틴을, 제10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표시부(107) 또는 발음체(108)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327). 그후, 사용자가 카트리지실덮개(22)를 폐쇄하고 조작버튼(27)을 조작하면, 록레버(25)에 의해 록핀(24)이 걸려 카트리지실덮개(22)를 로킹하여,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하고,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온상태로 되면(S328), 경고를 정지한다(S329). 다음에,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하고(S330),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급송한다(S331). 그후, 자기헤드제어회로(103)는 자기헤드(14)를 이용해서 프린트금지정보신호를 필름(5)의 자기기록부상에 기록한다(S332). 따라서, 프린트시에, 이 프린트금지 정보신호를 판독하여 가동차광도어(4)에 의해 손상되었거나 우연히 노광된 필름부분이 프린트되는 것을 금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쓸데없는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33),
스텝 S333에서 만약 타이머카운터(T)의 간이 소정치 T4를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이 더이상 카트리지(1)로부터 인출될 수 없거나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3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기 전에 스텝 S334에서 필름(5)이 소정량 급송된 것을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검지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키고(S335), 스텝 S321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단 상기 소정량은, 자기정보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양에 상당하며, 반드시 필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키는 양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이상 제10도의 처리에 의해, 필름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여 필름이 손상되고, 그후 다시 개방되더라도, 이 손상된 필름부분이 촬영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필름이 카트리지로부터 나오고 있는 사이에 카트리지실덮개(22)의 로킹해제에 의해 카트리지실덮개가 개방되어, 정상적으로 노광된 필름부분 또는 가동차광도어(4)가 필름(5)을 클램프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1)에 있어서 미노광된 필름부분에 우연히 광이 도달하여 노광되더라도, 이와 같이 우연히 노광된 필름부분이 촬영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쓸데없는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제11도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카메라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량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카메라의 블록도, 제13(a)도,제13(b)도,제13(c)도 및 제14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제어회로의 동작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에 있어서, 카트리지실덮개검지스위치(31)는 카트리지실덮개(22)가 폐쇄되면 온, 개방되면 오프상태로 된다. 제11도에서는, 카트리지실덮개(22)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온상태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13(a)도,제13(b)도,제13(c)도 및 제14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카트리지(1)가 장전되면, 카트리지검지스위치(12)가 온상태로 되어 이상태를 검지한다(S401). 카트리지실덮개가 폐쇄되면, 카트리지실덮개검지스위치(31)가 온상태로 되어 이 상태를 검지한다(S402). 다음에, 조작버튼(27)을 조작하면, 개폐장치(26)에 의해 구동부재(7)에 회전이 전달되어,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방향으로 구동한다. 이때, 록레버(25)에 의해 록핀(24)이 걸려,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된다. 이와 동시에, 가동차광도어(4)는 구동부재(7)에 의해 개방된다. 단, 조작버튼(27)은 스토퍼(도시생략)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의 온상태가 검지되고(S403),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이 개시되고(S404), 그후,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시킨다(S405). 다음에, 동력전달용포크(13)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1)내의 필름(5)은 가동차광도어(4)가 개방된 필름개구로부터 나온다. 포크(13)와 스풀(16)은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필름(5)의 급송속도에 차를 지녀, 스풀(16)쪽이 포크(13)쪽보다 급송속도가 빠르게 되어 있다. 또, 포크(13)에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5)이 스풀(16)둘레에 감겨, 필름(5)은 스풀(16)에 의해 급송된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6).
스텝 S406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를 넘은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스텝 S407에서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할 수 없을 때는, 필름(5)의 카트리지(1)로부터의 인출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422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o을 넘기 전에 필름검지스위치(11)가 필름(5)을 검지하면(S407),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S408). 그 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9).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기 전에 포토리플렉터(15)가 필름(5)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할 수 없으면, 필름(5)의 자동장전동작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스텝 S422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만약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1을 넘기 전에 스텝 S410에서 포토리플렉터(15)가 첫번째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출한 경우에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411). 여기에서, 필름(5)의 첫번째프레임의 급송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S412). 스위치SW1(109)이 온상태이면, 거리측정동작·측광동작 등을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수행한다(S413).
또, 릴리즈버튼(도시생략)이 눌려져서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S414). 스위치SW2(110)가 온상태이면, 셔터(도시생략)를 별개의 제어회로(102)에 의해 개방하고, 소정시간경과후에 폐쇄한다(S415). 그리고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S416). 그후,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1프레임분 급송한다(S417).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18), 스텝 S418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필름(5)이 카트리지(1)로부터 더이상 인출될 수 없거나 혹은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422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2를 넘기 전에 필름(5)상의 노광될 프레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킨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해당 프레임의 퍼포레이션을 검지한 경우에는(S419),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켜, 1프레임분의 필름의 급송동작을 정지한다(S420).
다음에, 노광된 프레임의 수가 소정치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21), 스텝 S421에서 노광된 프레임수가 소정치에 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상의 전체의 프레임을 촬영완료한 것으로 되어, 스텝 S422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을 때는 스텝 S412로 진행하여 촬영대기상태로 된다. 스텝 S422에서는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역회전시켜, 동력전달수단(19)을 개재해서 포크(1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필름(5)을 카트리지(1)에 되감는다. 그후, 스텝 S423로 진행하고, 이때, 동력전달수단(19)의 제어하에 스풀(16)은 클러치에 의해 모터(20)로부터 분리된다.
스텝 S423에서는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에 필름(5)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그래서 해당 스위치(11)에 의해 필름(5)이 검지되지 않으면, 스텝 S424으로 진행하여,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한다. 그후,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5). 스텝 S425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3을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텝 S426으로 진행한다. 단, 소정치 T3은, 필름(5)이 필름검지스위치(11)의 위치를 통과한 후, 카트리지(1)에 수납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또, 이 소정치 T3은, 전지(101)의 전압조건 또는 카메라의 주위 온도에 의해서 변하므로, 모터(20)의 헛된 회전을 방지한다.
또, 스텝 S426에서는, 포토리플렉터(28)를 이용해서 정보표시장치(30)가 흑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정보표시장치가 흑색이면,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427). 이 경우, 정보표시장치(30)는 스풀축(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필름이 이미 노광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흑색부를 표시하는 동안 정지한다. 그후, 조작버튼(27)을, 조작시키면, 개폐장치(26)를 개재해서 구동부재(7)에 회전이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접합용 클릭(8)과 접합부(3)를 개재해서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록레버(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면, 조작버튼(27)이 스토퍼(도시생략)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록레버(25)가 록핀(24)으로부터 빠져,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해제되고, 그후 스프링(도시생략)의 부세력에 의해 카트리지실덮개(22)는 개방된다.
한편, 카트리지(1)로부터 필름이 나오고 있는 사이에 조작버튼(27)이 우연히 폐쇄방향으로 조작되면,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필름이 손상된다. 이 상태에서는, 필름의 손상된 부분에 촬영이 행해져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 카트리지실덮개(22)가 로킹해제되어 개방되고, 정상적으로 노광된 필름부분 또는 가동차광도어(4)가 필름(5)을 클램프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1)에 있어서 미노광된 필름부분에 광이 도달하여 예기치 않게 노광되어 버린다. 한편, 카트리지실덮개(22)를 손으로 누르면서 조작버튼을 조작한 경우 등, 카트리지실덮개(22)가 열리지 않을 때는, 상기 경우와 달리 필름이 우연히 노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 S408~S421사이에 조작버튼(27)이 우연히 조작되어 가동차광도어(4)를 폐쇄하여,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오프상태로 된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제14도에 도시한 인터럽트루틴을 수행한다(S400).
이 인터럽트루틴을, 제14도의 순서도를 참조해서 이하 설명한다.
카트리지실덮개검지스위치(31)의 상태를 검지한다(S428). 이 스위치(31)가 오프상태(카트리지실덮개가 폐쇄상태)이면 스텝 S429로 진행하고, 온상태(카트리지실덮개가 개방상태)이면 스텝 S432로 진행한다.
스위치(31)가 오프상태이면 스텝 S429로 진행하여 제어회로내의 파라미터C를 “1”로 설정한다. 그후, 카트리지실덮개(2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표시부(107) 또는 발음체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430). 그후, 사용자가 카트리지실덮개(22)를 폐쇄하여 카트리지실 덮개검지스위치(31)의 온상태가 검지되면(S431), 가동차광도어(4)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표시부(107) 또는 발음체(108)에 의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S432). 그후 조작버튼(27)을 조작하여, 록레버(25)에 의해 록핀(24)이 걸려 카트리지실덮개(22)를 로킹함과 동시에 가동차광도어(4)를 개방하면, 가동차광도어개폐용 검지스위치(10)가 온상태로 된다. 이 스위치(10)의 온상태의 검지시(S433), 경고를 정지한다(S434).
다음에, 제어회로(100)내부의 타이머카운터(T)의 카운트동작을 재개하고(S435), 모터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구동하여 필름을 급송한다(S436). 그후, 자기헤드제어회로(103)에 의해, C=1일 경우는 필름(5)의 이 현행 프레임이후의 모든 프레임의 자기정보부에, 또는 C=b1일 경우는 현행프레임만의 자기정보부에, 프린트금지 정보신호를 자기헤드(14)를 이용해서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프린트시에, 이 프린트 금지정보 신호를 판독하여, 가동차광도어(4)에 의해 손상된 필름부분 또는 우연히 노광된 필름부분이 프린트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쓸데없는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8). 만약 스텝 S438에서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은 것으로 판단되면, 필름(5)이 더이상 카트리지(1)로부터 인출될 수 없거나 약간의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스텝 S422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한편, 타이머카운터(T)의 값이 소정치 T4를 넘기 전에 스텝 S423에서 필름(5)이 소정량 급송된 것을 포토리플렉터(15)에 의해 검지한 경우에는, 모터 드라이버(104)에 의해 필름급송용 모터(20)를 정지시킨다(S440).
단, 상기 소정량은, 필름의 가동차광도어(4)에 의해 손상된 부분이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의 구경에 관계없이 촬영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 이동하는 양에 상당하며, 반드시 필름을 1프레임분 진행시키는 양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또, 스텝 S441에서 C=1(카트리지실덮개(22)가 개방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C를 0으로 클리어하고(S442) 스텝 S422로 진행하여 필름을 되감는다. 한편, 스텝 S441에서 C≠b1(카트리지실덮개(22)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C를 0으로 클리어하고(S443), 스텝 S421로 진행하여 촬영을 계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차광도어를 폐쇄하여 필름이 손상되고, 그후 다시 개방되더라도, 이 손상된 필름부분이 촬영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필름이 카트리지로부터 나오고 있는 사이에 카트리지실덮개(22)의 로킹해제에 의해 카트리지실덮개가 개방되어, 정상적으로 노광된 필름부분 또는 가동차광도어(4)가 필름(5)을 클램프하여 완전히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카트리지(1)에 있어서 미노광된 필름부분에 우연히 광이 도달하여 노광되더라도, 이와 같이 우연히 노광된 필름부분이 촬영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쓸데없는 프린트동작을 없앨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필요시 상기 각 실시예 또는 그들의 기술적 요소를 조합해서 성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명세서와는 다른 가동차광도어 등을 지닌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은 급송(감기)또는 되감기 동작에 의해 1프레임씩 급송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필름이외의 화상기록매체를 사용하는 카메라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는 다른 카트리지, 필름이외의, 화상기록매체를 지니는 카트리지, 다른 유형의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이외의 기타 장전가능한 부재를 사용하는 카메라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안리플렉스카메라, 비데오 카메라 등의 각종 카메라, 카메라이외의 광학장치 또는 기타 디바이스 그리고 이들 카메라, 광학장치 및 기타 디바이스에 적합한 유닛에도 적용가능하다.
도면에 있어서 개량적으로 또는 블록형상으로 도시된 각각의 성분은 카메라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으로, 그들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동작 또는 최량의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정신과 범위내에 포함되는 각종 변형 및 이에 상당하는 구성도 커버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대응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위로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26)

  1. 화상기록매체(5)의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에의 인출 또는 인입을 허용하는 커버(4)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1)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에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가 해당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하는 상태와 카트리지의 커버가 화상기록매체를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는 판정수단(S200, S300, S400)과,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화상기록매체상에 의 화상의 기록동작과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화상의 프린트출력 동작중 적어도 한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S230, S231, S233, S234, S321, S331, S332, S334, S335, S422, S436, S437, S439, S440, S44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기록매체가 필름(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의 개폐를 검지하는 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의 상태를 판정하여, 상기 화상기록 매체가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10,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의 상태를 판정하여, 상기 화상기록 매체가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 카트리지 장전실의 커버의 상태를 판정하는 수단(10, 11, 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의 상태 및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의 상태를 판정하는 수단(10, 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화상기록매체가 상기 카트리지의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 카트리지장전실의 커버의 상태를 판정하는 수단(11, 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화상기록매체상에의 화상의 기록동작과 상기 화상기록매체상에 기록된 화상의 프린트출력 동작중 적어도 한쪽을 금지하는 수단(S230, S231, S233, S234, S321, S331, S332, S334, S335, S422, S436, S437, S439, S440,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적어도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화상기록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S230, S233, S234, S321, S422, S436, S439, S440,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화상기록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S230, S233, S234, S321, S422, S436, S439, S440,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적어도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화상기록시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상기록매체를 이동시키는 수단(S230, S233, S234, S321, S422, S436, S439, S440,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이 판정된 후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상에 의 화상기록을 금지하는 수단(S230, S321, S422,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이 판정된 후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상의 화상기록을 금지하도록 상기 화상기록매체를 이동시키는 수단(S230, S321, S422, S4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적어도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프린트시에 이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수단(S321, S332, S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프린트시에 이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수단(S231, S332, S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적어도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커버에 의해 클램프된 부분이 프린트시에 이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S231, S332, S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이 판정된 후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가 프린트시에 이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수단(S332, S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이 판정된 후의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가 프린트시에 이용되는 것을 금지하는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S332, S4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을 상기 판정수단이 판정한 때 사용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를 세트하는 수단(S325, S326)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한 것을 상기 판정수단이 판정한 때 사용된 상태를 카트리지로 하여금 표시하도록 하는 수단(S325, S326)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서 경고를 발생하는 수단(107, 108)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단(S226, S327, S434)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상기 화상기록매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4. 차광부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1)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에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의 차광부가 해당 카트리지안으로의 광의 입사를 허용하는 상태와 카트리지의 차광부가 화상기록매체를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는 판정수단(S200, S300, S400)과, 상기 판정수단에 따라 화상기록매체상에의 화상의 상에 기록된 화상의 프린트출력동작중 적어도 한쪽을 조절하는 조절수단(S230, S231, S233, S234, S321, S331, S332, S334, S335, S422, S436, S437, S439, S440, S44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카메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카메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부를 지닌 화상기록매체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
KR1019940015378A 1993-06-30 1994-06-30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KR100248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83237A JP2889466B2 (ja) 1993-06-30 1993-06-30 カメラ
JP93-183237 199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82A KR950001382A (ko) 1995-01-03
KR100248583B1 true KR100248583B1 (ko) 2000-04-01

Family

ID=1613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378A KR100248583B1 (ko) 1993-06-30 1994-06-30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75834A (ko)
EP (1) EP0632315B1 (ko)
JP (1) JP2889466B2 (ko)
KR (1) KR100248583B1 (ko)
CN (1) CN1071461C (ko)
DE (1) DE69429132T2 (ko)
TW (1) TW3515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319A (ja) * 1993-12-28 1995-08-04 Canon Inc 使用済みカートリッジ対策のあるカメラ
KR0166688B1 (ko) * 1996-06-28 1999-05-01 이대원 에이피에스 카메라의 필름 위치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615B2 (ja) * 1989-01-05 1998-04-28 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JP2959169B2 (ja) * 1991-04-01 1999-10-06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の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
JPH04365033A (ja) * 1991-06-11 1992-12-17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US5200777A (en) * 1991-11-04 1993-04-06 Eastman Kodak Company Film cassette with integrated cassette element lock and light bl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9466B2 (ja) 1999-05-10
JPH0720545A (ja) 1995-01-24
CN1071461C (zh) 2001-09-19
KR950001382A (ko) 1995-01-03
DE69429132T2 (de) 2002-04-25
EP0632315B1 (en) 2001-11-21
CN1101431A (zh) 1995-04-12
DE69429132D1 (de) 2002-01-03
EP0632315A1 (en) 1995-01-04
TW351509U (en) 1999-01-21
US5675834A (en) 199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1585B1 (en) Camera adapted to use film cartridge having moveable light shielding door
KR100248583B1 (ko) 가동차광도어를 지닌 필름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카메라
USRE35936E (en) Visual exposure indicating system
EP0683424B1 (en) Camera adapted to a film cartridge
JPH0815768A (ja) 可動遮光扉付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を使用するカメラ又は、装置又は、それらに適用される装置
JPH0762754B2 (ja) フイルム送り機構
US5737654A (en) Camera, and apparatus for camera
US6052542A (en) Film cartridge indication control apparatus
US20020028075A1 (en) Film image signal generation apparatus
JP2878864B2 (ja) カメラ及びカートリッジ指標設定装置
US6268971B1 (en) Camera having magnetic head and noise detector
US6275660B1 (en) Manual-wind camera
JPH0772782B2 (ja) フイルム巻上げ装置
JP2791611B2 (ja) カメラ及びフィルム使用規制装置
JPH0566547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ツトのベロ出し装置
JP2001056496A (ja) カメラ
JPH0843931A (ja) カメラ
JPH08114845A (ja) カメラ
JPH0566548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ツト及びこれのフイルム巻取装置
JP2000347268A (ja) カメラ
JPH07295041A (ja) カメラ
JPH11174546A (ja) カメラ
JPH0843912A (ja) カメラのフィルム視認装置
JPH07120830A (ja) データ記録可能なカメラ
JPH1130801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930

Effective date: 1999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